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916B1 -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 Google Patents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916B1
KR102019916B1 KR1020180017163A KR20180017163A KR102019916B1 KR 102019916 B1 KR102019916 B1 KR 102019916B1 KR 1020180017163 A KR1020180017163 A KR 1020180017163A KR 20180017163 A KR20180017163 A KR 20180017163A KR 102019916 B1 KR102019916 B1 KR 10201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sail
tension
hul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575A (ko
Inventor
서광철
이경우
김상원
박근홍
김병재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9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1/00Drop keels, e.g. centre boards or side boards ; Collapsible keels, or the like, e.g. telescopically; Longitudinally split hinged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8Connections of sails to masts, spa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Wind Motors (AREA)
  • Toys (AREA)

Abstract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선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스트와 함께 상기 선체에 대해 회전되는 붐; 상기 마스트 및 상기 붐에 결합되며, 풍력을 제공받는 돛; 및 상기 돛의 장력이 가변되도록 상기 돛에 제공되는 텐션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SMART SAILING YACHT}
본 발명은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레저 활동을 즐기는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수중이나 수상 활동을 즐기는 인구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수상 레저에는 무동력 세일링(sailing) 요트, 윈드 서핑, 수상 스키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세일링 요트 중에서 딩기 요트라고 불리는 소형 세일링 요트는 연안이나, 호수, 강에서 쉽게 배울 수 있으며 엔진 없이 오직 돛을 통해 바람으로만 항해하므로 요트에 대한 입문 단계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바, 이러한 딩기 요트가 수상 레저의 대중화를 이끌고 있다.
일반적인 딩기 요트의 구조를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딩기 요트에는 선체의 중심에 높이 솟아서 수직 방향의 지주 역할을 수행하는 마스트가 제공되고, 이 마스트의 옆으로 길게 연장되어 수평 방향의 지주 역할을 수행하는 붐이 제공되며, 이 마스트와 붐에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이 설치되어 풍력을 이용한 항해가 가능하다.
또한, 마스트를 조종하기 위하여 로프로 이루어진 시트가 제공되는데, 이 시트는 붐과 연결되어 선체의 중앙이나 선미에 설치될 수 있다. 통상 붐은 180도 회전 가능하게 마스트에 설치되어 돛의 방향이 좌우로 조종되도록 움직이며, 시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붐은 풍속과 풍향에 따라 좌우로 방향과 각도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붐의 방향과 각도 변경을 통해 요트를 앞으로 나가게 된다.
그러나, 종래 딩기 요트는 붐의 방향과 각도의 변경을 통해 항해 속도나 방향을 바꿀 수 있을 뿐 실제로 바람을 직접 받는 돛의 면적이나 형상은 돛의 장력 변화가 어렵기 때문에 풍력 조절에 한계가 있는바, 이에 딩기 요트의 속도 조절에 제한이 있다.
