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493B1 -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493B1
KR101612493B1 KR1020150124315A KR20150124315A KR101612493B1 KR 101612493 B1 KR101612493 B1 KR 101612493B1 KR 1020150124315 A KR1020150124315 A KR 1020150124315A KR 20150124315 A KR20150124315 A KR 20150124315A KR 101612493 B1 KR101612493 B1 KR 10161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old
concrete block
concrete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권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카운터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카운터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카운터탑
Priority to KR102015012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36Cutting means, e.g. water 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베이스판(100)의 외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다수의 디자인 문양을 커팅 하는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 상기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에서 제작된 상기 베이스판(100)을 틀(200)의 상면에 상기 베이스판(100) 보다 넓게 형성된 투입공간(210)에 투입하는 베이스판 투입 단계(S20), 상기 베이스판(100)과 틀(200)의 내면 사이에 우레탄을 투입 및 양생하여 몰드(300)를 형성하는 몰드 형성 단계(S30), 상기 몰드(300)에 이형제를 투입하여 상기 몰드(300)를 상기 투입공간(210)에서 배출하는 몰드 배출 단계(S40), 상기 몰드(300) 내부에 시멘트와 무기질 안료를 혼합한 혼합물인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 하여 콘크리트 블록(400)을 형성하는 제품 형성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 이다.

Description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Natural texture concrete blo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천연 질감 및 색상을 구현할 수 있게 한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 대리석은 뛰어난 질감과 아름다운 외관으로 건축 내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 대리석은 시공비가 높고 곡면이나 입체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표현하여 원하는 치수로 구조물을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형상과 치수에 크게 제약받는 일이 없이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가 대체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및 물을 적정한 비율로 섞어서 만든 혼합물을 말하는 것으로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며 내구성, 내수성 및 내진성이 뛰어나 시공비가 천연 대리석 및 인조대리석 보다 낮아 경제적으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천연 질감 및 색상을 느낄 수 있도록 연출된 내장재들이 각광을 받는 추세이다. 천연 소재를 이용한 내장재에 관하여 예를 들면, 나무를 이용하여 내장재의 외면에 나무 특유의 무늬를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나무 특유의 따뜻한 느낌과 정서적 안정감을 주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이는 비단 나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가죽, 천 등과 같이 특유의 질감을 가진 재료에도 해당된다.
상기한 천연 소재를 이용한 내장재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균열이 발생하고 개조, 보강 및 해체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천연 소재와 유사한 질감 및 색상을 연출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는데, 한국등록특허 제0794626호 ("나무 질감의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2008.01.08, 이하 종래기술)에는 목재를 박리하여 틀을 만들고 거푸집을 제작하여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에 나무 질감을 연출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나무 질감을 연출하기 위하여 목재를 박리하여야 할 뿐 아니라 박리된 목재를 이용하여 틀을 만들고, 상기 틀의 측부에 합판을 덧대며, 상기 합판 외측부에 유로폼을 더 덧대어 거푸집을 제작하는 등 제조 과정이 까다로워 시공비가 높고 나무 질감 외에 다른 천연 질감 및 색상을 연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조 과정이 간단하고 시공비가 낮으며 실제와 유사한 천연 질감 및 색상을 연출하고 내구성 및 내수성이 뛰어난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794626호 ("나무 질감의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2008.01.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천연 질감 및 색상이 연출된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조 과정이 복잡하지 않으며 제조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 천연 대리석에서 연출할 수 없었던 유선형 및 곡면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베이스판(100)의 외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다수의 디자인 문양을 커팅 하는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 상기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에서 제작된 상기 베이스판(100)을 틀(200)의 상면에 상기 베이스판(100) 보다 넓게 형성된 투입공간(210)에 투입하는 베이스판 투입 단계(S20); 상기 베이스판(100)과 틀(200)의 내면 사이에 우레탄을 투입 및 양생하여 몰드(300)를 형성하는 몰드 형성 단계(S30); 상기 몰드(300)에 이형제를 투입하여 상기 몰드(300)를 상기 투입공간(210)에서 배출하는 몰드 배출 단계(S40); 및 상기 몰드(300) 내부에 시멘트와 무기질 안료를 혼합한 혼합물인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 하여 콘크리트 블록(400)을 형성하는 제품 형성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 형성 단계(S50)에서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형성된 디자인 문양에 천연 질감을 나타내는 안료를 도포하는 제품 도색 단계(S60); 및 상기 제품 도색 단계(S60)에서 도색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제품 후처리 단계(S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 형성 단계(S50)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질 안료 2내지 8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 도색 단계(S60)는, 상기 안료가 물이 혼합된 수성 안료이며, 상기 수성 안료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형성된 디자인 문양에 문질러서 묻히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형성된 디자인 문양에 묻혀진 수성 안료가 증발되기 전에 