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60Y1 - 잉곳 성형금형 - Google Patents

잉곳 성형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60Y1
KR200487660Y1 KR2020170006135U KR20170006135U KR200487660Y1 KR 200487660 Y1 KR200487660 Y1 KR 200487660Y1 KR 2020170006135 U KR2020170006135 U KR 2020170006135U KR 20170006135 U KR20170006135 U KR 20170006135U KR 200487660 Y1 KR200487660 Y1 KR 200487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ingot forming
injection
liquid metal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165U (ko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박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준 filed Critical 박상준
Priority to KR2020170006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6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4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22D7/10Hot top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22D7/10Hot tops therefor
    • B22D7/106Configuration of hot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12Appurtenances, e.g. for sintering, for preventing splashing

Abstract

본 고안은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를 통해 내부에 액상금속이 충진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주입홀(12)을 통해 액상금속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주입호퍼(10)와; 상기 주입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장착홀(22)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호퍼(10)의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주입호퍼(10)를 지지하는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38)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입호퍼(10)를 통해 주입되는 액상금속의 주입을 안내하는 탑플레이트부(30)와; 상기 탑플레이트부(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48)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잉곳성형틀(46)이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입가이드홀(38)을 따라 유입되는 액상금속이 내부에 충진되어 복수개의 잉곳(M)을 형성하는 잉곳성형부(40)와; 상기 잉곳성형부(4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잉곳성형부(4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판(50);을 포함하는 잉곳 성형금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개의 잉곳성형틀 결합에 따라 한꺼번에 대량으로 잉곳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잉곳의 제작시간이 단축할 수 있고, 생산비용 및 생산효율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성형이 완료된 잉곳의 분리시 탑플레이트부와 잉곳성형부를 분리하여 간단하게 성형된 잉곳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잉곳의 분리가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잉곳 성형금형{Ingot Foaming Mold}
본 고안은 잉곳 성형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잉곳성형틀의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 일부가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잉곳성형틀의 측면 결합에 의해 복수개의 잉곳성형홈이 형성되어 다량의 잉곳을 한꺼번에 제조할 수 있는 잉곳 성형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퀴드 메탈은 딱딱한 결정 구조인데 반해 액체처럼 원자 배열이 매우 자유로워 액체금속이란 이름이 붙었다. 리퀴드 메탈은 철보다 5배 강하고 현재 제일 강하다는 티타늄보다 3배 강하며 금속과 달리 부식이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자파를 차단하는 성능이 있고, 플라스틱처럼 금형 틀에 따라 자유자재로 모양을 만들 수가 있으며,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뛰어난 인성과 높은 강도와 연성을 가지고 자기 비등발성이 없고, 전기저장도 작기 때문에 여러 소재로 쓰인다.
이러한 리퀴드 메탈은 기본적으로 지르코늄 구리 등의 잉곳 형태로 원재료가 투입되며, 합금의 분자구조가 약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공정이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리퀴드 메탈을 금형 등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잉곳 형태로 리퀴드 메탈을 성형하여 사출성형기의 내부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잉곳(INGOT)는 주로 주조에서 많이 사용되며, 잉곳은 용강을 일정한 형상에 주입하고 응고시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즉, 제강로에서 정련을 마친 용강은 주형에 투입된 후 응고처리를 거쳐 잉곳(INGOT)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주조 방법에는 상부 주조법과 하부 주조번이 있으며, 상부 주조법은 주형의 상부로 용강을 주입하는 방법이고, 하부 주조법은 주형의 저부로부터 용강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상부 주조법은 순도가 높은 재질의 제품을 주조할 때 사용되고, 하부 주조법은 용강을 주형의 내부로 천천히 주입시켜 용강의 비산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잉곳 주조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22043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잉곳 주조장치는 용해로의 내부에 용융상태로 저장되는 용탕이 용탕이동관을 통해 탈가스로의 내부에서 가스를 배출한 후 용탕주조관을 통해 잉곳몰드에 각각 충진된다. 상기 잉곳몰드의 내부에 충진된 용탕은 일정시간 동안 냉각되어 잉곳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잉곳 주조장치는 단일 잉곳몰드로 하나의 잉곳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대량의 잉곳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작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성형이 완료된 잉곳을 꺼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잉곳몰드를 뒤집어서 일일히 잉곳을 배출해야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220439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잉곳성형틀의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 일부가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잉곳성형틀의 측면 결합에 의해 복수개의 잉곳성형홈이 형성되어 다량의 잉곳을 한꺼번에 제조할 수 있는 잉곳 성형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은,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를 통해 내부에 액상금속이 충진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주입홀을 통해 액상금속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주입호퍼와, 상기 주입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호퍼의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주입호퍼를 지지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입호퍼를 통해 주입되는 액상금속의 주입을 안내하는 탑플레이트부와, 상기 탑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잉곳성형틀이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입가이드홀을 따라 유입되는 액상금속이 내부에 충진되어 복수개의 잉곳을 형성하는 잉곳성형부와, 상기 잉곳성형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잉곳성형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판을 포함한다.
