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974B1 - 도어 래치용 수용구 - Google Patents

도어 래치용 수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974B1
KR102018974B1 KR1020180005981A KR20180005981A KR102018974B1 KR 102018974 B1 KR102018974 B1 KR 102018974B1 KR 1020180005981 A KR1020180005981 A KR 1020180005981A KR 20180005981 A KR20180005981 A KR 20180005981A KR 102018974 B1 KR102018974 B1 KR 10201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space
door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769A (ko
Inventor
백창목
Original Assignee
백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목 filed Critical 백창목
Priority to KR1020180005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9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05B2015/026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using eccent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12Adjustable or mov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1)에 삽설되면서 공간부(21)를 지닌 고정부(20)을 통하여 도어 래치의 수용이 가능한 도어 래치용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를 수용 가능하면서 고정부(20)의 공간부(21)상에 삽설되는 수용홈(11)을 구비하고, 후면에 수용공간(13)을 형성하게 돌출부(12)를 구비하는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 상에 고정부(20)와 대응되게 부착되어 도어 래치가 관통 가능하게 중앙에 관통공(31)을 구비하고, 도어 래치의 이동이 원활하게 절곡부(32)를 구비하는 가이드판(30); 및 상기 수용공간(13)과 공간부(21) 상에 삽설되어 삽입부(10)를 고정부(20)로부터 이송시켜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를 조절하게 삽입부(10)의 수용홈(11) 상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41)과, 수용공간(13)과 공간부(21) 상에 삽설되는 원형판(42)과, 원형판(42) 상에 일체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통공(41)에 억지 끼움되는 조절구(43)와, 편심된 조절구(43)를 회전시켜 원형판(42)의 중심으로부터 조절구(43)가 회전하고, 삽입부(10)의 수용공간(13)에 통공(41)의 외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절돌부(44)와, 원형판(42)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절돌부(44) 사이에 삽설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부(45)를 구비하여 편심된 조절구(43)의 회전 시 삽입부(10)가 고정부(20)로부터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에 맞게 이송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 위치에 따라 수용구를 조절하여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도록 구성하고,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을 개폐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전에 고장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래치용 수용구{The insertion portion for the door latch}
본 발명은 도어 래치용 수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 위치에 따라 수용구를 조절하여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도록 구성하고,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을 개폐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전에 고장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도어 래치용 수용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 래치는 도어 손잡이와 연동되어 도어(door)를 개폐 시 사용되는 도어손잡이와 연동되어 외부로 노출됨으로 수용구에 삽설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하지만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에 맞게 수용구 또한 정확하게 문틀에 삽설해야지만 정확한 고정이 가능한데 작업 시행 시 면밀하게 작업을 하지 않아 미세한 유격이 발생하여 잦은 고장과 함께 도어의 개폐 시 소음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어 왔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0770277호에 따르면, '문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측을 향하는 내판과, 실외측을 향하는 외판과, 상기 내판 및 상기 외판을 연결하는 측판으로 구성되며 철재로 이루어진 도어;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출몰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문틀에 대해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래치수단이 마련된 잠금장치; 및 상기 도어의 내판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래치수단의 출몰을 조정하는 도어손잡이;로 구성된 도어유닛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보강판이 마련되되, 상기 보강판은 리벳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닛.'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유닛은 레치수단의 이송이 불가능함으로 문틀 상에 삽설 시 작업자의 실수로 작업을 시행하게 되면 도어의 면밀한 잠금이 어렵고, 유격 발생을 통한 도어의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60661호에 따르면, '도어(D)의 설치공(D')에 장착된 샤프트(30)의 양측단에 내.외측 플레이트(40)(40')가 장착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40)의 안내공(42)을 통해 잠금핀(70)이 래치부(10)의 걸림돌기(12)에 체결되어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도어 록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40)의 안내공(42)을 수용하도록 내측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게 돌출되는 지지리브(100)와; 상기 지지리브(100)에 체결되어 하기 잠금핀(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공(210)이 관통된 연질의 지지구(200)와; 상기 지지리브(100)에 체결된 지지구(200)의 이동공(210)에 내측 플레이트(4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억지끼워 결합되어 도어(D)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잠금핀(3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또한 래치의 이송이 불가능한 구조를 통해 문틀 상에 삽설 시 작업자의 실수로 작업을 시행하게 되면 도어의 면밀한 잠금이 어렵고, 유격 발생을 통한 도어의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770277호 "도어유닛"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29573호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 위치에 따라 수용구를 조절하여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도록 구성하고,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을 개폐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전에 고장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도어 