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468B1 -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468B1
KR102382468B1 KR1020210071245A KR20210071245A KR102382468B1 KR 102382468 B1 KR102382468 B1 KR 102382468B1 KR 1020210071245 A KR1020210071245 A KR 1020210071245A KR 20210071245 A KR20210071245 A KR 20210071245A KR 102382468 B1 KR102382468 B1 KR 10238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ncrete
panel
desig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장광순
Original Assignee
김성진
장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장광순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102021007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5Ceramic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3Alkaline-earth metal silicates, e.g. wollasto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04B14/062Microsilica, e.g. colloïdal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6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04B16/0633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75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91Polyamides; Polya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04B24/06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인패널의 심미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폐유리를 이용한 유리골재가 포함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판넬 외면에 부착되되 지연잉크가 인쇄된 판넬제작시트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지연잉크가 씻겨져 형성된 문양부를 통해 콘크리트판넬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디자인패널에 있어서, 콘크리트판넬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은 물, 백색시멘트, 나일론 섬유보강제, 실리카흄, 메타카올린, 폴리프로필렌섬유, AE 감수제, 혼화제, 실리카졸, 규회석, 백규사, 안료 및 유리골재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Design panel for manufacture concrete composition and design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자인패널의 심미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폐유리를 이용한 유리골재가 포함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각종 토목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벽면에는 단순히 타일이나 석재 등을 부착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주변경관에 따라 다양한 입체 문양이 형성되게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장식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각종 건축구조물의 내, 외벽이나 기둥 또는 제방공사, 항만공사, 고속도로 및 지하차도의 방음벽, 조경시설물, 기타 장식을 위한 콘크리트 벽면에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거나 특정 홍보를 위한 정보제공을 위해 다양한 디자인 문양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외벽 등 건축물의 일면을 장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할 때 콘크리트 판넬에 다양한 음양각의 디자인문양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은 음양각의 디자인문양이 형성된 판재를 거푸집틀 바닥면에 배치시킨 후 거푸집틀에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해 줌으로써, 제조되는 콘크리트 판넬의 표면에 음양각의 입체문양이 형성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은 입체적인 디자인 문양이 표면에 형성되어지기는 하나, 단순히 입체 문양만이 표현된 형태로서, 콘크리트 판넬의 표면은 디자인 문양부분과 여백부분이 모두 동일한 하나의 질감만으로 표현되어 질감차이가 있지 않고 디자인 문양이 강조되어 있지 않아 외부에서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밋밋하고 단조로운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특허출원의 발명자로부터 공지된 국내등록특허 제10-2019605호(공고일:2019.11.04.)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은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에 여백부분 대비 질감이 전혀 다른 거친 느낌의 디자인 문양부가 형성되고, 이 디자인 문양부의 테두리에 열경화성 잉크가 인쇄되어 고착되어져 디자인 문양부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테두리 강조부가 형성되게 됨으로써, 보다 다채롭고 세련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을 건축 외벽, 천정, 바닥 등에 장식재로 적용할 경우 기존에 비해 장식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구현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이 갖는 장점들은 문양부 자체의 디자인을 통해 구현되는데, 시야 확보가 용이한 주간과 대비하여 야간에는 상기 문양부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조명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야간과 달리, 주간의 경우에 장식재로서의 문양부의 식별은 용이하나 단조로운 이미지 연출로 인하여 오랜시간 사용시에 쉽게 식상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별도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고도 