물로 닦아내는 도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가죽, 아크릴 및 나무합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드 형성 단계(S20)는, 상기 투입공간(210)의 높이방향폭(210L)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높이방향폭(100L)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다수의 디자인 문양을 커팅한 후,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 둘레에 자연석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 형성 단계(S50)는 제조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에 홈을 파고 상기 홈에 미리 정해진 재료를 넣고, 투명 안료를 넣어 굳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에 의해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천연 질감 및 색상이 연출된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과정이 복잡하지 않아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상 및 크기에 구애받지 않아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판 투입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판 투입 단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 배출 단계에서 형성된 몰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연출된 콘크리트 블록의 나무 질감 및 색상을 촬영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연출된 콘크리트 블록의 가죽 질감 및 색상을 촬영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을 촬영한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질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외면에 도색작업을 하되,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종류에 따라 단계를 나누어 수작업으로 도색하는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향 표시에 있어서, 도면의 상면을 상면, 도면의 하면을 하면, 도면의 측면을 측면, 도면의 높이방향을 높이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 베이스판 투입 단계(S20), 몰드 형성 단계(S30), 몰드 배출 단계(S40), 제품 형성 단계(S50), 제품 도색 단계(S60) 및 제품 후처리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에서는 외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다수의 디자인 문양을 커팅한 베이스판(100)을 준비한다.
상기 베이스판(100)의 재질은 가죽, 아크릴 및 나무합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양각 및 음각이 표출된 소재면 어느 것이든 상기 베이스판(100)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에 디자인할 문양을 결정한 후 레이저 커팅 하여 문양을 각인한다. 이때 디자인할 문양에 따라, 바닥면과 접착되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의 배면인 하면을 제외한 상면 및 측면에 커팅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에 문양을 커팅시 문양사이의 간격은 1.5mm~ 4.5mm 정도 간격을 두고 문양을 각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수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수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격을 두고 문양을 각인하는 것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고르게 투입되고 공극(孔隙)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판 투입 단계(S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 투입단계(S20)는 상기 베이스판(100)보다 넓은 투입공간(210)이 형성된 틀(200)을 준비한 후, 외면에 디자인 문양이 커팅된 상기 베이스판(100)을 상기 투입공간(210)에 투입한다. 이때 상기 틀(200)의 재질은 방수합판 또는 시트판넬과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판 투입 단계(S2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200)의 높이는 상기 베이스판(100)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틀(200)의 투입공간(210) 높이방향폭(210L)이 상기 베이스판(100) 높이방향폭(100L)보다 최소 10mm이상 더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틀(200)의 높이를 상기 베이스판(100)보다 더 높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틀(200)의 투입공간(210)에 우레탄 액을 투입하여 상기 몰드(3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틀(200)을 뒤집어 상기 몰드(300)를 배출하게 되므로 상기 투입공간(20) 높이방향폭(210L)과 상기 베이스판(100) 높이방향폭(100L)의 차이가 상기 몰드(300) 하면의 두께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틀(200)의 높이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지라도 그 높이가 10mm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몰드(300)의 내구성이 취약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을 상기 투입공간(210)에 투입할 때 최종적으로 제조될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몰드(300)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과 상기 틀(200)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판(100)을 투입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조될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과 상기 틀(20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하는 것에 관한 예를 들면, 최종적으로 제조될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이 타일 제품일 경우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과 상기 틀(20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은 10mm~15mm 내외가 될 수 있으며, 테이블 제품일 경우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과 상기 틀(20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은 20mm~30mm 내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간격의 수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과 상기 틀(200)의 내면 사이에 우레탄 용액을 투입하게 되므로 바닥면과 맞닿는 상기 틀(200)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판(100)이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바닥면과 수평이 되지 않을 경우 액체 상태인 우레탄이 기울어진 면을 따라 흐른 후 굳어지게 되므로 최종 제품의 수직 및 수평이 맞지 않아 최종 제품의 상품성을 잃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몰드 형성 단계(S30)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0)과 상기 틀(200)의 내면 사이에 우레탄을 투입 및 양생하여 몰드(300)를 형성한다.