상기 탑플레이트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측면에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의 일부분이 형성되는 좌,우측탑플레이트와, 상기 좌,우측탑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면에 각각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의 일부분이 형성되어 측면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주입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탑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잉곳성형부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탑플레이트부의 양측 하부에 각각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의 일부분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좌,우측잉곳성형틀과,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면에 각각 복수개의 잉곳성형홈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잉곳성형틀을 포함한다.
상기 잉곳성형홈은,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과 상기 잉곳성형틀이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다른 잉곳성형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과 상기 잉곳성형틀은, 상기 잉곳성형홈의 내부에 액상금속이 충진되어 잉곳이 형성된 후 상기 좌,우잉곳성형틀과 상기 잉곳성형틀을 분리하여 성형이 완료된 복수개의 잉곳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잉곳성형틀의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 일부가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잉곳성형틀의 측면 결합에 의해 복수개의 잉곳성형홈이 형성되어 다량의 잉곳을 한꺼번에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복수개의 잉곳성형틀 결합에 따라 한꺼번에 대량으로 잉곳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잉곳의 제작시간이 단축할 수 있고, 생산비용 및 생산효율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성형이 완료된 잉곳의 분리시 탑플레이트부와 잉곳성형부를 분리하여 간단하게 성형된 잉곳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잉곳의 분리가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탑플레이트부와 잉곳성형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잉곳성형부에서 성형이 완료된 잉곳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복수개의 잉곳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단일의 잉곳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탑플레이트부와 잉곳성형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잉곳성형부에서 성형이 완료된 잉곳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복수개의 잉곳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단일의 잉곳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잉곳 성형금형은,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를 통해 내부에 액상금속이 충진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주입홀(12)을 통해 액상금속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주입호퍼(10)와, 상기 주입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장착홀(22)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호퍼(10)의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주입호퍼(10)를 지지하는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38)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입호퍼(10)를 통해 주입되는 액상금속의 주입을 안내하는 탑플레이트부(30)와, 상기 탑플레이트부(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48)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잉곳성형틀(42,44,46)이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입가이드홀(38)을 따라 유입되는 액상금속이 내부에 충진되어 복수개의 잉곳(M)을 형성하는 잉곳성형부(40)와, 상기 잉곳성형부(4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잉곳성형부(4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판(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호퍼(10)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단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주입호퍼(10)의 상단부를 통해 액상금속이 주입되고, 상기 주입호퍼(10)의 내부에 유입된 액상금속은 후술할 주입홀(12)을 통해 후술할 탑플레이트부(30)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주입홀(12)의 하단부에는 주입홀(12)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홀(12)은 상기 주입호퍼(10)의 하부면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주입호퍼(10)의 내부에 유입되는 액상금속을 상기 탑플레이트부(30)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주입호퍼(10)의 하단 외주면에는 걸림단(1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14)은 원형링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후술할 상판(20)의 장착홀(22)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주입호퍼(10)의 하부에는 상판(20)이 설치된다. 