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829B1 - Vehicle protection fence - Google Patents

Vehicle protection f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829B1
KR100909829B1 KR1020090017868A KR20090017868A KR100909829B1 KR 100909829 B1 KR100909829 B1 KR 100909829B1 KR 1020090017868 A KR1020090017868 A KR 1020090017868A KR 20090017868 A KR20090017868 A KR 20090017868A KR 100909829 B1 KR100909829 B1 KR 10090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rail member
insertion groove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90017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8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8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A vehicle protection fence is provided to reduce the number of connectors between rail members and to perform impact absorption and separation protection of the colliding vehicles. A vehicle protection fence comprises a fixed plate(10) which is fixed to a curb, a post(20)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a first lower rail(30) which is transversely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post and is made of a plurality of rail members(32), a first lower sleeve(40) connecting the rail members of the first lower rail, a second lower rail(50) which is transversely installed on the post apart from the first lower rail and is made of a plurality of rail members, a second lower sleeve(60) connecting the rail members of the second lower rail, an upper rail(70) which is transversely installed on the post apart from the second lower rail and is made of a plurality of rail members, and an upper sleeve(80) connecting the rail members of the upper rail.

Description

차량방호 울타리{VEHICLE PROTECTION FENCE}Vehicle Protection Fence {VEHICLE PROTECTION FENCE}

본 발명은 차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차량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부재의 길이를 길게 하여 연결부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레일부재간의 연결부가 지주부분에만 존재하게 하여 강성을 향상시키며, 볼트들을 은폐 및 차폐하여 외관을 콤팩트하게 하고, 볼트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조, 조립 및 작업에 따른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충돌차량의 충격흡수 및 이탈방지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차량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otection fence installed on the roadway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and to mitigate the impact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rail member to minimize the number of connecting parts, between the rail member The connection part exists only in the supporting part to improve rigidity, conceal and shield the bolts to make the appearance compact, and to minimize the number of bolts to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assembly and work, and to absorb shocks of crashed vehicles. And it relates to a vehicle protective fence that can achieve a departure prevention efficiently.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량, 운전자 및 행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같은 안전장치들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도로변 또는 중앙선에 설치되어 차량의 추락방지, 차선의 이탈, 보행자 보호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방호 울타리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In general, various safety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road to protect vehicles, drivers, and pedestrians, and are representative of such safety devices, which are installed on roadsides or center lines to prevent the fall of vehicles, lane departure, and pedestrian protection. Various vehicle protection fences have been proposed to achieve thi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방호 울타리는 도로의 중앙선 또는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1)와, 상기 지주(1)의 상부 및 하부에 횡으로 고정되는 중공형 레일(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2)의 후면부에 는 길이방향으로 요홈 통로(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 통로(3)에는 볼트(4)의 헤드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4)가 너트(5)에 의해 상기 지주(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레일(2)이 상기 지주(1)에 설치되어 차량방호 울타리를 구성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conventional vehicle protection fence is a support (1)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center line or the edge of the road, and the hollow typ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1) laterally It consists of the rail 2. In the rear portion of the rail (2) is formed a groove passage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ad of the bolt (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assage (3), the bolt (4) is a nut (5) By being fastened to the support 1 by the rail (2) is installed on the support (1) to form a vehicle protection fence.

또한, 상기 레일(2)은 일정길이의 레일부재(2a)를 설정된 길이로 연결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2a)의 연결에는 슬리브(6)가 이용되며, 상기 슬리브(6)는 상기 레일부재(2a)의 단부에 삽입되어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2a)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볼트(7) 및 너트(8)에 의해 체결되어 상호 완전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il (2)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rail member (2a) of a predetermined length to a set length. A sleeve 6 is used to connect each of the rail members 2a, and the sleeve 6 is inserted into an end of the rail member 2a so that the rail members 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astened by the bolt (7) and the nut (8) to maintain a complete connection state with each other.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방호 울타리는 지주에 대한 레일부재의 설치가 다소 간단하긴 하지만 레일부재의 길이가 짧아 레일부재의 개수 및 작업공수가 증가되고, 지주와 지주 사이에 레일부재간의 연결부가 존재하고 대부분의 볼트가 전방으로 노출되어 외관이 콤팩트하지 않으며, 볼트의 개수가 많아 조립 및 작업 코스트가 증가되며, 각각의 레일이 동일형상으로 이루어져 충돌차량의 종류에 따른 충격흡수 및 승객보호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general vehicle protection fence has a simple installation of the rail member to the support, but the length of the rail member is short, the number of rail members and the number of work is increased,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the rail member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Most of the bolts are exposed to the front, so the appearance is not compact, and the number of bolts is large, increasing the assembly and operation costs, and each rail has the same shape to effectively achieve shock absorption and passe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rash vehicle. There is no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부재간의 연결부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레일부재의 연결부가 지주부분에만 존재하게 하여 강성을 향상시키며, 일부의 볼트는 지주내에 은폐 하고 나머지 볼트들은 배후에 차폐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콤팩트하게 하고, 볼트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조, 조립 및 작업에 따른 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으며,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의 형태를 달리하여 충돌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충격흡수 및 승객보호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차량방호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number of connecting parts between rail members and to improve workability, and to improve rigidity by allowing the connecting parts of the rail members to exist only on the support parts. The bolts are concealed in the pillars and the remaining bolts are shielded behind to make the overall appearance compact, and the number of bolts can be minimized to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assembly and operation. It is to provide a vehicle protection fence that can effectively achieve shock absorption and passe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collide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방호 울타리는, 도로가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에 형성된 연석부에 고정 설치되어 승객, 차량 및 행인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연석부에 돌출 설치된 복수의 앵커볼트가 삽입 고정되도록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앙에 일체로 수직 형성되고 강성을 유지하도록 사각기둥형 스틸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2개의 장볼트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앵커부를 구비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기 앵커부에 삽입되도록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각각의 상기 장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각의 상기 체결공에 연통하는 고정공이 천공되며 상부의 전방면에만 2개의 고정공이 천공되고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상단에 설치되는 캡을 구비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일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차량이 충돌할 경우 충돌면적을 최소화하도록 상, 하폭이 좁게 형성된 전방부, 상기 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충격을 흡수하도록 후,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강성이 보강되도록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에 접하도록 수직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한 복수의 레일부재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지주부분에서만 양단이 상호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지지부에는 상기 장볼트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상,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홈의 양 단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하부레일; 상기 하부레일의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가 상기 지주부분에서만 연결되도록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의 양단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전방부의 내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전방부, 상기 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연장부에 접하도록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수평부에 접하도록 형성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지지부에 접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상,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의 지지홈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의 고정공에 상응하는 고정공이 천공 형성된 하부슬리브; 상기 하부레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범퍼 상부의 부분이 2차적으로 충돌되거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서 양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차량의 충돌시 충돌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하부레일의 레일부재의 전방부의 상, 하폭보다 크게 형성된 전방부, 상기 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충격을 흡수하도록 후, 상방으 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강성을 보강하도록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수직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한 복수의 레일부재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의 지지부에는 체결볼트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상, 하부에는 지지홈이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홈의 단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상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의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가 상기 지주부분에서 연결되도록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의 양단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전방부의 내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전방부, 상기 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연장부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수평부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지지부에 접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레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는 상기 레일부재의 삽입홈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상,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의 지지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레일부재의 고정공에 상응하는 고정공이 천공 형성된 하부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urb formed on the road or between the road and sidewalk,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for protecting passengers, vehicles and pedestrians, The plate por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xing holes to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plurality of protruding anchor bolts, and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a square pillar-shaped steel to maintain rigidity, and two long bolts through the fastening Fixing plate having an anchor portion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hole; The fixing plate is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ancho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and a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fastening holes of the plate portion is drilled so that the respective long bolts are inserted therein, and two fixing holes are provided on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A pillar having a perforated and extruded aluminum body portion, and a cap installed at an upper end to close the inside of the body;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so as to form a line, 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 front part is formed to have a narrow upper and lower widths so as to minimize the collision area,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art and absorbs the shock afterwards. A plurality of rail members having an extended portion extending, a horizontal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ortion and extending rearward to reinforce rigidity,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rizontal portion and vertically supported to contact the strut; Each of the rail members is connected to both ends only in the support portion, and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upport of the rail member so that the long bolt is inserted to be movable. Support grooves are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each of the support grooves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rail members A lower rail having a fixing hole formed to fix the fixing bolt; A front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rail members so that each of the rail members of the lower rail is connected only to the support portion, and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rail memb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portion; An extension part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an extension part of the rail member, a horizontal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art, the horizontal part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art of the rail memb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rizontal part and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of the rail member The support unit is integrally provided,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unit,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groove of the rail member. The fixing bolt is fasten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hole of the rail member to interconnect the rail member A lower sleeve hole is formed perforation; The upper part of the bumper is spaced upwardly from the lower rail so that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umper collides secondly or absorbs impact energy and is fixed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y a fastening bolt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vehicle. It is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at the upper side, the front portion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lower width of the front portion of the rail member of the lower rail to increase the collision area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ortion to absorb the shock A plurality of extensions having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a horizontal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rearward to reinforce rigidity, and integral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portion and vertically formed to contac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ost A rail member of the support member of each of the rail members, and a fastening bolt can be inserted to be movabl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so that upper and lower support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insertion groove, and fixing bolts for interconnecting the rail members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nds of the respective support grooves. The upper rail formed with a fixing hole to be fastened; And a front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rail members so that each rail member of the upper rail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rail memb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portion.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art of the rail member, a horizontal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art and extending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art of the rail memb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rizontal part and supporting part of the rail member A plurality of rail members having a support portion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guid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of the rail member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groove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of the support is formed, the fixing bolt is fastened to each of the protrusion And a lower sleeve having a perforated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of the rail member to connect the rail memb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방호 울타리에 의하면, 레일부재의 개수 및 레일부재간의 연결부의 개수가 최소화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레일부재간의 연결부가 지주부분에서만 존재하고 지주들 사이에는 존재하지 않아 강성이 향상되며, 일부의 볼트는 지주내에 완전 은폐되고 나머지 볼트들은 배후에 차폐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콤팩트하고, 볼트의 개수가 감소되어 제조, 조립 및 작업에 따른 코스트가 다운되며, 하부레일 및 상부레일의 형상을 달리하여 충돌차량의 종류에 적합하게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ability is improved by minimizing the number of rail members and the number of connecting parts between the rail member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rail members is present only in the support posts and is not present between the support posts. This improves, some bolts are completely concealed in the struts, others are shielded behind and the overall appearance is compact. By varying the shap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shocks appropriate to the type of crash vehicle to protect the occupants and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또한, 볼트의 은폐 및 차폐에 의해 타인의 의한 분해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 또는 행인에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concealing and shielding the bo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assembly or theft by another person,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injury to workers or pedestrian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울타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울타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울타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선Ⅶ-Ⅶ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선Ⅷ-Ⅷ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protection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front view of Figure 6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6.

