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173B1 - 흡인 장치 - Google Patents

흡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173B1
KR102003173B1 KR1020187006339A KR20187006339A KR102003173B1 KR 102003173 B1 KR102003173 B1 KR 102003173B1 KR 1020187006339 A KR1020187006339 A KR 1020187006339A KR 20187006339 A KR20187006339 A KR 20187006339A KR 102003173 B1 KR102003173 B1 KR 10200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guide portion
suction device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014A (ko
Inventor
히토시 이와사카
히데유키 도쿠나가
유지 가사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모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모테크
Publication of KR2018003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27Suction retai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02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liquid
    • F04F5/0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liq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0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liq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of rotar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ipulato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흡인 장치(10)는, 선회류를 형성해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물체 F를 흡인하는 선회류 형성체(1)와, 선회류 형성체(1)를 수용해, 선회류 형성체(1)의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한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케이스(2)를 구비한다. 케이스(2)는, 안내부(21), 플랜지부(22) 및 커버부(23)를 구비한다. 안내부(21)는, 선회류 형성체(1)의 오목부(12)로부터 단면(13)을 따라서 유출하는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고, 이 유체를 물체 F의 위치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플랜지부(22)는, 플랜지부(22)와 단면(13) 사이에,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의 유로를 형성한다. 커버부(23)는, 선회류 형성체(1)의 본체(11)의 상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흡인 장치
본 발명은, 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하여 물체를 흡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반도체 웨이퍼나 유리 기판 등의 판 형상 부재를 비접촉으로 반송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해 판 형상 부재를 비접촉으로 반송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장치 아래쪽 면에서 개구되는 원통실을 포함한다. 유체가 원통실에 공급되어 중앙부의 부압을 갖는 선회류를 발생시켜, 판 형상 부재를 흡인한다. 원통실로부터 유출하는 유체에 의해서 이 장치와 판 형상 부재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 장치에 의한 판 형상 부재의 비접촉 반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5-51260A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을 기초로 하여 이뤄진 것이며, 액체나 분체 등의 물체를 흡인하면서 흡인한 물체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는 흡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의 본체; 본체에 형성되는 평탄상의 단면; 단면에 형성되는 오목부; 오목부 안에 유체의 선회류를 형성하거나 오목부 안에 유체를 토출해 방사류를 형성하는 유체류 형성 수단으로서, 유체의 선회류나 방사류는 부압을 발생시켜 물체를 흡인하는, 유체류 형성 수단; 및 오목부를 둘러싸, 오목부로부터 단면을 따라서 유출하는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여, 유체를, 흡인 개시 전에 물체가 점유한 위치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흡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서, 안내부는 통 형상의 부재이며, 이 통 형상의 부재는, 이 통 형상의 부재의 개구 에지가 단면과 비교해 물체를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한층 더 바람직한 양상에서, 흡인 장치는, 개구 에지에 내향하게 형성되며 단면에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다.
본 발명의 한층 더 바람직한 양상에서, 안내부의 내주면에, 안내부의 내부 직경이 개구 에지를 향해 감소하도록 테이퍼가 형성되며, 안내부는, 오목부로부터 유출하는 유체를 내주면을 따라서 안내한다.
본 발명의 한층 더 바람직한 양상에서, 안내부는, 안내부의 다른 쪽의 개구 에지에 걸쳐서 연장하는 판 형상 부재를 가지며, 판 형상 부재는, 본체의, 단면과 반대측의 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상에서, 안내부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층 더 바람직한 양상에서, 흡인 장치는, 안내부의 외주를 둘러싸며, 관통공을 가지는 바닥을 포함하는 통 형상의 용기를 더 포함하고, 본체는, 오목부가 용기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관통공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한층 더 바람직한 양상에서, 용기의 내주면에는, 용기의 내부 직경이 관통공으로 향해 감소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층 더 바람직한 양상에서, 물체는 식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인 장치는, 액체나 분체 등의 물체를 흡인하면서 흡인한 물체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흡인 장치(10)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선회류 형성체(1)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흡인 장치(10)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폐기물 용기(3)를 부착한 흡인 장치(10)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커버부(23)를 생략한 흡인 장치(10A)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커버부(23)와 플랜지부(22)를 생략한 흡인 장치(10B)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방해판(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방해판(5)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방해판(5)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방해판(5)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다른 형상의 오목부(551)를 가지는 방해판(5E)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방해판(5)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오목부(12) 내에 볼록부(113)가 형성된 선회류 형성체(1A)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방사류 형성체(6)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흡인 장치(10)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은, 흡인 장치(10)의 평면도이며, 도 1(b)은, 도 1(a)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1(c)은, 흡인 장치(10)의 저면도이다. 흡인 장치(10)는, 물체 F가 부착한 것(물체 F보다 체적이 큼)으로부터 물체 F를 흡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체 F는, 주로 액체나 분체 등의 형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품이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10)는, 튀긴 음식(예를 들면, 튀긴 면)에 부착된 과도한 기름을 흡인하기 위한 기름 배출 장치나, 데친 식품(예를 들면, 데친 면)에 부착되는 뜨거운 물을 흡인하기 위한 뜨거운 물 배출 장치나, 분체 코팅된 식품에 부착되는 과도한 분체를 흡인하기 위한 분체 분리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 물체 F는, 구체적으로는 먼지나 쓰레기이다. 흡인 장치(10)는, 마루에 떨어진 먼지나 쓰레기를 흡인하는 청소기로서 기능한다.
흡인 장치(10)는, 선회류 형성체(1)와 케이스(2)를 포함한다. 선회류 형성체(1)는, 선회류를 형성해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물체 F를 흡인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선회류 형성체(1)는, 오목부(12) 내에 유체를 토출하는 것으로써 오목부(12) 내에 부압을 발생시켜, 물체 F를 흡인한다. 여기서 유체란, 예를 들면 압축 공기 등의 기체나 순수나 탄산수 등의 액체이다. 케이스(2)는, 선회류 형성체(1)를 수용해, 선회류 형성체(1)의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한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부재이다. 케이스(2)의 재질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다.
도 2는, 선회류 형성체(1)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선회류 형성체(1)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B-B 선 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C-C 선 단면도이다. 선회류 형성체(1)는 본체(11), 오목부(12), 단면(13), 2개의 분출구(14) 및 경사면(15)을 포함한다.
