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345A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345A
KR20170105345A KR1020160028451A KR20160028451A KR20170105345A KR 20170105345 A KR20170105345 A KR 20170105345A KR 1020160028451 A KR1020160028451 A KR 1020160028451A KR 20160028451 A KR20160028451 A KR 20160028451A KR 20170105345 A KR20170105345 A KR 20170105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coil
coil
upper secondary
magnetic cor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택수
홍천수
신진섭
유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텀
유원용
주식회사 진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텀, 유원용, 주식회사 진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텀
Priority to KR102016002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5345A/ko
Publication of KR20170105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1Printed circuit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좌우 단에 담이 위쪽으로 형성된 사각형 판 형태이고 중앙에 하부 기둥(12)이 위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기둥(12)의 앞뒷쪽 면이 좌우쪽 면보다 들어가 형성된 하부 안착부(14)를 구비하는 하부 자심(10);
좌우 단에 담이 아래쪽으로 형성된 사각형 판 형태이고 중앙에 상부 기둥(22)이 아래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둥(22)의 앞뒷쪽 면이 좌우쪽 면보다 들어가 형성된 상부 안착부(24)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자심(10)에 대칭되도록 붙는 상부 자심(20);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하부 기둥(12)과 상기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중간에 끼워지며, 양면에 1차코일이 정형화되어 있는 양면 인쇄회로기판(30);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하부 기둥(12)과 상기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하부에 끼워지며, 하부 2차코일(42)이 내부에 고정되되, 상기 하부 2차코일(42) 몸체와 상기 하부 2차코일(42) 반고리 형상의 양단 사이에 좌우 및 아래로 하부 절연체 차단막(44)이 돌출되어 상기 하부 2차코일(42) 몸체와 상기 하부 2차코일(42) 양단 사이를 절연시키는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 및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하부 기둥(12)과 상기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상부에 끼워지며, 상부 2차코일(52)이 내부에 고정되되, 상기 상부 2차코일(52) 몸체와 상기 상부 2차코일(52) 반고리 형상의 양단 사이에 좌우 및 위로 상부 절연체 차단막(54)이 돌출되어 상기 상부 2차코일(52) 몸체와 상기 상부 2차코일(52) 양단 사이를 절연시키는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포머는 전자 상호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장치로, 1차코일, 2차코일 및 자심 등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에서 3중 코팅된 2차코일을 사용하는 경우 3중 코팅된 2차코일의 양단을 납땜하기 위해서는 양단의 3중 코팅 부분을 작업자가 직접 스트립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한편,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평면 형태의 1차코일에 평면 형태의 2차코일을 밀착시키는 경우에 있어 2차코일을 인서트 사출 등을 이용하여 성형물 내에 견고하게 위치시켜 트랜스포머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평면 형태의 1차코일에 평면 형태의 2차코일을 밀착시키는 경우 누설자속(leakage flux)을 최소화하여 유도전력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 정보: 등록특허 제10-0366241호(공고일자 2002년12월31일) "박막 평면 트랜스포머"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에 1차코일이 정형화되어 있으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밑면에 하부 2차코일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부에 고정된 하부 2차코일 성형물을 밀착시키고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윗면에 상부 2차코일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부에 고정된 상부 2차코일 성형물을 밀착시키기 위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좌우 단에 담이 위쪽으로 형성된 사각형 판 형태이고 중앙에 하부 기둥(12)이 위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기둥(12)의 앞뒷쪽 면이 좌우쪽 면보다 들어가 형성된 하부 안착부(14)를 구비하는 하부 자심(10);
좌우 단에 담이 아래쪽으로 형성된 사각형 판 형태이고 중앙에 상부 기둥(22)이 아래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둥(22)의 앞뒷쪽 면이 좌우쪽 면보다 들어가 형성된 상부 안착부(24)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자심(10)에 대칭되도록 붙는 상부 자심(20);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하부 기둥(12)과 상기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중간에 끼워지며, 양면에 1차코일이 정형화되어 있는 양면 인쇄회로기판(30);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하부 기둥(12)과 상기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하부에 끼워지며, 하부 2차코일(42)이 내부에 고정되되, 상기 하부 2차코일(42) 몸체와 상기 하부 2차코일(42) 반고리 형상의 양단 사이에 좌우 및 아래로 하부 절연체 차단막(44)이 돌출되어 상기 하부 2차코일(42) 몸체와 상기 하부 2차코일(42) 양단 사이를 절연시키는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 및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하부 기둥(12)과 상기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상부에 끼워지며, 상부 2차코일(52)이 내부에 고정되되, 상기 상부 2차코일(52) 몸체와 상기 상부 2차코일(52) 반고리 형상의 양단 사이에 좌우 및 위로 상부 절연체 차단막(54)이 돌출되어 상기 상부 2차코일(52) 몸체와 상기 상부 2차코일(52) 양단 사이를 절연시키는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자심(10) 및 상부 자심(20)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 재료는 페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2차코일(42) 및 상부 2차코일(52)은 구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2차코일(42)은 프레스 타발에 의해 정형화된 후 드러난 전체 표면이 절연물질로 코팅되며, 내측의 단부가 밖으로 절곡되되 절곡 시 점프 대상 코일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절곡되며, 점프완료 부분에서 다시 절곡되어 상기 하부 2차코일(42) 양단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주변의 해당 프레임과 하부 2차코일(42)의 외측 사이에 지지수단을 복수개 설치한 후 1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코일의 형상을 고정시키고 2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구성을 높여 