KR101851953B1 -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 Google Patents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1953B1 KR101851953B1 KR1020170061976A KR20170061976A KR101851953B1 KR 101851953 B1 KR101851953 B1 KR 101851953B1 KR 1020170061976 A KR1020170061976 A KR 1020170061976A KR 20170061976 A KR20170061976 A KR 20170061976A KR 101851953 B1 KR101851953 B1 KR 1018519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bolt
- absorbing plate
- shock absorbing
- b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부분 구조체의 소성변형 및 다중의 완충구조를 통해 차량의 충격을 완화하고 충돌한 차량의 승월 및 전복을 방지함으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and curbing prevention structure capable of protecting a driver by mitigating a shock of a vehicle through collisional deformation and multiple cushioning structures of a partial structure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부분 구조체의 소성변형 및 다중의 완충구조를 통해 차량의 충격을 완화하고 충돌한 차량의 승월 및 전복을 방지함으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ard rail that relieves a shock of a vehicle through plastic deformation of a partial structure and a cushioning structure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And a guard rail having a roll-over prevention structure.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중앙 또는 갓길 양측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은 운행하는 차량의 중앙선 침범이나 도로 이탈, 보도 진입 또는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설비로써, 통상적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며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레일로 구성되는 울타리 형태를 갖게 된다.Guard rails installed at the center of a road or both sides of a road on which a vehicle travels are safety equipment for invading a center line of a vehicle, preventing a road departure, entering or falling into a sidewalk, and are usual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fence formed by the rail connected continuous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가드레일은 기본적으로 정상적인 경로를 벗어난 차량의 이탈을 제한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차량의 충돌시 소성변형을 통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차량의 파손 및 탑승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는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Such a guard rail basically functions to prevent a secondary accident by restricting the departure of a vehicle out of the normal path, and by absorbing the collision energy through plastic deforma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of the vehicle and the injury of the occupant It is being developed as a structure.
하지만, 가드레일 설치에 따른 비용대비 구조, 재질적인 한계로 인해 충격에너지의 흡수에 한계가 있으므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충돌시 과도한 충격으로 인한 차량 파손 및 운전자의 상해가 여전히 발생할 수 밖에 없다.However, due to the cost structure and the material limit of the guard rail installation, there is a limit to the absorption of the impact energy, so that the vehicle damage due to the excessive impact at the time of collision of the vehicle running at high speed and the driver's injury still occur.
특히 지주와 레일을 비롯한 완충 구조체에 대하여 볼트 및 너트를 활용한 결합·고정과 더불어 체결수단의 선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 등으로 인해 차량 충돌시 파손된 가드레일 구조체에 차량이 걸리거나, 일반 승용차 기준으로 설치되어 차고가 높은 SUV나 버스, 화물차량의 충돌시 차량이 지주 및 가드레일을 타고 넘어가서 2차 사고나 전복이 발생하여 인명사고 피해가 발생하는 등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가드레일의 역할이 원활치 않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Particularly, when a vehicle is caught by a guard rail structure damaged during a vehicle collision due to a structure in which a bolt and a nut are used for coupling and fixing a buffer structure such as a strut and a rail and a tip of the coupling means protrudes outward, It is the role of the guard rail installed for the safety such as the accident of the second accident or the overturning due to the accident when the SUV, This has been an inconvenient problem.
