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990B1 -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990B1
KR102016990B1 KR1020170111291A KR20170111291A KR102016990B1 KR 102016990 B1 KR102016990 B1 KR 102016990B1 KR 1020170111291 A KR1020170111291 A KR 1020170111291A KR 20170111291 A KR20170111291 A KR 20170111291A KR 102016990 B1 KR102016990 B1 KR 102016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ressure
cutter body
printer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363A (ko
Inventor
김진관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7011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9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63Labelling mean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프린터케이스에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부재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프린터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커터와 함께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프린터용 가동커터를 제시하며,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진하고,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전진을 통해 상기 고정커터를 향해 이동하면서 전후진 방향의 양단부 중 전단부측 저면의 일부분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에 중첩되는 커터본체; 상기 커터본체의 전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칼날부; 및 상기 커터본체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을 이루면서 상기 칼날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전진에 의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과 중첩되면서 상기 고정커터와의 중첩부위에 누적되는 점착제를 상기 커터본체의 상면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MOVABLE CUTTER FOR PRINTER AND PRINTER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커터와 고정커터의 중첩부위에 라벨용지의 점착제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라벨이나 영수증 등과 같이 각종 출력물의 인쇄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프린터는 예컨대 라벨을 출력하는 데 사용할 경우, 뒷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라벨용지의 앞면에 상품명이나 가격, 바코드 또는 유통기간 등을 인자(印字)하여 출력함으로써 출력된 라벨용지를 상품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라벨용지는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에서 프린터를 이루는 프린터케이스에 수납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롤러에 의한 회전을 통해 소정의 길이만큼이 인출되면서 인쇄헤드에 의해 문자나 기호 등이 인쇄된다.
그리고 인쇄된 라벨용지는 구동롤러에 의해 프린터케이스의 배출구로 배출된 후 커터에 의해 절단된다.
통상적으로 프린터에 설치되는 커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2299호에 개시된 프린터의 커터와 같이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날이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하면서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날과 맞물리면서 인쇄용지를 절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상의 커터는 이동날과 고정날이 맞물리면서 라벨용지를 절단함에 따라 라벨용지의 이면에 도포되어 있던 점착제 일부가 이동날이나 고정날에 각각 부착되어 이동날과 고정날의 맞물림부위에 누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이동날과 고정날의 맞물림부위에 점착제가 누적되면 이동날의 전진에 부하가 발생하므로 이동날이 원활하게 왕복운동을 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라벨용지가 제대로 절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커터의 이동날은 전단부가 'V'자형태의 경사를 갖는 길로틴 타입으로 형성되어 점착제들이 가운데로 모이게 되므로, 가운데 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게 되어 전진운동에 장애가 된다. 나아가 가운데 부분이 과도한 부하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커터의 이동날은 고정날에 밀착된 상태로 맞물려야만 라벨용지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고정날의 반대쪽 면이 가압부재에 의해 고정날 쪽으로 가압되면서 맞물린다. 이에 따라 이동날은 고정날과의 맞물림부위에 점착제가 누적될 경우에는 더욱 과도한 부하가 가중되며 가압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강성이 약화되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고정커터와 가동커터를 통해 라벨용지를 절단함에 있어 가동커터와 고정커터가 맞물리는 중첩부위에 점착제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고정커터와 가동커터의 중첩부위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가동커터와 라벨용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가동커터에 누적되는 점착제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가동커터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점착제를 가동커터의 상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가동커터의 저면에서 관통홀의 상면으로 점착제를 안내함으로써 점착제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가동커터의 작동시 부하가 집중되는 관통홀 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특히 관통홀의 외곽부의 강성보다 중앙부의 강성이 더 보강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프린터용 가동커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케이스에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부재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프린터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커터와 함께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프린터용 가동커터에 있어서,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진하고,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전진을 통해 상기 고정커터를 향해 이동하면서 전후진 방향의 양단부 중 전단부측 저면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에 중첩되는 커터본체; 상기 커터본체의 전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칼날부; 및 상기 커터본체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을 이루면서 상기 칼날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전진에 