야간에 주변에서 발광하는 조명(예를 들어, 차량의 라이트, 정광판 등)에 의하여 문양부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자인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야간에 상관없이 문양부의 단조로운 이미지를 탈피하여 오랜시간 사용하여도 식상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콘크리트판넬 외면에 부착되되 지연잉크가 인쇄된 판넬제작시트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지연잉크가 씻겨져 형성된 문양부를 통해 콘크리트판넬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디자인패널에 있어서, 콘크리트판넬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은 물, 백색시멘트, 나일론 섬유보강제, 실리카흄, 메타카올린, 폴리프로필렌섬유, AE 감수제, 혼화제, 실리카졸, 규회석, 백규사, 안료 및 유리골재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유리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일론 섬유보강제 0.6 중량부, 백색시멘트 40 중량부, 실리카흄 0.3 중량부, 메타카올린 0.8 중량부, 혼화제 0.2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섬유 0.3 중량부, AE 감수제 0.4 중량부, 실리카졸 0.4 중량부, 물 18 중량부, 규회석 5 중량부, 안료 4 중량부, 백규사 6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골재는 폐유리를 파쇄 후,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연마수단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연마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폐유리는 파쇄하는 파쇄부재 및 파쇄가 이루어진 폐유리의 표면을 연마하여 유리골재를 획득하는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획득한 디자인패널의 문양부를 통해 유리골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건축구조물에 설치되어 에너지의 소비가 없이도 빛 반사에 의한 광(光) 연출이 가능하여 심심한 느낌의 구조물에 상기 문양부와 함께 화려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재활용이 용이하지 못한 산업폐기물인 폐유리를 이용하여 유리골재를 획득 후, 이를 디자인패널의 심미감 연출에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에 대한 해소의 일환이 되는 것은 물론, 에너지소비가 없어 경제적인 이득에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한 연마수단을 구성하는 파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한 연마수단을 구성하는 연마부재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제1 및 제2연마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대한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한 유리골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패널의 강도를 측정한 시험성적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9는 도 8에 대한 성형틀에 삽입된 베이스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에 대한 성형틀에 타설된 콘크리트 혼합물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8에 대한 획득한 디자인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 대한 문양부를 확대한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이하, 간략하게 '콘크리트 조성물'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은 물, 백색시멘트, 나일론 섬유보강제, 실리카흄, 메타카올린, 폴리프로필렌섬유, AE 감수제, 혼화제, 실리카졸, 규회석, 백규사, 안료 및 유리골재(G-A:Glass Aggregate)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성물은 경화 이후에 도시한 '품질검사 성적서'에서와 같이, 74메가파스칼(MPa)의 압축강도를 구현하여 종래의 타일(4MPa), 벽돌(8MPa), 시멘트블록(12MPa) 및 인조대리석(26MPa)와 대비하여 월등한 강도(strength)를 가질 수 있어 각종 구조물의 내외벽이나 기둥 또는 제방공사, 항만공사, 터널 외벽, 고속도로 및 지하차도의 방음벽, 조경시설물, 기타 장식을 위한 콘크리트 벽면으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도 7 참조)
여기서, 유리골재는 폐유리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 후,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표면이 굴곡지게 매끄러워 지도록 성형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리골재의 획득을 위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쇄부재(110) 및 연마부재(120)를 포함하는 연마수단(100)에 의해 획득한다.
예컨대 파쇄부재(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제어되되 금속재질로 성형된 원통형의 함체(111) 내부에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한 파쇄윙(112)이 회전축(113)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돌출형성되어 개구된 상부나 유입관(117)을 통해 상기 함체(111) 내부에 투입되는 폐유리와 충돌하여 소정 크기로 파쇄될 수 있도록 한다.
파쇄윙(112)은 회전축(113)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파쇄윙(112)에 의해 파쇄된 폐유리는 함체(111) 외면에 형성된 배출관(116)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파쇄윙(112)은 함체(111) 외부에 구비되되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회전모터(114)와 결합하는 회전축(11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유압이나 기압 등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실린더(115)에 의해 상기 함체(111) 내부에서 회전 및 승강하여 폐유리의 파쇄가 유리하도록 한다.