이의 해결을 위해 종래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높이조절이나 강도 보강 작업을 비롯하여 가드레일 완충구조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가드레일의 보강작업은 설치된 지주와 기존 가드레일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교체비용이 매우 높고, 연구 개발된 성과물들 또한 보강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생산, 설치, 보수가 쉽지 않고 비용 역시 많이 소요되어 실질적인 현장적용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structure of the guard rail and the safety for securing safety, including height adjustment and strength reinforcement work of the conventional installed guard rails, but the reinforcement work of the guard rails is performed by replacing the installed guard and the existing guard rail , The replacement cost is very high, an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chievements are also complicated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roduce, install, and repai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체의 소성변형 및 다중의 완충구조를 통해 차량 충돌시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파손에 따른 차량 걸림과 탑승자 상해를 비롯하여 충돌한 차량의 승월 또는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ffectively mitigating an impact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rough plastic deformation of a structure and multiple cushioning structur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ard rail having a shock absorbing and rolling gate prevent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a car from being rolled or rolled up.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된 지주 및 상기 지주에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레일로 이루어지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좌우측 단부가 후측으로 절곡되고, 양측에 전후방향 길이를 갖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지주 양측에 결합하며, 충격시 하측으로 절곡을 유도하는 변형부가 형성된 블록아웃; 상기 블록아웃 전면에 접하며, 상하측 단부가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을 일부 덮도록 절곡된 충격흡수판; 상기 충격흡수판 전면 일부 또는 전체를 덮도록 결합되는 고정대; 후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측 단부가 후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충격흡수판 및 고정대 사이를 통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uard rail comprising a support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floor surface and a rail transversely engaged with the support, wherein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are bent backward, A blockout having balls formed therein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via fastening means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and having a deforming portion for inducing bending downward when impacted; An impact absorbing plate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out,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forming an insertion space and being bent to partially cover the front surface; A fixing table coupled to cover a part or the entirety of the shock absorbing plate front face; A rail which is folded backwar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so as to form a cushioning space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spac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hock absorbing plate and the fixing table; .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공은 전후방향 길이를 갖는 장공 형상으로 상기 볼트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한쌍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of a bolt and a nut, and the fastening hole may have a shape of a long hole having a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a pair of protrusion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bolt.
또한, 상기 체결공은 전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surface.
또한, 상기 레일는 전면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되, 강도 향상을 위해 중앙에 횡 방향으로 연속적인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s may have a convex shape on the front side, and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improve the strength.
또한, 한쪽 끝 부분은 레일의 외측을 감싸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인접한 레일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의 슬리브를 통해 레일이 횡방향으로 연속적인 연결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ail has a continuous connection structu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a sleeve whose one end portion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rail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adjacent rail.