의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과 중첩되면서 상기 고정커터와의 중첩부위에 누적되는 점착제를 상기 커터본체의 상면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프린터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라벨용지에 정보를 인쇄하여 배출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라벨용지가 배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린터케이스; 상기 프린터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용지를 배출방향으로 이송하는 용지이송유닛; 상기 프린터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용지의 표면에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유닛; 및 상기 프린터케이스에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부재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프린터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커터와 함께 상기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가동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커터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진하고,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전진을 통해 상기 고정커터를 향해 이동하면서 전후진 방향의 양단부 중 전단부측 저면의 일부분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에 중첩되는 커터본체; 상기 커터본체의 전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칼날부; 상기 커터본체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을 이루면서 상기 칼날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전진에 의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과 중첩되면서 상기 고정커터와의 중첩부위에 누적되는 점착제를 상기 커터본체의 상면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배출부; 및 상기 커터본체의 전후진 방향으로 상기 점착제 배출부를 가로지르면서 연장되어 상기 점착제 배출부를 복수로 구획하고, 상기 커터본체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의 가압부위를 제공하는 복수의 가압리브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동커터의 커터본체에 관통형성된 점착제 배출부에 의해 가동커터의 저면에 누적되는 점착제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동커터의 커터본체에 관통형성된 점착제 배출부가 커터본체의 전진 시 고정커터와 중첩되면서 점착제를 배출시킴으로써 점착제의 누적에 의한 부하가 방지되므로 커터본체가 원활하게 전후진하면서 라벨용지를 절단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점착제 배출부가 칼날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관통형성됨에 따라 칼날부의 전단과 점착제 배출부 사이의 거리가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칼날부에 묻게 되는 점착제가 칼날부와 점착제 배출부의 사이에 잔여하지 않고 점착제 배출부로 배출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점착제 배출부가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전단면부, 후단면부 및 외곽단면부를 포함하면서 중앙단면부가 일직선이 아닌 곡면 및 평면의 조합을 통해 형성되므로 커터본체의 중앙부가 보강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점착제 배출부의 전단면부에 경사면을 이루는 가이드챔퍼가 형성되므로 커터본체 저면의 점착제가 가이드챔퍼를 통해 점착제 배출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가압리브가 점착제 배출부를 복수로 구획하면서 가압부재의 가압부위를 제공함에 따라 커터본체의 전후진 시 부하가 가해지는 점착제 배출부의 강성이 보강되므로 부하에 의한 형태변형이나 파손이 억제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보강리브에 의한 점착제 배출부의 구획 폭이 외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점착제 배출부의 중앙부 쪽의 강성을 외곽부 쪽의 강성보다 더 보강할 수 있으므로 커터본체의 중앙부에 집중되는 부하에 대응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보강리브 각각의 폭이 커터본체의 외곽 쪽에서 중앙 쪽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므로 커터본체의 중앙부를 더욱 보강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동커터의 상면으로 안내되면서 경화되어 가동커터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제 덩어리를 고정커터 위에 설치된 점착제 제거부를 통해 제거할 수 있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가 적용된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가 적용된 프린터의 내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가 적용된 프린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동커터의 절단유닛(40)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가동커터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점착제 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동커터의 동작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라벨용지”는 뒷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인쇄용지를 의미할 뿐, 앞면에 인쇄되는 내용이나 인쇄용지의 용도를 한정하는 표현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가 설치된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가 설치된 프린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동커터의 절단유닛(40)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라벨용지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케이스(10), 용지이송유닛(20), 인쇄유닛(30) 및 절단유닛(40)을 주요구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린터케이스(10)는 프린터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의 설치공간과 함께 라벨용지(P)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프린터케이스(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 및 커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는 대략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으로 형성되며, 본체(11)에는 후술되는 용지이송유닛(20), 인쇄유닛(30) 및 절단유닛(40)이 설치되며,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유닛(15)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 내부에는 라벨용지(P)가 롤형태를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1) 내에서 외부로 라벨용지(P)의 인출방향의 선단부가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라벨용지(P)는 일면이 정보가 인쇄되는 인쇄면을 이루면서 타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물품에 부착되는 점착면을 것으로, 후술되는 인쇄유닛(30)에 의해 라벨이 인쇄된 후 절단유닛(40)에 의해 절단된다.
