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449U -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 Google Patents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449U
KR20150002449U KR2020130010460U KR20130010460U KR20150002449U KR 20150002449 U KR20150002449 U KR 20150002449U KR 2020130010460 U KR2020130010460 U KR 2020130010460U KR 20130010460 U KR20130010460 U KR 20130010460U KR 20150002449 U KR20150002449 U KR 201500024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imary coil
terminal
coil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일
나주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30010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449U/ko
Publication of KR20150002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4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며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와; 복수의 단자접촉부가 판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피씨비와; 상기 단자접촉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단자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커넥터와; 상기 단자 수용홈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단자접촉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피씨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프링단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COIL MOLDING TYPE CASE}
본 고안은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1차코일이 무선충전기의 케이스와 일체로 몰딩된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충전기는 내부에 구비된 1차코일과 충전대상물에 구비된 2차코일 사이에 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충전대상물에 구비된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선충전기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충전기는 평탄한 저부면을 구비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1차코일(30)과, 하부케이스(10)의 저부면에 안착되어 1차코일(30)의 단부에 구비된 단자가 삽입되어 1차코일(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피씨비(40)와, 수용공간에 수용된 1차코일(30)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하여 1차코일(30)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패드(50)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0)는 평탄한 저부면을 구비하고 상부케이스(20)와 결합에 의하여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테두리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2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상부케이스(20)는 하부케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케이스(10)와 결합에 의하여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결합에 의하여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1차코일(30)과 피씨비(40) 및 고정패드(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할 수 있게 된다.
1차코일(30)을 둘레가 굴곡지도록 전선이 권취된 판상의 부재로서 충전대상물의 내부에 구비된 2차코일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자기 유도 현상을 발생시켜 충전대상물에 내재된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1차코일(30)의 단부에는 1차코일(30)의 전기적인 제어를 위하여 피씨비(40)에 삽입되어 피씨비(40)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31)가 마련되어 있다.
피씨비(40)는 하부케이스(10)의 저부면에 안착되어 1차코일(30)의 단부에 구비된 단자가 삽입됨으로써 1차코일(30)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그 상면에는 복수의 회로가 구현되어 있다.
고정패드(50)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1차코일(30)이 유동하지 않고 수용공간에 고정되도록 하면이 1차코일(30)과 접촉되고 상면이 상부케이스(20)의 하면과 접촉되게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무선충전기에 있어서,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피씨비(40)와 1차코일(30) 및 고정패드(50) 등의 부품들을 각각 실장시켜야 하므로 무선충전기를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전대상물을 상부케이스(20)의 상측에 안착시켜 충전대상물에 구비된 2차코일과 무선충전기에 구비된 1차코일(30) 사이에 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에 있어서 고정패드(50)와 같은 부품에 의하여 1차코일(30)과 2차코일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외부로 누설되는 에너지의 양이 많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에 의하여 충전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충전기를 조립하는 작업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된 1차코일과 충전대상물에 구비된 2차코일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상기 1차코일과 2차코일 사이에 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시에 외부로 누설되는 에너지 손실을 줄여서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전충전기는, 평탄한 저부면을 구비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어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되며 그 단부에 마련된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는 1차코일과; 상기 저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1차코일의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1차코일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피씨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1차코일은 충전대상물이 안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몰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차코일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피씨비와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1차코일이 금형에 안착된 상태에서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무선충전기를 조립하는 작업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된 1차코일과 충전대상물에 구비된 2차코일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상기 1차코일과 2차코일 사이에 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시에 외부로 누설되는 에너지 손실을 줄여서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충전기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코일 몰딩형 케이스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는, 평탄한 저부면을 구비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되며 그 단부에 마련된 단자(310)가 외부로 돌출되는 1차코일(300)과, 상기 저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1차코일(300)의 단자(310)가 삽입되어 1차코일(300)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피씨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00)는 평탄한 저부면을 구비하고 상부케이스(200)와 결합에 의하여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테두리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케이스(100)와 결합에 의하여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00)와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결합에 의하여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피씨비(400) 등과 같은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할 수 있게 된다.
1차코일(300)을 둘레가 굴곡지도록 전선이 권취된 판상의 부재로서 충전대상물의 내부에 구비된 2차코일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자기 유도 현상을 발생시켜 충전대상물에 내재된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1차코일(300)은 하부케이스(100)나 혹은 상부케이스(200)의 내부에 하부케이스(100)나 상부케이스(200)와 일체로 몰딩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충전대상물이 통상적으로 상부케이스(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짐을 감안한다면 1차코일(300)은 상부케이스(200)와 일체로 몰딩되어 상부케이스(200)에 내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전대상물을 충전시에 충전대상물의 내부에 구비된 2차코일과 1차코일(300) 사이의 거리가 가깝도록 배치함으로써 1차코일(300)과 2차코일 사이의 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시에 외부로 누설되는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부케이스(200)를 제조시에는 금형의 내부에 1차코일을 안착시킨 후에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하여 사출함으로써 상부케이스(200)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차코일(300)의 단부에는 1차코일(300)의 전기적인 제어를 위하여 피씨비(400)에 삽입되어 피씨비(400)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310)가 마련되어 있다.
1차코일(30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단자(310)는 상부케이스(200)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피씨비(400)에 삽입되어 피씨비(400)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피씨비(400)는 하부케이스(100)의 저부면에 안착되어 1차코일(300)의 단부에 구비된 단자가 삽입됨으로써 1차코일(300)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그 상면에는 복수의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는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1차코일(300)이 구비되도록 하기 위하여 1차코일(300)을 안착시킨 후에 별도의 고정패드와 같은 부품을 이용하여 1차코일(300)을 고정해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무선충전기를 조립하는 작업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기의 내부에 1차코일(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패드와 같은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무선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된 1차코일과 충전대상물에 구비된 2차코일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상기 1차코일과 2차코일 사이에 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시에 외부로 누설되는 에너지 손실을 줄여서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부케이스 200 : 상부케이스
300 : 1차코일 310 : 단자
400 : 피씨비