이때, 승강실린더(115)는 회전모터(114)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편과 고정 결합하여 상기 회전모터(114)의 승강을 통해 회전축(113)이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쇄부재(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호 관(PIPE) 연결되는 유입관(117) 및 배출관(116)을 통해 상호 연통되게 복수의 구조로 설치되어 획득하고자 하는 유리골재의 크기에 따라 다단 방식으로 파쇄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다수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상기 파쇄부재(110) 중 마지막에 위치하는 상기 파쇄부재(110)의 배출관(116)은 연마부재(120) 내측으로 폐유리가 투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연마부재(1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쇄가 이루어진 폐유리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몸체(121) 및 상부몸체(12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몸체(121)는 상부가 개구되되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홈 내부에는 상기 하부몸체(12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연마판(123)이 구비된다.
상부몸체(122)는 하부몸체(121) 상부와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상기 하부몸체(1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는 제1연마판(123)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복수의 제2연마판(124)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제2연마판(124)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연마판(123)과 달리, 스위치(128)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제2연마판(124)은 상부몸체(122) 내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 구조를 갖는 탄성체(129)에 의해 진동이 흡수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상부몸체(122) 상부에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12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6)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126)의 회전을 통해 제1연마판(123)과 제2연마판(124) 사이에 투입된 폐유리 표면이 굴곡면을 갖도록 매끄럽게 연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부몸체(122)는 하부몸체(121)와 서로 결합시에 상기 하부몸체(121)에 삽입된 제1연마판(123)의 돌출부와 가압 가능하게 면접하여 그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온/오프(ON/OFF) 활성화되는 스위치(128)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128)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어부를 통한 구동모터(126)의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되게 배치되는 제1연마판(123)과 제2연마판(124) 각각의 표면은 금강사(金剛沙)나 유리 가루, 규석(硅石) 따위의 보드라운 가루가 도포된 연마면(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연마면(125)을 통해 파쇄가 이루어진 폐유리 표면을 연마하여 그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연마판(123)과 제2연마판(124) 사이에 파쇄가 이루어진 폐유리를 공급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26)에 의해 상부몸체(122)가 회전하면 해당 폐유리 표면에 형성된 뽀족한 부분이 한 쌍의 연마면(125)을 통해 갈려 매끄럽게 형성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유리골재의 성형이 완성되게 하는 것이다.(도 6 참조)
이때, 한 쌍의 연마면(1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엠보싱(127)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몸체(122)가 회전시에 폐유리가 이동 및 뒤집힘이 반복적으로 실행되어 표면의 연마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연마수단(100)은 세척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재(130)는 연마부재(120)를 통해 획득한 유리골재에 노즐 등으로 물을 분사하여 해당 유리골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백색시멘트는 제조과정에서 철분 및 유색원소(Fe2O3)가 극소량으로 포함된 고순도의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혼화재(admixture)의 일종인 실리카흄(silica fume)은 획득하고자 하는 콘크리트패널(20)의 균열 억제,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증대 및 폭열방지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콘크리트패널(20)의 고내구성의 강도보강제 용도로 사용한다.
메타카올린(Metakaolin)은 실리카흄과 백색시멘트가 서로 혼합시에 해당 실리카흄과 백색시멘트 사이의 공극을 채워 생성하고자 콘크리트패널(20)의 강도 증진을 위해 사용한다.
혼화제(admixtures)는 멜라민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PMS) 계열의 혼화제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실리카흄과 메타카올린의 사용으로 인하여 된반죽(stiff dough)의 성질을 갖는 콘크리트 혼합물을 찰진반죽(sticky dough)으로 변화시켜 작업의 용이성을 갖도록 한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섬유는 석유 정제시 부차적으로 생기는 가스 속에 프로필렌(propylene)을 중합시켜 생성한 것으로, 콘크리트가 경화(또는 건조)로 인한 수축시에 인장응력 및 균열을 제어하고, 인성증가와 충격, 마모, 피로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내구성 증대에 도움을 준다.