이러한 라벨용지(P)는 예컨대, 열에 반응하는 감열지로 구성되어 서멀헤드에 의한 감열 기록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라벨용지(P)는 점착제가 도포된 면에 이형지가 없는 라이너리스(Linerless)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의 이형지가 점착제의 상면에 부착되어 절단유닛(40)에 의해 절단된 후 이형지가 제거될 수도 있다.
커버(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를 개방 가능하게 차폐하며, 커버(12)에는 배출구(12a)가 구비되어 인쇄가 완료된 라벨용지(P)의 선단부를 배출한다. 여기서, 배출구(12a)는 도시된 바와 달리 커버(12)가 아닌 본체(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용지이송유닛(20)은 라벨용지(P)를 이송시키면서 라벨용지(P)의 일면에 정보를 인쇄시킴과 아울러, 인쇄가 완료된 라벨용지(P)를 프린터케이스(10)의 배출구(12a)로 인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용지이송유닛(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1)에 설치되는 권취롤러(21)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진 라벨용지(P)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어유닛(15)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면서 라벨용지(P)를 배출구(12a)측으로 이송시킨다.
인쇄유닛(30)은 라벨용지(P)의 일측면에 문자나 기호 또는 도형 등의 정보를 인쇄하는 구성요소로, 인쇄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쇄유닛(30)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서멀 헤드(Thermal Hea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15)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면서 열을 통해 라벨용지(P)를 감열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인쇄유닛(30)은 잉크젯 방식이나 레이저 방식 등 일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절단유닛(40)은 인쇄유닛(30)에 의한 인쇄가 완료되어 프린터케이스(10)의 배출구(12a)로 배출된 라벨용지(P)를 절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절단유닛(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케이스(10)의 배출구(12a)에 인접상태로 설치되어 선단부가 배출구(12a)로 배출된 라벨용지(P)를 절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유닛(40)은 프린터케이스(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커터(42)와, 고정커터(42)의 반대편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커터(42)를 향해 이동하는 가동커터(41)를 통해 라벨용지(P)를 절단한다.
이때 가동커터(41)는 고정커터(42)를 향해 이동하여, 가동커터(41)의 저면이 고정커터(42)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즉 가동커터(41)는 고정커터(42)를 타고 고정커터(42) 위로 이동된다.
이때 가동커터(41)의 이동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동커터(41)는 도 4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되, 가동커터(41)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최대 거리는 설정에 따라 달리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절단유닛(40)에는 고정커터(42)의 상방에 위치하고 가동커터(41)의 이동방향 전단에서 가동커터(41)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동커터(41)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46)와, 완충부재(46)의 후단에 구비되어 가동커터(41)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완충부재(46)의 전단은 가동커터(41)가 고정커터(4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동커터(41)의 전단과 접하며, 그에 따라 완충부재(46)는 가동커터(41)의 가동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탄성부재(47)가 압축되며 완충부재(46)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가동커터(41)로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의 완충력이 가해질 수 있다.
나아가 완충부재(46)의 상방에는 상술한 커버(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술한 커버(12)에 고정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완충부재(46)의 후방을 차폐하는 커터커버(48)가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커터커버(48) 저면 하방에 상술한 완충부재(46)와 고정커터(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절단유닛(4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프린터에서 절단유닛(40)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절단유닛(40)에서 가동커터(41)와 고정커터(42)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내지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41)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절단유닛(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커터(41), 고정커터(42) 및 구동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동커터(41)는 프린터케이스(10)의 설치공간에 고정되는 커터브래킷(44)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되는 구동부재(43)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며, 가동커터(41)와 마주보는 형태로 프린터케이스(10)에 설치된 고정커터(42)를 향해 이동하여 고정커터(42)와 함께 라벨용지(P)를 절단한다. 이때 커터브래킷(44)은 상방에 가동커터(41)가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유닛(40)은 가동커터(41)와 고정커터(42)가 서로 분리 구성되어 가동커터(41)가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길로틴(Guillotine)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커터(4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동부재(43)는 전술한 제어유닛(15)에 의해 작동하면서 가동커터(4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부재(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커터(41)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어트레인(43a)과, 제어유닛(15)에 의해 작동하면서 기어트레인(43a)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미도시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트레인(43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커터(41)의 전후진 방향 양단 중 후단부에 장공으로 형성되면서 전후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견인홀(43b)에 미도시된 견인돌기를 통해 결합되며, 견인돌기가 견인홀(43b)에 끼워진 상태로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운동하면서 가동커터(41)를 직선운동시킨다.