도 4 내지 도 8에 있어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울타리는 기본적으로 도로가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에 형성된 연석부(R)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에 접속 결합되는 지주(20)와, 상기 지주(20)의 하부에 횡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레일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하부레일(30)과, 상기 제1하부레일(30)의 레일부재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제1하부슬리브(40)와, 상기 제1하부레일(3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주(20)에 횡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레일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하부레일(50)과, 상기 제2하부레일(50)의 레일부재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제2하부슬리브(60)와, 상기 제2하부레일(5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주(20)의 상부에 횡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레일부재로 이루어지는 상부레일(70)과, 상기 상부레일(7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상부슬리브(80)로 구성된다. 4 to 8,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fixed plate 10 is fixed to the curb portion (R) formed between the road or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and the fixed plate 10 A support 20 coupled to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20, and a first lower rail 30 formed of a plurality of rail members and a rail member of the first lower rail 30 are mutually installed. A first lower sleeve 40 for connecting and a second lower rail 50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wer rail 30 to the post 20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rail members; The second lower sleeve 60 for interconnecting the rail members of the second lower rail 50 and the second lower rail 50 is spaced upward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post 20 is installed laterally The upper rail 70 and the upper rail 70 made up of a plurality of rail members It consists of an upper sleeve 80 for interconnecting.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0)는 상기 연석부(R)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12)를 구비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2)의 각각의 코너에는 고정공(122)이 천공되며, 각각의 상기 고정공(122)에는 상기 연석부(R)의 형성시 설치되는 앵커볼트(124;126)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각각의 상기 고정공들 중 차도측 고정공(122)에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앵커볼트(124)가 고정되는 바, 이는 차량 충돌에 대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각각의 상기 앵커볼트(124;126)에는 너트(127)가 체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부(12)를 상기 연석부(R)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상기 앵커볼트(124;126)의 헤드부에는 볼트캡(128)이 삽입되어 각각의 상기 앵커볼트(124;126)를 보호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차폐한다.Here, the fixing plate 10 is provided with a plate portion 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square so as to be stably fixed to the curb portion (R). A fixing hole 122 is drilled in each corner of the plate part 12, and anchor bolts 124 and 126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fixing holes 122 to be installed when the curb portion R is formed. It is fixed. At this time, the anchor bolt 124 formed relatively long is fixed to the driveway side fixing hole 122 of each of the fixing holes, which firmly supports the fixing plate 10 against the vehicle crash rigidity To maintain. Of course, a nut 127 may be fastened to each of the anchor bolts 124 and 126 to fix the plate portion 12 to the curb portion R. On the other hand, a bolt cap 128 is inserted into the head portion of each of the anchor bolts 124 and 126 to protect each of the anchor bolts 124 and 126 as well as shielding from the outside.

또,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중앙에는 실제적으로 상기 지주(20)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14)가 일체로 수직 형성된다. 상기 앵커부(14)는 견고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스틸로 형성되며,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앵커부(14)의 대체로 상부에는 전, 후방으로 관통하는 체결공(142)이 천공된다. 각각의 상기 체결공(142)에는 상기 지주(20) 및 상기 제1하부레일(30)을 상기 앵커부(14)에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장볼트(144)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물론, 상기 제1장볼트(144)에는 너트(146)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장볼트(144)는 상기 제1하부레일(30)에 고정되는 헤드부(145)와, 상기 헤드부(145)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14) 및 상기 지주(20)에 삽입되는 볼트부(147)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145)에는 상기 제1하부레일(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145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enter of the plate portion 12 of the fixing plate 10, the anchor portion 14 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20 is inserted and fixed is integrally formed vertically. The anchor portion 14 is formed of steel to maintain a rigid rigidity, it is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A generally fastening hole 142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portion 14 is punched. In each of the fastening holes 142, a first long bolt 144 is inserted and fastened to simultaneously fix the support 20 and the first lower rail 30 to the anchor portion 14. Of course, the nut 146 is fastened to the first long bolt 144. In addition, the first long bolt 14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ortion 145 and the head portion 145 fixed to the first lower rail 30, the anchor portion 14 and the support ( 20 is provided with a bolt portion 147 to be inserted. Preferably, the head portion 145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145a to be firmly fixed to the first lower rail 30.

또한, 상기 지주(20)는 하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앵커부(14)에 외삽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앵커부(14)와 동일한 형태의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상단에 설치되는 캡(24)을 구비한다. 상기 지주(20)는 충격흡수성이 향상되도록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upport 20 is the body 22 is formed of a square pillar of the same shape as the anchor portion 14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extrapolated to the anchor portion 14 of the fixing plate 10, and the body The cap 24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so that the inside of 22 may be closed. The post 20 is preferably extruded from aluminum to improve impact absorption.

한편, 상기 몸체(22)의 내부는 작업자가 볼팅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몸체(22)의 하부에는 상기 제1하부레일(30)을 상기 몸체(22)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앵커부(14)에 형성된 체결공(142)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제1고정공(22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공(222)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기 몸체(22)의 대체로 중간부분에는 상기 제2하부레일(50)을 상기 몸체(22)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공(223) 이 천공되고, 상기 몸체(22)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레일(70)을 고정시키기 위해, 후술하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고정공(224)이 천공된다. 특히, 상기 고정공(224)은 상기 몸체(22)의 전방면에만 천공되는 바, 이는 후술하는 체결볼트를 상기 몸체(22)의 내부에 은폐하기 위함이다. 상기 캡(24)은 스크류(242)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body 22 is formed so that the interior space is secur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bolting operation. Of cours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2 corresponds to the fastening hole 142 formed in the anchor portion 14 of the fixing plate 10 to fix the first lower rail 30 to the body 22. The first fixing hole 222 is formed therethrough, and the second lower rail 50 is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22 spaced upwardly from the first fixing hole 222. The second fixing hole 223 for fixing to the perforated) is punctured, and the fixing hole 224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to be described below is perforated to fix the upper rail 7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2. . In particular, the fixing hole 224 is bored only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22, which is to conceal the fastening bolt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inside of the body 22. The cap 24 is detachably fixed by a screw 242.

또, 상기 제2고정공(223)에는 상기 제2하부레일(5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장볼트(244)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물론, 상기 제2장볼트(244)에는 너트(246)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장볼트(244)는 상기 제2하부레일(50)에 고정되는 헤드부(245)와, 상기 헤드부(245)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0)의 몸체(22)를 관통하는 볼트부(247)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245)에는 상기 제2하부레일(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242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second long bolt 244 for fixing the second lower rail 50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second fixing hole 223. Of course, the nut 246 is fastened to the second long bolt 244. In addition, the second long bolt 24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ortion 245 and the head portion 245 fixed to the second lower rail 50, the body 22 of the support 20 It is provided with a bolt portion 247 penetrating. Preferably, the head portion 245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242a to be firmly fixed to the second lower rail 50.