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다중의 충격완화와 더불어 소성변형 및 파손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함으로 차량이 가드레일 구조체에 걸리거나, 지주 및 가드레일을 타고 넘어가서 발생하는 2차 사고, 전복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afely induces plastic deformation and breakage direction in addition to multiple shock mitigatio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a vehicl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s and rollovers occurring when a vehicle is caught on a guardrail structure or over a guardrail and a guardrail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다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1 실시예의 일부 변형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1 실시예의 일부 변형에 따른 레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sectional vie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sectional view according to som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rail according to som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guard rail having a shock absorption and rollover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로써, 도 2의 B - B' 구간의 평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다른 측단면도로써 도 2의 A - A' 구간의 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FIG. 1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and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된 지주 및 상기 지주(110)에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레일(150)로 이루어지는 울타리(펜스) 형태의 가드레일로써, 블록아웃(120)과, 충격흡수판(130)과, 고정대(140)와, 레일(150)의 주요 구성을 구비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guard rail in the form of a fence (fence) composed of a pillar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상기 지주(110)는 강관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수직으로 박히며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로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사각 규격의 강관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충격발생시 상기 지주와 지면의 접촉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지주(110)와 지면의 접촉부에 상기 지주 외측을 두르거나 내측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태의 보강지주(111)를 설치하게 된다.The
상기 블록아웃(120)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좌우측 단부가 후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주(110) 양측에 결합하게 된다. 즉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측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결합함에 따라 중앙부가 상기 지주의 외경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하되, 좌우 측 절곡된 부분이 상기 지주 양 측면을 1/2 이상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절곡된 각도가 수직을 이루고 있으나 이와 다른 각도로 절곡하더라도 결합 및 충격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The block-out 120 is made of a metal plate, and its left and right ends are bent backward to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또한, 절곡된 블록아웃(120)의 양측에 전후방향 길이를 갖는 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21)을 관통하는 체결수단(160)을 통해 상기 지주 양측에 결합하며, 상기 지주(110) 전면과 블록아웃(120)의 중앙에는 완충공간(S1)이 형성되어 전면에서의 충격발생시 상기 완충공간(S1)만큼 블록아웃(120)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
이때 상기 체결수단(160)은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게 되며, 좌측 및 우측 절곡면 각각은 상하로 2개 이상의 체결공(1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각 측면에 2개의 체결공(121)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설치 사양에 따라 적절한 숫자의 체결공(121)을 형성하여 지주(110)와 블록아웃(120)을 결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공(121)을 통해 블록아웃(120)과 지주(110)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제1볼트(161)로 구분하여 지칭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ans 160 is composed of bolts and nuts, and each of the left and right folded surfaces forms two or more fastening
이때, 상기 제1볼트(161)가 상기 지주(110) 좌우측을 관통하며 상기 블록아웃(120)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121)을 함께 관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블록아웃(120) 전면에 설치될 레일(150)의 수월한 각도 유지 및 좌우측 체결부로의 충격분산이 고르게 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더불어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공(121)에는 상기 제1볼트(16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돌출부(122)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이는 차량 충돌시 볼트와 너트를 활용한 체결부에 충격이 집중됨에 따라 이를 완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충격으로 인해 블록아웃(120)이 후방으로 밀림 발생시 상기 제1볼트(161)와 돌출부(122)와의 접촉부에서 저항이 발생하며 제1볼트(161)가 돌출부(122)를 파손시키면서 밀리는 만큼 돌출부(122)의 숫자에 해당하는 다단의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air of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아웃(120)에는 전면으로부터의 차량 충격시 하측으로 절곡을 유도하는 변형부(123)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out 120 is formed with a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충돌한 차량의 높이 및 형태, 충돌시 각도 및 속도 등의 요소로 인해 가드레일을 타고 넘어(승월) 인도나 논밭, 낭떠러지 등으로 진입하는며 심각한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As mentioned above, due to factors such as the height and shape of the collided vehicle, the angle and the speed at the time of collision, the vehicle enters the guard rail, and enters into the lead, the paddy fields and the cliff. have.
상기 변형부(123)는 이러한 충돌 차량의 승월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첨부된 도면과 같이 지주(110)와의 사이 완충공간(S1)에 위치하는 블록아웃(120) 하측에 상측으로 파인 형태의 홈을 형성함으로 전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집중되며 블록아웃(120) 전체가 하측으로 꺾이는 절곡을 유도하여, 충격된 차량이 상측으로 움직이려는 작용력을 억제한다.The