본체(11)는, 원 기둥 형상을 가진다. 본체(11)의 재질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다. 단면(13)은, 본체(11)의 하나의 면(구체적으로는, 물체 F에 임하는 면)(이하, "저면"이라고 함)에 평탄 상으로 형성된다. 오목부(12)는, 원 기둥 형상을 가지며, 단면(13)에 형성된다. 오목부(12)는, 본체(11)와 동일 축에 형성된다. 오목부(12)에 면하는 본체(11)의 내주 측면(111)에는, 오목부(12)의 직경이 개구부를 향해 증가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다. 2개의 분출구(14)는, 본체(11)의 오목부(12)에 면하는 내주 측면(111)에 형성된다. 2개의 분출구(14)는, 예를 들면, 내주 측면(111)의 축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며, 2개의 분출구(14)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11) 또는 오목부(12)의 중심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에 배치된다. 선회류 형성체(1)에 공급된 유체는 각 분출구(14)를 통해 오목부(12) 내에 토출된다. 경사면(15)은, 본체(11)의 개구 단부에 형성된다.
선회류 형성체(1)는, 또, 공급구(16), 환상 통로(17), 연통로(18) 및 2개의 공급로(19)를 포함한다. 공급구(16)는 원 형상을 가지며, 본체(11)의 상면(즉, 저면과 반대의 면)의 중앙에 설치된다. 공급구(16)는, 예를 들면 튜브를 통해 이 도면에 나타내 보일 수 없는 유체 공급 펌프에 접속된다. 이 공급구(16)를 통해 본체(11) 내에 유체가 공급된다. 환상 통로(17)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오목부(12)를 둘러싸도록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된다. 환상 통로(17)는, 오목부(12)와 동일 축에 형성된다. 환상 통로(17)는, 연통로(18)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공급로(19)에 공급한다. 연통로(18)는,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1)의 저면 또는 상면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한다. 연통로(18)는, 그 양단부에서 환상 통로(17)와 연통한다. 연통로(18)는, 공급구(16)를 통해 본체(11) 내에 공급되는 유체를 환상 통로(17)에 공급한다. 2개의 공급로(19)는, 단면(13)에 대해서 대략 평행이며, 한편 오목부(12)의 외주에 대해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2개의 공급로(19)는, 서로 평행으로 연장한다. 각 공급로(19)는, 그 일단이 환상 통로(17)와 연통하며, 그 타단이 분출구(14)와 연통한다. 각 공급로(19)는, 오목부(12) 내에 유체의 선회류를 형성한다. 각 공급로(1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유체류 형성 수단"의 일례이다.
다음에, 케이스(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21), 플랜지부(22) 및 커버부(23)를 포함한다.
안내부(21)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선회류 형성체(1)의 본체(11)의 외주 측면(11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안내부(21)는 오목부(12)의 개구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때, 안내부(21)는, 그 내주면(211)이, 선회류 형성체(1)의 본체(11)의 외주 측면(112)과 접촉하지 않게 배치된다. 또, 안내부(21)는, 안내부(21)의 개구 에지 중 하나, 개구 에지(212)가, 선회류 형성체(1)의 단면(13)과 비교해 물체 F를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안내부(21)의 축방향의 길이는, 선회류 형성체(1)의 본체(11)의 축방향의 길이와 비교해 길쭉하게 설정된다. 개구 에지(212)는, 선회류 형성체(1)의 단면(13)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개구 에지(212)의 외주 측에는, 경사면(213)이 형성된다. 안내부(21)의 내주면(211)에는, 안내부(21)의 내부 직경이 개구 에지(212)를 향해 감소하도록 선형 테이퍼가 형성된다. 테이퍼비는, 예를 들면 0.5 퍼센트 정도이다.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안내부(21)는, 선회류 형성체(1)의 오목부(12)로부터 단면(13)에 따라서 유출하는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여, 이 유체를 물체 F의 위치(정확하게는, 흡인 개시 전 물체 F가 점유한 위치)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안내한다. 안내부(21)는 특히, 오목부(12)로부터 단면(13)에 따라서 유출하며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여, 이 유체를, 물체 F의 흡인 방향의 방향 성분을 포함할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21)는, 선회류 형성체(1)의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를 내주면(211)을 따라서, 개구 에지(212)로부터 개구 에지(214)를 향해서 안내한다. 오목부(12)로부터 단면(13)을 따라 유출하는 유체는, 안내부(21)의 내주면(211)에 충돌하면, 이 내주면을 따라, 이 내주면(211)과 본체(11)의 외주 측면(112) 사이를 개구 에지(214)를 향해 흐른다. 그때, 이 유체는,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할 때에 반경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고 유출하므로, 내주면(211) 상을 나사상으로 흐른다.
플랜지부(22)는, 안내부(21)의 개구 에지(212)에 내향하게 형성되는 원 환상의 부재이다. 플랜지부(22)는, 선회류 형성체(1)의 단면(13)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때, 플랜지부(22)의 폭 또는 반경 방향의 길이는, 플랜지부(22)가 단면(13)을 가리면서, 오목부(12)의 저면을 가리지 않는 정도로 설정된다. 플랜지부(22)와 단면(13) 사이의 갭은, 유체 공급 펌프로부터 흡인 장치(10)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면, 이 갭은,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가,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를 통과하지 않고, 플랜지부(22)와 단면(13)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도록 설정된다. 그때, 흡인 장치(10)의 흡인력이 떨어지지 않게, 가능한 한 이 갭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3)는, 안내부(21)의 개구 에지(214)에 걸쳐서 배치되는 원 판 형상의 부재이다. 커버부(23)의 바깥 에지에는, 4개의 함몰(23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커버부(23)와 안내부(21)의 개구 에지(214) 사이에 4개의 개구부(232)가 형성된다. 안내부(21)에 의해 안내된 유체는, 이 개구부(232)를 통해 흡인 장치(10)의 밖에 토출된다. 커버부(23)의 바깥 에지의 함몰(231) 사이에 끼워진 대략 직사각형 상태의 부분(볼록부(233))의 면이 개구 에지(214)에 고정된다. 또, 커버부(23)의 중앙에는, 원 형태의 관통공(234)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234)을 통해 선회류 형성체(1)의 공급구(16)에 대해서, 유체 공급 펌프로부터 연장되는 튜브가 접속된다. 커버부(23)는, 선회류 형성체(1)의 본체(11)의 상면에 고정된다. 고정 방법은, 예를 들면 나사 고정이다. 그때, 각 나사는, 커버부(23)에 대해서 수직으로(환언하면, 본체(11)의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흡인 장치(10)의 흡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선회류 형성체(1)에 공급구(16)를 통해 유체 공급 펌프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그 유체는, 연통로(18), 환상 통로(17) 및 공급로(19)를 통과하여 분출구(14)로부터 오목부(12) 내에 토출된다. 오목부(12)에 토출된 유체는, 오목부(12) 내에서 선회류가 되어 그 후, 오목부(12)의 개구부로부터 유출한다. 그때,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에 대향하는 위치에, 물체 F가 부착한 것(이하, "물체 보관 유지체 M"라고 함)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목부(12)에의 외부 유체의 유입이 제한되어 선회류의 원심력과 엔트레인먼트 효과에 의해, 선회류 중앙부의 단위 체적 당 유체 분자의 밀도가 작아져, 오목부(12) 내에 부압이 발생한다. 이 결과, 물체 보관 유지체 M에 부착한 물체 F는, 압력이 가해져 흡인 장치(10) 측에 끌리게 된다.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한 유체는,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를 통과하지 않고, 플랜지부(22)와 단면(13)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여, 유체는 안내부(21)의 내주면(211)에 충돌한다. 내주면(211)과 충돌 후, 유체는, 내주면(211)과 본체(11)의 외주 측면(112) 사이를 개구 에지(214)를 향해 흘러 이윽고 커버부(23)의 개구부(232)를 통해 흡인 장치(10)의 밖으로 유출된다. 흡인 장치(10) 측에 끌린 물체 F는, 이 유체의 흐름을 타고, 커버부(23)의 개구부(232)를 통해 흡인 장치(10)의 밖에 토출된다.
