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193B1 -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193B1
KR102021193B1 KR1020170151207A KR20170151207A KR102021193B1 KR 102021193 B1 KR102021193 B1 KR 102021193B1 KR 1020170151207 A KR1020170151207 A KR 1020170151207A KR 20170151207 A KR20170151207 A KR 20170151207A KR 102021193 B1 KR102021193 B1 KR 102021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l
cleaning
support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538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1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8/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he permanent way of railways; 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ramway rails
    • E01H8/1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ails, flange grooves, or the like railway parts, e.g. removing ice from contact rails, removing mud from flang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는: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역장비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가이드롤러부 및 가이드롤러부와 함께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드롤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레일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RAIL CLEANING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하역장비가 이동되는 레일에 놓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연속하역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하역장비는 부두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주행부의 상측으로는 붐이 설치되며, 붐의 일측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포스트를 따라 무한궤도 형태로 복수의 버켓이 이동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0020731호(2000.04.15 공개, 발명의 명칭: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하역장비가 이동되는 레일에 놓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연속하역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는: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역장비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가이드롤러부 및 가이드롤러부와 함께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드롤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레일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가이드롤러부와 크리닝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몸체와, 제1지지몸체에서 주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몸체와,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장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제2지지몸체 및 제2지지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연장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몸체에서 연장되어 제2지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 및 주행부에 설치되며 주행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돌출부재에 접촉되어 돌출부재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댐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롤러부의 제1회전축과 크리닝부의 제2회전축에 양측이 걸려서 동력 전달을 하는 타이밍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크리닝부는, 제2회전축에 연결되며 레일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리닝몸체 및 크리닝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는 주행부의 전방에 위치한 크리닝부가 레일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연속하역장비의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리닝부가 레일부의 형상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지지몸체가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크리닝부가 레일부에 접촉되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를 구비한 연속하역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가 동작되어 레일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닝부가 레일부의 돌출된 부분을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를 구비한 연속하역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가 동작되어 레일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닝부가 레일부의 돌출된 부분을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1)는, 연속하역장비(10)의 주행부(11)에 연결되는 지지부(50)와, 지지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역장비(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30)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가이드롤러부(60) 및 가이드롤러부(60)와 함께 지지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드롤러부(60)의 동력을 전달받아 레일부(30)에 쌓인 이물질(32)을 제거하는 크리닝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속하역장비(10)는 선박(40)이 정박하는 부두(45)에 설치되며,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 등을 선박(40)에서 부두(45)로 이동시킨다.
연속하역장비(10)는 연원료를 퍼올리는 굴삭부(14)와, 굴삭부(14)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버킷 엘리베이터부(15)를 포함한다.
주행휠(13)은 몸체부(16)의 하단에 구비된 휠케이스(12)에 설치되며, 이러한 주행휠(13)은 레일부(30)나 별도의 주행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연속하역장비(10)를 통하여 이동된 연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부(19)는 몸체부(16)의 하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이송부(19)는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레일부(30)와 마주하는 몸체부(16)의 하측에는 휠케이스(12)와 주행휠(13)을 포함한 주행부(11)가 설치되며, 휠케이스(12)의 내측에 주행휠(1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부(50)는 연속하역장비(10)의 주행부(11)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0)는 제1지지몸체(51)와 연장몸체(53)와 제2지지몸체(54)와 탄성지지부재(58)를 포함한다.
제1지지몸체(51)는 가이드롤러부(60)와 크리닝부(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지지몸체(51)의 일측(도 4기준 좌측)에 가이드롤러부(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지지몸체(51)의 타측(도 4기준 우측)에는 크리닝부(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지지몸체(51)에는 크리닝부(7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홀부(52)가 형성된다. 크리닝부(70)의 제2회전축(72)은 안내홀부(52)의 내측에 삽입되며, 필요에 따라 안내홀부(52)를 따라 원호 형상을 그리며 이동한다.
연장몸체(53)는 제1지지몸체(51)의 상측에서 주행부(11)를 향하여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제2지지몸체(54)는 주행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장몸체(53)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공부(55)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몸체(54)의 일측은 고정브라켓(20)과 마주한 상태에서 연결축(57)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고정브라켓(20)이 휠케이스(12)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지지몸체(54)의 일측이 고정브라켓(20)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연결축(57)이 고정브라켓(20)과 제2지지몸체(54)를 관통하며 설치되므로 제2지지몸체(54)는 주행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지지몸체(54)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부(56)가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지지부재(58)는 제2지지몸체(54)의 내측에 설치되며 연장몸체(53)를 탄성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몸체(54)의 내측에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탄성지지부재(58)가 삽입되며, 연장몸체(53)의 단부를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연장몸체(53)는 제2지지몸체(54)의 타측 단부를 향하여 탄성 지지되며, 외력을 받는 연장몸체(53)는 제2지지몸체(54)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롤러부(60)의 양측에 구비된 제1회전축(62)은 지지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역장비(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30)에 접한 상태로 회전된다.
크리닝부(70)는 가이드롤러부(60)와 함께 지지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드롤러부(60)의 동력을 전달받아 레일부(30)에 쌓인 이물질(32)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닝부(70)는 제2회전축(72)과 크리닝몸체(74)와 브러쉬부(76)를 포함한다.
크리닝몸체(74)는 제2회전축(72)에 연결되며 레일부(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크리닝몸체(74)의 양측으로 돌출된 제2회전축(72)은 제1지지몸체(51)에 구비된 안내홀부(5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며 이동한다.
브러쉬부(76)는 크리닝몸체(7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쉬(78)를 포함한다. 복수의 브러쉬(78)가 크리닝몸체(74)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크리닝몸체(74)가 회전될 때 브러쉬부(76)도 같이 회전되며 레일부(30)에 쌓인 이물질(32)을 제거한다.
완충부(80)는 크리닝부(70)가 레일부(30)의 단차진 부분에 접하며 파손됨을 방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80)는 돌출부재(82)와 댐퍼부재(84)를 포함한다.
돌출부재(82)는 연장몸체(53)에서 연장되어 제2지지몸체(54)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부재(82)는 제2지지몸체(54)의 가이드홈부(56)를 따라 이동된다. 댐퍼부재(84)는 주행부(11)에 설치되며 주행부(11)를 향하여 이동되는 돌출부재(82)에 접촉되어 돌출부재(82)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부재(84)로 쇼크업소버를 사용한다. 댐퍼부재(84)의 몸체는 휠케이스(12)에 고정되며, 댐퍼부재(84)의 로드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2지지몸체(5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돌출부재(82)는 댐퍼부재(84)에 접하며 이동속도가 저감되므로 크리닝부(70)가 레일부(30)의 단차에 접하며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또한 댐퍼부재(84)의 내측에는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되므로 댐퍼부재(84)가 작동되는 현상과 함께 연속하역장비(10)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타이밍벨트(90)는 가이드롤러부(60)의 제1회전축(62)과 크리닝부(70)의 제2회전축(72)에 양측이 걸려서 동력 전달을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역장비(10)가 이동하는 경우, 레일부(30)의 상측에 설치된 주행휠(13)이 레일부(30)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주행휠(13)의 전방에 있는 가이드롤러부(60)도 레일부(30)를 따라 이동된다.
가이드롤러부(60)의 제1회전축(62)은 타이밍벨트(90)를 통해 크리닝부(70)의 제2회전축(72)에 연결되므로, 크리닝부(70)도 회전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0)에 쌓여 있는 이물질(32)은 회전되는 크리닝부(70)에 의해 밀려나서 레일부(30)의 외측으로 낙하된다. 따라서 이물질(32)에 의해 주행휠(13)이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0)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레일부(30)의 돌출된 형상에 의해 크리닝부(70)가 안내홀부(5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크리닝부(70)가 레일부(30)의 돌출된 부분에 접하며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몸체(54)도 주행부(11)의 휠케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2지지몸체(54)의 회전에 의해 크리닝부(70)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0)의 단차에 접하며 크리닝부(70)가 충격을 받을 경우, 돌출부재(82)가 댐퍼부재(84)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댐퍼부재(84)가 압축되며 돌출부재(82)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므로, 크리닝부(70)에 전달된 충격을 감소시킨다. 또한 댐퍼부재(84)의 이동과 함께 연속하역장비(10)의 이동도 구속되므로 크리닝부(70)에 추가 충격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부(11)의 전방에 위치한 크리닝부(70)가 레일부(30)에 있는 이물질(32)을 제거하므로 연속하역장비(10)의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크리닝부(70)가 레일부(30)의 형상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지지몸체(54)가 주행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크리닝부(70)가 레일부(30)에 접촉되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10: 연속하역장비 11: 주행부
12: 휠케이스 13: 주행휠
14: 굴삭부 15: 버킷 엘리베이터부
16: 몸체부 19: 이송부
20: 고정브라켓 30: 레일부
32: 이물질 40: 선박
45: 부두 50: 지지부
51: 제1지지몸체 52: 안내홀부
53: 연장몸체 54: 제2지지몸체
55: 중공부 56: 가이드홈부
57: 연결축 58: 탄성지지부재
60: 가이드롤러부 62: 제1회전축
70: 크리닝부 72: 제2회전축
74: 크리닝몸체 76: 브러쉬부
78: 브러쉬 80: 완충부
82: 돌출부재 84: 댐퍼부재
90: 타이밍벨트

