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605B1 -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 Google Patents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605B1
KR102019605B1 KR1020180073631A KR20180073631A KR102019605B1 KR 102019605 B1 KR102019605 B1 KR 102019605B1 KR 1020180073631 A KR1020180073631 A KR 1020180073631A KR 20180073631 A KR20180073631 A KR 20180073631A KR 102019605 B1 KR102019605 B1 KR 102019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design pattern
design
weight
concre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102018007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2Apparatus for washing concrete for decorative purposes or similar surface treatments for exposing the tex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은 a) 소정 디자인 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제1실크스크린 판을 제작하고, 상기 디자인문양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제2실크스크린 판을 제작하는 단계; b) 시멘트경화지연제와 수성잉크를 혼합한 지연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1실크스크린 판과 상기 지연잉크를 이용해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베이스시트에 상기 지연잉크를 디자인 문양으로 인쇄하는 단계; d) 상기 제2실크스크린 판과 열경화성 잉크를 이용해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상기 베이스시트에 인쇄된 상기 디자인문양의 테두리에 상기 열경화성 잉크를 인쇄하여 판넬제작시트를 완성하는 단계; e) 상기 판넬제작시트를 거푸집 틀에 넣고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지연잉크가 디자인 문양으로 인쇄되고, 상기 디자인 문양의 테두리에 상기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된 콘크리트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콘크리트 판넬에서 상기 거푸집 틀과 상기 판넬제작시트를 분리한 후, 상기 콘크리트 판넬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디자인 문양의 시멘트성분이 씻겨 나가 상기 디자인 문양에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Manufacturing method for design concrete panel and design concrete panel manufactured by this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판넬의 표면에 여백부분 대비 질감이 다른 디자인 문양이 형성될 뿐 아니라, 열경화용 잉크가 디자인 문양의 테두리에 인쇄되어 테두리강조부가 형성해 디자인문양을 강조함으로써, 다채롭고 세련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건축자재로 사용가능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각종 토목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벽면에는 단순히 타일이나 석재 등을 부착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주변경관에 따라 다양한 입체 문양이 형성되게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장식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각종 건축구조물의 내, 외벽이나 기둥 또는 제방공사, 항만공사, 고속도로 및 지하차도의 방음벽, 조경시설물, 기타 장식을 위한 콘크리트 벽면에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거나 특정 홍보를 위한 정보제공을 위해 다양한 디자인 문양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외벽 등 건축물의 일면을 장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할 때 콘크리트 판넬에 다양한 음양각의 디자인문양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은 음양각의 디자인문양이 형성된 판재를 거푸집틀 바닥면에 배치시킨 후 거푸집틀에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해 줌으로써, 제조되는 콘크리트 판넬의 표면에 음양각의 입체문양이 형성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은 입체적인 디자인 문양이 표면에 형성되어지기는 하나, 단순히 입체 문양만이 표현된 형태로서, 콘크리트 판넬의 표면은 디자인 문양부분과 여백부분이 모두 동일한 하나의 질감만으로 표현되어 질감차이가 있지 않고 디자인 문양이 강조되어 있지 않아 외부에서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밋밋하고 단조로운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아쉬움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952683호 