또한, 상기 제1하부레일(30)은 복수 또는 다수의 레일부재(32)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는 자동차가 충돌될 경우 충돌면적을 최소화시키도록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전방부(321)와, 상기 전방부(3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충격흡수를 위해 후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2)와, 상기 연장부(322)에 일체로 형성되고 강성 보강을 위해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23)와, 상기 수평부(32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0)에 접하도록 수직 형성되는 지지부(32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323)의 높이(h) 대 상기 전방부(321)의 높이(h1)의 비는 100 : 55 ~ 60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부(321)의 높이(h1)의 비가 55이하이면 자동차의 충돌시 자동차와의 접촉면적이 작 아 감속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충격흡수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전방부(321)의 높이(h1)의 비가 60이상이면 자동차의 충돌시 자동차와의 접촉면적이 커져 충격흡수성은 우수하나 감속이 부족하여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상기 수평부(323)의 높이(h) 대 상기 전방부(321)의 높이(h1)의 비는 100 : 57.5이다.In addition, the first lower rail 30 has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rail members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of the rail members 32 is formed to be relatively narrow in front of the front part 321 and the front part 321 so as to minimize the collision area when the vehicle is collided and extends rearward to absorb shocks. The extension portion 322 is formed, the horizontal portion 323 integrally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322 and extending rearward for rigid reinforcement, and integrally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323 and the support 20 And a support 324 vertically formed so as to contact. Here, the ratio of the height h of the horizontal portion 323 to the height h1 of the front portion 321 is preferably set to 100: 55 to 60. If the ratio of the height h1 of the front portion 321 is 55 or less, the contact area with the vehicle may be small when the vehicle collides, but the deceleration may be minimized, but the shock absorbency may be deteriorated. If the height (h1) ratio is 60 or more, the contact area with the vehicle is increased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shock absorption is excellent, but the deceleration is insufficient, which may affect the safety of the occupants. Most preferably, the ratio of the height h of the horizontal portion 323 to the height h1 of the front portion 321 is 100: 57.5.

한편, 상기 레일부재(32)의 지지부(324)에는 상기 제1장볼트(144)의 헤드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4)은 상기 레일부재(32)의 지지부(324)의 중앙부에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34)은 상기 제1장볼트(144)의 헤드부(145)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341)과 상기 제1삽입홈(341)에 연통하며 상기 헤드부(145)의 플랜지부(145a)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342)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324 of the rail member 32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34 so that the head of the first long bolt 144 can be inserted to move. The insertion groove 34 is formed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324 of the rail member 32. 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3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34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341 into which the head portion 145 of the first long bolt 144 is inserted, and the head portion 145.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342 into which the flange portion 145a of the () is inserted.

또, 상기 레일부재(32)의 상기 삽입홈(34)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삽입홈(34)에 의해 자동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슬리브(4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36)이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groove 34 of the rail member 32 is automatically formed by the insertion groove 34, the support groove 36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wer sleeve 40 is supported. ) Is formed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레일부재(32)의 지지부(324)의 단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제1하부슬리브(40)에 상기 레일부재(32)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8)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고정공(325)이 천공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324 of the rail member 32 to easily fasten the fixing bolt 38 for fixing the rail member 32 to the first lower sleeve 40. The fixing hole 325 is drilled.

또, 상기 제1하부슬리브(40)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를 연결시켜 상기 제1하부레일(30)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슬리브(40)는 상기 레일부재(32)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또한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32)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하부슬리브(40)는 상기 레일부재(32)의 전방부(321)의 내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전방부(41)와, 상기 전방부(4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32)의 연장부(322)에 접하는 연장부(42)와, 상기 연장부(4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32)의 수평부(323)에 접하는 수평부(43)와, 상기 수평부(4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32)의 지지부(324)에 접하는 지지부(44)를 일체로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first lower sleeve 4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 end of each of the rail member 32 to connect the respective rail members 32 to form the first lower rail 30. The first lower sleeve 40 is formed similarly to the rail member 32 so that the first lower sleeve 40 can be easily inserted and firmly inserted into the rail member 32. That is, the first lower sleeve 40 is formed in front of the front portion 41 and the front portion 41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ront portion 321 of the rail member 32 and the rail member An extension portion 42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ortion 322 of the 32, a horizontal portion 43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42, and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ortion 323 of the rail member 32; I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43 and integrally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44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324 of the rail member (32).

또한, 상기 제1하부슬리브(40)의 지지부(44)의 중앙에는 상기 레일부재(32)의 지지부(324)에 형성된 삽입홈(34)이 안내되고 또한 지지되는 가이드홈(441)이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부(44)의 중앙에 상기 가이드홈(44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홈(441)의 상,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32)의 지지홈(36)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돌기부(442)가 자동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부(44)의 돌기부(442)에는 상기 고정볼트(38)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부재(32)와 상기 제1하부슬리브(4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32)의 고정공(325)에 상응하는 고정공(443)이 천공된다.In addition, an insertion groove 34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324 of the rail member 32 is guided and support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44 of the first lower sleeve 40. . In addition, since the guide groove 4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4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groove 44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36 of the rail member 32 above and below the guide groove 441. The protrusion 442 is automatically formed to be supported. Of course, the fixing bolt 38 is fastened to the protrusion 442 of the support 44 to fix the rail member 32 to fix the rail member 32 and the first lower sleeve 40. A fixing hole 443 corresponding to the ball 325 is drilled.

또, 상기 제1하부레일(3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주(20)에 설치되는 제2하부레일(50)은 복수 또는 다수의 레일부재(52)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는 자동차가 충돌될 경우 차량의 하상부와의 충돌면적을 최소화시키도록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전방부(521)와, 상기 전방부(5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충격흡수를 위해 후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22)와, 상기 연장부(522)에 일체로 형성되고 강성 보강을 위해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523)와, 상기 수평부(52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0)에 접하도록 수직 형성되는 지지부(52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523)의 높이(h) 대 상기 전방부(521)의 높이(h1)의 비는, 상기 제1하부레일(30)의 레일부재(32)에서와 같이, 100 : 55 ~ 60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부(521)의 높이(h1)의 비가 55 이하이면 자동차의 충돌시 자동차와의 접촉면적이 작아 감속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충격흡수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전방부(521)의 높이(h1)의 비가 60이상이면 자동차의 충돌시 자동차와의 접촉면적이 커져 충격흡수성은 우수하나 감속이 부족하여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상기 수평부(523)의 높이(h) 대 상기 전방부(521)의 높이(h1)의 비는 100 : 57.5이다.In addition, the second lower rail 50 which is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lower rail 30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20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rail members 52 to each other. Each of the rail members 52 is formed to be relatively narrow in front of the front portion 521 and the front portion 521 so as to minimize the collision area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er An extension portion 522 extending upwardly for the rear, a horizontal portion 523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522 and extending rearward for rigid reinforcement,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rizontal portion 523 And a support part 524 vertically formed to contact the strut 20. Here, the ratio of the height h of the horizontal portion 523 to the height h1 of the front portion 521 is 100: 55 as in the rail member 32 of the first lower rail 30. It is preferably set to ˜60. When the ratio of the height h1 of the front portion 521 is 55 or less, the contact area with the vehicle may be small when the vehicle collides, but the deceleration may be minimized, but the shock absorbency may be deteriorated, while the height of the front portion 521 may be reduced. If the ratio of (h1) is 60 or more, the contact area with the vehicle is increas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so the shock absorption is excellent, but the deceleration is insufficient, which may affect the occupant's safety. Most preferably, the ratio of the height h of the horizontal portion 523 to the height h1 of the front portion 521 is 100: 57.5.

또한, 상기 제2하부레일(50)의 레일부재(52)의 지지부(524)에는 상기 제2장볼트(244)의 헤드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5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4)은 상기 레일부재(52)의 지지부(524)의 중앙부에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54)은 상기 제2장볼트(244)의 헤드부(245)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541)과 상기 제1삽입홈(541)에 연통하며 상기 헤드부(245)의 플랜지부(245a)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542)을 구비한다.In addition, an insertion groove 54 is formed in the support part 524 of the rail member 52 of the second lower rail 50 to allow the head of the second long bolt 244 to be movable. The insertion groove 54 is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524 of the rail member 52. 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5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54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541 into which the head portion 245 of the second long bolt 244 is inserted, and the head portion 245.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542 into which the flange portion 245a of the () is inserted.