상기 상판(20)은 도 2 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주입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호퍼(10)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상판(20)의 상부면에는 장착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22)은 상기 상판(20)의 상부면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22)의 내부에는 상기 주입호퍼(10)의 걸림단(14)이 삽입되어 상기 주입호퍼(10)가 상기 상판(2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상판(20)의 하부면에는 고정홈(2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4)은 상기 상판(20)의 하부면에 사각형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4)의 내부에는 후술할 탑플레이트부(30) 및 잉곳성형부(4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판(20)의 내부에는 탑플레이트부(30)가 설치된다. 상기 탑플레이트부(30)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측면에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38)의 일부분이 형성되는 좌,우측탑플레이트(32,34)와, 상기 좌,우측탑플레이트(32,34)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면에 각각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38)의 일부분이 형성되어 측면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주입가이드홀(38)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탑플레이트(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측탑플레이트(32,34)는 도 6과 같이,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각각 주입가이드홀(38)의 일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탑플레이트(32,34)의 측면에는 나머지 주입가이드홀(38)이 형성되는 후술할 탑플레이트(36)가 설치되어 깔대기 형상의 주입가이드홀(38)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탑플레이트(32,34) 사이에는 탑플레이트(36)가 설치된다. 상기 탑플레이트(36)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 각각 주입가이드홀(38)의 나머지 부분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탑플레이트(36)는 복수개가 측면이 맞닿도록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복수개의 상기 주입가이드홀(38)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탑플레이트(36)는 상기 주입호퍼(10)를 통해 하부로 유입되는 액상금속을 후술할 잉곳성형부(40) 측으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우측탑플레이트(32,34)는 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주입가이드홀(38)의 반(半)이 형성되고, 상기 탑플레이트(36)의 양측면에 주입가이드홀(38)의 반(半)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상기 탑플레이트(36)의 측면 결합에 의해 일렬로 나란하게 깔대기 형상의 주입가이드홀(38)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탑플레이트(36) 중 양측에 위치한 상기 탑플레이트(36)에 각각 좌,우측탑플레이트(32,34)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탑플레이트(32,34)와 복수개의 탑플레이트(36)의 측면 결합에 의해 깔대기 형상의 주입가이드홀(38)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잉곳(M)의 성형이 완료된 후 잉곳(M)을 분리하는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탑플레이트부(30)의 하부에는 잉곳성형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잉곳성형부(4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탑플레이트부(3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48)의 일부분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좌,우측잉곳성형틀(42,44)과,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면에 각각 복수개의 잉곳성형홈(48)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잉곳성형틀(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은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의 좌측면 도는 우측면에는 각각 잉곳성형홈(48)의 일부분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의 측면에는 나머지 잉곳성형홈(48)이 형성되는 후술할 잉곳성형틀(46)이 설치되어 큐브 형상의 잉곳성형홈(48)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 사이에는 복수개의 잉곳성형틀(46)이 설치된다. 상기 잉곳성형틀(46)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잉곳성형틀(46)의 양측면에는 잉곳성형홈(48)의 나머지 부분이 일렬로 나란하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잉곳성형틀(46)는 복수개가 측면이 맞닿도록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복수개의 상기 잉곳성형홈(48)이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잉곳성형틀(46)의 잉곳성형홈(48)의 내부에는 상기 주입가이드홀(38)을 따라 공급되는 액상금속이 내부에 충진되어 잉곳(M)이 성형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은 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잉곳성형홈(48)의 반(半)이 형성되고, 상기 잉곳성형틀(46)의 양측면에 잉곳성형홈(48)의 반(半)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상기 잉곳성형틀(46)의 측면 결합에 의해 일렬로 나란하게 큐브형상의 잉곳성형홈(48)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잉곳성형틀(46) 중 양측에 위치한 상기 잉곳성형틀(46)에 각각 좌,우측잉곳성형틀(42,44)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과 복수개의 잉곳성형틀(46)의 측면 결합에 의해 큐브 형상의 잉곳성형홈(48)이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액상금속이 충진되어 복수개의 잉곳(M)이 한꺼번에 성형된다.