도 5는 본 발명 1 실시예의 일부 변형에 따른 측단면도로써, 상기 변형부(123)와 더불어 상기 체결공(121)을 전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함으로, 충돌한 차량이 상측으로 움직이려는 작용력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5 is a sectional side view according to som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상기 충격흡수판(130)은 상기 블록아웃(120) 전면에 결합하는 금속판으로써, 상하측 단부가 전면을 일부 덮도록 절곡된 즉 접힌 형태를 갖게 된다. 이때 접힌 상하측 단부는 접히지 않은 부분과 일정 부분 떨어지며 삽입공간(131)을 형성한다. 또한, 절곡된 상하측 높이는 상기 블록아웃(120)의 높이와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천시 스며든 빗물이 하측의 삽입공간에 고여 부식시키는 것을 막기 위한 배수구(R)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상기 고정대(140)는 상기 충격흡수판(130) 및 블록아웃(120), 레일(150)을 고정·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충격흡수판(130) 전면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고정대(140)와 충격흡수판(130) 및 블록아웃(12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한다.The fixing table 140 is configured to fix and join the
본 발명의 1 실시예에서는 충분한 길이의 장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상기 충격흡수판(130)으로부터 지주(110)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구비되며 이를 제2볼트(162)가 구분하여 칭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stening means for passing through the
이때 상기 고정대(140)에는 상기 제2볼트(162)의 머리부분이 통과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고정대(140) 및 충격흡수판(130)이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상기 블록아웃(120)과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2볼트(162) 좌우측으로 상기 고정대(140) 및 충격흡수판(130)과 블록아웃(120)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수단이 구비되며 이를 제3볼트(163)로 구분하여 치칭한다. 3, the fixing table 140 and the shock absorber 130 do not move, and the
상기 제3볼트(163)의 경우 상기 제2볼트(162)에 근접하여 상기 블록아웃(120) 내측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의 1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면 3 및 4와 같이 상기 블록아웃(120)의 좌·우 양측 일부가 전면을 향하여 절곡 가능하도록 절개되되, 절개된 부분이 전면의 충격흡수판(130)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3볼트(163)를 통해 고정대(140)까지 관통결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접촉 및 결합에 따른 면적을 넓혀 더욱 안정적인 고정·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충격흡수판(130)의 상하측으로 삽입공간(131)이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판(130) 전면 고정대(140)의 상하측에도 상기 충격흡수판(130)의 두께 및 삽입공간(131)에 대응하는 높이로 절곡부가 형성된다.The thickness of the
상기 레일(150)은 상기 고정대(140) 전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울타리를 이루는 구조체로서 후면, 즉 상기 고정대(140)와의 사이에 완충공간(S2)을 형성하도록 상하측 단부가 후측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단부가 상기 충격흡수판(130) 및 고정대(140) 사이를 통해 상기 삽입공간(131)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실제현장에서는 첨부된 도 4과 같이 절곡된 상태의 레일(150)을 고정대(140)가 설치된 블록아웃(120)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간(1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3회 절곡되며 상기 고정대(140)를 통해 충격흡수판(130)과의 밀착 및 지지구조가 형성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4, the
이때 상기 레일(150)은 전면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도록 하여 전면의 충격을 상하측 단부로 효과적으로 분산하되, 강도 향상을 위해 중앙에 횡 방향으로 연속적인 홈부(151)를 형성함으로 충격에 의한 레일(150) 변형시 변형이 중앙부분에서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 불규칙한 형태의 파손으로 인한 차량 파손 및 탑승자 상해를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상기 블록아웃(120)을 통한 지주와 레일(150)의 결합구조에서는 종래의 방식과 같이 볼트 및 너트를 활용한 지주와 레일의 직접연결이 아닌 블록아웃(120)과 충격흡수판(130) 및 고정대(140)를 통해 구성되는 소성변형구간을 비롯하여 레일(150) 및 블록아웃(120)에 형성되는 완충공간(S1, S2)을 통해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and the
또한, 충격에 의한 가드레일 파손시에도 종래와 같이 볼트 체결부가 손상되는 것이 아닌 파손방향을 유도하는 구조를 갖고 특히 레일(150)이 결합수단을 쓰지 않고 설치됨으로 가드레일 구조물로 인한 차량파손 및 탑승자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여름철 열팽창에 따른 레일의 수축/팽창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guard rail is broken due to impact, the bolt fastening portion is not damaged as in the prior art but has a structure for guiding the breakage direction. Particularly, since the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펜스형태의 가드레일을 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가드레일을 슬리브(153)를 사용하여 연결하게 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guard rail is formed in a fence shape continuously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
상기 슬리브(153)는 첨부된 도 6와 같이 상기 레일(150)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고 양 단에 인접하게 될 2개의 레일(150)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에는 각 레일(150) 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2개의 제1관통공(152)을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153)의 양단에 상기 제1관통공(152)에 대응하는 제2관통공(154)을 형성하여 체결수단인 제4볼트(164)가 겹쳐진 상태의 제1관통공(152) 및 제2관통공(154)을 동시에 관통하며 결합한다.6, the
물론 설치사양에 따라 상기 제1관통공(152) 및 제2관통공(154)의 숫자는 적절히 가감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관통공(154)을 좌우방향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함으로 레일(150) 연결부분에 충격발생시 상기 장공을 통한 충격완화 및 파손방지 효과를 볼 수 있다.Of course, the numbers of the first through