래치용 수용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문틀에 삽설되면서 공간부를 지닌 고정부을 통하여 도어 래치의 수용이 가능한 도어 래치용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를 수용 가능하면서 고정부의 공간부 상에 삽설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후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돌출부를 구비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상에 고정부와 대응되게 부착되어 도어 래치가 관통 가능하게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도어 래치의 이동이 원활하게 절곡부를 구비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수용공간과 공간부 상에 삽설되어 삽입부를 고정부로부터 이송시켜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를 조절하게 삽입부의 수용홈 상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과, 수용공간과 공간부 상에 삽설되는 원형판과, 원형판 상에 일체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통공에 억지 끼움되는 조절구와, 편심된 조절구를 회전시켜 원형판의 중심으로부터 조절구가 회전하고, 삽입부의 수용공간에 통공의 외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절돌부와, 원형판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절돌부 사이에 삽설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부를 구비하여 편심된 조절구의 회전 시 삽입부가 고정부로부터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에 맞게 이송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 위치에 따라 수용구를 조절하여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도록 구성하고,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을 개폐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전에 고장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의 조절수단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가 문틀에 삽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의 조절수단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용 수용구가 문틀에 삽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어 래치의 수용이 가능한 도어 래치용 수용구에 관련되며, 삽입부(10), 고정부(20), 가이드판(30), 조절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10)는 상기 도어 래치가 수용 가능하게 수용홈(11)을 구비하고, 후면에 수용공간(13)을 형성하게 돌출부(12)를 구비한다. 삽입부(10)는 수용홈(11)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수용홈(11)은 실질적으로 도어 캐치가 삽설되는 부분이고, 후술하여 설명할 조절수단(40)에 의해 삽입부(10)는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삽입부(10)는 한쌍의 돌출부(1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부(20)의 공간부(21) 상에 삽설시 수용공간(13)이 형성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0)는 상기 삽입부(10)를 수용하게 공간부(21)를 구비하고, 문틀(1)에 삽설되어 고정된다. 고정부(20)는 상술한 삽입부(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21)가 형성되고, 도어손잡이(미도시)와 연동되는 도어 래치가도어에 삽설된다면 고정부(20)는 이에 대응되도록 문틀 상에 삽설되어 고정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판(30)은 상기 삽입부(10) 상에 고정부(20)와 대응되게 부착되어 도어 래치가 관통 가능하게 중앙에 관통공(31)을 구비하고, 도어 래치의 이동이 원활하게 절곡부(32)를 구비한다. 가이드판(30)은 도어가 회전시 문틀으로 맞닿아야 하는데 돌출되어 있는 도어 래치가 절곡부(32)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면서 다시 돌출 시 관통공(31)에 의해 수용홈(11)으로 삽설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40)은 상기 수용공간(13)과 공간부(21) 상에 삽설되어 삽입부(10)를 고정부(20)로부터 이송시켜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를 조절한다. 조절수단(40)은 고정부(20)의 공간부(21) 상에 삽설되어 있는 삽입부(10)를 이송시켜 도어 래치의 정확한 삽설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40)은 삽입부(10)의 수용홈(11) 상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41)과, 수용공간(13)과 공간부(21) 상에 삽설되는 원형판(42)과, 원형판(42) 상에 일체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통공(41)에 억지 끼움되는 조절구(43)와, 편심된 조절구(43)를 회전시켜 원형판(42)의 중심으로부터 조절구(43)가 회전하여 삽입부(10)가 고정부(20)로부터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에 맞게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수단(40)은 삽입부(10)의 돌출부(12)와 고정부(20)의 공간부(21)를 통해 형성된 수용공간(13) 상에 원형판(42)이 삽설되고, 원형판(42)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구(43)가 통공(41)에 삽설된다. 조절구(43)에는 드라이버 등의 기구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십자홈(43a) 등이 형성되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회전되는 조절구(43)는 원형판(42)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됨으로 원형판(4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조절구(43)가 회전함으로 삽입부(10)가 고정부(20)로부터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에 맞게 이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40)은 삽입부(10)의 수용공간(13)에 통공(41)의 외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절돌부(44)와, 원형판(42)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절돌부(44) 사이에 삽설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부(45)를 구비하여 편심된 조절구(43)의 회전 시 삽입부(10)가 고정부(20)로부터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에 맞게 이송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수단(40)에는 조절구(43)의 회전에 의해 삽입부(10)가 고정부(20)로부터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에 맞게 이송이 원활하도록 삽입부(10)의 수용공간(13)에 통공(41)의 외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절돌부(44)를 구비하고, 원형판(42)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압돌부(45)가 조절돌부(44) 사이에 삽설된 상태로 맞물려 삽입부(10)가 고정부(20)로부터 이송이 원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 위치에 따라 수용구를 조절하여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도록 구성하고, 도어 래치의 정확한 수용을 개폐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전에 고장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문틀 10: 삽입부
11: 수용홈 12: 돌출부
13: 수용공간 20: 고정부
21: 공간부 30: 가이드판
31: 관통공 32: 절곡부
40: 조절수단 41: 통공
42: 원형판 43: 조절구
43a: 십자홈 44: 조절돌부
45: 가압돌부

