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421B1 - 주형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주형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421B1
KR102020421B1 KR1020170179567A KR20170179567A KR102020421B1 KR 102020421 B1 KR102020421 B1 KR 102020421B1 KR 1020170179567 A KR1020170179567 A KR 1020170179567A KR 20170179567 A KR20170179567 A KR 20170179567A KR 102020421 B1 KR102020421 B1 KR 102020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uide member
vibration
vibra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337A (ko
Inventor
윤창규
한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4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into moulds having oscilla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주형 진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는 주형에 연결되는 진동테이블; 상기 진동테이블에 연결되며 상기 주형이 진동되도록 상기 진동테이블을 진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진동테이블이 상하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진동테이블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링형상인 가이드부재와, 일측은 상기 진동테이블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형 진동장치{APPARATUS FOR OSCILATING MOLD}
본 발명은 주형을 진동시키는 주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는 고로에서 만들어진 용강을 연속주조용 주형에 부어서 냉각시킴으로써 슬래브 등을 만드는 공정이다.
용강을 연속주조용 주형에 부어 냉각시킬 때, 용강이 고르게 냉각되도록 하면서 윤활의 목적으로 연속주조용 주형에 몰드 파우더를 투입한다. 이 경우, 몰드 파우더가 연속주조용 주형에 일정하게 유입되도록 주형 진동장치로 연속주조용 주형을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주형 진동장치에 의해서 연속주조용 주형이 상하방향으로만 진동되어야만 하나, 종래에는 예컨대 주형 진동장치에 포함되는 롤러 등의 마모 등에 의해서 연속주조용 주형이 전후나 좌우방향으로도 진동하였다.
이러한 주형 진동장치에 의한 연속주조용 주형의 전후나 좌우방향으로의 진동은 고속 연속주조의 경우에 더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의해서 슬래브 등이 변형되어 품질이 저하되거나 몰드 파우더의 유입이 일정하지 못하여 슬래브 등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몰드 파우더가 슬래브 등에 녹아들어서 결함을 유발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94654호 (2016.02.1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주형이 상항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하여 몰드 파우더가 일정하게 주형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주형에 의해서 제조되는 슬래브 등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주형 진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는 주형에 연결되는 진동테이블; 상기 진동테이블에 연결되며 상기 주형이 진동되도록 상기 진동테이블을 진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진동테이블이 상하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진동테이블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링형상인 가이드부재와, 일측은 상기 진동테이블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는 다각링 형상이나 원형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지면에 고정된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3개 이상의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는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은 서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상기 진동테이블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은 복수개의 상기 고정부 사이의 상기 가이드부재의 부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은 상기 고정부 사이의 중앙의 상기 가이드부재의 부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형은 용강이 연속으로 투입되는 용강투입구가 형성된 연속주조용 주형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형이 상항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하여 몰드 파우더가 일정하게 주형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주형에 의해서 제조되는 슬래브 등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의 일실시예가 연속주조용 주형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의 일실시예가 연속주조용 주형에 연결되어 연속주조용 주형을 진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주형 진동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의 일실시예가 연속주조용 주형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의 일실시예가 연속주조용 주형에 연결되어 연속주조용 주형을 진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진동테이블(200), 액츄에이터(300) 및, 가이드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테이블(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MD)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테이블(200)이 주형(MD)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접이나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진동테이블(200)이 연결되는 주형(MD)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MS)이 연속으로 투입되는 용강투입구(HM)가 형성된 연속주조용 주형(MD)일 수 있다. 이 경우, 주형(MD)의 용강투입구(HM)를 통해 몰드 파우더(MP)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MD)에 투입될 수 있다.
그러나, 진동테이블(200)이 연결되는 주형(MD)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형(MD)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액츄에이터(300)는 진동테이블(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300)는 진동테이블(200)을 진동시켜서 주형(MD)이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00)는, 예컨대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그러나, 액츄에이터(30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동테이블(200)에 연결되어 진동테이블(200)을진동시킴으로써 주형(MD)을 진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가이드유닛(400)은 진동테이블(200)이 상하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몰드 파우더(MP)가 일정하게 주형(MD)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주형(MD)에 의해서 제조되는 슬래브 등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고속 연속주조의 경우에도 몰드 파우더(MP)가 일정하게 연속주조용 주형(MD)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주조용 주형(MD)에 의해서 제조되는 슬래브 등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유닛(400)은 가이드부재(410)와, 복수개의 연결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10)는 진동테이블(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링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부재(410)는 다각링 형상이나 원형링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재(4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링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재(4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삼각링 형상이나 오각링 형상 등의 다른 다각링 형상이나 원형링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부재(410)는 고정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11)는 지면에 고정된 기둥 등의 고정체(FM)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가이드부재(410)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는 변형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변형될 수 있다.
고정부(411)는 3개 이상의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부(411)는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410)가 사각링 형상인 경우, 고정부(411)는 4개일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고정부(411)는 사각링 형상의 가이드부재(410)의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여 서로 직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411)의 개수와 위치 및 복수개의 고정부(411)가 서로 이격되는 소정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부재(410)가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는 변형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병형될 수 있는 개수와 위치 및 각도라면 어떠한 개수와 위치 및 각도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연결부재(420)의 일측은 진동테이블(200)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가이드부재(4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재(420)의 일측과 타측은, 예컨대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진동테이블(200)과 가이드부재(4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연결부재(420)의 일측과 타측이 진동테이블(200)과 가이드부재(410)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연결부재(420)의 일측은 서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진동테이블(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410)가 사각링 형상인 경우, 연결부재(420)는 4개이고, 4개의 연결부재(420)의 일측은 각각 서로 직각으로 이격되게 진동테이블(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420)의 개수나, 복수개의 연결부재(420)가 서로 이격되는 소정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나 각도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연결부재(420)의 타측은 복수개의 고정부(411) 사이의 가이드부재(410)의 부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부재(420)의 타측은 복수개의 고정부(411) 사이의 중앙의 가이드부재(410)의 부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유닛(400)은 복수개일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유닛(400)이 진동테이블(20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진동테이블(200)이 상하방향으로만 진동하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4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동테이블(200)이 상하방향으로만 진동하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서, 액츄에이터(300)가 진동테이블(200)을 진동시키면, 복수개의 연결부재(420)에 의해서 진동테이블(200)에 연결된 가이드부재(410)는 상하방향으로만 변형되고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는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테이블(200)과 주형(MD)이 상하방향으로만 진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가이드유닛(400)이 진동테이블(200)을 가이드하는 것에 의해서, 진동테이블(200)과 주형(MD)이 상하방향으로만 진동하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진동장치를 사용하면, 주형이 상항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하여 몰드 파우더가 일정하게 주형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주형에 의해서 제조되는 슬래브 등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주형 진동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주형 진동장치 200 : 진동테이블
300 : 액츄에이터 400 : 가이드유닛
410 : 가이드부재 411 : 고정부
420 : 연결부재 MD : 주형
HM : 용강투입구 MS : 용강
MP : 몰드 파우더 FM : 고정체