투입되는 우레탄은 주제와 경화제를 1:1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우레탄의 경도는 60A~65A의 연질타입일 수 있다. 여기에서, 우레탄의 경도는 우레탄의 단단함의 정도를 말한다. 또한, 우레탄 양생시 발생하는 거품방지를 위하여 상기 혼합물을 RPM500이상인 믹싱기로 최소 3분 이상 믹싱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RPM과 시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우레탄을 상기 틀(200)의 일측 모서리에서 전체 면으로 퍼지게 투입하며 상술한바와 같이 상기 틀(200)의 높이방향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우레탄을 투입 하여야 한다.
상기 우레탄을 상기 틀(200)에 투입한 후 24시간 뒤에 상기 우레탄의 양생이 끝나면 상기 몰드(3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 배출 단계(S40)에서 형성된 상기 몰드(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 배출 단계(S40)에서는 상기 몰드(300)를 상기 투입공간(210)에서 배출하며, 배출된 상기 몰드(300)에 이형제(탈형제)를 도포하여 추후 양생된 콘크리트 블록(40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품 형성 단계(S50)에서는 상기 투입공간(210)에서 배출된 상기 몰드(30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 하여 상기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400)을 제조한다.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질 안료 2내지 8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와 무기질 안료를 혼합하여 1차로 다양한 색상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혼합되는 무기질 안료의 종류 및 비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대리석(400)의 베이스가 되는 색상이 나타내어지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를 상기 몰드(300)에 타설시 우레탄을 상기 틀(200)의 내면에 투입할 때와 동일하게 바닥면과, 바닥면과 맞닿는 상기 몰드(300)의 하면은 수평을 유지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타설이 완료되면 상기 몰드(300)에 방수천을 덮어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공극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형성 단계(S50)에서 제조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이 완료된 콘크리트를 상기 몰드(300)에서 양생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몰드(30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원하는 개수만큼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 과정이 복잡하지 않아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품 도색 단계(S60)에서는 수성 안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수성 안료를 닦아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제품 도색 단계(S60)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형성된 디자인 문양에 천연 질감 및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를 도포하여 2차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을 도색하는데, 이때 도포되는 안료는 물이 혼합된 수성 안료일 수 있다.