한편, 상기 레일부재(52)의 상기 삽입홈(54)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삽입홈(54)에 의해 자동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슬리브(6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56)이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groove 54 of the rail member 52 is automatically formed by the insertion groove 54, the support groove 5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wer sleeve 60 is supported. ) Is formed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또, 상기 레일부재(52)의 지지부(524)의 단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제2하부슬리브(60)에 상기 레일부재(52)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8)를 용이하게 체결 할 수 있도록 고정공(525)이 천공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524 of the rail member 52 to easily fasten the fixing bolt 58 for fixing the rail member 52 to the second lower sleeve 60. The fixing hole 525 is drilled.

또한, 상기 제2하부슬리브(60)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를 연결시켜 상기 제2하부레일(50)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하부슬리브(60)는 상기 레일부재(52)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또한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52)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하부슬리브(60)는 상기 레일부재(52)의 전방부(521)의 내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전방부(61)와, 상기 전방부(6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52)의 연장부(522)에 접하는 연장부(62)와, 상기 연장부(6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52)의 수평부(523)에 접하는 수평부(63)와, 상기 수평부(6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52)의 지지부(524)에 접하는 지지부(64)를 일체로 구비한다.In addition, the second lower sleeve 6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 end of each of the rail member 52 to connect the respective rail members 52 to form the second lower rail 50. The second lower sleeve 60 is formed similarly to the rail member 52 so that the second lower sleeve 6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d securely inserted into the rail member 52. That is, the second lower sleeve 6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art 61 and the front part 61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ront part 521 of the rail member 52 and the rail member. An extension part 62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art 522 of the 52, a horizontal part 63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art 62, and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art 523 of the rail member 52; I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63 and integrally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64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524 of the rail member 52.

또, 상기 제2하부슬리브(60)의 지지부(64)의 중앙에는 상기 레일부재(52)의 지지부(524)에 형성된 삽입홈(54)이 안내되고 또한 지지되는 가이드홈(641)이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부(64)의 중앙에 상기 가이드홈(64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홈(641)의 상,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52)의 지지홈(56)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돌기부(642)가 자동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부(64)의 돌기부(642)에는 상기 고정볼트(58)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부재(52)와 상기 제2하부슬리브(6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52)의 고정공(525)에 상응하는 고정공(643)이 천공된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64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64 of the second lower sleeve 60 to guide and support the insertion groove 54 formed in the support 524 of the rail member 52. . In addition, since the guide groove 6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6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groove 64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56 of the rail member 52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groove 641. The projection 642 is automatically formed to be supported. Of course, the fixing bolt 58 is fastened to the protrusion 642 of the support 64 to fix the rail member 52 to fix the rail member 52 and the second lower sleeve 60. A fixing hole 643 corresponding to the ball 525 is drilled.

한편, 상기 상부레일(70)은 차량이 2차적으로 충돌되거나 승합차 또는 대형차량의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지주(20)의 상단부에 체결볼 트(71)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체결볼트(71)는 상기 상부레일(70)에 고정되는 헤드부(711)와, 상기 헤드부(71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0)에 삽입되는 볼트부(712)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711)에는 상기 상부레일(7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711a)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71)의 볼트부(712)의 길이는 상기 지주(20)의 내부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되며, 상기 볼트부(712)에는 너트(713)가 체결되는 바, 상기 너트(713)는 은폐를 위해 상기 지주(20)의 내부에서 체결작업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rail 70 is fixed by the fastening bolts 71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to absorb the impact energy when the vehicle is collided secondary or a collision of a van or large vehicle. The fastening bolt 71 has a head portion 711 fixed to the upper rail 70 and a bolt portion 712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portion 711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20. . The head portion 711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711a to be firmly fixed to the upper rail 70.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bolt portion 712 of the fastening bolt 71 is set so as not to leave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20, the nut 713 is fastened to the bolt portion 712, the nut ( 713 is a fastening operation is made inside the strut 20 for concealment.

또, 상부레일(70)도 복수 또는 다수의 레일부재(72)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70)은 상기 제1 및 제2하부레일(30;50)과 유사하게 형성되지만 비교적 대형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해당 차량이 방호 울타리를 넘어 이탈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상, 하폭, 즉 전체 높이가 상기 제1 및 제2하부레일(30;50)보다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rail 70 is also made of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rail members 72 are interconnected. In addition, the upper rail 70 is formed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lower rails (30; 50), but absorbs a shock during a collision of a relatively large vehic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falling over or overturning the protective fence. The overall upper and lower widths, i.e., the overall heights, are larger than the first and second lower rails 30;

또한, 상기 상부레일(70)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는 자동차가 충돌할 경우 충돌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며 형성된 전방부(721)와, 상기 전방부(7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충격흡수를 위해 후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22)와, 상기 연장부(722)에 일체로 형성되고 강성 보강을 위해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723)와, 상기 수평부(72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0)에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수직 형성되는 지지부(72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723)의 높이(h2) 대 상기 전방부(721)의 높이(h3)의 비는 100 : 48 ~ 52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부(721)의 높이(h3)의 비가 48 이하이면 자동차 의 충돌시 자동차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 충격 흡수율이 저하되어 차량이 이탈되거나 레일을 타고 넘어갈 염려가 있을 수 있는 반면, 상기 전방부(721)의 높이(h3)의 비가 52 이상이면 자동차의 충돌시 자동차와의 접촉면적이 커져 탑승자에게 충격력이 쉽게 전달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상기 수평부(723)의 높이(h2) 대 상기 전방부(721)의 높이(h3)의 비는 100 : 50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rail members 72 constituting the upper rail 70 has a front portion 721 formed in an overall plane so as to increase the collision area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front portion 721. An extension portion 722 integrally formed and extending rearward for shock absorption, a horizontal portion 723 integrally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722 and extending rearward for rigid reinforcement, and the horizontal portion ( A support 72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723 and vertically formed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Here, the ratio of the height h2 of the horizontal portion 723 to the height h3 of the front portion 721 is preferably set to 100: 48 to 52. If the ratio of the height h3 of the front portion 721 is 48 or less, the contact area with the vehicle may be small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thus the shock absorption rate may be lowered, so that the vehicle may be separated or ride over the rail. When the ratio of the height h3 of the 721 is 52 or more, the contact area with the vehicle increases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impact force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occupant, thereby affect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Most preferably, the ratio of the height h2 of the horizontal portion 723 to the height h3 of the front portion 721 is 100: 50.

한편, 상기 상부레일(70)의 상기 레일부재(72)의 지지부(724)에는 상기 체결볼트(71)의 헤드부(711)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7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74)은 상기 레일부재(72)의 지지부(724)의 중앙부에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74)은 상기 체결볼트(71)의 헤드부(711)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741)과 상기 제1삽입홈(741)에 연통하며 상기 헤드부(711)의 플랜지부(711a)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742)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724 of the rail member 72 of the upper rail 7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74 so that the head portion 711 of the fastening bolt 71 can be movable. The insertion groove 74 is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724 of the rail member 72. 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7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74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741 into which the head portion 711 of the fastening bolt 71 is inserted, and of the head portion 711. A second insertion groove 742 into which the flange portion 711a is inserted is provided.

또, 상기 레일부재(72)의 상기 삽입홈(74)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삽입홈(74)에 의해 자동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슬리브(8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76)이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groove 74 of the rail member 72 is automatically formed by the insertion groove 74, the support groove 76 is inserted into the upper sleeve 80 is supported It is formed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레일부재(72)의 지지부(724)의 단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상부슬리브(80)에 상기 레일부재(72)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78)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고정공(725)이 천공된다.In addition, the top and bottom of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724 of the rail member 72 is fixed so that the fixing bolt 78 for fastening the rail member 72 to the upper sleeve 80 can be easily fastened. The ball 725 is punctured.

또, 상기 상부슬리브(80)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를 연결시켜 상기 상부레일(70)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슬리브(80)는 상기 레일부재(72)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 도록 상기 레일부재(72)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슬리브(80)는 상기 레일부재(72)의 전방부(721)의 내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전방부(81)와, 상기 전방부(8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72)의 연장부(722)에 접하는 연장부(82)와, 상기 연장부(8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72)의 수평부(723)에 접하는 수평부(83)와, 상기 수평부(8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72)의 지지부(724)에 접하는 지지부(84)를 일체로 구비한다.In addition, the upper sleeve 8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end of each of the rail member 72 in order to connect the respective rail member 72 to form the upper rail 70. The upper sleeve 80 is formed similarly to the rail member 72 so that the upper sleeve 80 can be easily and firmly inserted into the rail member 72. That is, the upper sleeve 8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ortion 81 and the front portion 81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front portion 721 of the rail member 72 and the rail member 72. An extension portion 82 in contact with an extension portion 722 of the c), a horizontal portion 83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82, and in contact with a horizontal portion 723 of the rail member 72, and the horizontal portion. I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portion 83 and integrally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84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724 of the rail member 72.