등록실용 20-0305116호 등록실용신안 20-0305937호 등록특허 10-16124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판넬의 표면에 여백부분 대비 질감이 다른 디자인 문양이 형성될 뿐 아니라, 열경화용 잉크가 디자인 문양의 테두리에 인쇄되어 테두리강조부를 형성해 디자인문양을 강조함으로써, 다채롭고 세련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은 a) 소정 디자인 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제1실크스크린 판을 제작하고, 상기 디자인문양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제2실크스크린 판을 제작하는 단계; b) 시멘트경화지연제와 수성잉크를 혼합한 지연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1실크스크린 판과 상기 지연잉크를 이용해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베이스시트에 상기 지연잉크를 디자인 문양으로 인쇄하는 단계; d) 상기 제2실크스크린 판과 열경화성 잉크를 이용해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상기 베이스시트에 인쇄된 상기 디자인문양의 테두리에 상기 열경화성 잉크를 인쇄하여 판넬제작시트를 완성하는 단계; e) 상기 판넬제작시트를 거푸집 틀에 넣고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지연잉크가 디자인 문양으로 인쇄되고, 상기 디자인 문양의 테두리에 상기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된 콘크리트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콘크리트 판넬에서 상기 거푸집 틀과 상기 판넬제작시트를 분리한 후, 상기 콘크리트 판넬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디자인 문양의 시멘트성분이 씻겨 나가 상기 디자인 문양에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연잉크는 초산염화비닐 19~21중량%와 물 79~81 중량%로 이루어진 제1접착제 1kg 기준으로, 초산염화비닐 41~43중량%와 물 57~59 중량%로 이루어진 제2접착제 1kg과, 스트르산 19~21 중량%, 주석산 염 19~21 중량%, 설탕 6~8 중량%와, 물 52~54 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경화지연제 300g과, 수성잉크 100g을 혼합하여 제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잉크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42 중량%, 이미다졸(imidazole) 3 중량%, 안료(pigment) 5 중량%, 무기충전제(inorganic Filler) 30 중량%, 부칠 셀로솔부 아세테이트(Butyl Cellosolve Acetate) 10 중량%, 솔벤트나프타(solvent naphtha) 10 중량%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지연잉크가 디자인 문양으로 인쇄된 상기 베이스시트에 오일로 이루어진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을 적용하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에 여백부분 대비 질감이 전혀 다른 거친 느낌의 디자인 문양부가 형성되고, 이 디자인 문양부의 테두리에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되어 고착되어져 디자인 문양부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테두리 강조부가 형성되게 됨으로써, 보다 다채롭고 세련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을 건축 외벽, 천정, 바닥 등에 장식재로 적용할 경우 기존에 비해 장식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은 기존 외벽 장식재를 대체하여 건축물의 인테리어 자재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은 실크스크린 판 제작단계(s10), 지연잉크 제조단계(s20), 지연잉크 인쇄단계(s30), 이형제 도포단계(s40), 열경화성잉크 인쇄단계(s50), 콘크리트 판넬 형성단계(s60), 거푸집 틀 및 판넬제작시트 분리단계(s70), 물분사단계(s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실크스크린 판 제작단계(s10)는 실크스크린 제판 작업을 통해, 실크스크린 망에 소정의 디자인문양의 잉크통과공(15)이 형성된 제1실크스크린 판(10)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틀부재(11)와, 이 틀부재(11)에 고정된 실크스크린망(12)으로 이루어진 실크스크린 판(10, 도 2 참조)을 준비하고, 실크스크린 망(12)에 감광액을 전체영역에 도포하여 어두운곳에서 말린다. 