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666B1 -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666B1
KR102021666B1 KR1020170146157A KR20170146157A KR102021666B1 KR 102021666 B1 KR102021666 B1 KR 102021666B1 KR 1020170146157 A KR1020170146157 A KR 1020170146157A KR 20170146157 A KR20170146157 A KR 20170146157A KR 102021666 B1 KR102021666 B1 KR 102021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rotating plate
container
sound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602A (ko
Inventor
김민구
Original Assignee
김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구 filed Critical 김민구
Priority to KR102017014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6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 결합 영역; 상기 용기 결합 영역을 통해 들어온 액체의 흐름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는 액체 통과 영역; 및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SOUND GENERATOR CAPABLE OF BEING COUPLED TO ENTRANCE OF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로서, 액체의 흐름에 따른 회전판의 회전을 통해 회전판의 돌기들이 판상 부분과 마찰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들어있는 액체를 마시기 위하여 액체를 배출할 때,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기포가 발생하는 소리 또는 압력차에 의한 소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기포가 발생하는 소리 등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용기에 들어있는 액체가 일정 수준 이상 존재하여야 하고, 액체의 양이 일정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어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용기에 들어 있는 액체를 섭취 등을 위해 외부로 배출시, 용기에 담겨 있는 액체의 양에 관계없이 소리가 발생하게 하여 음료 섭취 시 재미를 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수용하여 내부의 회전판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판의 돌기들이 판상 부분과 부딪혀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 결합 영역; 상기 용기 결합 영역을 통해 들어온 액체의 흐름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는 액체 통과 영역; 및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체 통과 영역은, 액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과의 마찰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 부분을 포함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체 통과 영역은, 상기 소리 발생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액체 통과 영역이 회전하도록 하는 무게 중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판은, 상기 액체의 흐름에 따른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판상 부분에 마찰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돌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상 부분은, 상기 소리 발생 장치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기울기가 변화할 수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체 배출 영역은, 상기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수용하여 내부의 회전판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판의 돌기들이 판상 부분과 부딪혀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중심에 의한 액체 통과 영역의 회전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소리 발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ex. 소주병, 맥주병, 양주병 등 액체가 담겨질 수 있는 병)에 결합되는 용기 결합 영역(100), 액체의 흐름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는 액체 통과 영역(101), 소리 발생 장치로 들어 온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영역(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리 발생 장치는 용기의 입구를 막는 마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소리 발생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은 인체에 무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며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발생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열거한 소리 발생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제조에 이용되는 소재들은 일례일 뿐이고, 소리 발생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리 발생 장치에서 용기 결합 영역(100)은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결합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용기에서 배출된 액체는 용기 결합 영역(100)을 거쳐서 소리 발생 장치의 액체 통과 영역(10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용기 결합 영역(100)은 액체를 수용하는 병과 같은 용기에 결합되기 위하여 암나선 또는 숫나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용기 결합 영역(100)이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용기에 담겨진 액체가 용기 결합 영역(100)를 통해 소리 발생 장치에 들어오면, 소리 발생 장치는 액체 통과 영역(101)을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용기의 액체가 가득 차지 않고,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도 액체 통과 영역(101)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액체의 흐름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판 및 판상 부분을 구비하고 있어 용기에 남은 액체의 양에 관계없이 액체의 흐름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액체 통과 영역(101)은 액체가 통과함에 따라 색깔이 변화하는 구성 요소(ex. 라이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통과 영역(101)을 통해 통과하는 액체의 통과 속도, 액체가 통과함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의 속성(음의 종류, 빠르기, 음의 파장 등)과 같이 액체의 속성 또는 액체가 통과함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이 표시되거나 또는 색깔의 변화 간격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의 통과 속도가 빠르면, 라이트와 같은 조명으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깔이 나타내는 밝기, 색상/명도/채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증가할 수 있다. 또는, 액체가 통과함에 따라 발생되는 음이 옥타브가 증가하거나, 음이 빠르거나 또는 음의 파장이 길면, 라이트와 같은 조명으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깔이 나타내는 밝기, 색상/명도/채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증가할 수 있다.