한편, 상기 상부슬리브(80)의 지지부(84)의 중앙에는 상기 레일부재(72)의 지지부(724)에 형성된 삽입홈(74)이 안내되고 또한 지지되는 가이드홈(8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84)의 중앙에 상기 가이드홈(84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841)의 상,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72)의 지지홈(76)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돌기부(842)가 자동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부(84)의 돌기부(842)에는 상기 고정볼트(78)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부재(72)와 상기 상부슬리브(8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72)의 고정공(725)에 상응하는 고정공(843)이 천공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84 of the upper sleeve 80, the insertion groove 74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724 of the rail member 72 is guided and guide groove 841 is formed.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8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8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guide groove 84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76 of the rail member 72 above and below the guide groove 841. The protrusion 842 is automatically formed to be supported. Of course, the fixing bolt 78 is fastened to the protrusion 842 of the support portion 84 to fix the rail member 72 and the upper sleeve 80 to fix the hole of the rail member 72 ( A fixing hole 843 corresponding to 725 is drilled.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방호 울타리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작업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플레이트부(12)의 각각의 체결공(142)에 상기 연석부(R)에 설치된 앵커볼트(124;126)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볼트캡(128)으로 마무리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0)를 상기 연석부(R)에 설치한다.First, the worker inserts the anchor bolts (124; 126) installed in the curb portion (R) in each of the fastening holes 142 of the plate portion 12 of the fixing plate 10 and then fixed to the bolt cap 128 And the fixing plate 10 is installed in the curb portion R.

다음으로, 상기 지주(20)의 몸체(22)를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앵커부(14) 에 삽입하여 상기 지주(20)를 상기 고정플레이트(10)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20)의 몸체에 형성된 제1고정공(222)과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앵커부(14)에 형성된 체결공(142)은 상기 제1장볼트(14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연통하여야 한다.Next, the body 22 of the support 20 is inserted into the anchor portion 14 of the fixing plate 10 to install the support 20 on the fixing plate 10. Here, the first fixing hole 222 formed in the body of the support 20 and the fastening hole 142 formed in the anchor portion 14 of the fixing plate 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long bolt 144. They sh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can

이후, 상기 레일부재(32)의 삽입홈(34)의 제1삽입홈(341) 및 제2삽입홈(342)에 상기 제1장볼트(144)의 헤드부(145) 및 플랜지부(145a)를 삽입하여, 하나의 상기 제1장볼트(144)를 상기 레일부재(32)의 일단부에, 2개의 상기 제1장볼트(144)를 상기 레일부재(32)의 중앙부에, 나머지 1개의 상기 제1장볼트(144)를 상기 레일부재(32)의 타단부에 위치시킨다. 위와 같은 작업을 계속 행하여 각각의 상기 제1장볼트(144)가 삽입된 복수 또는 다수의 상기 레일부재(32)를 준비한다.Thereafter, the head part 145 and the flange part 145a of the first long bolt 144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34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42 of the insertion groove 34 of the rail member 32. ), One of the first long bolts 144 to one end of the rail member 32, two first long bolts 144 to the center of the rail member 32, the remaining 1 First bolts 144 ar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rail member 32. The above operation is continued to prepare the plurality or the plurality of rail members 32 into which the first long bolts 144 are inserted.

다음으로,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의 양 단부에 상기 제1하부슬리브(40)의 절반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삽입한 후 다른 하나 또는 2개의 상기 레일부재(32)의 각각의 단부에 상기 제1하부슬리브(40)의 나머지 절반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결 및 접속하여 상기 제1하부레일(30)을 형성한다.Next, a half of the first lower sleeve 40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each of the rail members 32, and then the ends of each of the other one or two rail members 32 The first lower rail 30 is formed by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second lower sleeve 40 to the other half of the first lower sleeve 40.

이후,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에 삽입된 각각의 상기 제1장볼트(144)를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앵커부(14)의 체결공(142)과 상기 지주(20)의 제1고정공(222)에 의해 형성된 연통공에 삽입한 후 너트(146)로 체결하여, 상기 각각의 지주(20)에 상기 제1하부레일(30)을 고정 설치한다. 물론, 여기서 작업자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의 고정공(325)과 각각의 상기 하부슬리브(40)의 고정공(443)과의 연통공에 고정볼트(38)를 체결하여 상기 제1하부레일(30)의 설치를 완성하는 것 이다.Subsequently, each of the first long bolts 144 inserted into the rail members 32 may include the fastening holes 142 of the anchor portion 14 of the fixing plate 10 and the posts 20 of the pillars 20. 1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by the fixing hole 222 and then fastened with a nut 146 to fix and install the first lower rail 30 to each support 20. Of course, the operator here fastening the fixing bolt 38 to the communication hole between the fixing hole 325 of each of the rail member 32 and the fixing hole 443 of each of the lower sleeve 40 to the first It is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lower rail (30).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레일부재(52)의 삽입홈(54)의 제1삽입홈(541) 및 제2삽입홈(542)에 상기 제2장볼트(244)의 헤드부(245) 및 플랜지부(245a)를 삽입하여, 하나의 상기 제2장볼트(244)를 상기 레일부재(52)의 일단부에 위치시키고, 2개의 상기 제2장볼트(244)를 상기 레일부재(52)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며, 나머지 1개의 상기 제2장볼트(244)를 상기 레일부재(52)의 타단부에 위치시킨다. 위와 같은 작업을 계속 행하여 각각의 상기 제2장볼트(244)가 삽입된 복수 또는 다수의 상기 레일부재(52)를 준비한다.In a similar manner, the head portion 245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second long bolt 244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54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542 of the insertion groove 54 of the rail member 52. Inserting 245a, one second long bolt 244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rail member 52, and the two second long bolts 244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rail member 52. The second long bolt 244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rail member 52.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tinued to prepare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the rail members 52 into which the respective second long bolts 244 are inserted.

다음으로,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의 양 단부에 상기 제2하부슬리브(60)의 절반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삽입한 후 다른 하나 또는 2개의 상기 레일부재(52)의 각각의 단부에 상기 제2하부슬리브(60)의 나머지 절반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결 및 접속하여 상기 제2하부레일(50)을 형성한다.Next, a half of the second lower sleeve 60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each of the rail members 52 and then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other one or two rail members 52. The second lower rail 50 is formed by connecting and connecting to the other half of the second lower sleeve 60 in a manner of being inserted.

이후,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에 삽입된 각각의 상기 제2장볼트(244)를 상기 지주(20)의 제2고정공(223)에 삽입한 후 너트(246)로 체결하여, 상기 각각의 지주(20)에 상기 제2하부레일(50)을 고정 설치한다. 물론, 여기서 작업자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의 고정공(525)과 각각의 상기 제2하부슬리브(60)의 고정공(643)과의 연통공에 고정볼트(58)를 체결하여 상기 제2하부레일(50)의 설치를 완성하는 것이다.Thereafter, the second long bolt 244 inserted into each of the rail members 5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 223 of the support 20, and then fastened with a nut 246. The second lower rail 50 is fixedly installed on each support 20. Of course, the operator is fastening the fixing bolt 58 to the communication hole between the fixing hole 525 of each of the rail member 52 and the fixing hole 643 of each of the second lower sleeve 60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lower rail 50 is completed.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상기 상부레일(70)을 설치한다. 즉, 상기 상부레일(70)의 레일부재(72)의 삽입홈(74)의 제1삽입 홈(741) 및 제2삽임홈(742)에 상기 체결볼트(71)의 헤드부(711) 및 플랜지부(711a)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예컨대 하나의 상기 체결볼트(71)를 상기 레일부재(72)의 일단부에 위치시키고, 2개의 상기 체결볼트(71)를 상기 레일부재(72)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며, 나머지 1개의 상기 체결볼트(71)를 상기 레일부재(72)의 타단부에 위치시킨다. 물론 위와 같은 작업을 계속 행하여 각각의 상기 체결볼트(71)가 삽입된 복수 또는 다수의 상기 레일부재(72)를 준비한다.Next, the upper rail 7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head portion 711 of the fastening bolt 7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74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742 of the insertion groove 74 of the rail member 72 of the upper rail 70 and By inserting the flange portion 711a, for example, one fastening bolt 71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rail member 72, and the two fastening bolts 71 are disposed on the rail member 72.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other one of the fastening bolts 71 is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rail member (72). Of course, the above operation is continued to prepare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the rail member 72 in which each of the fastening bolts 71 is inserted.