Claims (5)

  1.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부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속하역장비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함께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크리닝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몸체;
    상기 제1지지몸체에서 상기 주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몸체;
    상기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장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제2지지몸체; 및
    상기 제2지지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주행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행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상기 돌출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돌출부재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댐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제1회전축과 상기 크리닝부의 제2회전축에 양측이 걸려서 동력 전달을 하는 타이밍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는,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리닝몸체; 및
    상기 크리닝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20170151207A 2017-11-14 2017-11-14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2021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207A KR102021193B1 (ko) 2017-11-14 2017-11-14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207A KR102021193B1 (ko) 2017-11-14 2017-11-14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538A KR20190054538A (ko) 2019-05-22
KR102021193B1 true KR102021193B1 (ko) 2019-09-11

Family

ID=6667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207A KR102021193B1 (ko) 2017-11-14 2017-11-14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1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347B1 (ko) * 2012-12-20 2014-08-06 주식회사 포스코 천장 크레인의 레일 크리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347B1 (ko) * 2012-12-20 2014-08-06 주식회사 포스코 천장 크레인의 레일 크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538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425B1 (ko) 버켓용 부착광 제거장치
KR101277545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021193B1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1377492B1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20150101272A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101411849B1 (ko) 부착광 제거용 슈트
KR20110034385A (ko) 연속식 하역장치의 적재물제거장치
KR20080067487A (ko) 낙하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소결광 배출 및 파쇄 장치
CN113071885B (zh) 一种采煤输送机用刮板组件
KR102032634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WO1997047517A1 (en) Bulk unloader/reclaimer with bucket chain cover and guide
KR102177873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20160001528A (ko) 스태커 리크레이머
KR20140074012A (ko) 원료 이송장치
KR1022248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휠 감지장치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CN208430543U (zh) 带有减震装置的铲运机
KR102348983B1 (ko) 연속식 하역기용 레일 크리닝 장치
KR102077928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JP7158999B2 (ja) 荷役装置
KR101246325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의 이물질 이송장치
KR1022995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2065260B1 (ko) 연속하역장비용 고착광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