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231B1 - 냉각 덕트의 실링성이 개선된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냉각 덕트의 실링성이 개선된 전지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7231B1 KR102017231B1 KR1020160127793A KR20160127793A KR102017231B1 KR 102017231 B1 KR102017231 B1 KR 102017231B1 KR 1020160127793 A KR1020160127793 A KR 1020160127793A KR 20160127793 A KR20160127793 A KR 20160127793A KR 102017231 B1 KR102017231 B1 KR 1020172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rness
- plug
- duct
- hole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 H01M2/101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덕트의 실링성이 향상된 전지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전지 모듈은, 일 측에는 공기 유로의 입구가, 타 측에는 공기 유로의 출구가 개구되어 있는 전지 적층체 및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와 상기 공기 유로의 출구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전지 적층체의 양 측부에 결합된 복수의 냉각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냉각 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공을 정의하는 플러그 수용부와, 상기 관통공에 긴밀(air-tight)하게 삽입되고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이 형성된 하네스 수용 플러그를 구비한다. 하네스 수용 플러그는 상기 와이어 수용 홀을 통해 내장 하네스의 와이어 또는 외장 하네스의 와이어를 통과시킨다. 내장 하네스와 외장 하네스는 하네스 수용 플러그 주변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된 공기 배출 구조물의 내부 및 외부에 도선을 배치하여 도선에 의해 공기 배출 구조물을 관통하는 때에, 공기 배출 구조물과 도선의 접촉 부분에서 도선의 피복을 따라 공기 배출 구조물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5년 10월 2일자에 대한민국에 출원된 출원 제10-2015-0139154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우선권 주장의 기초가 되는 출원서의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합체될 수 있다.
최근에, 차량의 배출 가스에 기인한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차량은 내연 기관 및/ 또는 전기 모터를 이용해서 구동력을 확보하려는 연구에 바탕을 두고 제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차량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순서로 진화되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 기관, 전기 모터와 전지 팩을 가지며, 상기 전기 자동차는 내연 기관 없이 전기 모터와 전지 팩을 갖는다.
상기 전지 팩은 전기 자동차의 내부 및/ 또는 외부에서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지 팩은 전지 적층체와 복수의 덕트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갖는다. 상기 전지 적층체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카트리지와, 복수의 카트리지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지 셀을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는 서로 마주하는 일 측면과 타 측면을 관통하는 공기 유로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덕트는 상기 공기 유로가 노출된 전지 적층체의 양쪽 측면을 샌드 위치 구조로 둘러싸며 복수의 카트리지에 유입되는 그리고 복수의 카트리지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전지 적층체 주변에서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강제하기 위해 내부에 송풍 팬, 구동 모터와 하네스(harness)를 갖는다. 상기 송풍 팬은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강제적으로 흐르게 한다. 상기 구동 모터는 송풍 팬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송풍 팬의 회전 수를 조절한다. 상기 하네스는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송풍 팬의 회전 동안 구동 모터에 송풍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하네스는 덕트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덕트를 관통하여 덕트의 외부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전지 팩의 충전 및 방전을 포함한 전지 팩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상기 하네스는 하나의 단위로 묶인 와이어들과 이를 감싸는 수지 재질의 피복을 가진다. 상기 하네스의 단면은 하네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지 않다. 상기 하네스의 내부에서 와이어들의 꼬임 및/ 또는 쏠림에 의해 와이어들의 단면 형상이 위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덕트는 상기 하네스가 관통하는 부위에서 관통구의 내측 면과 하네스의 외부 표면 사이에 틈새를 갖는다. 상기 덕트와 하네스 사이의 틈새는 덕트의 완전한 실링을 어렵게 만든다. 상기 덕트가 완전하게 실링되지 못하면 공기의 송풍 압이 떨어진다. 그 결과, 송풍 팬에 의해 덕트 내부에 생기는 공기 흐름이 불규칙해 짐으로써 전지 적층체의 냉각 효율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배경하에 창안된 것으로서, 전지 적층체 주변에 결합되는 냉각 덕트와 하네스 사이의 실링력이 향상된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전지 모듈은, 전지 셀이 수용된 복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일 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로의 입구가, 타 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유로의 출구가 개구되어 있는 전지 적층체 및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와 상기 공기 유로의 출구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전지 적층체의 양 측부에 결합된 복수의 냉각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냉각 덕트는 복수의 덕트 하우징을 각각 가지며, 상기 복수의 냉각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공을 정의하는 플러그 수용부와, 상기 관통공에 긴밀(air-tight)하게 삽입되고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이 형성된 하네스 수용 플러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지 모듈은,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내장 하네스와 상기 복수의 와이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대응 와이어를 포함하는 외장 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 또는 상기 복수의 대응 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타측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에 결합된 냉각 덕트와 상기 공기 유로의 출구에 결합된 냉각 덕트는 상기 전지 적층체를 샌드 위치의 구조로 둘러싼다.
