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46B1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46B1
KR102018646B1 KR1020170143542A KR20170143542A KR102018646B1 KR 102018646 B1 KR102018646 B1 KR 102018646B1 KR 1020170143542 A KR1020170143542 A KR 1020170143542A KR 20170143542 A KR20170143542 A KR 20170143542A KR 102018646 B1 KR102018646 B1 KR 102018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econdary coil
shape
contac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520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텀
Priority to KR102017014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Magnetic core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Regulation Of General Use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상부 코어에 접하는 상부 2차 코일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하부 코어에 접하는 하부 2차 코일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상부 2차 코일부 및 상기 하부 2차 코일부에 각각 접하는 1차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2차 코일부 및 상기 하부 2차 코일부는 인서트 사출성형된 전선(인서트 사출성형 코일)이 실장되고, 상기 전선의 양 전극이 외부로 돌출되는 차폐부, 상기 차폐부에 일면이 접하고, 절연성의 물질로 형성되는 제1 차폐 필름 및 상기 제1 차폐 필름에 일면이 접하고, 타면이 상기 1차 코일부에 접하는 절연성의 물질로 형성되는 제2 차폐 필름을 각각 포함함으로써, 보다 절연 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1차 코일부와 2차 코일부들간의 간격이 0.4mm이상인 기존제품보다 적게(예 : 0.1밀리미터(mm) 이하의 간격) 이격되어도 원하는 절연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대한 것이다.
트랜스포머(transformer)는 1차 측(primary)과 2차 측(secondary)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1차 측은 입력단으로 이용되고 2차 측은 출력단으로 이용된다. 트랜스포머 중 휴대전화 충전기 등에서 이용되는 소형의 트랜스포머는 코일로서 삼중 절연 전선(triple insulated wire)을 이용한다.
그러나, 삼중 절연 전선으로 감은 코일은 전선의 피복을 사람이 직접 벗겨야 하는 등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고, 삼중 절연 전선이 균일하게 감기지 않아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삼중 절연 전선을 감은 코일의 일부 문제를 해결한 코일로서, 인쇄 회로 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에 프린팅된 코일(이하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 코일"이라고 함)이 있는데, 이 인쇄 회로 기판 코일은, 대량 생산에는 용이하지만,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으로 인해 전류 용량이 낮고, 단면적을 넓히기 위해 동판두께를 높이는 것은 생산비용이 높아져서 양산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식의 코일로서, 동판을 프레스 작업하여 생성한 코일이 있는데, 이러한 동판 프레스 방식 코일은 1차 측과 2차 측 간의 충분한 절연을 위해 삼중절연전선을 이용한 코일보다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시켜야 하므로 트랜스포머의 누설인던턴스(leakage inductance)가 커지고 효율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상부 코어에 접하는 상부 2차 코일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하부 코어에 접하는 하부 2차 코일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상부 2차 코일부 및 상기 하부 2차 코일부에 각각 접하는 1차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2차 코일부 및 상기 하부 2차 코일부는 인서트 사출성형된 전선(인서트 사출성형 코일)이 실장되고, 상기 전선의 양 전극이 외부로 돌출되는 차폐부, 상기 차폐부에 일면이 접하고, 절연성의 물질로 형성되는 제1 차폐 필름 및 상기 제1 차폐 필름에 일면이 접하고, 타면이 상기 1차 코일부에 접하는 절연성의 물질로 형성되는 제2 차폐 필름을 각각 포함함으로써, 보다 절연 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1차 코일부와 2차 코일부들간의 간격이 0.4mm이상인 기존제품보다 적게(예 : 0.1밀리미터(mm) 이하의 간격) 이격되어도 원하는 절연 성능을 획득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상부 코어에 접하는 상부 2차 코일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하부 코어에 접하는 하부 2차 코일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상부 2차 코일부 및 상기 하부 2차 코일부에 각각 접하는 1차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2차 코일부 및 상기 하부 2차 코일부는 인서트사출성형된 전선이 실장되고, 상기 전선의 양 전극이 외부로 돌출되는 차폐부, 상기 차폐부에 일면이 접하고, 절연성의 물질로 형성되는 제1 차폐 필름 및 상기 제1 차폐 필름에 일면이 접하고, 타면이 상기 1차 코일부에 접하는 절연성의 물질로 형성되는 제2 차폐 필름을 각각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2차 코일부들이 차폐 수단과 차폐 수단의 일면에 적층되는 두 개 이상의 차폐 필름을 1차 코일부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비함으로써, 보다 절연 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1차 코일부와 2차 코일부들간의 간격이 기존보다 적어도(예 : 0.1밀리미터(mm) 이하의 간격만 이격) 원하는 절연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상부 코어가 'I'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하부 코어가 'E'자 형상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자가 보다 용이하게 트랜스포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2차 코일부들의 전선이 도금된 도체로 구성되어 2차 코일부들의 제조 가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베이스부에 쉴드선의 역할을 수행하는 핀 연장부가 이미 구비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쉴드선을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는 상부 코어(100), 상부 2차 코일부(200), 1차 코일부(300), 하부 2차 코일부(400) 및 하부 코어(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의 상부 2차 코일부(200), 1차 코일부(300) 및 하부 2차 코일부(400)는 기준선(20)을 따라 하부 코어(500)의 코어 기둥(5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을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100)는 'I'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하부 코어(500)는 하부 판(540)의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코어 벽(510),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코어 벽(520)과 중심부의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코어 기둥(530)을 가지는 'E'자 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부 코어(100) 및 하부 코어(500)는 서로 결합 가능하다. 