액체 배출 영역(102)은 용기 결합 영역(100)를 통해 들어와서 액체 통과 영역(101)을 통해 이동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 배출 영역(102)은 필요에 따라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뚜껑(103)을 구비할 수 있다. 액체 배출 영역(102)에 구비된 뚜껑(103)은 액체 배출 영역(102)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액체 배출 영역(102)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는 판상 부분(200 및 201), 회전판(2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소리 발생 장치는 액체가 흐르는 속력을 최대화 하여 회전판(202)의 회전 속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소리 발생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회전판(202)의 양측 공간이 좁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소리 발생 장치의 액체 통과 영역(101)의 내부에 액체가 이동하는데, 액체 통과 영역(101)의 내부에 판상 부분(200 및 201)과 회전판(20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a에서, 액체 통과 영역(101)의 내부에서 액체가 흘러가는 부분(빗금친 영역 사이 부분)이 평행하게 도시되어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가 흘러가는 부분은 평행하지 않고, 특정 위치별로 폭을 다르게 설정하여 액체가 일정한 속도가 아닌 특정 위치별로 다른 속도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판(202)은 용기 결합 영역(100)을 통해 소리 발생 장치로 입력된 액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액체가 액체 통과 영역(101)의 내부를 이동하면, 회전판(202)은 액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물레방아처럼 회전할 수 있다. 액체가 흘러가는 방향에 따라 회전판(202)의 회전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판(202)은 원형의 면에 왼쪽면과 오른쪽면 각각에 침(pin)과 같은 형태의 돌기들(203 내지 205)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들(203 내지 205)은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판상 부분(200 또는 201)과 마찰함으로써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액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판(202)이 회전할 때, 회전판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와 판상 부분(200 및 201)이 서로 부딪히는 마찰을 통해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액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판(202)이 회전할 때, 회전판(202)에 배치된 돌기들(203 내지 205)이 판상 부분(200 또는 201)을 타격함으로써, 타격음으로 인해서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회전판(202)에 배치된 돌기들(203 내지 205)의 굵기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돌기들(203 내지 205)의 형태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판상 부분(200 또는 201)에 부딪히는 돌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a 및 2b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들의 형태 및 배치는 일례에 불과하고, 돌기들의 형태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상 부분(200 및 201)은 소리 발생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접혔다가 펴질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판상 부분(200 및 201)은 소리 발생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기울기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2b에서 판상 부분(200 및 201)은 서로 다른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와 같이 소리 발생 장치가 지표면에 수평으로 놓여진 경우 (즉, 소리 발생 장치가 옆으로 놓여져서 소리 발생 장치와 지표면이 평행한 경우), 판상 부분(200)은 펴져서 회전판(202)의 돌기와 마찰되도록 지표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판상 부분(201)은 접혀서 지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판(202)의 돌기와 마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 2b와 다르게 소리 발생 장치가 지표면에 수직으로 놓여진 경우 (즉, 소리 발생 장치가 세워진 상태로 놓여져서 소리 발생 장치와 지표면이 직교 관계인 경우), 판상 부분(201)은 펴저서 회전판(202)의 돌기와 마찰되도록 지표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판상 부분(200)은 지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판(202)의 돌기와 마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2b를 참고하면, 돌기들(203 내지 205)은 회전판(202)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돌기들(203 내지 205)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들(203 내지 205)은 특정 회전 방향에 대해 점차 굵기 또는 길이가 증가하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또는 감소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2b와 같이 돌기들(203 내지 205)은 굵기 또는 길이와 무관하게 랜덤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굵거나 길이가 긴 돌기 사이에 가늘거나 짧은 돌기들이 회전판(20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통과 영역(101) 내부에 회전판(301)과 판상 부분(300, 30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301)은 액체 통과 영역(101)을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한다. 그러면, 회전판(301)의 어느 한 쪽 영역에 배치된 돌기들(303 내지 305)이 회전판(301)의 회전에 따라 판상 부분 (300 또는 302)를 타격함으로써 액체 통과 영역(101) 내부에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b에서 판상 부분(300 및 302)은 서로 다른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와 같이 소리 발생 장치가 지표면에 수평으로 놓여진 경우 (즉, 소리 발생 장치가 옆으로 놓여져서 소리 발생 장치와 지표면이 평행한 경우), 판상 부분(300)은 펴져서 회전판(301)의 돌기와 마찰되도록 지표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판상 부분(302)은 접혀서 지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판(301)의 돌기와 마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 3b와 다르게 소리 발생 장치가 지표면에 수직으로 놓여진 경우 (즉, 소리 발생 장치가 세워진 상태로 놓여져서 소리 발생 장치와 지표면이 직교 관계인 경우), 판상 부분(302)은 펴저서 회전판(301)의 돌기와 마찰되도록 지표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판상 부분(300)은 지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판(301)의 돌기와 마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도 2b와 다르게 회전판(301)이 원형이 아닌 방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판(301)에서 각 방사 영역의 끝 부분에 돌기들(303 내지 305)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회전판(301)이 회전하면서, 돌기들(303 내지 305)가 판상 부분(300 도는 302)를 타격함으로써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a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중심에 의한 액체 통과 영역의 회전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고하면, 회전판의 끝 부분에 일정 무게의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액체 통과 영역(101)을 흐르는 액체의 양이 적거나, 또는 액체의 이동 속도가 적어서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강제적으로 회전판이 회전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임의로 부가하기 위해 추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소리 발생 장치가 지표면과 평행하게 되어 액체의 이동 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우 무게중심을 제공하는 추로 인해서 인위적인 회전력이 발생되어 회전판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추로 인해서 회전판의 