도 3은, 흡인 장치(10)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나는 예는, 흡인 장치(10)를 기름 배출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물체 F로서 기름이 상정되며 물체 보관 유지체 M로서 튀김(예를 들면, 튀긴 면)이 상정되고 있다. 물체 보관 유지체 M는, 튀김 바구니 B에 격납되고, 메쉬 형상의 벨트 컨베이어 C 상을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된다. 흡인 장치(10)는, 벨트 컨베이어 C에 걸쳐서 반송되는 튀김 바구니 B의 저면과 대향하도록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흡인 장치(10)는, 오목부(12)가 벨트 컨베이어 C 측에 개구하도록 배치된다. 그때, 흡인 장치(10)와 튀김 바구니 B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 한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컨베이어 C가 반송하는 튀김 바구니 B가 흡인 장치(10)의 상방에 접어들면, 튀김 바구니 B에 격납되는 물체 보관 유지체 M는, 선회류 형성체(1)에 의해 생성되는 부압을 받아, 물체 보관 유지체 M은 선회류 형성체(1) 측에 끌리게 된다. 그러나 물체 보관 유지체 M는, 그 사이즈가 튀김 바구니 B의 메쉬 사이즈보다 크기 때문에, 튀김 바구니 B의 메쉬 사이즈보다 작은, 물체 보관 유지체 M에 부착된 기름 방울만이 선회류 형성체(1) 측에 끌리게 된다. 선회류 형성체(1)에 의해 흡인된 기름 방울은, 선회류 형성체(1)의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를 타고, 플랜지부(22)와 단면(13)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여, 안내부(21)의 내주면(211)을 따라서 개구 에지(214)를 향해 흘러 이윽고 커버부(23)의 개구부(232)를 통해 흡인 장치(10)의 밖에 유출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흡인 장치(10)가 1개밖에 나타나지 않지만, 튀김 바구니 B의 반송 루트 상에 복수의 흡인 장치(10)를 배치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는, 흡인 장치(10)를, 튀김 바구니 B와 동기화해 이동시키도록 제어해도 괜찮다.
이상 설명한 흡인 장치(10)에 의하면, 선회류 형성체(1) 내에서 발생하는 선회류의 흡인력만을 분리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와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충돌이 억제되어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기복이 억제된다. 또, 물체 보관 유지체 M가 유출 유체에 의해 회전 당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또, 흡인 장치(10)에 의하면, 물체 F의 비산 방향을 물체 F의 흡인 방향(바꾸어 말하면, 도 1(b)의 상부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안내부(21)를 갖추지 않고 물체 F를 수평 방향으로 비산하는 경우와 비교하고, 물체 F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흡인 장치(10)에 의하면, 흡인한 물체 F는 모두 흡인 장치(10)의 밖에 토출되어 오목부(12)나 분출구(14)에 침입할 것은 없기 때문에, 물체 F에 의해 유체의 공급로가 오염되는 것이 없다.
2. 변형예
상기의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형해도 괜찮다. 또, 이하의 변형예는, 서로 조합해도 괜찮다.
2-1. 변형예 1
상기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흡인 장치(10)에, 흡인 장치(10)로 흡인하는 물체 F를 수용하기 위한 폐기물 용기(3)를 제공해도 괜찮다. 도 4는, 폐기물 용기(3)를 부착한 흡인 장치(10)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는, 폐기물 용기(3)를 부착한 흡인 장치(10)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D-D선 단면도이다. 폐기물 용기(3)는, 그 중앙에 관통공(321)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용기이다. 흡인 장치(10)는, 폐기물 용기(3)의 관통공(321) 내에, 오목부(12)가 폐기물 용기(3)의 외측으로 향해 개구하도록 배치된다. 폐기물 용기(3)는 안내부(31), 플랜지부(32), 커버부(33) 및 지지봉(34)을 구비한다.
안내부(31)는, 원통 형상을 가져, 흡인 장치(10)의 케이스(2)의 외주 측면(215)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안내부(31)는 안내부(21)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때, 안내부(31)는, 그 내주면(311)이, 안내부(21)의 외주 측면(215)과 접촉하지 않게 배치된다. 또, 안내부(31)는, 안내부(31)의 개구 에지 중 하나, 개구 에지(312)가, 흡인 장치(10)의 개구 에지(212)와 비교해 물체 F 측을 향해 돌출하지 않게 배치된다. 안내부(31)의 축방향의 길이는, 흡인 장치(10)의 안내부(21)의 축방향의 길이와 비교해 길쭉하게 설정된다. 개구 에지(312)는, 선회류 형성체(1)의 단면(13)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개구 에지(312)의 외주 측에는, 경사면(313)이 형성된다. 안내부(31)의 내주면(311)에는, 안내부(31)의 내부 직경이 관통공(321)을 향해 감소하도록 선형 테이퍼가 형성된다. 테이퍼비는, 예를 들면 0.35 퍼센트 정도이다.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안내부(31)는, 흡인 장치(10)의 개구부(23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여, 이 유체는 물체 F의 위치(정확하게는, 흡인 개시 전 물체 F가 점유한 위치)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흐른다. 그때, 안내부(31)는, 이 유체를, 물체 F의 흡인 방향의 방향 성분을 포함할 방향으로 안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31)는 개구부(23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를 내주면(311)을 따라서, 개구 에지(312)로부터 개구 에지(314)를 향해서 안내한다. 흡인 장치(10)의 개구부(23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는, 안내부(31)의 내주면(311)을 따라서 개구 에지(314)를 향해 흐른다. 그때, 이 유체는,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할 때에 반경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갖고 유출하기 때문에, 내주면(311) 상을 나사상으로 흐른다.