이때 가동커터(41)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동커터(41)는 커터본체(100), 칼날부(200) 및 점착제 배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터본체(100)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전술한 커터브래킷(4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술한 견인홀(43b)이 전후진 방향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기어트레인(43a)에 의해 견인되면서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이러한 커터본체(100)는 전후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후진안내홀(110)을 통해 커터브래킷(44)에 결합됨으로써, 전후진안내홀(110)의 길이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한다.
커터본체(100)는 고정커터(42)를 향해 전진하면서 전후진 방향의 양단부 중 전단부측 저면의 일부분이 고정커터(42)의 상면에 중첩되면서 후술되는 칼날부(200)를 통해 라벨용지(P)를 절단한다.
즉, 커터본체(100)는 전단부를 따라 형성된 칼날부(200)가 고정커터(42)의 전단부와 교차하면서 라벨용지(P)를 절단한 후, 저면의 일부분이 고정커터(42)의 상면에 밀착상태로 중첩된다.
이를 위하여, 커터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5)에 의해 상면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전후진한다.
가압부재(4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브래킷(44)에 결합되는 가압블록(45a)이 가압스프링(45b)에 의해 커터본체(10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커터본체(10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커터본체(100)에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5)에 의한 가압부위를 이루는 가압리브(400)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리브(400)가 생략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압리브(4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커터본체(100)는 전후진 방향의 양단부 중 전단부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가이드편(120)이 형성된다.
가이드편(120)은 커터본체(100)의 전진 시 고정커터(42)에 먼저 접촉하면서 커터본체(100)를 고정커터(42)의 상면으로 중첩되도록 안내한다.
즉, 커터본체(100)는 가압부재(45)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전진하면서 가이드편(120)을 통해 고정커터(42)의 상면에 중첩되며, 중첩되는 과정에서도 가압부재(45)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고정커터(42)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라벨용지(P)를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다.
칼날부(200)는 커터본체(100)의 전후진 방향의 양단부 중 전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고정커터(42)와 함께 라벨용지(P)를 절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칼날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 형태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경사날(210) 및 절단제어날(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경사날(210)은 커터본체(100)의 폭방향 양측 외곽에서 중앙을 향해 침강하는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됨으로써, 라벨용지(P)를 폭방향 양쪽 외곽에서부터 중앙쪽으로 절단한다.
절단제어날(220)은 라벨용지(P)의 중앙을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잔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한 쌍의 경사날(210)의 중앙에 홈형태로 형성된다.
즉, 절단제어날(220)은 한 쌍의 경사날(210)의 절단면을 단절시킴으로써 라벨용지(P)의 중앙을 미절단상태로 잔여시킨다. 이러한 절단제어날(220)은 커터본체(100)의 전진거리가 홈의 길이만큼 확장될 경우에는 경사날(210)과 함께 라벨용지(P) 전체를 절단한다. 반면 절단제어날(220)은 커터본체(100)의 전진거리가 홈의 길이에 미치지 못하게 설정되는 경우 라벨용지(P)의 폭방향 중앙을 절단하지 못하여 라벨 일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점착제 배출부(300)는 라벨용지(P)의 반복적인 절단 시 커터본체(100)와 고정커터(42)의 중첩부위에 누적되는 라벨용지(P)의 점착제를 커터본체(100)의 상면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점착제의 누적에 의한 과부하 및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점착제 배출부(30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1 점착제 배출부(310) 및 제2 점착제 배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점착제 배출부(310)는 커터본체(100)의 전후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관통홀을 이루면서 칼날부(200)의 후방에 형성되며, 커터본체(100)의 중앙에서 일측 외곽을 향해 연장된다.