또한, 각각의 덕트 하우징은 상기 전지 적층체를 향해서 개구되며, 상기 전지 적층체의 반대 편을 향해 볼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지 적층체의 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 유로와 연통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수용부를 구비하는 덕트 하우징은 상부 모서리에 상기 관통공을 정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는 연성과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연성 물질은 실리콘 또는 고무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는,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의 상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단은 삽입부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는 외주 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요철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억지 끼움(frictionally engaged)방식으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단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플러그 수용부의 상기 관통공 아래에서 상기 플러그 수용부의 하부 테두리에 걸려 상기 관통공을 차폐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플러그 수용부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덕트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은 각각을 통과하는 와이어의 표면을 긴밀(Air-tight)하게 감싼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의 내경은 각각을 통과하는 와이어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의 연성과 탄성에 의해 서로 대응하는 와이어와 와이어 수용 홀 사이가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장 하네스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된 송풍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장 하네스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장 하네스와 상기 외장 하네스는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 주변에서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장 하네스의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에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네스 수용 플러그를 사용하여 냉각 덕트와 하네스 사이의 틈새를 제거함으로써 냉각 덕트에 흐르는 공기가 상기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냉각 덕트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켜 전지 모듈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네스 수용 플러그의 사용은 하네스와 냉각 덕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외장 하네스와 내장 하네스가 하네스 수용 플러그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결합되므로 하네스의 고장을 수리할 때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하네스 수용 플러그와 하네스가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수분이나 습기가 냉각 덕트 내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각 덕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P' 영역에서 냉각 덕트를 부분적으로 확대해서 덕트 하우징과 하네스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전지 모듈이 조립되는 과정과 냉각 덕트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덕트 하우징이 핫 스태킹에 의해 전지 적층체의 측부에 결합될 때 핫 스태킹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각 덕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P' 영역에서 냉각 덕트를 부분적으로 확대해서 덕트 하우징과 하네스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전지 모듈이 조립되는 과정과 냉각 덕트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덕트 하우징이 핫 스태킹에 의해 전지 적층체의 측부에 결합될 때 핫 스태킹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출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있어서, 전지 셀은 파우치 타입의 리튬 이차 전지를 일컫는다. 여기서, 리튬 이차 전지라 함은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리튬 이온이 작동 이온으로 작용하여 양극과 음극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유발하는 이차 전지를 총칭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전지의 구체적인 종류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지 모듈(110)은 전지 적층체(9), 복수의 냉각 덕트(20, 40, 70, 90)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을 포함한다. 상기 전지 적층체(9)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카트리지(3)들과 각 카트리지(3)에 수용된 전지 셀(6)을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3)는 내부에 공기 유로(도면에 미도시)를 가지며 복수의 냉각 덕트(20, 40, 70, 90)를 향하는 양 측벽에서 상기 공기 유로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상기 복수의 냉각 덕트(20, 40, 70, 90)는 전지 적층체(9)의 양 측부에 위치하여 전지 적층체(9)를 샌드 위치의 구조로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각 덕트(20, 40, 70, 90)는 복수의 덕트 하우징(20A, 40A, 59, 90A)을 각각 갖는다. 상기 복수의 냉각 덕트(20, 40, 70, 90)는 복수의 덕트 하우징(20A, 40A, 59, 90A)의 가장 자리를 통해 전지 적층체(9)의 양 측벽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각 덕트(20, 40, 70, 90)는 전지 적층체(9) 주변에서 두 개씩 한 조를 이루어 전지 적층체(9)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 위치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 덕트(20)는 전지 적층체(9)의 일 측부를 바라보았을 때 왼쪽 편에 위치하여 덕트 하우징(20A)의 상부 측에 공기 유입구(15)를 갖는다.