상기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의 내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2차코일(52)은 프레스 타발에 의해 정형화된 후 드러난 전체 표면이 절연물질로 코팅되며, 내측의 단부가 밖으로 절곡되되 절곡 시 점프 대상 코일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절곡되며, 점프완료 부분에서 다시 절곡되어 상기 상부 2차코일(52) 양단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주변의 해당 프레임과 상부 2차코일(52)의 외측 사이에 지지수단을 복수개 설치한 후 1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코일의 형상을 고정시키고 2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구성을 높여 상기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의 내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양면에 1차코일이 정형화되어 있으며,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밑면에 하부 2차코일(42)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부에 고정된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을 밀착시키고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윗면에 상부 2차코일(52)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부에 고정된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을 밀착시키기 때문에, 하부 2차코일(42)이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부 2차코일(52)이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트랜스포머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밑면에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이 밀착되고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윗면에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이 밀착되기 때문에, 누설자속을 최소화하여 유도전력이 최대화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2차코일 성형물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상부 2차코일이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나타낸 사진 사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로, 하부 자심(10), 상부 자심(20), 양면 인쇄회로기판(30),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 하부 2차코일(42), 하부 절연체 차단막(44),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 상부 2차코일(52) 및 상부 절연체 차단막(5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도 2, 도 3a 내지 도 3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로, 하부 자심(10), 하부 기둥(12), 하부 안착부(14), 상부 자심(20), 상부 기둥(22), 상부 안착부(24), 양면 인쇄회로기판(30),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 하부 2차코일(42), 하부 절연체 차단막(44),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 상부 2차코일(52) 및 상부 절연체 차단막(54)으로 구성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상부 2차코일(52)이 프레임(60)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나타낸 사진 사본이다. 이때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의 제조공정은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의 제조공정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의 제조공정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도 1, 도 2, 도 3a 내지 도 3d,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먼저 하부 자심(10)은 좌우 단에 담이 위쪽으로 형성된 사각형 판 형태이고 중앙에 하부 기둥(12)이 위쪽으로 형성되며, 하부 기둥(12)의 앞뒷쪽 면이 좌우쪽 면보다 들어가 형성된 하부 안착부(14)를 구비한다. 이때 하부 안착부(14)에는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 중 아래쪽으로 솟은 평면부분이 안착된다.
상부 자심(20)은 좌우 단에 담이 아래쪽으로 형성된 사각형 판 형태이고 중앙에 상부 기둥(22)이 아래쪽으로 형성되며, 상부 기둥(22)의 앞뒷쪽 면이 좌우쪽 면보다 들어가 형성된 상부 안착부(24)를 구비하여 하부 자심(10)에 대칭되도록 붙는다. 이때 상부 안착부(24)에는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 중 위쪽으로 솟은 평면부분이 안착된다.
이와 같은 하부 자심(10) 및 상부 자심(20)은 자성 재료 예로,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은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하부 기둥(12)과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중간에 끼워지며, 양면에 1차코일이 정형화되어 있다.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은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하부 기둥(12)과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하부에 끼워지며, 하부 2차코일(42)이 내부에 고정되되, 하부 2차코일(42) 몸체와 하부 2차코일(42) 양단 사이에 좌우 및 아래로 하부 절연체 차단막(44)이 돌출되어 하부 2차코일(42) 몸체와 하부 2차코일(42) 양단 사이를 절연시킨다. 이때 하부 2차코일(42)은 구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부 2차코일(42)은 프레스 타발에 의해 정형화된 후 드러난 전체 표면이 절연물질로 코팅되며, 내측의 단부가 밖으로 절곡되되 절곡 시 점프 대상 코일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절곡되며, 점프완료 부분에서 다시 절곡되어 하부 2차코일(42) 양단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주변의 해당 프레임과 하부 2차코일(42)의 외측 사이에 지지수단을 복수개 설치한 후 1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코일의 형상을 고정시켜 코일의 단락을 방지하고 2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구성을 높여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은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하부 기둥(12)과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상부에 끼워지며, 상부 2차코일(52)이 내부에 고정되되, 상부 2차코일(52) 몸체와 상부 2차코일(52) 양단 사이에 좌우 및 위로 상부 절연체 차단막(54)이 돌출되어 상부 2차코일(52) 몸체와 상부 2차코일(52) 양단 사이를 절연시다. 이때 상부 2차코일(52)은 구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부 2차코일(52)은 프레스 타발에 의해 정형화된 후 드러난 전체 표면이 절연물질로 코팅되며, 내측의 단부가 밖으로 절곡되되 절곡 시 점프 대상 코일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절곡되며, 점프완료 부분에서 다시 절곡되어 상부 2차코일(52) 양단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주변의 해당 프레임과 상부 2차코일(52)의 외측 사이에 지지수단을 복수개 설치한 후 1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코일의 형상을 고정시켜 코일의 단락을 방지하고 2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구성을 높여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의 내부에 고정된다.