또한, 종래 딩기 요트는 항해에서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풍향과 풍속 및 딩기 요트에 작용하는 각종의 하중 정보를 사용자가 항해 중에 전혀 알지 못하고 단지 오랜 경험에 의존하여 항해하기 때문에 요트의 운동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치화된 객관적 자료가 없기 때문에 요트의 최적 운용 기술을 초보자에게 전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1969호 (2016. 02. 02.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람을 실질적으로 받는 돛의 장력을 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항해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요트에 작용하는 풍향이나 풍속 및 각종 하중 등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항해 중에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요트의 운동 특성을 쉽게 파악하고 객관적 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선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스트와 함께 상기 선체에 대해 회전되는 붐; 상기 마스트 및 상기 붐에 결합되며, 풍력을 제공받는 돛; 상기 돛의 장력이 가변되도록 상기 돛에 제공되는 텐션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텐션 유닛은, 상기 돛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돛을 팽팽하게 하거나 느슨하게 하여 상기 돛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라인; 상기 텐션 라인을 감거나 풀어서 상기 돛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드럼; 및 상기 텐션 라인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 라인의 경로를 전환하는 텐션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 라인은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의 상기 텐션 라인은 상기 돛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돛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풍량 및 풍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측하는 풍량/풍속계; 상기 마스트의 일측에 제공되며, 풍력에 의한 상기 마스트의 비틀림을 측정하는 각 가속도 측정수단; 상기 마스트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마스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수단; 상기 풍량/풍속계와 상기 각 가속도 측정수단 및 상기 하중 측정수단에서 측정한 각각의 측정값을 제공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풍속/풍속에 대한 정보와 상기 마스트의 비틀림 및 하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풍량/풍속계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선수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가속도 측정수단은, 상기 마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각 가속도 센서; 및 상기 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각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수단은, 상기 마스트 중에서 상기 붐이 연결되는 곳에 설치되며 상기 붐을 통해 상기 마스트에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 가능한 스케그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케그부는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선체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스케그부의 적어도 일측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스케그부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풍력을 받는 돛의 장력이 쉽게 가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해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요트에 작용하는 풍향이나 풍속, 마스트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 등 각종 하중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항해 중에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요트의 항해 특성을 쉽게 파악하고 객관적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텐션 유닛을 통해 돛의 장력을 조정하여 요트의 속도가 증가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돛의 장력이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10)는 선체(100), 마스트(200), 붐(300), 돛(400) 및 텐션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세일링 요트 또는 딩기 요트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마스트(200)는 선체(100)의 무게 중심 상에 높이(수직) 방향으로 직립하도록 배치되는 일종의 기둥으로서, 통상 돛(400)대라고도 한다.
즉, 마스트(200)는 선체(100)에 돛(400)을 달기 위해 필요하며, 마스트(200)에 외력이 가해질 때 마스트(200)는 변형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비강체(non-rigid bod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마스트(200)에 돛(400)을 달아 마스트(200)로 중심을 잡아 가면서 요트를 주행하게 되는바, 마스트(200)는 선체(100)에 높이 방향으로 직립 배치된 상태에서 선체(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트(200)는 요트 등과 같이 풍력을 이용하여 선체(100)를 추진하는데 필요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300)은 마스트(200)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외팔보의 구조를 갖는 구성으로서, 붐(300)의 일단이 마스트(200)에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붐(300)은 마스트(200)의 회전시 마스트(200)와 함께 선체(1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요트 항해시 사용자는 붐(300)을 밀거나 당겨 마스트(200)를 회전시킴으로써 돛(400)에 가해지는 풍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요트(10)의 추진력 및 항해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돛(400)은 마스트(200) 및 붐(300)에 일측 및 타측이 각각 결합되어 풍력을 제공받는 구성으로서, 돛(400)은 제공받은 풍력을 마스트(200)와 선체(100)에 전달하여 요트를 앞으로 나가게 하는 추진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400)은 장력이 가변될 수 있는바, 돛(400)의 장력이 감소되면 돛(400)은 느슨한 상태가 되어 바람에 의해 잘 늘어나게 되므로 풍력에 의한 돛(400)의 탄성 변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돛(400)이 풍력을 받게 되면 도 1에서 보듯이 돛(400)은 바람 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데, 이와 같이 돛(400)의 장력이 감소된 상태에서는 돛(400)에 제공된 풍력이 선체의 추진력으로 전환되는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요트(400)의 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돛(400)의 장력이 증가되어 돛(400)이 팽팽한 상태가 되면 돛(400)은 풍력을 받더라도 탄성 변형력이 낮기 때문에 거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돛(400)에 전달된 풍력은 대부분 추진력으로 전환되어 요트의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돛(400)은 그 장력의 변화에 따라 돛(400)의 측단면 형상이 변경되며 이로 인해 요트(10)에 전달되는 추진력도 달라지기 때문에 요트의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한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돛(400)의 장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텐션 유닛(500)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 유닛(500)은 텐션 라인(510)과 텐션 드럼(520) 및 텐션 풀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텐션 라인(510)은 로프 또는 와이어와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풍력이 가해지는 돛(400)에 소정 길이로 연장 설치될 수 있다.