제2 점착제 배출부(320)는 제1 점착제 배출부(320)와 대칭을 이루면서 커터본체(100)의 중앙에서 타측 외곽을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제1 점착제 배출부(310) 및 제2 점착제 배출부(320)는 커터본체(100)이 전진 시 고정커터(42)의 상면과 중첩되면서 커터본체(100)의 저면에 누적되는 점착제를 유입하여 커터본체(100)의 상면으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제1 점착제 배출부(310) 및 제2 점착제 배출부(320)는 칼날부(20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점착제 배출부(310) 및 제2 점착제 배출부(320)는 칼날부(200)와의 거리가 균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칼날부(200)에 묻게 되는 점착제를 칼날부(200)와의 사이에 잔여시키지 않고 유입하여 커터본체(100)의 상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점착제 배출부(310) 및 제2 점착제 배출부(320)는 대략 장방형의 관통홀을 이루면서 전단면부(311), 후단면부(312), 외곽단면부(313) 및 중앙단면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단면부(311)는 관통홀의 전단부를 이루면서 칼날부(200)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후단면부(312)는 관통홀의 후단부를 이루면서 전단면부(311)와 평행하게 연장됨으로써 관통홀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후단면부(312)는 전단면부(311)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 배출부(300)는 칼날(200) 측의 일단, 즉 전단면부(311)가 후단면부(312)보다 상대적으로 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후단면부(312)는 도시된 바와 달리 커터본체(100)의 중앙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전단면부(311)와 좁아지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즉, 후단면부(312)는 관통홀의 폭을 커터본체(100)의 중앙부분의 폭이 폭방향의 양측 외곽부분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점착제 배출부(300)가 커터본체(100)의 외곽부분보다 중앙부분으로 누적되는 점착제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외곽단면부(313)는 관통홀의 외곽측 단부를 이루면서 커터본체(100)의 전후진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중앙단면부(314)는 관통홀의 중앙측 단부를 이루는 것으로, 커터본체(100)의 중앙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연장된다. 즉, 중앙단면부(314)는 직선형태로 연장되지 않고 돌출된 상태로 연장됨으로써 커터본체(100)의 중앙부를 보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단면부(314)는 제1곡면(314a), 제2곡면(314b) 및 연결평면(314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곡면(314a)은 전단면부(311)에서 커터본체(100)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면서 원호형태로 연장된다.
제2곡면(314b)은 후단면부(312)에서 커터본체(100)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면서 원호형태로 연장된다.
연결평면(314c)은 제1곡면(314a)과 제2곡면(314b)를 연결하면서 외곽단부(313)와 평행한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즉, 중앙단면부(314)는 일직선이 아닌 곡면 및 평면의 조합을 통해 형성되면서 커터본체(100)의 중앙을 향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커터본체(100)의 중앙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제1 점착제 배출부(310) 및 제2 점착제 배출부(320)는 도 7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면부(311)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챔퍼(3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챔퍼(315)는 커터본체(100) 저면의 점착제를 전단면부(311)로 안내하는 구성요소로, 전단면부(311)에서 커터본체(100)의 저면을 향해 벌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즉, 커터본체(100)의 전진 시 칼날부(200)에 묻게 되는 점착제는 커터본체(100)의 저면으로 이동한 후, 가이드챔퍼(315)를 통해 점착제 배출부(300)의 전단면부(311)로 안내되어 점착제 배출부(300)를 통과하여 커터본체(100)의 상면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가이드챔퍼(315)는 점착제 배출부(300)의 후단면부(312)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후단면부(312)에서 커터본체(100)의 상면을 향해 벌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점착제 배출부(300)로 유입된 점착제를 커터본체(100)의 상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압리브(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5)는 그 저면에 하나 이상의 가압레그(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가압레그(45')는 가동커터(41)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가압레그(45')는 가동커터(41)에 밀착되어 가동커터(41)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압리브(400)는 전술한 가압부재(45)의 가압부위를 제공하면서 점착제 배출부(300)를 보강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가압리브(400)는 소정의 폭을 갖는 판상을 이루면서 커터본체(100)의 전후진 방향으로 점착제 배출부(300)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가압부재(45)의 가압부위를 제공하며, 복수로 구성되어 점착제 배출부(300)를 복수로 구획함으로써 점착제 배출부(300)의 강성을 보강한다.