한편,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 양면 인쇄회로기판(30) 및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을 차례로 적층한 형태로 인서트 사출하여 하나의 사출물로 간단히 취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양면에 1차코일이 정형화되어 있으며,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밑면에 하부 2차코일(42)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부에 고정된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을 밀착시키고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윗면에 상부 2차코일(52)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부에 고정된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을 밀착시키기 때문에, 하부 2차코일(42)이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부 2차코일(52)이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트랜스포머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밑면에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이 밀착되고 양면 인쇄회로기판(30)의 윗면에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이 밀착되기 때문에, 누설자속을 최소화하여 유도전력이 최대화 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을 하부, 상부 2차코일 성형물(40, 50)로 제작함으로써 두께를 균일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의 양단은 반고리 형상이기 때문에, 단자의 밀착성이 좋고 납땜이 견고하게 된다.
또한, 하부, 상부 2차코일 성형물(40, 50)에 하부, 상부 절연체 차단막(44, 54)을 설치하여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의 몸체와 양단 사이를 절연시켜서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의 내압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 내측의 단부를 밖으로 몇 번 절곡하여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 양단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서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의 양단을 해당 납땜 부위에 동시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로, 도 3a와 같은 상부 2차코일(52) 내측의 단부를 도 3b와 같이 밖으로 몇 번 절곡하여 상부 2차코일(52) 양단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서 상부 2차코일(52)의 양단을 해당 납땜 부위에 동시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을 1차, 2차 인서트 사출하기 전에 주변의 해당 프레임과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의 외측 사이에 지지수단을 복수개 설치하여 하부, 상부 2차코일(42, 52)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해서 해당 사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로, 도 4와 같이 상부 2차코일(52)을 1차, 2차 인서트 사출하기 전에 주변의 해당 프레임(60)과 상부 2차코일(52)의 외측 사이에 지지수단을 복수개 형성하여 상부 2차코일(52)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해서 해당 사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휴대폰 충전기 등에 사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하부 자심
12: 하부 기둥
14: 하부 안착부
20: 상부 자심
22: 상부 기둥
24: 상부 안착부
30: 양면 인쇄회로기판
40: 하부 2차코일 성형물
42: 하부 2차코일
44: 하부 절연체 차단막
50: 상부 2차코일 성형물
52: 상부 2차코일
54: 상부 절연체 차단막
60: 프레임

Claims (6)

  1. 좌우 단에 담이 위쪽으로 형성된 사각형 판 형태이고 중앙에 하부 기둥(12)이 위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기둥(12)의 앞뒷쪽 면이 좌우쪽 면보다 들어가 형성된 하부 안착부(14)를 구비하는 하부 자심(10);
    좌우 단에 담이 아래쪽으로 형성된 사각형 판 형태이고 중앙에 상부 기둥(22)이 아래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둥(22)의 앞뒷쪽 면이 좌우쪽 면보다 들어가 형성된 상부 안착부(24)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자심(10)에 대칭되도록 붙는 상부 자심(20);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하부 기둥(12)과 상기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중간에 끼워지며, 양면에 1차코일이 정형화되어 있는 양면 인쇄회로기판(30);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하부 기둥(12)과 상기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하부에 끼워지며, 하부 2차코일(42)이 내부에 고정되되, 상기 하부 2차코일(42) 몸체와 상기 하부 2차코일(42) 반고리 형상의 양단 사이에 좌우 및 아래로 하부 절연체 차단막(44)이 돌출되어 상기 하부 2차코일(42) 몸체와 상기 하부 2차코일(42) 양단 사이를 절연시키는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 및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하부 기둥(12)과 상기 상부 기둥(22)이 붙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기둥 상부에 끼워지며, 상부 2차코일(52)이 내부에 고정되되, 상기 상부 2차코일(52) 몸체와 상기 상부 2차코일(52) 반고리 형상의 양단 사이에 좌우 및 위로 상부 절연체 차단막(54)이 돌출되어 상기 상부 2차코일(52) 몸체와 상기 상부 2차코일(52) 양단 사이를 절연시키는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자심(10) 및 상부 자심(20)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재료는 페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2차코일(42) 및 상부 2차코일(52)은 구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2차코일(42)은 프레스 타발에 의해 정형화된 후 드러난 전체 표면이 절연물질로 코팅되며, 내측의 단부가 밖으로 절곡되되 