AE감수제(air entraining and water reducing agent)는 콘크리트 혼합물을 형성시에 발생하는 많은 미세공극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분포된 미세공극은 상술한 메타카올린을 통해 채워져 콘크리트패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착색제(stain)의 일종인 안료는 자연광이나 열에 의한 색변화에 내구성을 갖는 무기안료를 의미하며, 생성하고자 하는 콘크리트패널(20)의 색상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상술한 조성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혼합물은 연마수단(100)에 의해 획득한 유리골재 100 중량부(단위:킬로그램(kg))에 대하여, 나일론 섬유보강제 0.6 중량부, 백색시멘트 40 중량부, 실리카흄 0.3 중량부, 메타카올린 0.8 중량부, 혼화제 0.2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섬유 0.3 중량부, AE 감수제 0.4 중량부, 실리카졸 0.4 중량부, 물 18 중량부, 규회석 5 중량부, 안료 4 중량부, 백규사 6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디자인패널(10)을 획득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지연잉크를 재료로 하는 문양필름(50)에 의해 모양이 형성된 베이스시트(40)를 성형틀에 삽입하는 단계(S10)와, 2)상기 성형틀(30)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타설 후, 경화시켜 상기 베이스시트(40)가 고착된 콘크리트패널(20)을 획득하는 단계(S20), )물분사를 통해 콘크리트패널 표면이 노출되게 상기 문양필름 부분을 박리한 문양부를 갖는 디자인패널을 획득하는 단계(S30) 및 세척 및 건조 단계(S40)을 통하여 상기 디자인패널(10)을 획득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제작된 성형틀(30) 내에 문양필름(50)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소정의 면적을 갖는 베이스시트(40)를 삽입하여 1)단계를 마감한다.
이때, 문양필름(50)을 이루는 지연잉크는 콘크리트 혼합물의 경화시간을 지연시키는 성질로 형성되기 위해 초산염화비닐 19~21중량%와 물 79~81 중량%로 이루어진 제1접착제 1kg 기준으로, 초산염화비닐 41~43중량%와 물 57~59 중량%로 이루어진 제2접착제 1kg과, 시트르산 19~21 중량%, 주석산 염 19~21 중량%, 설탕 6~8 중량%와, 물 52~54 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경화지연제 300g과, 수성잉크 100g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문양필름(50)의 형성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기출원된 특허등록번호 제10-2019605호(공고일:2019.11.04.)에 기재된 '지연잉크 인쇄단계'를 통하여 구현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해당 특허등록공보의 내용으로 대신한다.
다음 2)단계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40)가 삽입된 성형틀(30) 내부에 상술한 조성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혼합물을 타설 후, 일정시간 경화 또는 건조시켜 상기 베이스시트(40)가 고착된 콘크리트패널(20)을 획득한다.
다음 3)단계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된 콘크리트패널(20)을 성형틀(30)에서 분리 후, 베이스시트(40) 표면에 소정의 배출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그 충돌에 의해 문양필름(50)을 상기 콘크리트패널(20)에서 박리하여 본 발명에서 원하는 디자인패널(10)을 획득하게 된다.