도 7은 본 발명 1 실시예의 일부 변형에 따른 레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rail according to som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질적으로 지주(110)가 없는 위치에서의 차량충돌 발생시 레일(150)이 휘어지면서 2개의 레일(150) 및 슬리브(153)가 결합된 부분에서의 파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때 금속재질 레일(150)의 파단이 차량 파손 및 상해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날카로운 부분의 발생과 파단부가 차량의 충돌방향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것을 가급적 억제할 필요가 있다.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
도 7은 차량 진행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 2 실시예에서 상기 슬리브(153)는 한쪽 끝 부분은 레일(150)의 외측을 감싸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인접한 레일(150)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며, 앞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장공형태의 제2관통공(154)을 슬리브(153)의 한쪽 끝 부분에 형성함으로 충격흡수가 슬리브(153)가 레일(150) 외측을 감싼 부분에서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 파단 방향이 차량의 충돌(진행) 방향을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progress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lan vie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1 실시예와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블록아웃(120)과 지주(110)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태로 절곡하여 지주 전면으로 삽입되는 방식이 아닌 전후 방향으로 변이 긴 형태의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지주(110)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체결공(121) 및 제1볼트(161)를 통한 결합구조는 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block out 120 and the
또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의 충격흡수판(130)이 블록아웃(120) 전면에서 지주 및 블록아웃(120)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하며, 충격흡수판(130) 전면으로 완충공간(S2)을 형성하며 전면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고정대(140)가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제3볼트(163)를 통해 결합한다. 이후 레일(150)은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된다.The
즉 1 실시예에서 소개된 동일한 구성의 형상을 일부 변형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각 구성의 역할 및 완충을 위한 구조는 동일 내지는 유사하다.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same configuration introduc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partially modified,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ach structure are the same or similar.
도 10은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FIG. 10 is a side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lan vie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한 1 실시예와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레일(150)이 블록아웃(120)과 동일한 높이가 아닌 블록아웃(120) 하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 충격된 차량이 상측으로 움직이려는 작용력을 억제한다.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ponents are the same, except that the
또한, 고정대(140) 전체가 후측으로 밀착되는 구조가 아닌 상하측 단부가 전면을 향해 벌어지도록 절곡함으로 레일(150)이 충격을 받아 변형 발생시 이와 접촉하며 충격을 일부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of the fixing table 140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ide, but are folded so as to spread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설명된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구성 중 일부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었으나 동일한 구성 내에서 이러한 변형을 조합함으로 동일 내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1 to 3, some of the configurations are shown as modified, but it is obvious that the same or similar effects can be obtained by combining these modifications in the sam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110: 지주 111: 보강지주
120: 블록아웃 121: 체결공
122: 돌출부 123: 변형부
130: 충격흡수판 131: 삽입공간
140: 고정대 150: 레일
151: 홈부 152: 제1관통공
153: 슬리브 154: 제2관통공
155: 제1절곡부 156: 제2절곡부
157: 제3절곡부 160: 체결수단
161: 제1볼트 162: 제2볼트
163: 제3볼트 164: 제4볼트
S1, S2: 완충공간 R: 배수구110: column 111: reinforced column
120: Block Out 121: Fastening Ball
122: protrusion 123:
130: shock absorber 131: insertion space
140: fixed base 150: rail
151: groove portion 152: first through hole
153: Sleeve 154: Second through hole
155: first bent portion 156: second bent portion
157: third bent portion 160: fastening means
161: first bolt 162: second bolt
163: third bolt 164: fourth bolt
S1, S2: Buffer space R: Drain
Claims (5)
좌우측 단부가 후측으로 절곡되고, 양측에 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21)을 관통하는 제1볼트(161)를 통해 상기 지주(110) 양측에 결합하는 블록아웃(120);
후면으로 상기 블록아웃(120) 전면에 접하되, 상하측 단부가 전면으로 절곡되며 접히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삽입공간(131)을 형성하는 충격흡수판(130);
중앙부분이 상기 충격흡수판(130) 전면에 결합되며 상하측 단부가 상기 충격흡수판(130)의 상하측 절곡부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대(140);
후면에 상기 고정대(140)와의 사이로 완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하측 단부가 후측으로 절곡되되, 상기 충격흡수판(130) 및 고정대(140) 사이에 삽입되고 전면이 상기 고정대(140) 후면에 밀착되는 제1절곡부(155)와, 상기 제1절곡부(155)와 연속하여 후측으로 일부 절곡된 제2절곡부(156) 및 상기 삽입공간(131) 측으로 절곡 및 삽입되며 후면이 상기 충격흡수판(130)에 밀착 지지되는 제3절곡부(157)가 형성된 레일(1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흡수판(130)은 상기 지주(110) 및 블록아웃(120)을 관통하는 제2볼트(162)에 의해 상기 블록아웃(12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140)는 상기 제2볼트(162)의 머리부분이 통과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볼트(162)와 이격되어 삽입되는 제3볼트(163)에 의해 상기 블록아웃(120) 및 충격흡수판(130)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대(140)가 상기 블록아웃(120) 및 충격흡수판(130)에 상기 제3볼트(163)를 통해 결합되면서 발생하는 상기 고정대(140)의 상하측 단부에 의한 가압력을 통해 상기 고정대(140)와 충격흡수판(130) 사이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레일(150)이 상기 고정대(140)와 충격흡수판(130) 사이에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110)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floor surface and a rail (150) transversely engaged with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ard rail