상기 냉각 덕트(40)는 전지 적층체(9)의 일 측부를 바라보았을 때 오른 편에 위치하여 냉각 덕트(20)에 이웃하며 덕트 하우징(40A)의 상부 측에 공기 유입구(35)를 갖는다.
상기 냉각 덕트(70)는 전지 적층체(9)의 타 측부를 바라보았을 때 오른 편에 위치하여 덕트 하우징(59)의 상부 측에 공기 배출구(58)를 갖는다.
상기 냉각 덕트(90)는 전지 적층체(9)의 타 측부를 바라보았을 때 왼 편에 위치하여 냉각 덕트(70)에 이웃하며 덕트 하우징(90A)의 상부 측에 공기 배출구(85)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냉각 덕트(20, 40, 70, 90)는 전지 적층체(9)에 공기의 유입시키고 전지 적층체(9)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전지 적층체(9)와 냉각 덕트들(70, 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전지 셀(6)의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고, 냉각 덕트들(20, 40)에 통해 유입되는 공기 량 및 냉각 덕트들(70, 9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량을 조절한다.
도 2는, 도 1의 냉각 덕트가 가지는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 덕트(70)는 전지 적층체(도 1의 9)를 향해서 개구되며, 전지 적층체(9)의 반대 편을 향해 볼록 형상을 가지는 덕트 하우징(59)을 갖는다. 상기 덕트 하우징(59)의 개구 방향과 볼록 형상은 도 1의 덕트 하우징들(20A, 40A, 90A)의 각각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 덕트(70)는 덕트 하우징(59)의 내부에 복수의 구동 모터(53)와 복수의 송풍 팬(55), 그리고 덕트 하우징(59)을 관통하는 하네스(H)를 가지며, 상부 측에 공기 배출구(58)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53)와 하네스(H)는 덕트 하우징(59)의 내부에서 접속부(51)의 내부 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53)와 상기 송풍 팬(55)의 수는 요구되는 냉각 성능에 따라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53)는 복수의 송풍 팬(55)을 각각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네스(H)는 덕트 하우징(59)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네스(H)는 덕트 하우징(59)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 하네스(internal harness; H1)와 덕트 하우징(59)의 외부에 구비되는 외장 하네스(external harness; H2)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장 하네스(H2)는 단부에 커넥터(C)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C)는 도 1과 도 7과 같이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하우징(59)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의 냉각 덕트(90)의 덕트 하우징(90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 하우징(59)은 내장 하네스(H1)로부터 분기되어 덕트 하우징(59)의 내부에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도 7의 T)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T)는 냉각 덕트(90)의 덕트 하우징(90A)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P' 영역에서 냉각 덕트를 부분적으로 확대해서 덕트 하우징과 하네스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 덕트(70)는 덕트 하우징(59)의 가장 자리에서 덕트 하우징(59)을 관통하는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와 하네스(H)를 갖는다.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덕트 하우징(59)의 가장 자리에서 플러그 수용부(57)의 관통공(56)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플러그 수용부(57)의 관통공(56)을 충분히 채우며 플러그 수용부(57)로부터 상부가 돌출한다.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덕트 하우징(59), 예를 들면 플러그 수용부(57)보다 더 연한 물질,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고무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을 구성하는 재질로는 연성과 탄성이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네스(H)는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를 통해 연결되도록 덕트 하우징(59)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 하네스(H1)와 덕트 하우징(59)의 외부에 구비되는 외장 하네스(H2)를 갖는다.