여기서, 가압리브(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 배출부(300)를 구획하면서 점착제 배출부(300)의 구획 폭이 커터본체(100)의 폭방향 외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압리브(400)는 점착제 배출부(300)의 중앙쪽 구획 폭(a1)이 외곽쪽 구획 폭(a2)보다 좁게 구획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점착제 배출부(300)의 구획 폭이 중앙 쪽에서 외곽 쪽으로 갈수록 2 내지 2.5배씩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압리브(400)는 상대적으로 부하가 집중되는 커터본체(100)의 중앙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가압리브(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면서 점착제 배출부(300)의 중앙쪽 폭(b1)이 외곽쪽 폭(b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리브(400)는 커터본체(100)의 중앙부 쪽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연장됨으로써 커터본체(100)의 중앙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작동을 설명한다.
라벨을 인쇄할 경우, 라벨용지(P)는 제어유닛(15)에 의한 용지이송유닛(20)의 작동에 따라 프린터케이스(10)의 배출구(12a) 측으로 이동하며, 인쇄유닛(30)에 의해 정보가 인쇄된 후, 절단유닛(40)에 의해 절단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커터(41)는 제어유닛(10)에 의한 구동부재(43)의 작동을 통해 견인되어 고정커터(42) 쪽으로 이동하며, 가압부재(45)에 의해 가압리브(400)가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고정커터(42)의 상면에 중첩되면서 칼날부(200)를 통해 라벨용지(P)를 절단한다.
이때, 점착제 배출부(300)는 칼날부(200)와 함께 고정커터(42)의 상면에 중첩되면서 커터본체(100) 저면으로 누적되는 점착제(A)를 유입하여 커터본체(100)의 상면으로 배출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점착제(A)는 커터본체(100)의 저면에 누적된 상태에서 커터본체(100)의 왕복운동이 반복됨에 따라 가이드챔퍼(315)를 통해 커터본체(100)의 상면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커터본체(100)의 상면으로 배출된 점착제(A)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덩어리 형태로 경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제 배출부(300)는 중앙단면부(314)에 의해 중앙쪽 강성이 보강되고, 가압리브(400)들에 의해 강성이 보강됨에 따라 가압부재(45)의 가압에 의한 형태변형이 없이 원활하게 왕복운동하면서 라벨용지(P)를 절단한다. 이때 점착제 배출부(300)의 전단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점착제를 제거하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커터커버(48)의 전단에는 커터커버(48)의 전단, 즉 커터커버(48)가 상술한 배출구(12a)를 형성하는 단부의 길이방향 전체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중앙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점착제 제거부(48')가 구비될 수 있다. 점착제 제거부(48')는 배출구(12a)를 통해 전단 일부가 노출되는 완충부재(46)의 상방에 완충부재(46)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판형의 부재로서, 점착제 제거부(48')의 전단은 대략 완충부재(46)의 전단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점착제 제거부(48')의 폭은 완충부재(46)가 외부로 노출되는 전단부분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라벨용지(P)가 배출될 때 점착제 제거부(48')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점착제 제거부(48')가 구비되는 실시예에서는, 도 13을 참조하면, 가동커터(41)의 칼날부(210) 저면에 누적된 점착제(A)는, 점착제(A)의 지속적인 누적 및 커터본체(100)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점차 가이드챔퍼(315)를 따라 점착제 배출부(300)를 통해 가동커터(41)의 상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누적된지 오래된 점착제(A)는 새로 누적되는 점착제에 밀려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방에 위치한 점착제(A)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덩어리 형태로 경화될 수 있다.