회전 효과를 좀더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판이 좀더 잘 회전하게 되어 소리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더 자주,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소리 발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발생 장치(500)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501)의 입구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소리 발생 장치(500)를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501)의 입구에 결합한 후, 용기(501)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때, 액체는 용기(501)의 입구에 결합된 소리 발생 장치(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액체가 소리 발생 장치(500)의 액체 통과 영역(101)를 통과하면서, 액체 통과 영역(101)의 회전판이 액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 통과 영역(101)의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회전판의 돌기들이 판상 부분과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 소리를 발생 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용기 결합 영역 101: 액체 통과 영역
102: 액체 배출 영역 103: 마개
200, 201, 300, 301: 판상 부분 203 내지 205, 303 내지 305: 돌기
400: 무게 중심
500: 소리 발생 장치 501: 용기

Claims (7)

  1.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 결합 영역;
    상기 용기 결합 영역을 통해 들어온 액체의 흐름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는 액체 통과 영역; 및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영역
    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통과 영역은,
    액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마찰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 부분
    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통과 영역을 통해 통과하는 액체의 통과 속도 및 액체가 통과함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의 속성에 따라 라이트를 통해 서로 다른 색깔이 표시되거나 또는 라이트를 통해 표시되는 색깔의 변화 간격이 다르게 결정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끝 부분에 강제적으로 회전판이 회전할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을 부가하기 위한 일정 무게의 추가 배치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는,
    상기 액체의 통과 속도가 빨리질수록 상기 라이트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깔이 나타내는 색상,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거나 또는
    상기 액체가 통과함에 따라 발생되는 음의 옥타브가 증가하거나 음의 파장이 길어지면, 상기 라이트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깔이 나타내는 색상,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액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판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판상 부분을 타격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들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 배치된 돌기들의 굵기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인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돌기들로 구성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발생 장치가 지표면에 평행하거나 또는 지표면에 수직인 경우, 상기 판상 부분은 펴지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7. 삭제
KR1020170146157A 2017-11-03 2017-11-03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KR10202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57A KR102021666B1 (ko) 2017-11-03 2017-11-03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57A KR102021666B1 (ko) 2017-11-03 2017-11-03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602A KR20190050602A (ko) 2019-05-13
KR102021666B1 true KR102021666B1 (ko) 2019-09-16

Family

ID=6658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157A KR102021666B1 (ko) 2017-11-03 2017-11-03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72B1 (ko) 2022-06-09 2022-10-24 헬로칠드런 주식회사 목적 음향이 발생 가능한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09001U1 (ko) * 1987-06-30 1988-11-03 Wagner, Guenther, 8902 Neusaess, De
US20010023871A1 (en) 2000-02-29 2001-09-27 Richard Bayliss Novelty attachment for a drinks receptacle
KR200319605Y1 (ko) 2003-04-21 2003-07-16 주식회사 기프택 소리를 발생하는 회전 빨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02467A2 (pt) * 2011-08-01 2017-02-21 Colgate Palmolive Co recipiente de distribuição com aparência melhorad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09001U1 (ko) * 1987-06-30 1988-11-03 Wagner, Guenther, 8902 Neusaess, De
US20010023871A1 (en) 2000-02-29 2001-09-27 Richard Bayliss Novelty attachment for a drinks receptacle
KR200319605Y1 (ko) 2003-04-21 2003-07-16 주식회사 기프택 소리를 발생하는 회전 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72B1 (ko) 2022-06-09 2022-10-24 헬로칠드런 주식회사 목적 음향이 발생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602A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173B1 (ko) 흡인 장치
KR102021666B1 (ko)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소리 발생 장치
JP5085929B2 (ja) 粉粒体混合装置
DE602004015285D1 (de) Brühbehälter und schäumereinheit und getränkemaschine mit solch einem brühbehälter
CN107108085B (zh) 用于制作饮料的盖子和方法
US7226205B2 (en) Fluid mixing device
CN105307787B (zh) 带具有两个出口的喷嘴的液体喷射系统
JP2018204889A (ja) 渦輪発生装置
JP2008086382A (ja) 遊技球振り分け装置
KR930006859A (ko) 도포장치
RU2016111900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рошка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US20080146113A1 (en) Bubble generating device
ES2225648T3 (es) Dispositivo para agitar un medio capaz de circular o de ser pulverizado, en especial un medio altamente viscoso.
JP6687422B2 (ja) 分散システム
JP2017531553A (ja) 二流体ノズル
KR101174388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Finger et al. Segregation of granular mixtures in a spherical tumbler
ES2128877T3 (es) Aparato de gran capacidad para expulsar cuerpos discoidales.
US10245621B2 (en) Sort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separating material fractions
JPH11165791A (ja) 粉粒体貯留槽
JP6992953B2 (ja) 生海苔異物分離装置(生海苔異物分離除去装置)における生海苔(生海苔塊、又は異物、異物塊を含む)の共回り防止装置と、共回り防止方法
Hankinson Natural, unnatural, And preternatural motions: Contrariety and the argument for the elements in De Caelo 1.2–4
ES2836130T3 (es) Dispositivo mezclador
JP2011131592A (ja) 液槽を有する装置
US1682832A (en) D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