또한, 상기 잉곳(M)의 분리시에는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과 복수개의 잉곳성형틀(46)을 분리하여 간단하게 잉곳(M)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잉곳성형부(40)의 하부에는 하판(50)이 설치된다. 상기 하판(5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사각형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52)이 형성된다. 상기 하판(50)의 장착홈(52) 내부에는 상기 잉곳성형부(4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잉곳 성형금형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잉곳(M)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액상금속이 사용되며, 이러한 액상금속에는 리퀴드 메탈(Liquid Metal)이 이용된다. 상기 액상금속은 리퀴드 메탈 이외에도 액상 상태의 다양한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리퀴드 메탈의 가공을 위해서는 진공상태에서 성형공정이 이루어져야하므로, 진공로(미도시)의 내부에서 잉곳(M)의 성형 작업이 이루어진다.
작업자는 주입호퍼(10)의 내부에 액상금속을 투입한다. 상기 주입호퍼(10)의 내부에 투입된 액상금속은 상기 주입호퍼(10)의 주입홀(12)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주입호퍼(10)의 하부로 공급되는 액상금속은 탑플레이트부(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38)의 내부로 각각 유입된다. 상기 주입가이드홀(38)의 하부에는 잉곳성형부(40)가 설치되어 잉곳성형홈(48)의 내부에 액상금속이 충진된다.
상기 주입가이드홀(38)에 의해 공급되는 액상금속은 잉곳성형부(4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잉곳성형홈(48)부터 충진되기 시작하여 점차 상단에 위치한 상기 잉곳성형홈(48)까지 충진된다.
상기 잉곳성형홈(48)에 액상금속의 충진이 완료되면, 일정시간 동안 상기 잉곳성형부(40)의 내부에서 액상금속을 냉각시켜 복수개의 잉곳(M)을 형성한다.
상기 잉곳(M)의 냉각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주입호퍼(10), 상판(20), 탑플레이트부(30), 잉곳성형부(40) 순으로 분리하여 일렬로 나란하게 성형된 잉곳(M)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통해 완성된 잉곳(M)은 도 8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작업자는 복수개가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된 잉곳(M)들에 충격을 가하여 단일의 잉곳(M) 형태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주입호퍼 12. 주입홀
14. 걸림단 20. 상판
22. 장착홀 30. 탑플레이트부
32. 좌측탑플레이트 34. 우측탑플레이트
36. 탑플레이트 38. 주입가이드홀
40. 잉곳성형부 42. 좌측잉곳성형틀
44. 우측잉곳성형틀 46. 잉곳성형틀
48. 잉곳성형홈 50. 하판

Claims (3)

  1.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를 통해 내부에 액상금속이 충진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주입홀(12)을 통해 액상금속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주입호퍼(10)와;
    상기 주입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장착홀(22)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호퍼(10)의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주입호퍼(10)를 지지하는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38)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입호퍼(10)를 통해 주입되는 액상금속의 주입을 안내하는 탑플레이트부(30)와;
    상기 탑플레이트부(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48)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잉곳성형틀(46)이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입가이드홀(38)을 따라 유입되는 액상금속이 내부에 충진되어 복수개의 잉곳(M)을 형성하는 잉곳성형부(40)와;
    상기 잉곳성형부(4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잉곳성형부(4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판(50)을 포함하며;
    상기 잉곳성형부(4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탑플레이트부(3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측면에 복수개의 잉곳성형홈(48)의 일부분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좌,우측잉곳성형틀(42,44)과;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면에 각각 복수개의 잉곳성형홈(48)의 일부분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잉곳성형틀(46)을 포함하고;
    상기 잉곳성형홈(48)은,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과 상기 잉곳성형틀(46)이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다른 잉곳성형틀(42,44,46)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탑플레이트부(30)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측면에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38)의 일부분이 형성되는 좌,우측탑플레이트(32,34)와;
    상기 좌,우측탑플레이트(32,34)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면에 각각 복수개의 주입가이드홀(38)의 일부분이 형성되어 측면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주입가이드홀(38)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탑플레이트(36);를 포함하는 잉곳 성형금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과 상기 잉곳성형틀(46)은,
    상기 잉곳성형홈(48)의 내부에 액상금속이 충진되어 잉곳(M)이 형성된 후 상기 좌,우측잉곳성형틀(42,44)과 상기 잉곳성형틀(46)을 분리하여 성형이 완료된 복수개의 잉곳(M)이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성형금형.