도 1에서는 상부 코어(100)가 'I'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하부 코어(500)가 'E'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상부 코어(100) 및 하부 코어(500) 모두는 'E'자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코어(100) 및 하부 코어(500)는 자성 재료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페라이트(Ferrit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코어(100) 및 하부 코어(500)가 서로 결합되어 생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상부 2차 코일부(200), 1차 코일부(300) 및 하부 2차 코일부(400)가 차례대로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코일부(300)의 전기 에너지는 상부 코어(100) 및 하부 코어(500)를 통해 및 2차 코일부들(200 및 400)에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 코일부들(200 및 400) 각각은 차폐 수단(201 및 401)과 차폐 수단의 일면에 적층되는 두 개 이상의 차폐 필름(203, 205, 403 및 405)을 구비하며, 차폐 수단(201 및 401)과 두 개 이상의 차폐 필름(203, 205, 403 및 405)은 고리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부(211, 212 및 213)가 형성된 형상(이하에서는, 이러한 형상을 ‘돌출된 고리 형상’이라고 지칭한다.)을 가지며, 돌출부의 양쪽에는 전극(240, 250, 440 및 450)이 밖으로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두 개 이상의 차폐 필름(203, 205, 403 및 405)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P(Polypropylene)와 같은 절연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2차 코일부(200)의 차폐 수단(201)과 두 개 이상의 차폐 필름(203 및 205) 각각의 내부에는 코어 기둥(530)이 수직으로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202, 204 및 206)이 구성된 돌출된 고리 형상을 가진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코어 기둥(530) 및 관통 구멍(202, 204 및 206)은 사각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원형, 타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2차 코일부(200)의 차폐 수단(201)은 차폐 바디(210) 및 돌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바디(210) 및 돌출부(211)는 절연성이 높은 수지등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차폐 수단(201) 내부에 코일 유닛(220)이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차폐 바디(210)에는 절연제가 도포됨으로써, 트랜스포머(10)의 절연 내압 등 전기적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코일 유닛(220)은 전선(221), 브릿지(230), 전극들(240 및 250) 및 전극 홀(241 및 251)이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베이스(600)의 핀(650, 660)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된 고리 형상을 가진다.
차폐 수단(201) 내부에 마련되는 코일 유닛(220)의 전선(221)은 코일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이 제1 전극(240)으로 연장되고, 타단이 브릿지(230)를 통해 제2 전극(250)으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브릿지(230)는 코일 유닛(220)이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 유닛(220)의 전선(221)보다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전선(221)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전극들(240 및 250)은 차폐 수단(201)의 돌출부(211)를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폐 수단(201) 내부에 마련되는 코일 유닛(220)은 전극들(240 및 250)을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차폐 수단(201) 내부에 마련되는 코일 유닛(220)은 비가요성 도체가 도금(예컨대, 동(Cu), 은(Ag), 금(Au) 등의 금속 도금)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상부 2차 코일부(200)는 차폐 수단(201)의 하측으로 두 개 이상의 차폐 필름(203 및 205)이 적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2차 코일부(200)의 차폐 수단(201)은 코일 유닛(220)을 내부 밀폐된 공간에 실장하도록 차폐 바디(210)를 코일 유닛(22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한 상태로 제조된 후 하면의 차폐 바디(210)가 일부만 남도록 성형한 후 이러한 차폐 수단(201)의 하측으로 두 개 이상의 차폐 필름(203 및 205)을 적층함으로써 상부 2차 코일부(2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 유닛(220)의 하면에도 차폐부가 일부 존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2차 코일부(400)는 상부 2차 코일부(200)의 구조에서 상하가 반대되는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2차 코일부(400)의 차폐 수단(401)과 두 개 이상의 차폐 필름(403 및 405)들의 내부에는 코어 기둥(530)이 수직으로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이 구성된 돌출된 고리 형상을 가진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코어 기둥(530) 및 관통 구멍은 사각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원형, 타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부 2차 코일부(400)의 차폐 수단(401)은 차폐 바디 및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바디 및 돌출부는 절연성이 높은 수지등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차폐 수단(201) 내부에 코일 유닛이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차폐 바디에는 절연제가 도포됨으로써, 트랜스포머(10)의 절연 내압 등 전기적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코일 유닛은 전선, 브릿지, 전극들(440 및 450) 및 전극 홀(441 및 451)이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베이스(600)의 핀(650, 660)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된 고리 형상을 가진다.