상기 덕트 하우징(59)에서 플러그 수용부(57),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와 하네스(H)의 결합 관계는 도 1의 냉각 덕트(90)의 덕트 하우징(90A)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도 2의 냉각 덕트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덕트 하우징(59)이 도 1의 전지 적층체(9) 및 덕트 하우징들(20A, 40A, 90A)과 함께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하우징(59)은 복수의 구동 모터(53)와 복수의 송풍 팬(55)을 가지고, 상부 모서리에 플러그 수용부(57)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53)는 접속부(51)의 내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모터(53)는 송풍 팬(55)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수용부(57)는 덕트 하우징(59)의 내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관통공(56)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덕트 하우징(90A)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네스 수용 플러그(68)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일체로 형성된 걸림단(62)과 삽입부(66)를 갖는다. 상기 걸림단(62)은 삽입부(66) 아래에 위치하여 삽입부(66)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단(62)은 삽입부(66) 아래에서 삽입부(66)의 양 측부를 향해 돌출하여 위에서 보았을 때 삽입부(66)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
상기 삽입부(66)는 걸림단(62) 상에서 걸림단(62)의 점유 면적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66)는 외주 면에서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반복적인 요철(凹凸)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62)과 삽입부(66)는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64)을 한정한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64)은 걸림단(62)과 삽입부(66)를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장 하네스(H1)와 외장 하네스(H2)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내장 하네스(H1)의 피복은 일 단부에서 잘려질 수 있다. 상기 내장 하네스(H1)의 피복이 잘려진 후에, 상기 내장 하네스(H1)는 피복을 통해 일 단부에서 복수의 제 1 와이어(L1)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내장 하네스(H1)는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내장 하네스(H1)의 복수의 제 1 와이어(L1)는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걸림단(62) 아래에서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64)에 각각 삽입되고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64)을 경유하여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삽입부(66)로부터 상부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와이어(L1)는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64)을 충분히 각각 채운다. 따라서,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64)을 통해 복수의 제 1 와이어(L1)를 긴밀(air-tight)하게 둘러쌀 수 있다.
각 제1 와이어(L1)의 직경은 대응되는 와이어 수용 홀(64)의 내경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이 경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연성과 탄성을 통해 각 제1 와이어(L1)의 외부 면이 대응되는 와이어 수용 홀(64)의 내측 벽과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덕트 하우징(59)의 플러그 수용부(57)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덕트 하우징(59)의 내부에서 플러그 수용부(57)의 관통공(56)에 삽입되어 플러그 수용부(57)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플러그 수용부(57)로부터 상부로 돌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걸림단(62)은 덕트 하우징(59)의 내부에서 플러그 수용부(57)의 관통공(56) 아래에서 플러그 수용부(57)의 하단 테두리에 걸려 관통공(56)을 차폐하고,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삽입부(66)는 플러그 수용부(57)의 관통공(56)에 삽입되어 관통공(56)으로부터 돌출하고 덕트 하우징(59)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삽입부(66)의 요철 형상을 이용하여 플러그 수용부(57)의 관통공(56)을 충분히 채울 수 있다. 또한, 각 요철은 관통공(56)의 내측벽과 접촉하여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연성과 탄성이 있는 재질이 이루어지면, 각 요철에 의해 제공되는 기밀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철 형상이 있는 부분의 둘레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은 관통공(56)의 단면이 이루는 면적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가 관통공(56)에 삽입될 때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연성 및 탄성에 의해 상기 요철 형상이 있는 부분이 관통공(56)의 내벽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가 플러그 수용부(57)의 관통공(56)에 삽입된 후에, 상기 내장 하네스(H1)는 타 단부를 통해 덕트 하우징(59)의 접속부(51)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장 하네스(H1)는 피복의 중앙 영역을 절단하여 복수의 제1 와이어(L1) 중 하나를 도 7의 온도 센서(T)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내장 하네스(H1)와 온도 센서(T)의 전기적인 접속 후에, 상기 외장 하네스(H2)의 피복이 일 단부에서 잘려질 수 있다. 상기 외장 하네스(H2)는 피복을 통해 일 단부에서 복수의 제 2 와이어(L2)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와이어(L2)의 개수는 복수의 제 1 와이어(L1)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 복수의 제 2 와이어(L2)는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상부에서 복수의 제 1 와이어(L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와이어(L1)와 복수의 제 2 와이어(L2)의 결합 부위는 주변 구조물과 접촉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열수축 테이프와 같은 절연성 피복으로 덮여질 수 있다.