상기 수성 안료를 천에 묻혀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수작업으로 상기 수성 안료를 문질러 가죽, 패브릭, 나무 및 대리석 등과 같은 자연적인 질감 및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사람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수성 안료를 문질러 묻히는 힘의 강도에 따라 수성 안료가 연하게 도색되거나 진하게 도색되어 실제와 유사한 질감 및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성 안료를 묻히는 도구는 수성 안료의 흡수가 최소로 되는 도구이면 족하나 극세사 재질의 천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에 결 또는 양각 및 음각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음각부분으로 상기 수성 안료가 고이지 않도록 사람이 직접 양각부분만 상기 수성 안료를 묻혀진 천으로 문질러 주거나 또는 상기 수성 안료를 양각부분에 묻지 않게 하고 음각부분에 고이게 하여 색의 농담(濃淡)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성 안료를 문지르는 횟수는 2 내지 3회 정도 문질러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횟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횟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형성된 디자인 문양에 묻혀진 상기 수성 안료가 증발되기 전에 다른 천에 물을 묻혀 닦아내는데, 초당 1회의 속도로 양각부분에 묻혀진 상기 수성 안료를 닦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연출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나무 질감 및 색상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연출된 가죽 질감 및 색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성 안료를 묻히는 단계와 물을 묻혀 상기 수성 안료를 닦아내는 단계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종류에 따라 수회 반복하여 1차로 무기질 안료 혼합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에 연출된 색에 2차로 상기 수성 안료를 문지르는 힘의 강도와 닦아내는 속도를 다르게 하여 상기 수성 안료를 도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형성된 문양의 음각부분과 양각부분의 색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어 도 6 및 도 7과 같은 실제와 유사한 나무 무늬 질감 및 색상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품 도색 단계(S60)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수성 안료로 도색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천연 질감 및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경우는 1차로 콘크리트에 무기질 안료를 혼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품 후처리 단계(S70)에서는 도색 작업이 끝난 후 양생이 완료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에 오염 방지제와 같은 코팅제를 도포한다.
콘크리트는 물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코팅제를 도포하지 않을 경우 물이나 오염에 의한 자국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제를 도포하는 후처리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몰드(300)를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실제와 유사한 질감 및 색상과 다양한 문양이 연출된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존 천연 대리석에서 연출할 수 없었던 유선형 및 곡면 형태로도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가 가능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리석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다수의 디자인 문양을 커팅한 후 자연석을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00)에 자연석을 결합하는 것에 관한 예를 들면, 자연석을 가열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 둘레에 가압하여 자연석 문양을 생성하거나 자연석을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 둘레에 접착시켜 상기 베이스판(100)에 자연석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00)을 상기 틀(200)의 투입공간(210)의 내면 둘레에 접착시켜 우레탄을 투입 및 양생하여 상기 몰드(3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몰드(30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면 외면 둘레에 자연석 문양이 입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을 제조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품 형성 단계(S50)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에 홈을 파고 상기 홈에 나뭇잎, 나무, 오석 및 유리 중 어느 하나를 삽입한 후 투명 에폭시 및 우레탄 용액을 경화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투입 및 양생하여 도 8과 같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베이스판 : 100
베이스판 높이방향 폭 : 100L
틀 : 200
투입공간 : 210
투입공간 높이방향 폭 : 210L
몰드 : 300
콘크리트 블록 : 400

Claims (9)

  1. 베이스판(100)의 상면 및 측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다수의 디자인 문양을 커팅하는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
    상기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에서 제작된 상기 베이스판(100)을 틀(200)의 상면에 상기 베이스판(100) 보다 넓게 형성된 투입공간(210)에 투입하는 베이스판투입 단계(S20);
    상기 베이스판(100)과 틀(200)의 내면 사이에 우레탄을 투입 및 양생하여 몰드(300)를 형성하는 몰드 형성 단계(S30);
    상기 몰드(300)에 이형제를 투입하여 상기 몰드(300)를 상기 투입공간(210에서 배출하는 몰드 배출 단계(S40);
    상기 몰드(300) 내부에 시멘트와 무기질 안료를 혼합한 혼합물인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 하여 1차로 상기 무기질 안료 혼합에 의해 색이 연출된 콘크리트 블록(400)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에 홈을 판 후, 나뭇잎, 나무, 오석 및 유리 중 어느 하나를 삽입한 후 투명 안료를 넣어 굳히는 제품 형성 단계(S50);
    상기 제품 형성 단계(S50)에서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된 디자인 문양에 문지르는 힘의 강도와 닦아내는 속도를 다르게 하여 2차로 수성 안료를 도포하는 제품 도색 단계(S60); 및