텐션 라인(510)은 돛(4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텐션 드럼(52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제공되는데, 이때 텐션 라인(510)은 돛(400)의 외표면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라인(510)이 돛(4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돛(400)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텐션 라인(5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돛(400)의 장력을 쉽고 간단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돛(400)의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텐션 라인(510)이 풀리면 돛(400)이 느슨해져 돛(400)의 장력이 감소되므로 풍력을 받으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돛(400)은 탄셩 변형되어 풍력을 받은 쪽으로 볼록한 상태가 된다.
또한, 텐션 라인(510)이 감기면 돛(400)은 팽팽해져 돛(400)의 장력이 증대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돛(400)은 탄성 변형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텐션 드럼(520)은 텐션 라인(510)을 필요에 따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제공된다. 텐션 드럼(520)은 텐션 라인(510)을 감거나 풀도록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마스트(200) 또는 선체(100)의 갑판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텐션 드럼(520)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모터나 기타 동력원을 통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바, 이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일링 요트(10)의 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텐션 드럼(520)이 텐션 라인(510)을 감으면 돛(400)이 팽팽해지면서 돛(400)의 장력이 증대되고, 세일링 요트(10)의 속도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텐션 드럼(520)에 감긴 텐션 라인(510)을 풀면 돛(400)이 느슨해지면서 돛(400)의 장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텐션 풀리(530)는 텐션 라인(510)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텐션 라인(510)의 경로가 용이하게 전환되도록 하고 텐션 라인(510)이 쉽게 감기고 풀리도록 도와 줄 수 있다. 텐션 풀리(530)는 도르래와 같은 원리로 구성될 수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10)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 풍량/풍속계(600), 각 가속도 측정수단(700), 하중 측정수단(750), 제어부(800) 및 디스플레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풍량/풍속계(600)는 선체(10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풍량 및 풍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측하여 요트 항해시 사용자가 바람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풍량/풍속계(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의 선수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풍량/풍속계(600)는 1개 설치되는 경우 선수부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경우 선수부 중앙에 1개가 설치되고 그 선수부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일정 간격(d)으로 이격되게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총 3개가 좌우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가속도 측정수단(700)은 마스트(2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풍력에 의한 마스트(200)의 비틀림을 측정할 수 있다.
각 가속도 측정수단(700)은 세일링 요트(10)의 운항 특성을 과학적,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돛(400)이 풍력을 받을 때 비강체인 마스트(200)에는 돛(400)의 영향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
마스트(200)에 발생하는 비틀림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항해 방향 및 속도는 요트의 실제 진행 방향 및 속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는바, 종래에는 마스트(200)의 비틀림 정도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단지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이를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항해에 적용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가속도 측정수단(700)을 통해 마스트(200)에 작용하는 비틀림을 실시간 수치적으로 계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항해에 반영하고 요트의 운항 특성을 분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각 가속도 측정수단(7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각 가속도 센서(710)와 하부 각 가속도 센서(7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트(200)는 