그리고, 경화된 점착제(A)는 칼날부(210)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동커터(41)가 완충부재(46)를 밀고 고정커터(42)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술한 점착제 제거부(48')의 위치에 도달하여, 점착제 제거부(48')가 가하는 외력에 의하여 고정커터(42) 상면에서 탈거되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어느 정도 경화된 점착제(A)는 점착제 배출부(300)를 통해 하방으로 탈락됨으로써, 고정커터(42) 상면에 도달한 점착제는 지속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커터(41)는 커터본체(100)에 관통형성된 점착제 배출부(300)가 커터본체(100)의 전진 시 고정커터(41)와 중첩되면서 점착제를 배출시킴으로써 점착제의 점착제의 누적에 의한 부하가 방지되므로 커터본체(100)가 원활하게 전후진하면서 라벨용지(P)를 절단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린터 케이스
11 : 본체 12 : 커버
12a : 배출구 15 : 제어유닛
20 : 용지이송유닛
30 : 인쇄유닛
40 : 절단유닛
41 : 가동커터 42 : 고정커터
43 : 구동부재
43a : 기어트레인 43b : 견인홀
44 : 커터브래킷 45 : 가압부재
45a : 가압블록 45b : 가압스프링
46: 완충부재 47: 탄성부재
48: 커터커버 48': 점착제 제거부
100 : 커터본체
110 : 전후진안내홀 120 : 가이드편
200 : 칼날부
210 : 경사날 220 : 절단제어날
300 : 점착제 배출부
310 : 제1 점착제 배출부 320 : 제2 점착제 배출부
311 : 전단면부 312 : 후단면부
313 : 외곽단면부 314 : 중앙단면부
314a : 제1 곡면 314b : 제2 곡면
314c : 연결평면
315 : 가이드챔퍼
400 : 가압리브

Claims (11)

  1. 프린터케이스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부재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프린터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커터와 함께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프린터용 가동커터에 있어서,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진하고,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전진을 통해 상기 고정커터를 향해 이동하면서 전후진 방향의 양단부 중 전단부측 저면의 일부분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에 중첩되는 커터본체;
    상기 커터본체의 전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칼날부;
    상기 커터본체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을 이루면서 상기 칼날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전진에 의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과 중첩되면서 상기 고정커터와의 중첩부위에 누적되는 점착제를 상기 커터본체의 상면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배출부; 및
    상기 커터본체의 전후진 방향으로 상기 점착제 배출부를 가로지르면서 연장되어 상기 점착제 배출부를 복수로 구획하고, 상기 커터본체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의 가압부위를 제공하는 복수의 가압리브를 포함하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배출부는,
    상기 관통홀이 상기 커터본체의 전후진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칼날부와 평행한 상태를 이루면서 연장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중앙에서 상기 커터본체의 외곽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점착제 배출부; 및
    상기 커터본체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점착제 배출부와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2 점착제 배출부를 포함하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점착제 배출부는,
    상기 관통홀의 전단부를 이루면서 상기 칼날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단면부;
    상기 전단면부와 마주보는 상기 관통홀의 후단부를 이루면서 상기 전단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후단면부;
    상기 커터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홀의 외곽측 단부를 이루면서 상기 커터본체의 전후진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곽단면부; 및
    상기 외곽단면부와 마주보는 상기 관통홀의 중앙측 단부를 이루면서 상기 커터본체의 중앙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연장되는 중앙단면부를 포함하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단면부는,
    상기 전단면부에서 상기 커터본체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면서 원호형태로 연장되는 제1곡면;
    상기 후단면부에서 상기 커터본체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면서 원호형태로 연장되는 제2곡면; 및
    상기 제1곡면와 상기 제2곡면을 연결하면서 상기 외곽단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결평면을 포함하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점착제 배출부는,
    상기 전단면부의 하단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전단면부에서 상기 커터본체의 저면을 향해 벌어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터본체 저면의 점착제를 상기 전단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챔퍼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리브는,
    상기 점착제 배출부를 복수로 구획하면서 상기 커터본체의 외곽에서 중앙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점착제 배출부의 구획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배치되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리브는,
    각각 소정의 폭을 갖는 판상을 이루면서 상기 점착제 배출부를 복수로 구획하고, 상기 커터본체의 외곽 쪽에서 중앙 쪽을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점착제 배출부는,
    상기 후단면부의 길이가 상기 전단면부의 길이 이하로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프린터용 가동커터.