    상기 제품 도색 단계(S60)에서 도색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제품 후처리 단계(S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형성 단계(S50)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질 안료 2내지 8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도색 단계(S60)는,
    상기 수성 안료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형성된 디자인 문양에 문질러서 묻히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400)의 외면에 형성된 디자인 문양에 묻혀진 수성 안료가 증발되기 전에 물로 닦아내는 도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가죽, 아크릴 및 나무합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형성 단계(S20)는,
    상기 투입공간(210)의 높이방향폭(210L)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높이방향폭(100L)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커팅 단계(S1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다수의 디자인 문양을 커팅한 후,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면 둘레에 자연석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KR1020150124315A 2015-09-02 2015-09-02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61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315A KR101612493B1 (ko) 2015-09-02 2015-09-02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315A KR101612493B1 (ko) 2015-09-02 2015-09-02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493B1 true KR101612493B1 (ko) 2016-04-14

Family

ID=5580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315A KR101612493B1 (ko) 2015-09-02 2015-09-02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4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604B1 (ko) 2018-06-26 2019-09-06 이미영 입체문양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KR102019605B1 (ko) 2018-06-26 2019-11-04 김성진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CN112454646A (zh) * 2020-11-25 2021-03-09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土建混凝土板制造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175A (ja) * 1998-07-09 2000-01-25 Kotobuki Kogyo Kk レンガ調の窯業系化粧板
JP2003080513A (ja) * 2001-09-13 2003-03-19 Tokai Rubber Ind Ltd 表面模様出し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洗い出しデザイン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175A (ja) * 1998-07-09 2000-01-25 Kotobuki Kogyo Kk レンガ調の窯業系化粧板
JP2003080513A (ja) * 2001-09-13 2003-03-19 Tokai Rubber Ind Ltd 表面模様出し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洗い出しデザインパネ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604B1 (ko) 2018-06-26 2019-09-06 이미영 입체문양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KR102019605B1 (ko) 2018-06-26 2019-11-04 김성진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CN112454646A (zh) * 2020-11-25 2021-03-09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土建混凝土板制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7236A (en) Method for producing a wall, roadway, sidewalk or floor of cementitious material
US5328730A (en) Replicated stone surface
US5372676A (en) Method for producing replicated paving stone
US6634617B2 (en) Form liner
US7258897B1 (en) Process for producing an ornamental surface on a substrate
KR101612493B1 (ko)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1292A (ko) 석재 표면의 문양 성형방법
JP2006291697A (ja) 装飾用施工具、装飾用施工具の製作方法、装飾方法、建築資材
KR100529865B1 (ko) 장식용 무늬가 있는 렌더의 제조방법, 광물 렌더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도구
JP7438804B2 (ja) 面材
KR101064388B1 (ko) 수용성 전해질을 이용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0413A (ko) 레진을 이용한 다층구조 제조공법
KR100884901B1 (ko) 천연대리석 외관을 갖는 시멘트계 인조대리석 및 이의제조방법
KR20120024270A (ko)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8920067B2 (en) Concrete decorative inlay process
EP2605893A1 (en) Method for preparing flexible stone claddings having natural surface
RU216486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й плитки или панели и декоративная плитка или панель
KR100914630B1 (ko) 나무 무늬 노출콘크리트 표면 연출공법
KR100385771B1 (ko)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CN111016512A (zh) 一种聚氨酯软发泡橡胶雕塑的成型方法
US3925586A (en) Stencil casting process and resulting architectural art product
JP2562790B2 (ja) 擬石及びその製造方法
US125122A (en) Improvement in the manufacture of imitation marbles
KR100802316B1 (ko) 기능성 시트지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시트패널
RU269838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ых изделий из гип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