즉, 지연잉크로 형성되되 베이스시트(40)에 모양을 형성하는 문양필름(50) 부분은 해당 지연잉크로 인하여 다른 상기 베이스시트(40) 영역과 달리, 콘크리트 혼합물의 경화시간이 지연된 상태(콘크리트 혼합물과 고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노즐 등으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압력을 통해 상기 문양필름(50) 부분만이 상기 베이스시트(40)에서 박리된 부분 즉, 베이스시트(40)와 외부로 노출된 콘크리트패널(20) 간의 경계라인 내측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문양부(60)를 형성하여 상기 문양부(60)를 통해 콘크리트패널(20)이 외부로 노출되어 유리골재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와는 다르게 문양부(60)를 통한 유리골재의 노출을 통해 자연광이나 조명에 의한 반사가 구현가능해져 상기 문양부(60) 자체의 심미감 이외에 유리골재의 빛 반사에 의한 광(光) 연출이 가능하여 심미감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획득한 디자인패널(10)을 세척 후, 건조하는 4)단계를 실행하여 문양부(6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유리골재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반사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4)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획득한 디자인패널(10)의 문양부(60)를 통해 유리골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건축구조물에 설치되어 에너지의 소비가 없이도 빛 반사에 의한 광(光) 연출이 가능하여 심심한 느낌의 구조물에 상기 문양부(60)와 함께 화려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재활용이 용이하지 못한 산업폐기물인 폐유리를 이용하여 유리골재를 획득 후, 이를 디자인패널(10)의 심미감 연출에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에 대한 해소의 일환이 되는 것은 물론, 에너지소비가 없어 경제적인 이득에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디자인패널
20: 콘크리트패널
30: 성형틀
40: 베이스시트
50: 문양필름
60; 문양부
100: 연마수단
110: 파쇄부재 111: 함체
112: 파쇄윙 113: 회전축
114: 회전모터 115: 승강실린더
116: 배출관 117: 유입관
120; 연마부재 121: 하부몸체
122: 상부몸체 123: 제1연마판
124: 제2연마판 125: 연마면
126: 구동모터 127: 엠보싱
128: 스위치 129: 탄성체

Claims (7)

  1. 콘크리트판넬 외면에 부착되되 지연잉크가 인쇄된 판넬제작시트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지연잉크가 씻겨져 형성된 문양부를 통해 콘크리트판넬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디자인패널에 있어서,
    콘크리트 조성물은 유리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일론 섬유보강제 0.6 중량부, 백색시멘트 40 중량부, 실리카흄 0.3 중량부, 메타카올린 0.8 중량부, 혼화제 0.2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섬유 0.3 중량부, AE 감수제 0.4 중량부, 실리카졸 0.4 중량부, 물 18 중량부, 규회석 5 중량부, 안료 4 중량부, 백규사 6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유리골재는 폐유리를 파쇄 후,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연마수단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연마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폐유리는 파쇄하는 파쇄부재 및 파쇄가 이루어진 폐유리의 표면을 연마하여 유리골재를 획득하는 연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쇄부재는 유리골재가 유입관으로 유입되어 파쇄 후,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회전과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파쇄윙이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회전축, 상기 함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부재는 하부몸체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마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엠보싱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연마판, 상부몸체에 삽입되어 결합하되 연마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엠보싱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연마판 및 상기 상부몸체 내면에 구비되되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가 상호 결합시에 상기 제1연마판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면접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마판은 상기 스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 하나의 원판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하되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유리골재를 연마시에 발생하는 진동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연마판과 상기 제2연마판에 각각 형성된 엠보싱은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수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가 회전시에 폐유리가 이동 및 뒤집힘이 반복적으로 실행되어 표면의 연마가 더욱 용이하도록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엠보싱과 상기 제1연마판과 상기 제2연마판 각각의 연마면은 유리골재의 표면연마를 위해 금강사(金剛沙)나 유리 가루, 규석(硅石) 따위의 보드라운 가루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4. 1)지연잉크를 재료로 하는 문양필름에 의해 모양이 형성된 베이스시트를 성형틀에 삽입하는 단계;
    2)상기 성형틀에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 후, 경화시켜 상기 베이스시트가 고착된 콘크리트패널을 획득하는 단계;