다음으로 트레이싱 페이퍼와 같은 지류에 원하는 디자인이미지를 인쇄한 후, 디자인이미지가 인쇄된 지류를 감광액이 도포된 실크스크린 망(12)에 겹쳐놓고 노광해주고, 실크스크린망(12)을 물로 씻어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콘'과 같은 디자인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잉크통과공(15)이 형성된 제1 실크스크린 판(10)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실크스크린 판(10)을 제작하는 제판 과정은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일한 제판 과정을 통해 도 3과 같이 '디콘'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제2잉크통과공(17)이 형성된 제2 실크스크린 판(20)을 제작하여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연잉크 제조단계(s20)는 시멘트 경화지연제와 수성잉크를 혼합한 지연잉크를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산염화비닐 19~21중량%와 물 79~81 중량%로 이루어진 제1접착제 1kg 기준으로, 초산염화비닐 41~43중량%와 물 57~59 중량%로 이루어진 제2접착제 1kg과, 스트르산 19~21 중량%, 주석산 염 19~21 중량%, 설탕 6~8 중량%와, 물 52~54 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경화지연제 300g과, 수성잉크 100g을 혼합하여 지연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연잉크 인쇄단계(s30)는 베이스시트(20) 위에 s10 단계에서 제작된 제1실크스크린 판(10)을 올려놓고, 제1실크스크린 판(10)에 s20 단계에서 제조한 지연잉크를 일정량 부은 후 스퀴즈(18)로 밀어주게 되면 지연잉크가 제1잉크통과공(15)을 통과하여 베이스시트(20)에 인쇄됨으로써, 도 2의 (b)와 같이, 베이스시트(20)에 '디콘'과 같은 디자인문양으로 지연잉크인쇄부(30)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시트(20)는 크라프트지와 같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의 투명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형제 도포단계(s40)는 디자인문양의 지연잉크인쇄부(30)가 형성된 베이스시트(20)에 오일형태의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이형제를 베이스시트(20)에 도포함으로써, 제작된 콘크리트 판넬(50)이 베이스시트(20)에서 쉽게 분리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단, 이형제 도포단계(s40)는 필요에 따라 생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열경화성잉크 인쇄단계(s50)는 디자인문양의 지연잉크인쇄부(30)가 형성된 베이스트(20) 위에 s10 단계에서 제작된 제2실크스크린 판(11)을 올려 놓고, 열경화성 잉크를 제2실크스크린 판(14)에 소정량 부은 후, 스퀴즈(18)로 밀어주면, 열경화성 잉크가 제2실크스크린 판(14)에 형성된 제2 잉크통과공(17)을 통과하여 베이스시트(20)에 인쇄됨으로써, 도 3의 (b)와 같이, 베이스시트(20) 상에는 지연잉크인쇄부(30)의 테두리를 따라 열경화성 잉크인쇄부(33)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열경화성 잉크는 에폭시수지, 이미다졸, 무기충전제, 부칠셀로솔부 아세테이트, 솔벤트나프타를 혼합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열경화성 잉크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42 중량%, 이미다졸(imidazole) 3 중량%, 안료(pigment) 5 중량%, 무기충전제(inorganic Filler) 30 중량%, 부칠 셀로솔부 아세테이트(Butyl Cellosolve Acetate) 10 중량%, 솔벤트나프타(solvent naphtha) 1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베이스시트(20)에 디자인문양으로 지연잉크인쇄부(30)가 형성되고, 이 디자인문양으로 인쇄된 지연잉크인쇄부(30)의 테두리를 따라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된 열경화성 잉크인쇄부(33)가 형성됨으로써 판넬제작시트(A)가 완성되게 된다. 도 4는 실제 제작된 판넬제작시트(A)를 나타낸 제작사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판넬 형성단계(s60)는 상기에서 제작된 판넬제작시트(A)를 거푸집 틀(40)에 넣고,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판넬(50)이 형성된다.
이때, 콘크리트 판넬(50)은 베이스시트(20)의 지연잉크인쇄부(30)와 접촉되는 부분(52)에서 시멘트 경화가 늦춰지게 된다. 아울러, 콘크리트 판넬(50)에는 지연잉크인쇄부(30)와 접촉되어 지연잉크인쇄부(30)의 지연잉크가 묻어 인쇄된 디자인 문양부(52)와, 이 디자인 문양부(52)의 테두리를 따라 열경화성 잉크인쇄부(33)의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되어진 테두리강조부(54)가 형성되게 된다.
이후, 소정시간 동안 콘크리트 판넬(50)을 양생시킨 후, 거푸집 틀(40) 및 판넬제작시트(A)를 콘크리트 판넬(50)에서 제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70).
이때, 디자인 문양부(52)는 지연잉크에 의해 시멘트의 경화가 늦춰지게 되고,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되어진 테두리강조부(54)는 열경화성 잉크가 굳어 콘크리트 판넬(50)에 고착된다.
다음으로, 물분사단계(s80)는 콘크리트 판넬(50)에 고압의 물을 분사함으로써, 경화가 늦춰진 디자인 문양부(52)의 시멘트 성분이 씻겨 나가 규사, 세석, 모래 등의 골재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콘크리트 판넬(50)은 디자인 문양부(52)의 질감이 거친 느낌으로 표현되며, 디자인문양부(52) 이외의 여백부분(57)은 시멘트가 지연되지 않고 양생이 이루어져 물분사시에도 시멘트가 씻겨나가지 않게 되므로 표면질감이 고운 부드러운 느낌이 표현되게 된다.