상기 외장 하네스(H2)는 타 단부에서, 예를 들면,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반대 편에서 도 7과 같이 커넥터(C)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외장 하네스(H2)는 내장 하네스(H1)와 함께 도 7의 하네스(H)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H), 덕트 하우징(59)과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도 2 또는 도 7의 냉각 덕트(7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덕트(70)의 조립 방법은 하네스가 결합되는 냉각 덕트, 예컨대 도 1의 냉각 덕트(90)를 조립할 때에도 유사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다만, 하네스가 결합되지 않는 냉각 덕트(20, 40)는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와 덕트 하우징의 결합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 예로써,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64)에 내장 하네스(H1)의 복수의 제 1 와이어(L1) 대신에 외장 하네스(H2)의 복수의 제 2 와이어(L2)가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는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64)을 통해 복수의 제 2 와이어(L2)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와이어(L1)는 덕트 하우징(59)의 내부에서 위치하여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64) 아래에서 복수의 제 2 와이어(L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예에 있어서, 각 제2 와이어(L2)의 직경은 대응되는 와이어 수용 홀(64)의 내경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이 경우,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의 연성과 탄성을 통해 각 제2 와이어(L2)의 외부 면이 대응되는 와이어 수용 홀(64)의 내측 벽과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냉각 덕트(70)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상기 냉각 덕트(70)는 도 1에서 나머지의 냉각 덕트들(20, 40, 90)과 함께 전지 적층체(9)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덕트 하우징(20A, 40A, 59, 90A)은 전지 적층체(9)의 측부에 밀착되어 전지 적층체(9)의 카트리지(3)들의 공기 유로들과 연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냉각 덕트들(20, 40, 70, 90)이 접촉되는 전지 적층체(9)의 부위에는 고무 재질이며 링 형상을 갖는 실링 가스켓(G)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덕트들(20, 40, 70, 90)의 가장 자리에는 복수의 홀(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덕트들(20, 40, 70, 90)은 상기 복수의 홀(B)을 이용하여 전지 적층체(9)의 측부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홀(B)과 대응되는 전지 적층체(9)의 부위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냉각 덕트들(20, 40, 70, 90)은 상기 복수의 홀(B)을 이용하여 전지 적층체(9)의 측부에 핫 스택킹(Hot stacking)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각 덕트들(20, 40, 70, 90)이 결합되는 전지 적층체(9)의 부위(8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81)가 도출되어 있을 수 있고, 각 냉각 덕트의 모서리 부분(82)에 형성된 홀(B)이 상기 로드(8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82)의 단부에 열(화살표 참조)을 가하여 형상을 변형시켜 홀(B)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82)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적층체(9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홀(B)과 대응되는 전지 적층체(9)의 부위(8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서, 상기 전지 적층체(9)의 부위(80)는 카트리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덕트들(70, 90)의 하네스(H)들은 덕트 하우징들(59, 90A)의 외부에서 커넥터(C)들을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에 도 1과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 덕트들(70, 90)이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가지므로, 상기 냉각 덕트(70)의 설명은 냉각 덕트(90)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하네스(H)를 통해 복수의 구동 모터(53)에 모터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53)는 모터 구동 신호에 대응되어 복수의 송풍 팬(55)을 일 방향(R)으로 각각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덕트(70)에 구비된 복수의 송풍 팬(55)과, 상기 냉각 덕트(90)에 구비된 복수의 송풍 팬은 전지 적층체(9)와 복수의 냉각 덕트(20, 40, 70, 90) 사이에 도 1과 같이 공기 흐름들(F1, F2, F3, F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덕트(70)는 전지 적층체(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F3)을 복수의 공기 흐름들(F4, F5, F6)로 분산시킨다.