절곡 시 점프 대상 코일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절곡되며, 점프완료 부분에서 다시 절곡되어 상기 하부 2차코일(42) 양단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주변의 해당 프레임과 하부 2차코일(42)의 외측 사이에 지지수단을 복수개 설치한 후 1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코일의 형상을 고정시키고 2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구성을 높여 상기 하부 2차코일 성형물(40)의 내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2차코일(52)은 프레스 타발에 의해 정형화된 후 드러난 전체 표면이 절연물질로 코팅되며, 내측의 단부가 밖으로 절곡되되 절곡 시 점프 대상 코일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절곡되며, 점프완료 부분에서 다시 절곡되어 상기 상부 2차코일(52) 양단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주변의 해당 프레임과 상부 2차코일(52)의 외측 사이에 지지수단을 복수개 설치한 후 1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코일의 형상을 고정시키고 2차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구성을 높여 상기 상부 2차코일 성형물(50)의 내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KR1020160028451A 2016-03-09 2016-03-09 트랜스포머 KR20170105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451A KR20170105345A (ko) 2016-03-09 2016-03-09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451A KR20170105345A (ko) 2016-03-09 2016-03-09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345A true KR20170105345A (ko) 2017-09-19

Family

ID=6003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451A KR20170105345A (ko) 2016-03-09 2016-03-09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534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7793A (zh) * 2018-10-19 2018-12-25 重庆天胜电子有限公司 一种手机快充充电器
KR101943497B1 (ko) * 2018-08-27 2019-01-30 (주)테라비 트랜스포머
KR101943498B1 (ko) * 2018-09-03 2019-01-30 (주)테라비 트랜스포머
KR101943499B1 (ko) * 2018-09-06 2019-01-30 (주)테라비 트랜스포머
KR20190048520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에이텀 트랜스포머
KR102024851B1 (ko) * 2019-01-23 2019-11-04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
US20210280364A1 (en) * 2020-03-04 2021-09-09 Astec International Limited Isolated switchmode power supplies having quasi-planar transformer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520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에이텀 트랜스포머
KR101943497B1 (ko) * 2018-08-27 2019-01-30 (주)테라비 트랜스포머
KR101943498B1 (ko) * 2018-09-03 2019-01-30 (주)테라비 트랜스포머
KR101943499B1 (ko) * 2018-09-06 2019-01-30 (주)테라비 트랜스포머
CN109087793A (zh) * 2018-10-19 2018-12-25 重庆天胜电子有限公司 一种手机快充充电器
KR102024851B1 (ko) * 2019-01-23 2019-11-04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
US20210280364A1 (en) * 2020-03-04 2021-09-09 Astec International Limited Isolated switchmode power supplies having quasi-planar transformers
US11557426B2 (en) * 2020-03-04 2023-01-17 Astec International Limited Isolated switchmode power supplies having quasi-planar transformers
US11881348B2 (en) 2020-03-04 2024-01-23 Astec International Limited Isolated switchmode power supplies having quasi-planar transform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5345A (ko) 트랜스포머
US20180286549A1 (en) Transformer
US10218222B2 (en) Non-contact charging modu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magnetic sheet
US10164471B2 (en) Transmitter for wireless charger
US10388449B2 (en) Transformer and plate coil molded body
JP4791270B2 (ja) 磁性素子
KR101326716B1 (ko) 비접촉 충전 모듈 및 비접촉 충전 기기
CN106340373A (zh)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US2014013903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8878640B2 (en) Common-mode choke coil
US9984810B2 (en) Reactor
EP2665070B1 (en) Surface mount inductor
KR102000249B1 (ko) 변압기용 1차 코일 소자 및 1,2차 코일 소자 일체형 변압기
EP3923306A1 (en) Coil component
US20140056462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655970B1 (ko) 2차코일 인서트 사출성형방법
KR102024844B1 (ko) 변압기용 2차 코일 소자
KR20200081195A (ko) 변압기
KR101969988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US9238252B2 (en) Vibration sounder
KR20120032287A (ko) 보이스 코일 모터
US8471664B1 (en) Transformer without coil racks
KR20190002791A (ko) 2차코일 내장형 변압기
KR102024851B1 (ko) 변압기
US20140375410A1 (en) Transformer, magnetic core and bobbi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