KR2020170006135U 2017-11-29 2017-11-29 잉곳 성형금형 KR200487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135U KR200487660Y1 (ko) 2017-11-29 2017-11-29 잉곳 성형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135U KR200487660Y1 (ko) 2017-11-29 2017-11-29 잉곳 성형금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22A Division KR20170104277A (ko) 2016-03-07 2016-03-07 잉곳 성형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65U KR20170004165U (ko) 2017-12-12
KR200487660Y1 true KR200487660Y1 (ko) 2018-10-17

Family

ID=6125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135U KR200487660Y1 (ko) 2017-11-29 2017-11-29 잉곳 성형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6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0051A (ja) 2011-05-16 2012-12-10 Hitachi Metals Ltd 柱状インゴットの鋳造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柱状インゴットの鋳造方法
JP2015182113A (ja) * 2014-03-25 2015-10-22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インゴット鋳造装置
JP2015182111A (ja) 2014-03-25 2015-10-22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インゴット鋳造装置及び鋳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939B1 (ko) * 2011-07-15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KR101220439B1 (ko) 2012-06-26 2013-01-10 삼보산업(주) 알루미늄-아연 합금 잉곳의 연속 주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0051A (ja) 2011-05-16 2012-12-10 Hitachi Metals Ltd 柱状インゴットの鋳造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柱状インゴットの鋳造方法
JP2015182113A (ja) * 2014-03-25 2015-10-22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インゴット鋳造装置
JP2015182111A (ja) 2014-03-25 2015-10-22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インゴット鋳造装置及び鋳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65U (ko)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555B2 (en) Method and casting mould for the manufacture of cast parts, in particular cylinder blocks and cylinder heads, with a functional feeder connection
KR200487660Y1 (ko) 잉곳 성형금형
KR20170104277A (ko) 잉곳 성형금형
JP6517973B2 (ja) 射出成形金型
EP2351626B1 (en) Production method of steel slab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KR101389860B1 (ko) 몰드 실링재 및 연속 주조 방법
CN105163882A (zh) 具备流路的模具
JP2008105180A (ja) 成形金型
KR102048571B1 (ko) 사각 성형물 제조용 금형장치
CN212525926U (zh) 一种垂直线球铁铸件模具的浇铸装置
KR102041073B1 (ko) 가스 배출기능을 구비하는 주조 몰드 시스템
JP2019166548A (ja) 柱状鋼塊用鋳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69300B1 (ko) 금속 성형체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성형체의 제조방법
KR20160136800A (ko) 정밀주조용 주형
RU2792551C1 (ru) Изложница разливочной машины
KR101616747B1 (ko) 모합금 제조용 주형
KR101491748B1 (ko) 용탕 유동 강화용 노즐장치
KR101909510B1 (ko)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KR102326867B1 (ko) 주조용 치구 및 주조 방법
KR200283712Y1 (ko) 연속주조기의 더미바용 실링부재
KR200274711Y1 (ko) 다이캐스트 금형
CN210387467U (zh) 一种棒状零件成型模具
KR200291561Y1 (ko) 빌레트 제조용 몰드 냉각재
JP2010089390A (ja) 成形金型
KR200326505Y1 (ko) 개선된 노즐 단면 형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