    3)물분사를 통해 콘크리트패널 표면이 노출되게 상기 문양필름 부분을 박리한 문양부를 갖는 디자인패널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유리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일론 섬유보강제 0.6 중량부, 백색시멘트 40 중량부, 실리카흄 0.3 중량부, 메타카올린 0.8 중량부, 혼화제 0.2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섬유 0.3 중량부, AE 감수제 0.4 중량부, 실리카졸 0.4 중량부, 물 18 중량부, 규회석 5 중량부, 안료 4 중량부, 백규사 6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필름은
    박리의 용이성을 위해 콘크리트 혼합물의 경화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잉크로 형성되되 상기 지연잉크는 초산염화비닐 19~21중량%와 물 79~81 중량%로 이루어진 제1접착제 1kg 기준으로, 초산염화비닐 41~43중량%와 물 57~59 중량%로 이루어진 제2접착제 1kg과, 시트르산 19~21 중량%, 주석산 염 19~21 중량%, 설탕 6~8 중량%와, 물 52~54 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경화지연제 300g과, 수성잉크 100g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이후에 4)단계로,
    상기 디자인패널의 세척공정 및 건조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KR1020210071245A 2021-06-02 2021-06-02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KR10238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245A KR102382468B1 (ko) 2021-06-02 2021-06-02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245A KR102382468B1 (ko) 2021-06-02 2021-06-02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468B1 true KR102382468B1 (ko) 2022-04-05

Family

ID=8118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245A KR102382468B1 (ko) 2021-06-02 2021-06-02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274B1 (ko) * 2022-05-11 2022-12-21 이연순 그래픽 콘크리트용 시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748A (ko) * 1997-06-17 1999-01-15 이영종 유리모래 제조방법 및 유리모래를 이용한 건설자재 제조 시스템
JP2002193655A (ja) * 2000-12-25 2002-07-10 Taiheiyo Cement Corp 水硬性組成物
KR102019605B1 (ko) * 2018-06-26 2019-11-04 김성진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KR102177170B1 (ko) * 2020-03-25 2020-11-11 한림로덱스(주)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748A (ko) * 1997-06-17 1999-01-15 이영종 유리모래 제조방법 및 유리모래를 이용한 건설자재 제조 시스템
JP2002193655A (ja) * 2000-12-25 2002-07-10 Taiheiyo Cement Corp 水硬性組成物
KR102019605B1 (ko) * 2018-06-26 2019-11-04 김성진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콘크리트 판넬
KR102177170B1 (ko) * 2020-03-25 2020-11-11 한림로덱스(주)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274B1 (ko) * 2022-05-11 2022-12-21 이연순 그래픽 콘크리트용 시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8118B2 (en) Simulated rock panels
CN101418538A (zh) 仿真石面层混凝土构件及其生产方法
KR102382468B1 (ko) 디자인패널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CN104291752B (zh) 一种具有天然光泽的人造石材及其生产方法
CN201826475U (zh) 石渣混凝土抛光饰面挂板
CN111805696A (zh) 一种建筑装饰用构件的制作工艺
KR102500610B1 (ko) 폐활용 유리골재를 이용한 디자인패널 제조방법
Naganna et al. Insights into the multifaceted applications of architectural concrete: A state-of-the-art review
KR20100008634A (ko) 천연 석재 층과 이 천연 석재 층의 이면에 시멘트 몰탈층이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복합석재블록 및 그제조방법
CN101929230B (zh) 米黄洞石石渣混凝土抛光饰面挂板及其制作方法
US5451620A (en) Methods of producing light weight cement-like building products
CN101450848A (zh) 一种水泥仿木板材的配方及制作方法
US2007016448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products having surface designs
CN1038117C (zh) 彩色混凝土饰面板的生产工艺
EP0958905A1 (en) Method for obtaining shiny-surfaced objects using a cementitious material
JP4330774B2 (ja) 着色化粧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H07206461A (ja) 歩道用透水ガラスブロック製造方法
CN101181803A (zh) 一种仿日本园林石塔的配方及制作方法
RU278618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митирующей натуральный камень декоратив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и декоративная поверхность, изготовленная таким способом
RU202968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ых бетонных плит
KR100272803B1 (ko) 다공성 다짐콘크리트 포장 표면층의 미적(美的) 처리방법
JP2009196333A (ja) Pc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20072684A (ko) 폴리머 콘크리트가 부착된 이중구조형 경계석 및 그제조방법
CN106365547A (zh) 一种水泥基人造模制石材
CN1249282A (zh) 水泥建筑构件的外保护装饰面层及其施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