상기 공기 흐름(F4)의 대부분은 덕트 하우징(59)의 가장 자리에 위치되는 하네스 수용 플러그(68)로 향하지 않는다. 즉, 상기 공기 흐름(F4)은 덕트 하우징(59)과 하네스 수용 플러그(68) 사이, 그리고 하네스 수용 플러그(68)와 내장 하네스(H1)의 복수의 제1 와이어(L1) 사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덕트 하우징(59)은 하네스(H)의 내장 하네스(H1)에 연결되는 온도 센서(T)를 가지는데, 상기 온도 센서(T)는 덕트 하우징(59)의 내부에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하네스(H)를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에 온도 측정 신호를 전달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온도 측정 신호를 받아 복수의 구동 모터(53)의 분당 회전수(RPM)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흐름들(F4, F5, F6)은 복수의 송풍 팬(55)에 의해 덕트 하우징(59)의 공기 배출구(58)를 경유하면서 하나의 공기 흐름(F7)으로 통합된다.
유사하게, 도 1의 공기 흐름(F8)은 냉각 덕트(90)에서 덕트 하우징(90A)의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구동 모터 및 복수의 송풍 팬(도 1 참조)에 의해 덕트 하우징(90A)의 공기 배출구(85)를 경유하여 공기 흐름(F9)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할 실시예에서, 송풍팬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 덕트들(70, 90)에 구비된다. 하지만, 송풍팬은 공기를 유입시키는 냉각 덕트들(20, 40)에도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지 모듈에 대한 냉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5)
- 일 측에는 공기 유로의 입구가, 타 측에는 공기 유로의 출구가 개구되어 있는 전지 적층체 및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와 상기 공기 유로의 출구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전지 적층체의 양 측부에 결합된 복수의 냉각 덕트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 덕트는 각각 덕트 하우징을 가지며,
복수의 냉각 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공을 정의하는 플러그 수용부와, 상기 관통공에 긴밀(air-tight)하게 삽입되고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이 형성된 하네스 수용 플러그를 구비하고,
내장 하네스와 외장 하네스가 결합된 하네스가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를 통과해서 덕트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까지 연장되고,
내장 하네스의 복수의 와이어 또는 외장 하네스의 복수의 대응 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와 상기 복수의 대응 와이어는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는,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의 상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단은 삽입부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는 외주 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요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에 결합된 냉각 덕트와 상기 공기 유로의 출구에 결합된 냉각 덕트는 상기 전지 적층체를 샌드 위치의 구조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덕트 하우징은 상기 전지 적층체를 향해서 개구되며, 상기 전지 적층체의 반대 편을 향해 볼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지 적층체의 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 유로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수용부를 구비하는 덕트 하우징은 상부 모서리에 상기 관통공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는 연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물질은 실리콘 또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억지 끼움(frictionally engag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플러그 수용부의 상기 관통공 아래에서 상기 플러그 수용부의 하부 테두리에 걸려 상기 관통공을 차폐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플러그 수용부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덕트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홀은 각각을 통과하는 와이어의 표면을 긴밀(Air-tight)하게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하네스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된 송풍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하네스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하네스와 상기 외장 하네스는 상기 하네스 수용 플러그 주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하네스의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9154 | 2015-10-02 | ||
KR20150139154 | 2015-10-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0113A KR20170040113A (ko) | 2017-04-12 |
KR102017231B1 true KR102017231B1 (ko) | 2019-09-02 |
Family
ID=5842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7793A KR102017231B1 (ko) | 2015-10-02 | 2016-10-04 | 냉각 덕트의 실링성이 개선된 전지 모듈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637111B2 (ko) |