A blockout 120 which is bent at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to the rear side and formed with fastening holes 121 at both sides and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rut 110 through a first bolt 161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121;
An impact absorbing plate 130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out 120 at a rear surface there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which are bent at the front and forming an insertion space 131 between the front and the unfolded portions;
(140)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plate (130) and having upper and lower end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of the shock absorbing plate (130);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are bent backward so as to form a buffer space S between the shock absorbing plate 130 and the fixing table 140.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40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table 140, A second bending portion 156 partially bent backward in succession to the first bending portion 155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156 bent and inserted toward the insertion space 131, And a rail (150) having a third bending part (157) which is supported in tight contact with the shock absorbing plate (130)
The shock absorber 130 is fixed to the blockout 120 by a second bolt 162 passing through the strut 110 and the blockout 120,
The fixing block 140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second bolt 162 can pass and is connected to the blockout 120 by a third bolt 163 inserted into the second bolt 162, And the shock absorbing plate 13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xing table 140 generated while the fixing table 140 is coupled to the block-out 120 and the shock absorbing plate 130 through the third bolt 163, Wherein a rail (150)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fixed plate (140) and the shock absorbing plate (130) is pressed between the fixed plate (140) and the impact absorbing plate (130).
상기 체결공(121)은 전후방향 길이를 갖는 장공 형상으로 상기 제1볼트(16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돌출부(1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hole (121) is formed as a long hole having a length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protrusion (122)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lt (161) Having guard rails.
상기 체결공(121)은 전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astening hole (121) is formed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side.
상기 레일(150)은 전면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되, 강도 향상을 위해 중앙에 횡 방향으로 연속적인 홈부(1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ils (150) have a convex shape on the front surface, and grooves (151) are formed in the middle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rail (150).
한쪽 끝 부분은 레일의 외측을 감싸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인접한 레일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의 슬리브(153)를 통해 레일(150)이 횡방향으로 연속적인 연결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150) has a continuous connection structu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a sleeve (153) of the type in which one end part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rail and the other end part is inserted into the adjacent rail. Guard rail having a protection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1976A KR101851953B1 (en) | 2017-05-19 | 2017-05-19 |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1976A KR101851953B1 (en) | 2017-05-19 | 2017-05-19 |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1953B1 true KR101851953B1 (en) | 2018-04-25 |
Family
ID=6208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1976A KR101851953B1 (en) | 2017-05-19 | 2017-05-19 |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1953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0213B1 (en) | 2018-06-25 | 2018-12-17 | 이경배 | Casting composite for rail of guard rail, casting for rail of guard rail and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using the same |
KR101959678B1 (en) * | 2018-06-25 | 2019-03-18 | 이종구 | Rail of guard rail having retroreflectivity, and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using the same |
KR101959677B1 (en) * | 2018-06-25 | 2019-03-18 | 이종문 | Rail of guard rail having retroreflectivity, and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using the same |