플랜지부(32)는, 안내부(31)의 개구 에지(312)에 내향하게 형성되는 환상의 부재이다. 플랜지부(32)는, 선회류 형성체(1)의 단면(13)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플랜지부(32)의 관통공(321)의 내부 직경은, 흡인 장치(10)의 안내부(21)의 외부 직경과 동일해지도록 설정된다. 즉, 플랜지부(32)는, 그 내주 측면(322)이, 안내부(21)의 외주 측면(215)과 접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커버부(33)는, 안내부(31)의 개구 에지(314) 내로 끼워지는 원판 형상의 부재이다. 커버부(33)의 중앙에는, 원 형태의 관통공(331)이 형성된다. 또, 커버부(33)에는, 관통공(331)을 둘러싸도록, 원 형태의 관통공(332)이 2열에 걸쳐서 형성된다. 관통공(331 및 332)의 사이즈와 수는, 예를 들면 흡인 장치(10)에 의해 흡인되는 물체 F의 종류에 의해서 결정된다. 안내부(31)에 안내된 유체는, 관통공(331 및 332)을 통해 폐기물 용기(3)의 밖으로 토출된다. 그때, 관통공(331 및 332)보다 사이즈가 큰 물체 F는, 폐기물 용기(3)의 밖에 토출되지 않고, 폐기물 용기(3) 내에 수용되게 된다. 관통공(331 및 332) 중 어느 쪽이든지를 통해 선회류 형성체(1)의 공급구(16)에 대해서, 유체 공급 펌프로부터 연장하는 튜브가 접속된다. 커버부(33)는, 4개의 기둥 형상의 지지봉(34)을 통해 흡인 장치(10)의 커버부(23)의 상면에 고정된다. 고정 방법은, 예를 들면 나사 고정이다.
이상 설명한 폐기물 용기(3)를 부착한 흡인 장치(10)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청소기로서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인 장치(10)의 플랜지부(22)를 마루의 면에 접근하고, 마루의 면에 떨어지고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흡인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는, 폐기물 용기(3)를 부착한 흡인 장치(10)는 도 3을 참조해 설명한 것처럼, 기름 배출 장치로서 사용될 수 도 있다. 단지, 이 경우는, 흡인 장치(10)의 물체 F 흡인 방향과 중력 방향이 일치하므로(즉, 흡인 장치(10)의 오목부(12)가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개구하는 상태로 사용되므로), 흡인 장치(10)는, 커버부(33)에 관통공(331) 및 관통공(332)을 형성하는 대신에, 플랜지부(32)에,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환기공을 형성하도록 해도 괜찮다.
2-2. 변형예 2
상기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흡인 장치(10)에 있어서, 커버부(23)를 생략해도 괜찮다. 도 5는, 커버부(23)를 생략한 흡인 장치(10A)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는, 흡인 장치(10A)의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E-E선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F-F선 단면도이다. 흡인 장치(10A)는, 흡인 장치(10A)가 커버부(23)가 생략되고 있는 점과 선회류 형성체(1)로 케이스(2A)를 접속하는 4개의 연결 부재(4)가 갖춰져 있는 점에 있어서 흡인 장치(10)와 상이하다.
연결 부재(4)는, 각각 원 기둥의 형상을 가지는 스페이서이다. 연결 부재(4)는, 단면(13)으로부터 돌출하며 플랜지부(22)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연결 부재(4)의 한편의 면은 단면(13)에 고정되며 다른 쪽의 면은 플랜지부(22)의 한편의 면(구체적으로는, 단면(13)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고정된다. 그 결과, 본체(11)와 케이스(2A)는 연결 부재(4)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 부재(4)는, 단면(13)과 플랜지부(22) 사이에,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가 흐르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이 유로는 단면(13) 및 플랜지부(22)에 대해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는, 이 유로를 따라서 흐르고(즉, 단면(13)과 플랜지부(22)의 표면에 평행하게 흐르고), 안내부(21)의 내주면(211)에 충돌한다. 이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는,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에서는 유출하지 않는다. 연결 부재(4)의 높이(즉, 단면(13)과 플랜지부(22) 사이의 갭)는, 유체 공급 펌프로부터 흡인 장치(10A)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면, 이 높이는,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가,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를 통과하지 않고, 연결 부재(4)에 의해 단면(13)과 플랜지부(22)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도록 설정된다. 그때, 흡인 장치(10A)의 흡인력이 떨어지지 않게, 가능한 한 연결 부재(4)의 높이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부재(4)는, 바람직하게는, 이 연결 부재(4)에 의해 단면(13)과 플랜지부(22)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연결 부재(4)는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 위치(또는, 유량이 다른 위치와 비교해 적은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는, 화살표 A1 또는 A2로 나타낸 유로와 교차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은,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와 연결 부재(4)가 충돌하는 것으로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의 유로는, 오목부(12)의 직경이나 깊이 및 유체의 유속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 여기서 유로란, 예를 들면,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하는 유체의 합성 벡터에 의해 나타내진다.
또한, 연결 부재(4)의 형상은, 원 기둥에 한정되지 않고 각 기둥이나 타원 기둥이라도 좋다. 또, 연결 부재(4)의 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더 적어도 더 많아도 괜찮다. 또, 연결 부재(4)의 배치는, 플랜지부(22)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 중앙, 외측 중 어느 하나 여도 괜찮다.
2-3. 변형예 3
상기의 변형예 2와 관련되는 흡인 장치(10A)에 있어서, 플랜지부(22)를 한층 더 생략해도 괜찮다. 도 6은, 플랜지부(22)를 한층 더 생략한 흡인 장치(10B)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은, 흡인 장치(10B)의 평면도이며, 도 6(b)은, 도 6(a)의 G-G선 단면도이며, 도 6(c)은, 흡인 장치(10B)의 저면도이다. 흡인 장치(10B)는, 흡인 장치(10B)가 플랜지부(22)가 생략되고 있는 점과 선회류 형성체(1)로 케이스(2B)를 접속하는 4개의 연결 부재(4A)가 연결 부재(4) 대신에 갖춰져 있는 점에서 흡인 장치(10A)와 상이하다.