Claims (3)

  1. 문틀(1)에 삽설되면서 공간부(21)를 지닌 고정부(20)을 통하여 도어 래치의 수용이 가능한 도어 래치용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를 수용 가능하면서 고정부(20)의 공간부(21)상에 삽설되는 수용홈(11)을 구비하고, 후면에 수용공간(13)을 형성하게 돌출부(12)를 구비하는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 상에 고정부(20)와 대응되게 부착되어 도어 래치가 관통 가능하게 중앙에 관통공(31)을 구비하고, 도어 래치의 이동이 원활하게 절곡부(32)를 구비하는 가이드판(30); 및
    상기 수용공간(13)과 공간부(21) 상에 삽설되어 삽입부(10)를 고정부(20)로부터 이송시켜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를 조절하게 삽입부(10)의 수용홈(11) 상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41)과, 수용공간(13)과 공간부(21) 상에 삽설되는 원형판(42)과, 원형판(42) 상에 일체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통공(41)에 억지 끼움되는 조절구(43)와, 편심된 조절구(43)를 회전시켜 원형판(42)의 중심으로부터 조절구(43)가 회전하고, 삽입부(10)의 수용공간(13)에 통공(41)의 외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절돌부(44)와, 원형판(42)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절돌부(44) 사이에 삽설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부(45)를 구비하여 편심된 조절구(43)의 회전 시 삽입부(10)가 고정부(20)로부터 도어 래치의 삽설 위치에 맞게 이송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용 수용구.
  2. 삭제
  3. 삭제
KR1020180005981A 2018-01-17 2018-01-17 도어 래치용 수용구 KR10201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81A KR102018974B1 (ko) 2018-01-17 2018-01-17 도어 래치용 수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81A KR102018974B1 (ko) 2018-01-17 2018-01-17 도어 래치용 수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769A KR20190087769A (ko) 2019-07-25
KR102018974B1 true KR102018974B1 (ko) 2019-09-05

Family

ID=6746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981A KR102018974B1 (ko) 2018-01-17 2018-01-17 도어 래치용 수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9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573B1 (ko) 1994-04-30 1998-04-10 배순훈 디지탈 화상 복호화를 위한 디씨(dc) 계수의 오차보상 방법
JP4289636B2 (ja) * 1997-05-08 2009-07-01 美和ロック株式会社 調整式ストライク装置
KR100770277B1 (ko) 2007-04-06 2007-10-30 윤용웅 도어유닛
KR20120000042U (ko) * 2010-06-25 2012-01-02 주식회사 공진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769A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65B1 (ko)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0927899B1 (ko) 사물함 손잡이
KR0139123Y1 (ko) 누름버튼식 평면핸들장치
US9945155B2 (en) Cylinder lock device
US20170037663A1 (en) Vehicle handle device
KR102292903B1 (ko)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20160055251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KR102018974B1 (ko) 도어 래치용 수용구
KR100451478B1 (ko) 핸들장치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200488839Y1 (ko) 캐비넷 도어개폐장치
KR102063403B1 (ko) 도어 래치용 수용구
KR20170023452A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CN113039337A (zh) 开闭体的锁定装置
JP7017941B2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20030046856A (ko) 컴퓨터
KR100996713B1 (ko) 스톱퍼가 구비된 래치 조립체
KR102385362B1 (ko) 도어용 래치기구
KR20110125361A (ko) 잠금장치용 핸들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10175889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 지지구조
KR200474293Y1 (ko) 컴팩트 핸들 시스템
KR200478262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CN212477172U (zh) 电器设备及其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