아울러, 디자인문양부(52)의 테두리에는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되어 고착된 테두리강조부(54)가 형성되어 있어, 거친 느낌의 디자인문양부(52)의 테두리를 눈에 띄게 강조해 줄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5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여백부분(54)에 비해 질감이 전혀 다른 거친 느낌의 질감을 갖는 디자인 문양부(52)가 형성되며, 이 디자인문양부(52)의 테두리에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되어 고착된 테두리강조부(54)가 형성되어 디자인문양부(52)를 강조해 줄 수 있어, 다채롭고 세련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연잉크는 초산염화비닐 19~21중량%와 물 79~81 중량%로 이루어진 제1접착제 1kg 기준으로, 초산염화비닐 41~43중량%와 물 57~59 중량%로 이루어진 제2접착제 1kg과, 스트르산 19~21 중량%, 주석산 염 19~21 중량%, 설탕 6~8 중량%와, 물 52~54 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경화지연제 300g과, 수성잉크 100g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판넬(50)에서 디자인 문양부(52)의 시멘트 경화지연과 지연영역의 경계가 뚜렷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물분사에 의해 디자인 문양부(52)의 경화지연된 시멘트 성분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져 디자인 문양부(52)와 여백부분(57)의 질감차이가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며, 디자인 문양부(52)의 영역경계도 뚜렷하게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지연잉크에서 제2접착제를 적용하지 않고 제1접착제 1kg, 시멘트경화지연제 300g, 수성잉크 100g 만을 혼합하여 지연잉크를 제조해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판넬에 형성되는 디자인 문양부분의 해상도는 좋지만 수분량이 많아져 번짐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지연잉크에서 제1접착제를 적용하지 않고 제2접착제 1kg, 시멘트경화지연제 300g, 수성잉크 100g 만을 혼합하여 지연잉크를 제조해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판넬에 형성되는 디자인 문양부분의 해상도 번짐성엔 좋으나 미세하지 음각이 형성되어 보완이 필요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판넬(50)에서 뚜렷하고 질감차이를 확실히 나타내는 디자인 문양부(5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연잉크를 초산염화비닐 19~21중량%와 물 79~81 중량%로 이루어진 제1접착제 1kg 기준으로, 초산염화비닐 41~43중량%와 물 57~59 중량%로 이루어진 제2접착제 1kg과, 스트르산 19~21 중량%, 주석산 염 19~21 중량%, 설탕 6~8 중량%와, 물 52~54 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경화지연제 300g과, 수성잉크 100g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때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제1실크스크린 판
11...틀부재
12...실크스크린 망
13...감광액
14...제2실크스크린 판
15...제1잉크통과공
16...제2잉크통과공
20...베이스시트
30...지연잉크 인쇄부
33...열경화성잉크 인쇄부
A...판넬제작시트
40...거푸집 틀
50...콘크리트 판넬
52...디자인 문양부
54...테두리 강조부

Claims (4)

  1. a) 소정 디자인 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제1실크스크린 판을 제작하고, 상기 디자인문양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제2실크스크린 판을 제작하는 단계;
    b) 시멘트경화지연제와 수성잉크를 혼합한 지연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1실크스크린 판과 상기 지연잉크를 이용해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베이스시트에 상기 지연잉크를 디자인 문양으로 인쇄하는 단계;
    d) 상기 제2실크스크린 판과 열경화성 잉크를 이용해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상기 베이스시트에 인쇄된 상기 디자인문양의 테두리에 상기 열경화성 잉크를 인쇄하여 판넬제작시트를 완성하는 단계;
    e) 상기 판넬제작시트를 거푸집 틀에 넣고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지연잉크가 디자인 문양으로 인쇄되고, 상기 디자인 문양의 테두리에 상기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된 콘크리트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콘크리트 판넬에서 상기 거푸집 틀과 상기 판넬제작시트를 분리한 후, 상기 콘크리트 판넬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디자인 문양의 시멘트성분이 씻겨 나가 상기 디자인 문양에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연잉크는 초산염화비닐 19~21중량%와 물 79~81 중량%로 이루어진 제1접착제 1kg 기준으로, 초산염화비닐 41~43중량%와 물 57~59 중량%로 이루어진 제2접착제 1kg과, 시트르산 19~21 중량%, 주석산 염 19~21 중량%, 설탕 6~8 중량%와, 물 52~54 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경화지연제 300g과, 수성잉크 100g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잉크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42 중량%, 이미다졸(imidazole) 3 중량%, 안료(pigment) 5 중량%, 무기충전제(inorganic Filler) 30 중량%, 부칠 셀로솔부 아세테이트(Butyl Cellosolve Acetate) 10 중량%, 솔벤트나프타(solvent naphtha) 1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지연잉크가 디자인 문양으로 인쇄된 상기 베이스시트에 오일로 이루어진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KR1020180073631A 2018-06-26 2018-06-26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KR10201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31A KR102019605B1 (ko) 2018-06-26 2018-06-26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31A KR102019605B1 (ko) 2018-06-26 2018-06-26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605B1 true KR102019605B1 (ko) 2019-11-04