KR101993766B1 (en) | 2018-09-14 | 2019-07-01 | (주)태평양 | Safety barrier for shock absorption enhanced shock absorbing function |
KR20200116571A (en) * | 2019-04-01 | 2020-10-13 | 이재훈 | Structure for connecting guard rail |
KR102341054B1 (en) | 2021-05-25 | 2021-12-17 | 이상하 | Guardrail shock absorber with the function of reducing reflected shock through improvement of the impulse transmission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75Y1 (en) * | 2005-08-17 | 2005-11-08 |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 Connecting Structure of Tent Pole |
KR200453404Y1 (en) * | 2010-09-17 | 2011-05-03 | 진홍산업주식회사 | Guard rails with raised shock absorbers and guard rail plates |
KR101611344B1 (en) * | 2015-11-21 | 2016-04-12 | 중호건설 주식회사 | Guardrail for a bridge |
-
2017
- 2017-05-19 KR KR1020170061976A patent/KR101851953B1/en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75Y1 (en) * | 2005-08-17 | 2005-11-08 |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 Connecting Structure of Tent Pole |
KR200453404Y1 (en) * | 2010-09-17 | 2011-05-03 | 진홍산업주식회사 | Guard rails with raised shock absorbers and guard rail plates |
KR101611344B1 (en) * | 2015-11-21 | 2016-04-12 | 중호건설 주식회사 | Guardrail for a bridg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0213B1 (en) | 2018-06-25 | 2018-12-17 | 이경배 | Casting composite for rail of guard rail, casting for rail of guard rail and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using the same |
KR101959678B1 (en) * | 2018-06-25 | 2019-03-18 | 이종구 | Rail of guard rail having retroreflectivity, and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using the same |
KR101959677B1 (en) * | 2018-06-25 | 2019-03-18 | 이종문 | Rail of guard rail having retroreflectivity, and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using the same |
KR101993766B1 (en) | 2018-09-14 | 2019-07-01 | (주)태평양 | Safety barrier for shock absorption enhanced shock absorbing function |
KR20200116571A (en) * | 2019-04-01 | 2020-10-13 | 이재훈 | Structure for connecting guard rail |
KR102172427B1 (en) * | 2019-04-01 | 2020-11-02 | 이재훈 | Structure for connecting guard rail |
KR102341054B1 (en) | 2021-05-25 | 2021-12-17 | 이상하 | Guardrail shock absorber with the function of reducing reflected shock through improvement of the impulse transmiss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1953B1 (en) |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 |
US20160369460A1 (en) | Crash cushion | |
KR100666462B1 (en) | Guard rail vehicle protection | |
KR101778299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guard fence on the bridge with sacrifice member | |
KR102185578B1 (en) |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 |
KR20130012452A (en) |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ide-rail and its method | |
KR101230449B1 (en) |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along road | |
KR20050059423A (en) | Guardrail | |
KR100588257B1 (en) |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 |
KR20150031868A (en) | The shock-absorbing device | |
KR100682791B1 (en) | Car Fences | |
KR101328677B1 (en) | A guardrail | |
KR101985477B1 (en) | Anti-terrorism guard rail | |
KR200341898Y1 (en) | Guardrail | |
KR20100007313U (en) |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t buffer shock absorption packing | |
KR100780473B1 (en) | Vehicle protective structure | |
KR102770691B1 (en) | Guardrail Easy to Install in Curved Sections Of Roads | |
KR101869058B1 (en) | Guard rail for multistage shock absorption by rail having vertically asymmetrical shape | |
KR102021853B1 (en) | 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 | |
KR200180181Y1 (en) | Absorption impact for guide a rail | |
KR100887193B1 (en) | Shock-absorbing member of steel railing | |
KR200382801Y1 (en) | Median strip for buffer possibles to control the height | |
KR200252858Y1 (en) | An absorbing road apparatus using a rubber board and slip pipe | |
KR200385880Y1 (en) | The shock-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 | |
KR200245934Y1 (en) | A median strip of guid ra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8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4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PJ0202 | Trial for correc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200703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9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200703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6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062;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703 Effective date: 20211021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21102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200703 Decision date: 20211021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