Claims (4)

  1. 평탄한 저부면을 구비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상부케이스(2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되며 그 단부에 마련된 단자(310)가 외부로 돌출되는 1차코일(300)과;
    상기 저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1차코일(300)의 단자(310)가 삽입되어 상기 1차코일(300)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피씨비(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은 충전대상물이 안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코일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피씨비와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1차코일이 금형에 안착된 상태에서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KR2020130010460U 2013-12-16 2013-12-16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KR201500024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60U KR20150002449U (ko) 2013-12-16 2013-12-16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60U KR20150002449U (ko) 2013-12-16 2013-12-16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449U true KR20150002449U (ko) 2015-06-24

Family

ID=5351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460U KR20150002449U (ko) 2013-12-16 2013-12-16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44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77A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아모센스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WO2023048372A1 (ko) * 2021-09-27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부재 및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32472A1 (zh) * 2022-08-12 2024-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壳体、可穿戴设备及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77A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아모센스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WO2023048372A1 (ko) * 2021-09-27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부재 및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32472A1 (zh) * 2022-08-12 2024-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壳体、可穿戴设备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8025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CN106409483B (zh) 变压器和板状线圈模制主体
US8237401B2 (en) Re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KR200470295Y1 (ko) 슬라이딩 커넥터를 갖는 휴대용기기의 보호케이스
KR101230877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
JP2013541832A (ja) 無線電源システム及び多層シムアセンブリ
EP2779186A1 (en) Transformer module for electric vehicle
JP2020087917A (ja) 第1のコネクタ、第2の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3205886U (ja) 充電装置
KR20150002449U (ko)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US20140056462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2583722B1 (ko) 변압기
KR101532052B1 (ko) 무선충전 및 엔에프씨 통신 겸용 단자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치
CN113228206B (zh) 变压器
KR20190092159A (ko) 멀티 충전용 무선 전력 송신장치
KR20140059925A (ko) 전동기용 터미널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전동기
US20190067977A1 (en) Magnetic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KR101620450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KR101177061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US20130002051A1 (en) Voice coil motor housing and voice coil motor using same
KR101800814B1 (ko) Usb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1563263B1 (ko) 무선충전 및 엔에프씨 통신을 위한 안테나패치
CN110829612A (zh) 无线充电系统、无线充电器和电子设备
KR20140005695A (ko) 충전기용 플러그
KR101727463B1 (ko) 자기유도 코일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