선체(100)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세워지는 부재이기 때문에 풍력에 의해 마스트(200)의 상부에 작용하는 비틀림과 하부에 작용하는 비틀림이 서로 달라질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스트(200)의 복수 개소에서 발생하는 비틀림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마스트(200)의 각 부위 별로 작용하는 비틀림 정도를 사용자가 항해에 충분히 반영하고 운항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 각 가속도 센서(710)는 마스트(20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 각 가속도 센서(720)는 선체(100)의 바닥부(110)에 접촉되는 마스트(200)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각 가속도 센서(710) 및 하부 각 가속도 센서(720)는 마스트(200)의 원주 방향 변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각 가속도 센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하중 측정수단(750)은 마스트(200)의 타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하중 측정수단(750)은 요트(10)의 항해 특성을 좀 더 자세하게 분석하고 사용자가 이를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가속도 측정수단(700)과 별개로 마스트(2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직접적으로 계측할 수 있는바, 이에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마스트(200)에 가해지는 하중 정보를 모니터링하면서 항해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트(200)의 하중을 최대한 정확하게 계측하기 위하여 하중 측정수단(750)은 마스트(200)에서 붐(300)이 연결되는 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붐(300)을 통해 마스트(200)에 전달되는 하중까지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요트의 항해 과정에서 풍력의 대부분은 돛(400)에 가해지고, 돛(400)에 가해진 힘은 다시 마스트(200)와 붐(300)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트(200)에 가해지는 힘은 직선 방향의 힘과 회전력으로 분류될 수 있는바, 회전력은 앞에서 설명한 각 가속도 측정수단(700)을 통해 측정할 수 있지만, 마스트(200)에 가해지는 직선 방향의 힘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하중 측정수단(750)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마스트(200)는 붐(300)과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붐(300)에 의해서도 하중을 전달받을 수 있는 바, 마스트(200)에 전달되는 총 하중을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하중 측정수단(750)은 마스트(200)에서 붐(300)이 연결되는 곳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제어부(800)는 앞에서 설명한 풍량/풍속계(600)와 각 가속도 측정수단(700) 및 하중 측정수단(750)에서 측정한 각각의 측정값을 제공받아 소정의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900)에 보내 디스플레이부(9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800)는 각 가속도 측정수단(700)과 하중 측정수단(750)으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마스트(200)에 작용하는 비틀림 및 하중이 위험 한계치(기준값)를 벗어나는 경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00)는 제어부(800)와 유선 또는 무선 등,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며, 항해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인 풍속/풍향에 대한 정보와 마스트(200)의 비틀림 및 하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항해 중에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요트 운항 중에 디스플레이부(900)를 보면서 풍향과 풍속을 확인할 수 있고, 마스트(200)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에 대한 정보와 하중에 대한 정보를 각각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항해 속도와 방향을 적절하게 결정하여 운항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800)에 저장된 수치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에 따른 적절한 항해 기술을 초보자에게 교육하는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의 하부에는 항해시 선체(100)가 측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 가능한 스케그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스케그부(150)는 필요에 따라 선체(10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선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항해시에 바람에 의하여 선체(100)가 측방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케그부(150)는 하방 돌출되고 그 외에는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선체(100)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스케그부(150)가 선체(100) 내부에 삽입되면 특히 선체(100) 수리를 위하여 선체(100)의 하부를 지그나 반목 등으로 지지하는 경우 간섭되지 않아 유용하다.