이후,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의 양 단부에 상기 상부슬리브(80)의 절반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삽입한 후 다른 하나 또는 2개의 상기 레일부재(72)의 각각의 단부에 상기 상부슬리브(80)의 나머지 절반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결 및 접속하여 상기 상부레일(70)을 형성한다.Subsequently, the half sleeve of the upper sleeve 80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each of the rail members 72, and then the upper sleeves are formed at the respective ends of the other one or two rail members 72. The upper rail 70 is formed by connecting to and connecting to the other half of the 80.

최종적으로,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에 삽입된 각각의 상기 체결볼트(71)의 볼트부(712)를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천공된 고정공(224)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지주(20)의 내측상부로 돌출된 상기 볼트부(712)에 상기 너트(713)를 체결하여, 상기 각각의 지주(20)에 상기 상부레일(70)을 고정 설치한다. 물론,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의 고정공(725)과 각각의 상기 상부슬리브(80)의 고정공(843)과의 연통공에 상기 고정볼트(78)를 체결하여 상기 상부레일(70)의 설치를 완성하는 것이다.Finally, the bolt portion 712 of each of the fastening bolts 71 inserted into each of the rail members 7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24 perfor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The nut 713 is fastened to the bolt portion 712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20, and the upper rail 70 is fixed to each support 20. Of course, the upper rail 70 by fastening the fixing bolt 78 to the communication hole between the fixing hole 725 of each of the rail member 72 and the fixing hole 843 of each upper sleeve 80. )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이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52;72)를 먼저 연결하여 상기 제1하부레일(30), 상기 제2하부레일(50) 및 상기 상부레일(70)을 예비적으로 형성한 후 각각의 상기 지주(20)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차량방호 울타리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설치방식으로도 차량방호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il members 32; 52; 7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o reserve the first lower rail 30, the second lower rail 50, and the upper rail 70. After forming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is installed in a manner tha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holding (20), but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can be installed in other installation methods.

즉, 예컨대 각각의 상기 지주(20)에 상기 제1장볼트(144), 상기 제2장볼트(244) 및 상기 체결볼트(71)를 설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52;72)의 각각의 상기 삽입홈(34;54;74)을 상기 제1장볼트(144), 상기 제2장볼트(244) 및 상기 체결볼트(71)에 삽입하고, 또한 상기 제1하부슬리브(40), 상기 제2하부슬리브(60) 및 상부슬리브(80)를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52;72)의 양단에 절반부를 삽입하고, 나머지 절반부에 다른 하나의 상기 레일부재(32;52;72)들을 삽입 고정하여 각각의 상기 레일(30;50;70)을 형성함으로써 차량방호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for example, each of the rail members 32; 52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long bolt 144, the second long bolt 244, and the fastening bolt 71 are installed on the respective struts 20; Each of the insertion grooves 34; 54; 74 of the 72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ng bolt 144, the second long bolt 244, and the fastening bolt 71, and the first lower sleeve. 40, the second lower sleeve 60 and the upper sleeve 80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each of the rail members (32; 52; 72), and the other half of the other rail member ( 32; 52; 72 by inserting and fixing the rails (30; 50; 70) to form a vehicle protection fence can be installed.

이상에서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울타리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The effect of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예컨대, 승용차가 차량방호 울타리에 충돌하는 경우, 그 승용차의 범퍼부분이 차량방호 울타리의 상기 제1하부레일(30)의 레일부재(32)의 전방부(321)에 최초로 접하면서 충돌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하부레일(30)의 레일부재(32)의 전방부(321)의 상대적으로 좁은 접촉면적에 의해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최소화함과 동시에 그 승용차를 빗겨나가게 하거나 정상상태로 주행하게 하여 차량을 보호함과 동시에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assenger car collides with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the bumper portion of the passenger car collides with the front part 321 of the rail member 32 of the first lower rail 30 of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for the first time. At this time, by the relatively narrow contact area of the front portion 321 of the rail member 32 of the first lower rail 30, the absorption of impact energy is minimized, and the passenger car is deflected or driven in a normal state. In addition to protecting the vehicle, passengers can be protected.

또, 승용차가 과속으로 충돌하여 그 충격력이 상기 제1하부레일(30)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충격력이 상기 레일부재(32)의 전방부(321)에서 1차적으로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킨 후, 상기 전방부(321)가 변형되면서 상기 전방부(321)에 후속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연장부(322), 상기 수평부(323) 및 상기 지지부(324)가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충격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2하부레일(50)의 상기 레일부재(52)의 전방부(521), 연장부(522), 수평부(523) 및 지지부(524) 또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passenger car collides at an excessive speed and the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lower rail 30, the impact force is primarily absorbed and distributed by the front portion 321 of the rail member 32. After the deformation, the front part 321 is deformed, and the impact that the extension part 322, the horizontal part 323, and the support part 324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part 321 is transmitted. Absorption and dispersion can minimize the impact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portion 521, extension portion 522, horizontal portion 523 of the rail member 52 of the second lower rail 50 ) And the support 524 can also absorb and disperse the transmitted shock to minimiz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또한, 상기 제1, 제2하부레일(30;50)의 상기 레일부재(32;52)는 승용차의 충돌시 상기 레일부재(32;52)의 전방부(321;521)의 형상에 의해 충돌차량의 감속을 최소화하여 충격에너지가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충돌차량을 진행방향으로 유도하여 차도에서의 이탈, 중앙선 침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충돌차량을 진행방향으로 유도함에 따라 반대편 진행차량 및 후속차량간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il members 32 and 52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rails 30 and 50 collide with each other by the shape of the front parts 321 and 521 of the rail members 32 and 52 during the collision of the passenger car. By minimizing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of the impact energy to the occupant, and to guide the collision vehicle in the direction of progress can prevent departure from the roadway, center line invasion and the like. Of course, by inducing the collision vehicle in the forwar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between the opposite vehicle and the subsequent vehicle.

한편, 승합차 또는 트럭과 같은 대형차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해당차량의 범퍼부분 또는 그 상부가 차량방호 울타리의 상기 상부레일(70)의 레일부재(72)의 전방부(721)에 접하면서 충돌하게 되며, 이때 상기 레일부재(72)의 전방부와 충돌차량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그 충격력을 최대로 흡수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충돌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력은 상기 레일부재(72)의 전방부(721)에서 1차적으로 흡수 및 분산하고, 상기 전방부(721)가 변형되면서 상기 전방부(721)에 후속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연장부(722), 상기 수평부(723) 및 상기 지지부(724)가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차량이 차량방호 울타리를 이탈하거나 타고 넘어가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vehicle such as a van or truck collides, the bumper portion or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front portion 721 of the rail member 72 of the upper rail 70 of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At this tim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ront portion of the rail member 72 and the collision vehicle is increased to absorb the impact force to the maximum. That is, the impact force appli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s primarily absorbed and dispersed in the front portion 721 of the rail member 72, and the front portion 721 is deformed subsequent to the front portion 721 The extension part 722, the horizontal part 723, and the support part 724, which are integrally connected, may sequentially absorb and disperse the impact to prevent the vehicle from leaving or riding over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

따라서, 3개의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승용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안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으며, 트럭 및 승합차의 충돌시 차량의 이탈 및 전복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installing three rails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ensure the stability of the occupant in the crash of the passenger ca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eparture and overturning of the vehicle during the collision of trucks and vans.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방호 울타리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ehicle protection fence.

도 2는 도 1의 부분Ⅱ의 확대 단면도.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II of FIG. 1;

도 3은 도 1의 부분Ⅲ의 확대 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III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울타리의 부분 분해사시도.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protection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울타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vehicl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FIG. 5;

도 7은 도 6의 선Ⅶ-Ⅶ에 따른 확대 단면도.7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6;

도 8은 도 6의 선Ⅷ-Ⅷ에 따른 확대 단면도.8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6;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고정플레이트 20: 지주10: fixed plate 20: prop

30: 제1하부레일 40: 제1하부슬리브30: first lower rail 40: first lower sleeve

50: 제2하부레일 60: 제2하부슬리브50: second lower rail 60: second lower sleeve

70: 상부레일 80: 상부슬리브70: upper rail 80: upper sleeve

Claims (3)