Family

ID=6857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631A KR102019605B1 (ko) 2018-06-26 2018-06-26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68B1 (ko) * 2021-06-02 2022-04-05 김성진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KR102480274B1 (ko) * 2022-05-11 2022-12-21 이연순 그래픽 콘크리트용 시트 제조방법
KR102500610B1 (ko) 2022-03-22 2023-02-17 표미애 폐활용 유리골재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7141A (ja) * 1999-02-17 2002-11-05 ジャン サムリ ナーマンカ パターンドコンクリート表面を作る方法
KR200305937Y1 (ko) 2002-12-13 2003-03-03 안승한 양각문양이 형성된 콘크리트 칼라 구조물
KR200305116Y1 (ko) 1996-10-14 2003-11-17 전상열 콘크리트표면처리용조형판
KR20090097596A (ko) * 2008-03-12 2009-09-16 (주) 태양기전 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입체 표면 장식부재 및 그제조방법
KR100952683B1 (ko) 2008-03-14 2010-04-13 (주)장성산업 도형판이 장착된 거푸집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블록
JP5091825B2 (ja) * 2008-10-07 2012-12-05 丸高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成形コンクリートの塗装方法と加飾コンクリート成形品
KR101612493B1 (ko) 2015-09-02 2016-04-14 주식회사 코리아카운터탑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116Y1 (ko) 1996-10-14 2003-11-17 전상열 콘크리트표면처리용조형판
JP2002537141A (ja) * 1999-02-17 2002-11-05 ジャン サムリ ナーマンカ パターンドコンクリート表面を作る方法
JP4704569B2 (ja) * 1999-02-17 2011-06-15 ジャン サムリ ナーマンカ パターンドコンクリート表面を作る方法
KR200305937Y1 (ko) 2002-12-13 2003-03-03 안승한 양각문양이 형성된 콘크리트 칼라 구조물
KR20090097596A (ko) * 2008-03-12 2009-09-16 (주) 태양기전 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입체 표면 장식부재 및 그제조방법
KR100952683B1 (ko) 2008-03-14 2010-04-13 (주)장성산업 도형판이 장착된 거푸집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블록
JP5091825B2 (ja) * 2008-10-07 2012-12-05 丸高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成形コンクリートの塗装方法と加飾コンクリート成形品
KR101612493B1 (ko) 2015-09-02 2016-04-14 주식회사 코리아카운터탑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68B1 (ko) * 2021-06-02 2022-04-05 김성진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KR102500610B1 (ko) 2022-03-22 2023-02-17 표미애 폐활용 유리골재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WO2023182767A1 (ko) * 2022-03-22 2023-09-28 표미애 폐활용 유리골재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KR102480274B1 (ko) * 2022-05-11 2022-12-21 이연순 그래픽 콘크리트용 시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605B1 (ko)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JP4704569B2 (ja) パターンドコンクリート表面を作る方法
KR102019604B1 (ko) 입체문양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US8444789B2 (en) Decorative brick mould for in-situ production on building
CN106827198A (zh) 一种混凝土缓凝转印方法
KR20130129562A (ko)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RU269892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умажного полотна для нанесения рисунка на бетонную поверхность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рисунка на бетонную поверхность
KR102276164B1 (ko) 콘크리트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JP2007098849A5 (ko)
KR102480274B1 (ko) 그래픽 콘크리트용 시트 제조방법
KR200416510Y1 (ko) 무늬부를 갖는 인조대리석
CZ31428U1 (cs) Zařízení pro vytváření grafických vzorů na povrchu pohledové strany betonových dílců
JP3265200B2 (ja) 打放しコンクリート意匠ボードの製造方法
EP278943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variety of esthetic concrete surfaces using metal molds and a magnetic substrate
JP2002266307A (ja) コンクリート層の形成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層
KR100432001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착색방법
JP2685913B2 (ja) 建築用板の製造方法
CN203583813U (zh) 一种陶瓷砖
JP2000120007A (ja) 土木・建築物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材の製造方法
JPH1181624A (ja) 合成樹脂発泡板からなる擬石板
JPH07171928A (ja) エマルジョン樹脂系及びセメント系コテ塗化粧シート
JPS58166006A (ja) コンクリ−ト洗い出し平板の製造方法及び型枠
JPS59233064A (ja) 浮彫模様吹付材の施工方法
JP2020175591A (ja) コンクリート加飾用型押材
JPH11216709A (ja) 表面天然石調構造体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