스케그부(150)가 필요에 따라 선체(100)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선체(100)의 하부에는 스케그부(150)가 수용되는 수용부(101)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101)에는 스케그부(150)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수단(160)이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160)은 스케그부(150)의 적어도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랙 기어(161)와, 이 랙 기어(161)에 치합되어 스케그부(150)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16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162)가 구동됨에 따라 랙 기어(161)가 움직이면서 스케그부(150)가 선체의 하부로 돌출되거나 선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세일링 요트
100 : 선체 101 : 수용홈
110 : 바닥부 150 : 스케그부
160 : 슬라이딩 수단 200 : 마스트
300 : 붐 400 : 돛
500 : 텐션 유닛 510 : 텐션 라인
520 : 텐션 드럼 530 : 텐션 풀리
600 : 풍량/풍속계 700 : 각 가속도 측정수단
710 : 상부 각 가속도 센서 720 : 하부 각 가속도 센서
750 : 하중 측정수단 800 : 제어부
9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선체;
    상기 선체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선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스트와 함께 상기 선체에 대해 회전되는 붐;
    상기 마스트 및 상기 붐에 결합되며, 풍력을 제공받는 돛; 및
    상기 선체 상에 제공되고, 상기 돛의 장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텐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텐션 유닛은,
    상기 돛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돛을 팽팽하게 하거나 느슨하게 하여 상기 돛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라인;
    상기 텐션 라인을 감거나 풀어서 상기 돛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드럼; 및
    상기 텐션 라인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 라인의 경로를 전환하는 텐션 풀리;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라인은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의 상기 텐션 라인은 상기 돛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돛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풍량 및 풍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측하는 풍량/풍속계;
    상기 마스트의 일측에 제공되며, 풍력에 의한 상기 마스트의 비틀림을 측정하는 각 가속도 측정수단;
    상기 마스트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마스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수단;
    상기 풍량/풍속계와 상기 각 가속도 측정수단 및 상기 하중 측정수단에서 측정한 각각의 측정값을 제공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풍량/풍속계의 풍량/풍속에 대한 정보와 상기 마스트의 비틀림 및 하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풍속계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선수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속도 측정수단은,
    상기 마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각 가속도 센서; 및
    상기 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각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측정수단은, 상기 마스트 중에서 상기 붐이 연결되는 곳에 설치되며 상기 붐을 통해 상기 마스트에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 가능한 스케그부가 제공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그부는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선체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스케그부의 적어도 일측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스케그부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KR1020180017163A 2018-02-12 2018-02-12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KR10201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63A KR102019916B1 (ko) 2018-02-12 2018-02-12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63A KR102019916B1 (ko) 2018-02-12 2018-02-12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75A KR20190097575A (ko) 2019-08-21
KR102019916B1 true KR102019916B1 (ko) 2019-09-09

Family

ID=6780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163A KR102019916B1 (ko) 2018-02-12 2018-02-12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7653A (zh) * 2022-07-15 2022-09-0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升降式风力助航装置及船舶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274A (ko) * 2010-10-05 2012-04-16 이상윤 선체 내부로 접혀 들어가는 요트용 킬
KR101470489B1 (ko) * 2010-12-10 2014-12-08 유장욱 요트 조정장치
KR101434228B1 (ko) * 2012-12-20 2014-08-27 임선우 요트의 퍼지추론형 자동항해방법
KR20150100222A (ko) * 2014-02-25 2015-09-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소비 저감을 위한 선박
KR20160011969A (ko) 2014-07-23 2016-02-02 백용진 요트 운전 연습용 시뮬레이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75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008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nchor rode length
US4936236A (en) Symmetrical sailboat with moment balancing rig
KR102019916B1 (ko)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US20050211149A1 (en) Sail furling device
JPS621691A (ja) 船舶の自動操縦方法および装置
JP5106404B2 (ja) ツインセイリングボード
EP0083806A1 (en) A sail and rigging for a sailing-apparatus
US606104A (en) twining
US10223325B2 (en)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the relative force acting upon a sail
US4022144A (en) Sailing craft
EP0079949A1 (en) WIND WING SYSTEM.
KR20120064929A (ko) 요트 조정장치
CN113830240A (zh) 一种高流速动水条件下长隧洞流道检查系统
JP6425237B2 (ja) 帆装船の帆の角度制御方法、角度制御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帆装船
KR20120002056A (ko) 거주구를 이용한 선박용 돛 장치
CN203005711U (zh) 帆船用摆动龙骨
US521388A (en) Boat-ballasting device
SU1049352A1 (ru) Парусное вооружение судна
Izaguirre-Alza et al. A wind tunnel investigation of the aerodynamics of sailing dhows
CN109974963A (zh) 一种帆船风洞实验装置
US68050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or eliminating sailboat heeling
JP2005280617A (ja) 帆装船の帆の最適設定角探索方法
KR102392456B1 (ko) 선박용 추진 모터
RU2006141917A (ru) Моторно-парусное судно
CN221049919U (zh) 一种船舶自动停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