도로가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에 형성된 연석부(R)에 설치되어 승객, 차량 및 행인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방호 울타리에 있어서,In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to protect the passengers, vehicles and pedestrians is provided on the road or curb (R) formed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상기 연석부(R)에 고정 설치되도록 상기 연석부(R)에 돌출 설치된 앵커볼트(124;126)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공(122)이 형성된 플레이트부(12)와,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중앙에 일체로 수직 형성되고 강성을 유지하도록 사각기둥형 스틸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2개의 제1장볼트(144)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체결공(142)이 형성된 앵커부(14)를 구비한 고정플레이트(10);Plate portion 12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22 ar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124; 126) protruding to the curb portion (R) to be fixed to the curb portion (R), and the plate portion 12 Is formed of a square pillar-shaped steel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enter and maintains rigidity, and has an anchor portion 14 having a fastening hole 142 formed therein so that two first long bolts 144 pass through and fasten. One stationary plate 10;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상기 앵커부(14)에 삽입되도록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각각의 상기 제1장볼트(144)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12)의 각각의 상기 체결공(142)에 연통하는 제1고정공(222)이 천공되며 상기 제1고정공(222)의 상부에는 제2장볼트(244)가 체결되도록 제2고정공(223)이 천공되고 상기 제2고정부(223)의 상부의 전방면에 2개의 고정공(224)이 천공되며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된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상단에 설치되는 캡(24)을 구비한 지주(20);Each of the fastening holes of the plate part 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anchor portion 14 of the fixing plate 10 and the first long bolt 144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 The first fixing hole 222 communicating with 142 is drilled and the second fixing hole 223 is drilled to fasten the second bolt 244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hole 222 and the second fixing hole 222 is fastened. Two fixing holes 224 are drill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government part 223, and the body 22 extruded from aluminum and the cap 24 installed at the top to close the inside of the body 22 are provided. Shore 20 provided; 상기 지주(20)의 하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일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차량이 충돌할 경우 충돌면적을 최소화하도록 상, 하폭이 좁게 형성된 전방부(321), 상기 전방부(3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충격을 흡수하도록 후,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322), 상기 연장부(322)에 일체로 형성되고 강성이 보강되도록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323) 및 상기 수평부(32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0)에 접하도록 수직 형성된 지지부(324)를 구비한 복수의 레일부재(32)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는 상기 지주(20)부분에서만 상호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재(32)의 지지부(324)에는 상기 제1장볼트(144)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삽입홈(3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4)의 상,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홈(36)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홈(36)의 양 단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를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볼트(38)가 체결되도록 고정공(325)이 형성된 제1하부레일(30);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20 to form a line, 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 front part 321 and the front part 321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so as to minimize the collision area. And an extension portion 322 formed upwardly upward to absorb shock, integrally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322 and integrally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323 and the horizontal portion 323 extending rearward to reinforce rigidity. And a plurality of rail members 32 having support portions 324 vertically formed to contact the struts 20, wherein each of the rail members 32 is interconnected only at the strut 20 portion. In the support 324 of the rail member 32, an insertion groove 34 is formed so that the first long bolt 144 is movably inserted therei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groove 34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Support grooves 36 are formed along both ends of each of the support grooves 36.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rail fixing hole 325 is formed, the fixing bolt 38 for connecting each of the rail members 32 so that the fastening (30); 상기 제1하부레일(30)의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가 상기 지주(20)부분에서만 연결되도록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의 양단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부재(32)의 전방부(321)의 내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전방부(41), 상기 전방부(4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32)의 연장부(322)에 접하도록 형성된 연장부(42), 상기 연장부(4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32)의 수평부(323)에 접하도록 형성된 수평부(43) 및 상기 수평부(4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32)의 지지부(324)에 접하도록 형성된 지지부(44)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44)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41)의 상,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32)의 지지홈(36)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돌기부(442)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442)에는 상기 고정볼트(38)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부재(32)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32)의 고정공(325)에 상응하는 고정공(443)이 천공 형성된 제1하부슬리브(40);The rail member 32 of each of the first lower rails 30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rail member 32 so as to be connected only to the strut 2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rail member 32. A front portion 41 formed to contact the interior of the 321, an extension portion 42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ortion 41 and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ortion 322 of the rail member 32, the extension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rtion 42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portion 43 and the horizontal portion 43 formed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ortion 323 of the rail member 32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rail member 32 324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support 44 formed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support 44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44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groove 441 A protrusion 442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support groove 36 of the rail member 32, and the fixing bolt 38 is formed at the protrusion 442. The first lower sleeve 40 is determined fixing hole 443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325 of the rail member 32 is formed, perforated so as to interconnect the rail member (32); 상기 제1하부레일(3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주(20)에 양단이 연결되어 일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차량이 충돌할 경우 충돌면적을 최소화하도록 상, 하폭이 좁게 형성된 전방부(521), 상기 전방부(5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충격을 흡수하도록 후,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522), 상기 연장부(522)에 일체로 형성되고 강성이 보강되도록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523) 및 상기 수평부(52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0)에 접하도록 수직 형성된 지지부(524)를 구비한 복수의 레일부재(52)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는 상기 지주(20)부분에서만 상호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재(52)의 지지부(524)에는 상기 제2장볼트(244)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삽입홈(5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4)의 상,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홈(56)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홈(56)의 양 단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를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볼트(58)가 체결되도록 고정공(525)이 형성된 제2하부레일(50);The front part 521 is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lower rail 30 so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strut 20 to form a line, and the upper and lower widths are narrowly narrowed so as to minimize the collision area when the vehicle collides. After be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art 521 and absorbing the impact, the extension part 522 is formed to extend upward, and the horizontal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art 522 and extends rearward to reinforce rigidity ( 523 and a plurality of rail members 52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rizontal part 523 and having a support part 524 vertically formed to contact the strut 20, each of the rail members 52. Is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in the support 20, the support 524 of the rail member 52, the insertion groove 54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long bolt 244 is movably inserted, the insertion groove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54, support grooves 56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cond and second rails 50 having fixing holes 525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both ends of each of the supporting grooves 56 so that fixing bolts 58 for connecting the rail members 52 are fastened. ); 상기 제2하부레일(50)의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가 상기 지주(20)부분에서만 연결되도록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의 양단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부재(52)의 전방부(521)의 내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전방부(61), 상기 전방부(6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52)의 연장부(522)에 접하도록 형성된 연장부(62), 상기 연장부(6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52)의 수평부(523)에 접하도록 형성된 수평부(63) 및 상기 수평부(6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52)의 지지부(524)에 접하도록 형성된 지지부(64)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64)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6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641)의 상,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52)의 지지홈(56)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돌기부(642)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642)에는 상기 고정볼트(58)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부재(52)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52)의 고정공(525)에 상응하는 고정공(643)이 천공 형성된 제2하부슬리브(60);The rail member 52 of each of the second lower rails 50 is insert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rail members 52 so as to be connected only to the support 20, and the front part of the rail member 52. Front portion 61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521, an extension portion 62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ortion 61 and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ortion 522 of the rail member 52, the extension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rtion 62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portion 63 and the horizontal portion 63 formed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ortion 523 of the rail member 52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rail member 52 A support portion 64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524 is integrally provided, and a guide groove 6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64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bove and below the guide groove 641. A protrusion 642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support groove 56 of the rail member 52, and the fixing bolt 58 is formed at the protrusion 642. A second lower sleeve 60 is determined fixing hole 643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525 of the rail member 52 so as to interconnect the rail member 52 is formed perforation; 상기 제2하부레일(5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범퍼 상부의 부분이 2차적으로 충돌되거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주(20)의 상단부에 체결볼트(71)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주(20)의 상부에서 양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차량의 충돌시 충돌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제1, 2하부레일(30;50)의 레일부재(32;52)의 전방부(321;521)의 상, 하폭보다 크게 형성된 전방부(721), 상기 전방부(7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충격을 흡수하도록 후,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722), 상기 연장부(722)에 일체로 형성되고 강성을 보강하도록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723) 및 상기 수평부(72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0)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수직 형성된 지지부(724)를 구비한 복수의 레일부재(72)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의 지지부(724)에는 상기 체결볼트(71)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7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74)의 상, 하부에는 지지홈(76)이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홈(76)의 단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볼트(78)가 체결되도록 고정공(725)이 형성된 상부레일(70); 및 Fastening bolts ar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so as to be spaced apart upward from the second lower rail 50 so that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umper collides secondarily or absorbs impact energy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separated. 71 is fixedly installed, and is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20, the rail member 32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rails (30; 50) to increase the collision area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 front portion 721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front portions 321 and 521 of the 52; an extension portion 722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ortion 721 and extending upward to absorb shocks; A support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art 722 and extending rearward to reinforce rigidity, and a support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part 723 and vertically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A plurality of rail members 72 with 724, each of An insertion groove 74 is formed in the support part 724 of the rail member 72 to allow the fastening bolt 71 to be movable. The support groove 76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insertion groove 74. ) Is formed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ing holes 725 to fasten the fixing bolts 78 for interconnecting the respective rail members 72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nds of each of the supporting grooves 76. The upper rail 70 is formed; And 상기 상부레일(70)의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가 상기 지주(70)부분에서 연결되도록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의 양단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부재(72)의 전방부(721)의 내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전방부(81), 상기 전방부(8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72)의 연장부(722)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된 연장부(82), 상기 연장부(8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72)의 수평부(723)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된 수평부(83) 및 상기 수평부(8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72)의 지지부(724)에 접하도록 형성된 지지부(84)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84)의 중앙에는 상기 레일부재(72)의 삽입홈(74)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8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841)의 상,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72)의 지지홈(76)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돌기부(842)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842)에는 상기 고정볼트(78)가 체결되어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를 연결하도록 상기 레일부재(72)의 고정공(725)에 상응하는 고정공(843)이 천공 형성된 상부슬리브(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방호 울타리.Each rail member 72 of the upper rail 70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each rail member 7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70, and the front portion 721 of the rail member 72 Front portion 81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an integral portion formed in the front portion 81 and extending to be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ortion 722 of the rail member 72, the extension portion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82) and extends to contact the horizontal portion 723 of the rail member 72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83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rail member 72 The support portion 84 is formed to contact the 724, the guide groove 84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74 of the rail member 72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84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groove 841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842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support groove 76 of the rail member 72. In the protrusion 842, the fixing bolts 78 are fastened so that the fixing holes 843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s 725 of the rail members 7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rail members 72. Upper sleeve (80); vehicle protection fen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장볼트(144)는 상기 제1하부레일(30)의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32)의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145a)를 일체로 구비한 헤드부(145)와, 상기 헤드부(145)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앵커부(14)의 체결공(142) 및 상기 지주(20)의 몸체(22)의 제1고정공(222)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볼트부(147)를 구비하고;The flange portion 145a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long bolts 144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insertion groove 34 of each of the rail members 32 of the first lower rail 30. The head portion 145 having an integrally formed, and integrally formed in the head portion 145 and the fastening hole 142 of the anchor portion 14 of the fixing plate 10 and the body of the support 20 ( And a bolt portion 147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fixing hole 222 of the 22; 상기 제1하부레일(30)의 레일부재(32)의 상기 삽입홈(34)은 상기 제1장볼트(144)의 헤드부(145)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1삽입홈(341)과, 상기 제1삽입홈(341)에 연통하며 상기 헤드부(145)의 플랜지부(145a)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2삽입홈(342)을 구비하며;The insertion groove 34 of the rail member 32 of the first lower rail 30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groove 341 formed to insert and fix the head portion 145 of the first long bolt 144. A second insertion groove (34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341) and form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145a) of the head portion (145) is inserted and fixed; 각각의 상기 제2장볼트(244)는 상기 제2하부레일(50)의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52)의 삽입홈(54)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245a)를 일체로 구비한 헤드부(245)와, 상기 헤드부(245)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20)의 몸체(22)의 제2고정공(223)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볼트부(247)를 구비하고; Each of the second long bolts 244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245a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54 of each of the rail members 52 of the second lower rail 50. A portion 245 and a bolt portion 247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portion 245 and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hole 223 of the body 22 of the support 20; 상기 제2하부레일(50)의 레일부재(52)의 상기 삽입홈(54)은 상기 제2장볼트(244)의 헤드부(245)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1삽입홈(541)과, 상기 제1삽입홈(541)에 연통하며 상기 헤드부(245)의 플랜지부(245a)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2삽입홈(542)을 구비하며;The insertion groove 54 of the rail member 52 of the second lower rail 50 is the first insertion groove 541 formed so that the head portion 245 of the second long bolt 244 is inserted and fixed, A second insertion groove 54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541 and form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245a of the head portion 245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체결볼트(71)는 상기 상부레일(70)의 각각의 상기 레일부재(72)의 삽입홈(74)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711a)를 일체로 구비한 헤드부(711)와, 상기 헤드부(71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20)의 몸체(22)의 상부의 전방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공(224)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22)의 내부공간에 은폐되는 볼트부(712)를 구비하고;The fastening bolt 71 is a head portion 711 integrally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711a formed to be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74 of each of the rail member 72 of the upper rail 70, and the A bolt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ortion 711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24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2 of the support 20 and concea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22 ( 712; 상기 상부레일(70)의 레일부재(72)의 상기 삽입홈(74)은 상기 체결볼트(71)의 헤드부(711)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1삽입홈(741)과, 상기 제1삽입홈(741)에 연통하며 상기 플랜지부(711a)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2삽입홈(74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방호 울타리. The insertion groove 74 of the rail member 72 of the upper rail 70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741 formed so that the head portion 711 of the fastening bolt 71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first insertion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742 communicating with the groove 741 and configured to insert and fix the flange portion 711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하부레일(30;50)의 각각의 레일부재(32;52)의 수평부(323;523)의 높이(h) 대 전방부(321;521)의 높이(h1)의 비는, 차량의 충돌시 감속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100 : 55 ~ 60으로 설정되며;The height (h) of the horizontal portion (323; 523) of each of the rail members (32; 52)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rails (30; 50) of the front portion (321; 521). The ratio of the height h1 is set to 100: 55 to 60 to minimize deceleration in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ccupant; 상기 상부레일(70)의 각각의 레일부재(72)의 수평부(723)의 높이(h2) 대 전방부(721)의 높이(h3)의 비는,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고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100 : 48 ~ 52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방호 울타리.The ratio of the height h2 of the horizontal portion 723 of each rail member 72 of the upper rail 70 to the height h3 of the front portion 721 prevents the vehicle from escaping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Vehicle protection fence,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100: 48 ~ 52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ccupants.
KR1020090017868A 2009-03-03 2009-03-03 Vehicle protection fence KR1009098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68A KR100909829B1 (en) 2009-03-03 2009-03-03 Vehicle protection f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68A KR100909829B1 (en) 2009-03-03 2009-03-03 Vehicle protection f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829B1 true KR100909829B1 (en) 2009-07-28