연결 부재(4A)는, 선회류 형성체(1)의 외주 측면(112)으로부터 안내부(21)의 내주면(211)을 향해 돌출하는 원 기둥의 형상의 스페이서이다. 연결 부재(4A)의 한편의 면은 외주 측면(112)에 고정되며 다른 쪽의 면은 내주면(211)에 고정된다. 그 결과, 본체(11)와 케이스(2B)는 연결 부재(4A)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 부재(4A)는, 외주 측면(112)과 내주면(211) 사이에, 오목부(12)로부터 유출해 그 흐름이 내주면(211)에 의해서 규제된 유체가 흐르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연결 부재(4A)의 형상은, 원 기둥에 한정되지 않고 각 기둥이나 타원 기둥이라도 좋다. 또, 연결 부재(4A)의 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더 적어도 더 많아도 괜찮다. 또, 연결 부재(4A)의 배치는, 안내부(21)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측, 중앙, 하측에 배치되어도 괜찮다.
2-4. 변형예 4
상기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흡인 장치(10)에 있어서,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오목부(12) 내에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해판(5)을 달아도 괜찮다. 도 7은, 방해판(5)의 평면도이다.
방해판(5)은, 원판 형태의 수지제의 평판이다. 방해판(5)은, 원판 형태의 개구부를 가지는 원판부(51)와, 원판부(51)의 개구부에 걸쳐서 뻗어 있는 복수의 막대형 부재(52a 및 52b)(이하, 총칭해 "막대형 부재(52)"라고 함)와, 막대형 부재(52a 및 52b)의 사이에 뻗어 있는 복수의 환상 부재(53a 및 53b)(이하, 총칭해 "환상 부재(53)"라고 함)를 가진다. 방해판(5)은, 플랜지부(22)와 동심이며 플랜지부(22)와 평행이 되도록 플랜지부(22)의 한편의 면(구체적으로는, 단면(13)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부착된다. 방해판(5)은 예를 들면 나사 고정에 의해 플랜지부(22)에 부착된다. 원판부(51)는, 방해판(5)이 케이스(2)에 장착되었을 때에, 그 한편의 면이 플랜지부(22)로 대향한다. 막대형 부재(52a 및 52b)는, 원판부(51)의 개구부의 중앙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한다. 막대형 부재(52a 및 52b)는, 방해판(5)이 케이스(2)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에 걸쳐 연장한다. 막대형 부재(52a 및 52b)는, 예를 들면 십자를 형성하도록 연장한다. 환상 부재(53a 및 53b)는, 막대형 부재(52a 및 52b)가 교차하는 교점을 중앙으로서 동심원을 형성한다. 가장 안쪽에 배치되는 환상 부재(53a)와 막대형 부재(52a 및 52b)의 교점과의 사이에는 극간이 설치된다. 즉, 환상 부재(53a)는, 방해판(5)이 케이스(2)에 부착되었을 때,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의 중앙을 가리지 않게 설치된다. 따라서, 환상 부재(53a)는, 오목부(12) 내에 흡인되는 유체의 유입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방해판(5)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방해판(5)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나는 방해판(5A)에서는, 상기의 방해판(5)과 비교하고, 가장 안쪽에 배치되는 환상 부재(53a)보다 안쪽의 영역에 있어서, 막대형 부재(52a 및 52b)가 절제되고 있다. 이 방해판(5A)은, 원판부(51), 막대형 부재(52c, 52d, 52e 및 52f) 및 환상 부재(53a 및 53b)를 가진다. 막대형 부재(52c, 52d, 52e 및 52f)는, 각각 원판부(51)의 개구 에지로부터, 그 개구부의 중앙을 향해 연장하는 동일 길이의 부재이다. 막대형 부재(52c, 52d, 52e 및 52f)는, 각각 서로 이웃이 되는 막대형 부재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한다. 환상 부재(53a)는, 그 외주 에지가 각 막대형 부재(52c, 52d, 52e 및 52f)의 선단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환상 부재(53b)는, 환상 부재(52b)와 동심이 되도록, 각 막대형 부재(52c, 52d, 52e 및 52f)의 사이에 연장한다.
도 9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방해판(5)의 평면도이다. 도 9(a)에 나타나는 방해판(5B)은, 원판부(51)의 개구부에, 원 형태의 성기게 짜인 메쉬부(54)를 가진다. 메쉬부(54)는, 방해판(5B)이 케이스(2)에 장착되면,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를 덮다. 도 9(b)에 나타나는 방해판(5C)은, 원판부(51)의 개구부에, 원 형태의 조밀하게 짜인 메쉬부(55)를 가진다. 메쉬부(55)는, 방해판(5C)이 케이스(2)에 장착되면,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를 덮다. 도 9(c)에 나타나는 방해판(5D)은, 원판부(51) 대신에, 그 중앙부에 복수의 원형 구멍을 가지는 원판부(51A)를 가진다. 또한, 상기의 방해판(5B)에서, 메쉬부(54) 대신에 다공질 재료를 채용해도 괜찮다.
도 10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방해판(5)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a)은, 방해판(5E)의 평면도이며, 도 10(b)은, 도 10(a)의 H-H선 단면도이다. 방해판(5E)은, 원판부(51)의 개구부에, 원 형태의 조밀하게 짜인 메쉬부(55A)를 가진다. 이 메쉬부(55A)는, 그 중앙부에 원뿔 형상의 오목부(551)를 가진다. 방해판(5E)은, 이 오목부(551)가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에 함몰하도록 케이스(2)에 부착된다. 이 오목부(551)에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일부 또는 전부가 들어가 있거나 잠겨있다면, 오목부(551)를 형성하는 메쉬부(55A)의 경사면에 의해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위치가 결정된다. 오목부(551)의 바닥이 메쉬부(55A)의 다른 부분보다 선회류 형성체(1)의 오목부(12)에 가깝기 때문에, 오목부(551)에 들어가 있거나 잠겨 있는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보다 강하게 흡인된다. 또한, 오목부(551)의 직경이나 깊이는,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오목부(551)의 형상도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어도 좋다. 도 11은, 다른 형상의 오목부(551)를 가지는 방해판(5E)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a)은, 방해판(5F)의 평면도이며, 도 11(b)은, 도 11(a)의 I-I선 단면도이다. 방해판(5F)은, 원판부(51)의 개구부에, 원 형태의 조밀하게 짜인 메쉬부(55B)를 가지며 이 메쉬부(55B)는, 그 중앙부에 반구 형상의 오목부(551A)를 가진다. 또한, 오목부(551)의 형상은, 얇고 긴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방향과 배치가 가능하게 될 수 있도록 홈 형상이어도 괜찮다.