Claims (8)

  1. 주형에 연결되는 진동테이블;
    상기 진동테이블에 연결되며 상기 주형이 진동되도록 상기 진동테이블을 진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진동테이블이 상하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진동테이블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링형상인 가이드부재와, 일측은 상기 진동테이블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다각링 형상이나 원형링 형상이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지면에 고정된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3개 이상의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는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고,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은 서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상기 진동테이블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은 복수개의 상기 고정부 사이의 상기 가이드부재의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주형 진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은 상기 고정부 사이의 중앙의 상기 가이드부재의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주형 진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복수개인 주형 진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용강이 연속으로 투입되는 용강투입구가 형성된 연속주조용 주형인 주형 진동장치.
KR1020170179567A 2017-12-26 2017-12-26 주형 진동장치 KR102020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67A KR102020421B1 (ko) 2017-12-26 2017-12-26 주형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67A KR102020421B1 (ko) 2017-12-26 2017-12-26 주형 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337A KR20190082337A (ko) 2019-07-10
KR102020421B1 true KR102020421B1 (ko) 2019-09-10

Family

ID=6725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567A KR102020421B1 (ko) 2017-12-26 2017-12-26 주형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0761A (zh) * 2020-04-28 2020-07-07 内蒙古工业大学 一种行车振动对桥面材料性能影响实验装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3573A (ja) * 2012-05-09 2013-11-21 Nippon Steel & Sumikin Engineering Co Ltd 連続鋳造用の振動鋳型、これが備えるコイルバネのプリセット力の設定方法及び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の防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5006A (en) * 1995-03-07 2000-01-18 Davy Distington Limited Continuous casting mould
KR101594654B1 (ko) 2013-12-20 2016-02-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기용 주형 진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3573A (ja) * 2012-05-09 2013-11-21 Nippon Steel & Sumikin Engineering Co Ltd 連続鋳造用の振動鋳型、これが備えるコイルバネのプリセット力の設定方法及び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の防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337A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421B1 (ko) 주형 진동장치
RU26708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тья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BR112017015012A2 (pt) aparelho para fundição contínua de placa.
US3343592A (en) Reciprocating continuous casting curved mold mounting system
KR101389860B1 (ko) 몰드 실링재 및 연속 주조 방법
KR101594654B1 (ko) 연주기용 주형 진동장치
CN101648259B (zh) 一种用于连铸机结晶器的振动装置
CN113426988A (zh) 一种用于汽车配件的铸造加工的落砂装置
KR20140026561A (ko) 연속 주조 몰드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장치를 갖는 연속 주조 설비
JP6206235B2 (ja) 生砂造型設備用金枠
CN105415618A (zh) 注射成形机
JP2015096269A (ja) 引上式連続鋳造装置及び引上式連続鋳造方法
CN104395014A (zh) 上引式连续铸造装置和上引式连续铸造方法
JP3195648U (ja) 鋳物製造用型枠セット
JP2004130330A (ja) 砂型鋳造鋳型の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造型装置
KR101638891B1 (ko) 동적진동이 저감된 라싱 브릿지
CN202174223U (zh) 结晶器振动机构防护装置
CN218693697U (zh) 一种铸锭块出口缓冲结构及具有其的铸锭设备
KR200487660Y1 (ko) 잉곳 성형금형
RU2087251C1 (ru) Способ вибра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кристаллизующегося метал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5930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ибра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затвердевающего слитка
KR20170104277A (ko) 잉곳 성형금형
JP2007237629A (ja)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KR20090008826A (ko) 연속주조용 몰드설비의 주형
JP2017109225A (ja) ダイカスト金型、ダイカスト金型を用いて作製された鋳造品、およびダイカスト金型を用いた鋳造品の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