  10.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라벨용지에 정보를 인쇄하여 배출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라벨용지가 배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린터케이스;
    상기 프린터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용지를 배출방향으로 이송하는 용지이송유닛;
    상기 프린터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용지의 표면에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유닛; 및
    상기 프린터케이스에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부재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프린터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커터와 함께 상기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가동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커터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진하고,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전진을 통해 상기 고정커터를 향해 이동하면서 전후진 방향의 양단부 중 전단부측 저면의 일부분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에 중첩되는 커터본체;
    상기 커터본체의 전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라벨용지를 절단하는 칼날부;
    상기 커터본체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을 이루면서 상기 칼날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전진에 의해 상기 고정커터의 상면과 중첩되면서 상기 고정커터와의 중첩부위에 누적되는 점착제를 상기 커터본체의 상면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배출부; 및
    상기 커터본체의 전후진 방향으로 상기 점착제 배출부를 가로지르면서 연장되어 상기 점착제 배출부를 복수로 구획하고, 상기 커터본체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의 가압부위를 제공하는 복수의 가압리브를 포함하는 프린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케이스는,
    상기 라벨용지의 배출구 주변에서 상기 고정커터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커터를 상방에서 차폐하는 커터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커버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커터커버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해 소정 폭을 갖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터본체가 상기 고정커터 상면으로 이동할 때 선택적으로 상기 커터본체의 상면과 접하는 판상의 점착제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KR1020170111291A 2017-08-31 2017-08-31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KR102016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291A KR102016990B1 (ko) 2017-08-31 2017-08-31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291A KR102016990B1 (ko) 2017-08-31 2017-08-31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836A Division KR102058404B1 (ko) 2019-08-27 2019-08-27 인쇄기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인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63A KR20190024363A (ko) 2019-03-08
KR102016990B1 true KR102016990B1 (ko) 2019-09-02

Family

ID=6580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291A KR102016990B1 (ko) 2017-08-31 2017-08-31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808B1 (ko) * 2022-05-09 2024-07-05 주식회사 렉소드 프린터용 인쇄용지 절단장치
KR102604531B1 (ko) * 2023-01-27 2023-11-22 화성시스템(주) 프린터용 인쇄용지 컷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662A (ja) * 2005-04-27 2006-11-09 Hitachi Metal Precision:Kk 粘着剤付シート材切断装置
JP4577436B2 (ja) * 2008-10-08 2010-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の切断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刷装置
KR101759404B1 (ko) * 2015-12-23 2017-07-19 주식회사 빅솔론 기록지 커팅 장치 및 인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662A (ja) * 2005-04-27 2006-11-09 Hitachi Metal Precision:Kk 粘着剤付シート材切断装置
JP4577436B2 (ja) * 2008-10-08 2010-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の切断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刷装置
KR101759404B1 (ko) * 2015-12-23 2017-07-19 주식회사 빅솔론 기록지 커팅 장치 및 인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63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990B1 (ko) 프린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EP2241444B1 (en) Medium holding apparatus and inkjet printer
CN101954800B (zh) 切断装置以及带切断装置的打印机
KR102058404B1 (ko) 인쇄기기용 가동커터 및 이를 이용한 인쇄기기
EP3318412B1 (de) Etikettendrucker für trägerlose etiketten
US20140227017A1 (en) Printer and Recording Medium
JP2008296558A (ja) テープ処理装置
CN102371782A (zh) 打印机
US8707836B2 (en) Movable blade not causing abrasion of fixed blade over long period of time, sheet cutting device provided with movable blade, and printer provided with sheet cutting device
JP6924408B2 (ja) 切断機構及び印刷装置
KR101076521B1 (ko) 서멀 프린트
US20170066258A1 (en) Control Method of an Inkjet Printer, and Inkjet Printer
JP6929519B2 (ja) 切断機構及び印刷装置
CN111169177A (zh) 触发式的手持式贴标打印机
CN210211741U (zh) 切割机构和标签打印机
US3793919A (en) Cutting device, particularly for positioning fasteners
CN208842036U (zh) 打印机
JP200000643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9776416B2 (en) Store web material in a multi-folded state
CN218656591U (zh) 一种钛丝连续切割装置
JP5370511B2 (ja) テープ処理装置
JP5335278B2 (ja) 用紙切断装置
JP2010168162A (ja) 粘着テープカッター及び粘着テープ切断器
CN204974893U (zh) 一种冲压机构
JP3995442B2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