Family

ID=4133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68A KR100909829B1 (en) 2009-03-03 2009-03-03 Vehicle protection f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82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683B1 (en) * 2013-05-10 2013-09-12 김동수 Vehicle guard fence for shock absorption
KR101370548B1 (en) * 2011-09-06 2014-03-06 이종현 Connecting structure of fence bar
KR101499827B1 (en) * 2014-11-24 2015-03-12 주식회사 강남테크원 Roadside safety barrier
KR101732464B1 (en) * 2016-08-04 2017-05-04 주식회사 웰콘 Guard rail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8920A (en) 1980-03-31 1981-10-29 Fujitsu Ltd Method of selection and diffusion for impurities
JPS6026704A (en) 1983-07-22 1985-02-09 株式会社エフエム鋳鉄 High handrail
KR20050059423A (en) * 2003-11-20 2005-06-21 주식회사 누리플랜 Guardrail
KR100500653B1 (en) 2005-03-15 2005-07-11 주식회사 누리플랜 Installation structure of vehicle protection fe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8920A (en) 1980-03-31 1981-10-29 Fujitsu Ltd Method of selection and diffusion for impurities
JPS6026704A (en) 1983-07-22 1985-02-09 株式会社エフエム鋳鉄 High handrail
KR20050059423A (en) * 2003-11-20 2005-06-21 주식회사 누리플랜 Guardrail
KR100500653B1 (en) 2005-03-15 2005-07-11 주식회사 누리플랜 Installation structure of vehicle protection fen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48B1 (en) * 2011-09-06 2014-03-06 이종현 Connecting structure of fence bar
KR101307683B1 (en) * 2013-05-10 2013-09-12 김동수 Vehicle guard fence for shock absorption
KR101499827B1 (en) * 2014-11-24 2015-03-12 주식회사 강남테크원 Roadside safety barrier
KR101732464B1 (en) * 2016-08-04 2017-05-04 주식회사 웰콘 Guard rail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281B2 (en)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KR100949451B1 (en) Landfill type median strip
WO2015068985A1 (en) Collision shock-absorbing device
KR100899773B1 (en) Vehicle protection fence
KR100500653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vehicle protection fence
KR20060095916A (en) The protection fence made of iron rail plate (guard rails)against the vehicles
KR100909829B1 (en) Vehicle protection fence
KR20080109207A (en) Guide rail device having a impact absorbing function
KR20150111765A (en)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for crash barrier
KR20090039325A (en) Guardrail device having a terminal part impact absorbing function
CN107401133B (en) Protective guard for vehicle
KR100603511B1 (en)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of car
KR101644909B1 (en)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for crash barrier
KR100538994B1 (en) Guide rail using road for absorption impact
KR200453404Y1 (en) Guard rails with raised shock absorbers and guard rail plates
KR100949450B1 (en) Anchor type median strip
KR20050059423A (en) Guardrail
KR101710167B1 (en) Automotive Shock Absorption dual Barriers
KR102185578B1 (en)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KR200387087Y1 (en) Impact suction apparatus using guide rail
KR200271364Y1 (en)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vehicles on admission passage of crossroad
KR200341898Y1 (en) Guardrail
KR101985477B1 (en) Anti-terrorism guard rail
KR101328677B1 (en) A guardrail
KR100457890B1 (en) Shock guard road guard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