차폐 수단(401) 내부에 마련되는 코일 유닛의 전선은 코일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이 제1 전극(440)으로 연장되고, 타단이 브릿지를 통해 제2 전극(450)으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브릿지는 코일 유닛이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 유닛의 전선보다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전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전극들(240 및 250)은 차폐 수단(201)의 돌출부를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폐 수단(201) 내부에 마련되는 코일 유닛은 전극들을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차폐 수단 내부에 마련되는 코일 유닛은 비가요성 도체가 도금(예컨대, 동(Cu), 은(Ag), 금(Au) 등의 금속 도금)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코일부(300)는 고리의 일측이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연장된 부분에는 다수의 핀 삽입구, 예컨대, 4개의 핀 삽입구(310 내지 340)가 마련된 형상을 가진다. 1차 코일부(300)는 다수의 핀 삽입구, 예컨대, 4개의 핀 삽입구(310 내지 340)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부(300)는 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600)를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600)는 하부 판(601), 상기 하부 판(601)의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부들(200 및 400)의 상기 전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핀들(650 및 660)을 포함하는 우측 벽(603), 상기 하부 판(601)의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1차 코일부(300)의 전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핀 삽입구, 예컨대, 4개의 핀들(610, 620, 630 및 640)을 포함하는 좌측 벽(605), 상기 코어들(100 및 5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판(601)의 앞쪽에 형성되는 제1 고정 벽(607) 및 상기 코어들(100 및 5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판(601)의 뒤쪽에 형성되는 제2 고정 벽(609)으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트랜스포머(10)를 실장할 수 있다.
베이스부(600)의 우측 벽(603)에는 2차 코일부들(200 및 400)의 전극들(240, 250, 440 및 450)의 홀들(241, 251, 441 및 4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들(650 및 660)을 가지며, 베이스부(600)의 좌측 벽(605)에는 1차 코일부(300)의 다수의 핀 삽입구, 예컨대, 4개의 핀 삽입구(310 내지 340)에 각각 삽입되는 핀들(610 내지 640)을 가진다. 여기에서, 좌측 벽(605)은 ‘ㄱ’자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으며, 우측 벽(603)은 ‘ㄱ’자를 좌우 반전한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베이스부(600)의 좌측 벽(605)에 위치한 다수의 핀 삽입구, 예컨대, 4개의 핀들(610 내지 640) 중 적어도 하나의 핀, 예를 들어, 제1 핀(610)에는 핀 연장부(615)가 마련되고, 핀 연장부(615)는 좌측 벽(605) 및 하부 판(601)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어 하부 판(601)의 표면에 안착된 상태를 가지며, 트랜스포머(10)가 베이스부(600)에 결합되는 경우, 핀 연장부(615)의 일부가 트랜스포머(10)의 하부 코어(500)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핀 연장부(615)는 쉴드선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는 2차 코일부들(200 및 400)이 차폐 수단(201 및 401)과 차폐 수단의 일면에 적층되는 두 개 이상의 차폐 필름(203, 205, 403 및 405)을 1차 코일부(300)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비함으로써, 보다 절연 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1차 코일부(300)와 2차 코일부들(200 및 400) 간의 간격이 기존제품보다 적게(예 :0.1밀리미터(mm) 이하의 간격) 이격되어도 원하는 절연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는 상부 코어(100)는 'I'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하부 코어(500)는 'E'자 형상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트랜스포머(10) 제조 시, 하부 코어(500)에 1차 코일부(300)와 2차 코일부들(200 및 400)을 결합한 후 상부 코어(100)를 결합 가능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트랜스포머(1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는 2차 코일부들(200 및 400)의 전선이 도금된 도체로 구성되어 2차 코일부들(200 및 400)의 제조 가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는 베이스부(600)에 쉴드선의 역할을 수행하는 핀 연장부(615)가 이미 구비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쉴드선을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I'자 형상의 구조를 갖는 상부 코어 및 'E'자 형상의 구조를 갖는 하부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상부 코어에 접하는 상부 2차 코일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하부 코어에 접하는 하부 2차 코일부;
    상기 코어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상부 2차 코일부 및 상기 하부 2차 코일부에 각각 접하는 1차 코일부; 및
    상기 하부 코어의 하단에서 상기 코어부와 결합되는 베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2차 코일부 및 상기 하부 2차 코일부는
    전선이 실장되고, 절연제가 도포되며, 고리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선의 양 전극이 외부로 돌출되는 차폐부;
    상기 차폐부에 일면이 접하고, 절연성의 물질로 형성되며, 고리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 제1 차폐 필름; 및