EP (1) | EP3285328B1 (ko) |
JP (1) | JP6694055B2 (ko) |
KR (1) | KR102017231B1 (ko) |
CN (1) | CN107615565B (ko) |
PL (1) | PL3285328T3 (ko) |
WO (1) | WO201705792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8211B1 (ko) | 2017-06-27 | 2020-10-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CN111691110B (zh) * | 2019-03-14 | 2022-12-09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用于衣物处理设备的雾化装置及衣物处理设备 |
CN111691135B (zh) * | 2019-03-14 | 2023-03-28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用于衣物处理设备的雾化装置及衣物处理设备 |
DE102019111749A1 (de) * | 2019-05-07 | 2020-11-12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owi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
CN112666484B (zh) * | 2021-01-15 | 2022-11-08 |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 新能源汽车电池防寒防冻性能检测装置 |
CN114110294B (zh) * | 2021-11-15 | 2023-07-04 |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 一种多功能液冷板流道组合堵头 |
US11631918B2 (en) * | 2022-05-05 | 2023-04-18 | Nan Ya Plastics Corporation | Ventilating container |
CN116625547B (zh) * | 2023-05-25 | 2024-01-05 | 深圳市赛盛检测技术服务有限公司 | 一种汽车线束传感器温度检测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84363A (ja) * | 2010-10-08 | 2012-04-26 | Primearth Ev Energy Co Ltd | 電池パック |
Family Cites Families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65912A (en) * | 1977-11-07 | 1979-08-28 | Tel-Tone Corporation | Offset adapter connector |
GB2256322B (en) * | 1991-05-30 | 1995-05-24 | Shinagawa Shoko Co Ltd | Cable holder |
JP3039270B2 (ja) * | 1994-05-31 | 2000-05-08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電線端末構造の構成方法 |
US6180882B1 (en) * | 1999-01-19 | 2001-01-30 | Thomas & Betts, International | Single and dual cable seal system |
US8026698B2 (en) * | 2006-02-09 | 2011-09-27 | Scheucher Karl F | Scalable intelligen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
US20070271930A1 (en) * | 2006-05-03 | 2007-11-29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 Gas turbine having cooling-air transfer system |
JP4889370B2 (ja) * | 2006-05-18 | 2012-03-07 |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 電源システム |
KR200430559Y1 (ko) * | 2006-08-28 | 2006-11-13 | 이주태 | 컨넥터 부싱 |
JP5078349B2 (ja) * | 2006-12-29 | 2012-11-21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パック電池 |
US20100047682A1 (en) * | 2007-03-01 | 2010-02-25 |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 Battery system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therefor |
US7824213B1 (en) * | 2009-07-27 | 2010-11-02 | Hubbell Incorporated | One-piece electrical cable connector having a retaining spring |
JP4991809B2 (ja) * | 2009-09-08 | 2012-08-01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レーザ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定着装置の設計方法 |
KR101108181B1 (ko) | 2009-11-27 | 2012-01-3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팩 |
CN104078630B (zh) | 2009-12-24 | 2017-02-08 | 三洋电机株式会社 | 电池组 |
JP5465619B2 (ja) | 2010-06-24 | 2014-04-09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バッテリパック |
DE102010011370B3 (de) * | 2010-03-12 | 2011-04-21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Kabelsteckverbinder, insbesondere mehrpoliger Kabelsteckverbinder |
JP5321554B2 (ja) * | 2010-08-31 | 2013-10-2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電装置および車両 |
JP5198522B2 (ja) | 2010-08-31 | 2013-05-1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電装置および車両 |
JP2012094697A (ja) * | 2010-10-27 | 2012-05-17 | Kyocera Corp | 回路基板および電子装置 |
KR101820784B1 (ko) | 2011-02-17 | 2018-01-22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차량용 배터리 냉각장치 |
JP5691660B2 (ja) * | 2011-03-07 | 2015-04-01 | 日立金属株式会社 | 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