도 12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방해판(5)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a)는, 방해판(5G)의 사시도이며, 도 12(b)는, 도 12(a)의 J-J선 단면도이다. 방해판(5G)은, 원판부(51) 대신에, 그 중앙부에 개구부(511)를 가지는 원판부(51B)를 가진다. 개구부(511)는 관통공이다. 원판부(51B)는, 그 개구 단부에 4개의 규제부(512)를 가진다. 규제부(512)는, 예를 들면, 원판부(51B)의 개구 단부에 대해서 R 굽힘 가공을 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규제부(512)는, 용수철 같은 탄성을 가진다. 방해판(5G)은, 이 규제부(512)가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 측에 돌출하도록, 케이스(2)에 장착된다. 방해판(5G)의 개구부(511)에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일부가 들어가 있거나 잠겨 있으면, 개구부(511)를 둘러싸는 규제부(512)에 의해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움직임(방해판(5G)에 대해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개구부(511)에 들어가 있거나 잠겨 있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선회류 형성체(1)의 오목부(12)에 가깝기 때문에 보다 강하게 흡인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도 12(b)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체 보관 유지체 M로서 예를 들면 구체나 타원체의 물건을 상정하고 있다. 또, 개구부(511)의 형상 및 크기는, 물체 보관 유지체 M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2-5. 변형예 5
상기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회류 형성체(1)에 있어서, 오목부(12) 내에 볼록부(113)를 형성해도 좋다. 도 13은, 오목부(12) 내에 볼록부(113)가 형성된 선회류 형성체(1A)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a)은, 선회류 형성체(1A)의 저면도이며, 도 13(b)은, 도 13(a)의 K-K선 단면도이다. 볼록부(113)는, 원 기둥 형상을 가지며, 오목부(12)의 바닥으로부터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볼록부(113)는, 본체(11) 또는 오목부(12)와 동일 축에 형성된다. 볼록부(113)의 상면(구체적으로는, 물체 F와 대향하는 면)은, 단면(13)에 대해서 오목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볼록부(113)는, 그 외주측면과 본체(11)의 내주 측면(111) 사이에 유체 유로를 형성해, 오목부(12) 내에 토출된 유체는, 이 유체 유로를 흐르는 것으로 선회류를 형성한다. 또한, 볼록부(113)의 상면은, 단면(13)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어도 괜찮다. 또, 볼록부(113)의 상면의 단부는, 모따기 되어도 괜찮다.
2-6. 변형예 6
상기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흡인 장치(10)에 있어서, 선회류 형성체(1) 대신에 방사류를 형성하는 방사류 형성체를 채용해도 괜찮다. 도 14는, 방사류 형성체(6)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a)는, 방사류 형성체(6)의 사시도이며, 도 14(b)는, 방사류 형성체(6)의 저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a)의 L-L선 단면도이다. 방사류 형성체(6)는, 유체를 토출하는 것으로써 방사류 형성체(6)와 물체 F 사이에 부압을 발생시켜 물체 F를 흡인하는 장치이다.
방사류 형성체(6)는, 본체(61), 환상 오목부(62), 단면(63), 대향면(64) 및 경사면(65)을 갖추고 있다. 본체(61)는, 원 기둥 형상을 가진다. 단면(63)은, 본체(61)의 하나의 면(구체적으로는, 물체 F에 임하는 면)(이하, "저면"이라고 함)에 평탄 상으로 형성된다. 환상 오목부(62)는 단면(63)에 형성된다. 환상 오목부(62)는, 본체(61)의 외주와 동심원상에 형성된다. 대향면(64)은, 본체(61)의 저면에 평탄 상으로 형성된다. 대향면(64)은, 환상 오목부(62)에 둘러싸여 물체 F와 대향하는 면이다. 대향면(64)은, 본체(61)의 저면에서, 단면(63)에 대해서 오목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65)은, 환상 오목부(62)의 개구부(구체적으로는, 그 외주 에지)에 형성된다.
방사류 형성체(6)는, 또, 6개의 노즐 구멍(66), 도입구(67), 도입로(68), 환상 통로(69) 및 연통로(70)를 한층 더 구비한다. 도입구(67)는, 원 형상을 가지며, 본체(61)의 상면(즉, 저면과 반대의 면)의 중앙에 설치된다. 도입구(67)는, 예를 들면 튜브를 통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유체 공급 펌프와 접속된다. 도입로(68)는, 본체(61)의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61)의 중심 축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한. 도입로(68)는, 그 일단이 도입구(67)와 연통하며 그 타단이 연통로(70)와 연통한다. 도입로(68)는, 도입구(67)를 통해 본체(61) 내에 공급되는 유체를 연통로(70)에 공급한다. 연통로(70)는, 본체(61)의 내부에 설치되어 환상 통로(69)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한다. 연통로(70)는, 그 축방향 중앙부에서 도입로(68)와 연통하며 그 양단부에서 환상 통로(69)와 연통한다. 연통로(70)는, 도입로(68)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환상 통로(69)에 공급한다. 환상 통로(69)는 원통 형상을 가져, 본체(61)의 내부에 설치된다. 환상 통로(69)는, 본체(61)와 동일 축에 형성된다. 환상 통로(69)는, 연통로(7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노즐 구멍(66)에 공급한다. 6개의 노즐 구멍(66)은, 각각, 단면(63) 또는 대향면(64)에 대해서 대략 평행이며, 한편 본체(61)의 저면 또는 상면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그 일단은 환상 통로(69)와 연통하며, 그 타단은 환상 오목부(62)와 연통한다. 6개의 노즐 구멍(66)은, 서로 이웃이 되는 노즐 구멍(66)을 통해 방사류 형성체(6)의 중앙에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이 서로 대략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각 노즐 구멍(66)은, 환상 오목부(62) 내에 기체 등의 유체를 토출해 방사류를 형성한다. 각 노즐 구멍(6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유체류 형성 수단"의 일례이다.
이상 설명한 방사류 형성체(6)에 대해서 도입구(67)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이 유체는, 노즐 구멍(66)으로부터 환상 오목부(62) 내에 토출되기 전에 도입로(68), 연통로(70) 및 환상 통로(69)를 통과한다. 환상 오목부(62)에 토출된 유체는, 환상 오목부(62)의 개구부로부터 유출한다. 그때, 플랜지부(22)의 개구부(221)에 대향하는 위치에, 물체 보관 유지체 M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대향면(64)과 물체 보관 유지체 M 사이의 공간으로의 외부 유체의 유입이 제한되어 방사류의 엔트레인먼트 효과에 의해, 이 공간의 단위 체적 당 유체 분자의 밀도가 작아져 부압이 발생한다. 결국, 물체 보관 유지체 M에 부착한 물체 F는, 주위의 유체에 의해서 압력이 가해져 방사류 형성체(6) 측에 끌리게 된다.
또한, 방사류 형성체(6)의 구조(특히, 노즐 구멍(66)의 수와 본체(61) 내의 유체 유로의 구조)는, 도 14에 나타낸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구조는, 방사류 형성체(6)에 의해 흡인되는 물체 F의 사이즈, 형상 및 재질에 따라 결정되어도 좋다.