    상기 제1 차폐 필름에 일면이 접하고, 타면이 상기 1차 코일부에 접하는 절연성의 물질로 형성되며, 고리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 제2 차폐 필름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전선이 코일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이 제1 전극으로 연장되고, 타단이 브릿지를 통해 제2 전극으로 연장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전선보다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전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선은 도체가 도금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1차 코일부는
    일측이 상기 코어부의 외부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어부의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 다수의 핀 삽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 판;
    상기 하부 판의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2차 코일부와 상기 하부 2차 코일부의 상기 전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핀들을 포함하며, 'ㄱ' 자를 좌우 반전한 형태를 갖는 우측 벽;
    상기 하부 판의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1차 코일부에 마련된 상기 다수의 핀 삽입구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1차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핀들을 포함하며, 'ㄱ' 자 형태를 갖는 좌측 벽;
    상기 코어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판의 앞쪽에 형성되는 제1 고정 벽;
    상기 코어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판의 뒤쪽에 형성되는 제2 고정 벽; 및
    상기 다수의 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핀에 마련되는 핀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좌측 벽 및 상기 하부 판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부 판의 표면에 안착되며, 일부가 상기 하부 코어와 접촉됨으로써, 쉴드선의 역할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43542A 2017-10-31 2017-10-31 트랜스포머 KR10201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42A KR102018646B1 (ko) 2017-10-31 2017-10-31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42A KR102018646B1 (ko) 2017-10-31 2017-10-31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520A KR20190048520A (ko) 2019-05-09
KR102018646B1 true KR102018646B1 (ko) 2019-09-04

Family

ID=6654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542A KR102018646B1 (ko) 2017-10-31 2017-10-31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132B1 (ko)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222B1 (ko) * 2015-10-21 2018-03-14 주식회사 에이텀 보호 코일 및 그를 이용하는 변압기
KR20170077534A (ko) * 2015-12-28 2017-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충전을 위한 자성 차폐 블록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자성 차폐 블록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70105345A (ko) * 2016-03-09 2017-09-19 주식회사 에이텀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132B1 (ko)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520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222B1 (ko) 보호 코일 및 그를 이용하는 변압기
US6342778B1 (en) Low profile, surface mount magnetic devices
US7969271B2 (en) Current transformer
US10608322B2 (en) Antenna componen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4849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US20080088401A1 (en) Transformer
US111527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1110676A (ja) チップコンデンサ
US7091815B2 (en) Electrical device, transformer, a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
US11476038B2 (en) Inductor
JP2018082136A (ja) インダクター
US20080297297A1 (en) Conductive winding structure and transformer having such conductive winding structure
KR101984631B1 (ko) 변압기
US11908608B2 (en) Coil component
KR102018646B1 (ko) 트랜스포머
CN210040663U (zh) 一种线缆连接器
JPWO2018211950A1 (ja) 同軸コネクタおよび同軸コネクタ実装基板
CN104599821A (zh)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JP3195101U (ja) コネクタ端子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含む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9251949B2 (en) Magnetic element
JP6673301B2 (ja) 基板実装型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862385B2 (en) Electronic device, connector, and electromagnetic device thereof
CN110676015A (zh) 电子装置、连接器及其电磁器件
CN219202919U (zh) 一种绕线变压器
US20220285069A1 (en) Base and transformer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