JP5568737B2 (ja) * | 2011-12-21 | 2014-08-13 | 株式会社ソフイア | 遊技機 |
WO2013186878A1 (ja) * | 2012-06-13 | 2013-12-19 |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 車載用蓄電装置 |
JP2014032917A (ja) * | 2012-08-06 | 2014-02-20 | Toyota Motor Corp | 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
KR101371739B1 (ko) * | 2012-09-07 | 2014-03-12 | 기아자동차(주) | 배터리 시스템 |
JP2014086338A (ja) * | 2012-10-25 | 2014-05-12 | Yazaki Corp | 充電コネクタ |
KR102122926B1 (ko) * | 2012-12-05 | 2020-06-15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배터리 서브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KR101301559B1 (ko) | 2013-01-16 | 2013-09-04 | 주식회사 이브텍 | 배터리 케이스 |
DE102013200790A1 (de) * | 2013-01-18 | 2014-07-24 | Robert Bosch Gmbh | Kühlsystem mit einem kühlmitteldurchströmten Kühlkörper zur Kühlung einer Batterie |
TWI475775B (zh) * | 2013-01-28 | 2015-03-01 | Phihong Technology Co Ltd | 纜線固定組件 |
US10249913B2 (en) | 2013-09-06 | 2019-04-02 | Nissan Motor Co., Ltd. | Battery pack cooling system |
JP2015158979A (ja) * | 2014-02-21 | 2015-09-03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車載用バッテリー |
US9780350B2 (en) * | 2014-03-05 | 2017-10-03 | Lear Corporation | Modular battery connector assembly |
DE102014008343A1 (de) * | 2014-06-04 | 2015-12-17 | Kostal Kontakt Systeme Gmbh | Elektrisches Gerät |
US10090495B2 (en) * | 2014-08-29 | 2018-10-02 | Nissan Motor Co., Ltd. | Electricity storage device |
-
2016
- 2016-09-29 CN CN201680029984.3A patent/CN107615565B/zh active Active
- 2016-09-29 PL PL16852070T patent/PL3285328T3/pl unknown
- 2016-09-29 JP JP2018504228A patent/JP6694055B2/ja active Active
- 2016-09-29 US US15/571,125 patent/US10637111B2/en active Active
- 2016-09-29 EP EP16852070.8A patent/EP3285328B1/en active Active
- 2016-09-29 WO PCT/KR2016/010915 patent/WO201705792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0-04 KR KR1020160127793A patent/KR1020172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84363A (ja) * | 2010-10-08 | 2012-04-26 | Primearth Ev Energy Co Ltd | 電池パッ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637111B2 (en) | 2020-04-28 |
EP3285328B1 (en) | 2020-06-03 |
JP2018523275A (ja) | 2018-08-16 |
EP3285328A4 (en) | 2018-03-14 |
JP6694055B2 (ja) | 2020-05-13 |
PL3285328T3 (pl) | 2021-01-25 |
CN107615565A (zh) | 2018-01-19 |
CN107615565B (zh) | 2020-06-12 |
EP3285328A1 (en) | 2018-02-21 |
WO2017057924A1 (ko) | 2017-04-06 |
US20180175465A1 (en) | 2018-06-21 |
KR20170040113A (ko) | 2017-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7231B1 (ko) | 냉각 덕트의 실링성이 개선된 전지 모듈 | |
JP6961454B2 (ja) | 電池パック | |
JP6750008B2 (ja) |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 |
CN109103403B (zh) | 电池组、电池模块以及电池组的制造方法 | |
US9306251B2 (en) | Battery pack | |
US9413045B2 (en) | Battery pack | |
CN107112455B (zh) | 用于内部流的电池组模块热管理特征 | |
JP6540628B2 (ja) | 電池パック | |
CN103563122B (zh) | 蓄电装置 | |
CN107004804B (zh) | 电池模块的歧管通风通道 | |
CN110462877B (zh) | 具有防止泄漏的冷却剂流入的功能的电池组 | |
US20170267055A1 (en) | Thermal Management Assembly for an Electrified Vehicle | |
KR20170010531A (ko) | 배터리 모듈 | |
CN107004922B (zh) | 作为装配板的用于电池单元的冷却板 | |
US20170271940A1 (en) | Thermal Management Assembly for an Electrified Vehicle | |
US20150147612A1 (en) | Gas discharge structure for battery cover | |
US10181765B2 (en) | Thermal management assembly for an electrified vehicle | |
US10038351B2 (en) | Thermal management assembly for an electrified vehicle | |
KR20120124764A (ko) | 차량용 배터리모듈의 전압센싱 커넥터모듈 | |
JP2007311172A (ja) | 電源システム | |
CN103943796A (zh) | 电池模块和电池系统 | |
JP2004130910A (ja) | 電池モジュール | |
CN107592946B (zh) | 电池冷却装置 | |
WO2019008899A1 (ja) | 電池装置 | |
KR101743698B1 (ko) | 차량의 배터리 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