2-7. 변형예 7
상기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흡인 장치(10)에 있어서, 선회류 형성체(1) 대신에, 주지의 전동 팬을 채용해도 괜찮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11-138948호 공보 참조). 구체적으로는, 선회류 형성체(1)의 본체(11)에 흡기구를 설치함과 함께, 오목부(12) 내에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서 오목부(12) 내에 흡기구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오목부(12) 내에 선회류를 발생하게 하는 팬을 설치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 팬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유체류 형성 수단"의 일례이다.
2-8. 변형예 8
상기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회류 형성체(1)의 본체(11)와 오목부(12)의 형상은, 원 기둥에 한정되지 않고 각 기둥이나 타원 기둥이라도 좋다. 또, 선회류 형성체(1)에 설치되는 공급로(19)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더 적거나 더 많아도 괜찮다. 또, 경사면(15)은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즉, 단면(13)의 단부는 모따기 하지 않아도 된다).
2-9. 변형예 9
상기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케이스(2)의 안내부(21)는, 반드시 하나의 원통 형상 부재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복수의 평판 형상의 부재를 환상으로 늘어 놓아 배치하는 것으로써 형성되어도 괜찮다. 안내부(21)의 형상은, 원통에 한정되지 않고 각통이나 타원통이라도 좋다. 안내부(21)의 내주면(211)에 형성되는 테이퍼는, 선형 테이퍼로 한정되지 않고 지수함수 테이퍼나 포물선 테이퍼라도 좋다. 또는, 작은 단차에 의해 구성되는 테이퍼여도 괜찮다. 또는, 상기의 실시 형태와는 반대로, 안내부(21)의 내주면(211)은, 안내부(21)의 내부 직경이 개구 에지(212)를 향해 증가하도록 테이퍼를 가져도 괜찮다. 또는, 테이퍼의 형성을 생략해도 괜찮다. 플랜지부(22)의 형상은, 원환에 한정되지 않고 각환이나 타원환이어도 괜찮다. 커버부(23)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이나 타원이라도 좋다.
2-10. 변형예 10
변형예 1과 관련되는 폐기물 용기(3)의 안내부(31)의 형상은, 원통에 한정되지 않고 각통이나 타원통이라도 좋다. 안내부(31)의 내주면(311)에 형성되는 테이퍼는, 선형 테이퍼에 한정되지 않고 지수함수 테이퍼나 포물선 테이퍼라도 좋다. 또는, 작은 단차에 의해 구성되는 테이퍼여도 괜찮다. 또는, 상기의 변형예 1과는 반대로, 안내부(31)의 내주면(311)은, 안내부(31)의 내부 직경이 개구 에지(312)를 향해 증가하도록 테이퍼를 가져도 괜찮다. 또는, 테이퍼의 형성을 생략해도 괜찮다. 플랜지부(32)의 형상은, 원환에 한정되지 않고 각환이나 타원환이어도 괜찮다. 커버부(33)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이나 타원이라도 좋다.
2-11. 변형예 11
상기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흡인 장치(10)는, 반도체 웨이퍼나 유리 기판 등의 판 형상의 부재를 흡인하여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괜찮다.
1: 선회류 형성체 2: 케이스
3: 폐기물 용기 4: 연결 부재
5: 방해판 6: 방사류 형성체
10: 흡인 장치 11: 본체
12: 오목부 13: 단면
14: 분출구 15: 경사면
16: 공급구 17: 환상 통로
18: 연통로 19: 공급로
21: 안내부 22: 플랜지부
23: 커버부 31: 안내부
32: 플랜지부 33: 커버부
34: 지지봉 51: 원판부
52: 막대형 부재 53: 환상 부재
54: 메쉬부 55: 메쉬부
61: 본체 62: 환상 오목부
63: 단면 64: 대향면
65: 경사면 66: 노즐 구멍
67: 도입구 68: 도입로
69: 환상 통로 70: 연통로
111: 내주 측면 112: 외주 측면
113: 볼록부 211: 내주면
212: 개구 에지 213: 경사면
214: 개구 에지 215: 외주 측면
221: 개구부 231: 함몰
232: 개구부 233: 볼록부
234: 관통공 311: 내주면
312: 개구 에지 313: 경사면
314: 개구 에지 321: 관통공
322: 내주 측면 331: 관통공
332: 관통공 511: 개구부
512: 규제부 551: 오목부

Claims (9)

  1. 기둥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평탄상의 단면;
    상기 단면에 형성되는 오목부;
    상기 오목부 안에 유체의 선회류를 형성하거나 상기 오목부 안에 유체를 토출해 방사류를 형성하는 유체류 형성 수단으로서, 상기 유체의 선회류나 방사류는 부압을 발생시켜 물체를 흡인하는, 유체류 형성 수단; 및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단면을 따라서 유출하는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여, 상기 유체를, 흡인 개시 전에 상기 물체가 점유한 위치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통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통 형상의 부재는, 상기 통 형상의 부재의 개구 에지가 상기 단면과 비교해 상기 물체를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흡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 에지에 내향하게 형성되며, 상기 단면에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흡인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내부의 내부 직경이 상기 개구 에지를 향해 감소하도록 테이퍼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유출하는 유체를 상기 내주면을 따라서 안내하는, 흡인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부의 다른 쪽의 개구 에지에 걸쳐서 연장하는 판 형상 부재를 가지며;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단면과 반대측의 면에 고정되는, 흡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흡인 장치.
  6.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외주를 둘러싸며, 관통공을 가지는 바닥을 포함하는 통 형상의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상기 관통공 내에 배치되는, 흡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 직경이 상기 관통공으로 향해 감소하도록 테이퍼가 형성되는, 흡인 장치.
  8.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식품인, 흡인 장치.
  9. 삭제
KR1020187006339A 2015-08-11 2016-06-30 흡인 장치 KR102003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9205A JP6116629B2 (ja) 2015-08-11 2015-08-11 吸引装置
JPJP-P-2015-159205 2015-08-11
PCT/JP2016/069384 WO2017026189A1 (ja) 2015-08-11 2016-06-30 吸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014A KR20180038014A (ko) 2018-04-13
KR102003173B1 true KR102003173B1 (ko) 2019-07-23

Family

ID=5798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339A KR102003173B1 (ko) 2015-08-11 2016-06-30 흡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54654B2 (ko)
EP (1) EP3335607B1 (ko)
JP (1) JP6116629B2 (ko)
KR (1) KR102003173B1 (ko)
CN (1) CN107847097B (ko)
SG (1) SG11201800898QA (ko)
TW (1) TWI615340B (ko)
WO (1) WO2017026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4630B2 (ja) * 2016-12-16 2020-08-19 株式会社ハーモテック 邪魔板
JP2019042895A (ja) * 2017-09-05 2019-03-22 株式会社ハーモテック 吸引装置
JP6924488B2 (ja) 2018-04-12 2021-08-25 株式会社ハーモテック 旋回流形成体
US10710810B2 (en) * 2018-08-27 2020-07-14 HKC Corporation Limited O-ring and conveyance apparatus
CN109227591A (zh) * 2018-09-14 2019-01-18 合肥安信瑞德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手持式便于抓取阀片的工具
JP7213648B2 (ja) * 2018-09-27 2023-01-2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WO2020185691A1 (en) 2019-03-08 2020-09-17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CN212939453U (zh) 2019-03-08 2021-04-13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食品处理系统、用于其的容器组合件及与其一起使用的附件
CN213030535U (zh) 2019-03-08 2021-04-23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食品处理系统及与其一起使用的附件、附接组件
USD924007S1 (en) 2019-06-06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Strainer blender accessory
USD925270S1 (en) 2019-06-06 2021-07-2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40500S1 (en) 2019-06-06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USD927256S1 (en) 2019-06-06 2021-08-1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JP7389464B2 (ja) 2019-11-29 2023-11-30 株式会社ハーモテック 吸引装置
JP7402081B2 (ja) * 2020-02-27 2023-1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7426257B2 (ja) 2020-02-27 2024-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2022158279A (ja) 2021-04-01 2022-10-17 株式会社ハーモテック 搬送装置、排出整流カバーおよびスカート
IL292157A (en) * 2022-04-11 2023-11-01 Tracense Systems Ltd A head for a suc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it
CN116759369B (zh) * 2023-08-17 2023-10-31 北京锐洁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伯努利手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260A (ja) * 2000-06-09 2005-02-24 Harmotec Corp 非接触搬送装置
JP2010088751A (ja) * 2008-10-10 2010-04-22 Trinc:Kk 除塵機
KR101439575B1 (ko) * 2007-03-08 2014-09-11 닛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노즐, 드라이 클리너 및 드라이 클리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762A (en) * 1985-06-18 1991-11-26 Hiroshi Akashi Non-contact conveying device
DE9409086U1 (de) * 1994-06-03 1994-07-28 Schoettle Kg Electrostar Saugvorrichtung
JPH11113816A (ja) * 1997-10-09 1999-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3445138B2 (ja) * 1998-03-06 2003-09-08 株式会社西部技研 無接触搬送装置
EP1233442B1 (en) 2001-02-20 2009-10-14 Harmotec Corporation Non-contacting conveyance equipment
JP3958539B2 (ja) * 2001-08-02 2007-08-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US6944006B2 (en) * 2003-04-03 2005-09-13 Applied Materials, Inc. Guard for electrostatic chuck
JP4437415B2 (ja) 2004-03-03 2010-03-24 リンク・パワー株式会社 非接触保持装置および非接触保持搬送装置
US7111797B2 (en) * 2004-03-22 2006-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contact fluid particle cleaner and method
US20080110401A1 (en) * 2004-05-18 2008-05-15 Sumco Corporation Susceptor For Vapor-Phase Growth Reactor
JP2006043444A (ja) * 2004-07-07 2006-02-16 Kazuo Takai 排気循環型掃除機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空気吸込口体
JP5013400B2 (ja) * 2006-09-29 2012-08-29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塗布膜コーティング装置
JP4243766B2 (ja) * 2006-10-02 2009-03-25 Smc株式会社 非接触搬送装置
KR100885180B1 (ko) * 2006-12-27 2009-02-23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지지유닛, 그리고 상기 기판 지지유닛을 구비하는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US20100040750A1 (en) * 2008-08-13 2010-02-18 Assaad Kimberly Nicole Method and apparatus to produce a fried food product having a reduced level of fat and acrylamide
JP5267789B2 (ja) 2008-09-26 2013-08-21 オムロン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239093B (zh) * 2008-11-18 2013-12-18 翁令司工业股份有限公司 非接触式运送装置
CN201500074U (zh) * 2009-07-29 2010-06-09 福州天宇电气股份有限公司 排气射流管路
CN201483493U (zh) * 2009-08-03 2010-05-26 友上科技股份有限公司 非接触式吸嘴
US8904629B2 (en) * 2012-03-09 2014-12-09 LG CNS Co. Ltd. Light-emitting diode (LED) wafer picker
JP6174412B2 (ja) * 2012-09-21 2017-08-02 株式会社Trinc 除電・除塵装置
JP6097159B2 (ja) 2012-09-21 2017-03-15 株式会社Trinc パーツフィーダー用除電器
CN110610894B (zh) * 2012-11-27 2023-08-04 盛美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使用基板支撑装置清洗基板背面的方法
CN104626174B (zh) * 2013-11-13 2016-06-15 浙江大学 吸盘
EP3079167A1 (en) 2013-12-03 2016-10-12 Harmotec Co., Ltd. Hold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260A (ja) * 2000-06-09 2005-02-24 Harmotec Corp 非接触搬送装置
KR101439575B1 (ko) * 2007-03-08 2014-09-11 닛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노즐, 드라이 클리너 및 드라이 클리너 시스템
JP2010088751A (ja) * 2008-10-10 2010-04-22 Trinc:Kk 除塵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6189A1 (ja) 2017-02-16
KR20180038014A (ko) 2018-04-13
TWI615340B (zh) 2018-02-21
SG11201800898QA (en) 2018-03-28
CN107847097B (zh) 2020-10-27
US20180222679A1 (en) 2018-08-09
CN107847097A (zh) 2018-03-27
EP3335607B1 (en) 2021-10-20
TW201716308A (zh) 2017-05-16
EP3335607A4 (en) 2019-03-20
JP6116629B2 (ja) 2017-04-19
JP2017035350A (ja) 2017-02-16
EP3335607A1 (en) 2018-06-20
US10654654B2 (en)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173B1 (ko) 흡인 장치
KR101737293B1 (ko) 흡인 장치
JP6326451B2 (ja) 搬送装置及び吸引装置
KR20160093057A (ko) 유지 장치
KR20160093674A (ko) 유지 장치, 유지 시스템, 제어 방법 및 반송 장치
KR102174534B1 (ko) 방해판
TWI683390B (zh) 吸引裝置
WO2019049890A1 (ja) 吸引装置
KR20160093050A (ko) 반송 장치
JP7389464B2 (ja) 吸引装置
TW201945146A (zh) 迴旋流形成體
TWI660450B (zh) 迴旋流形成體及吸引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