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662B1 -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662B1
KR102016662B1 KR1020120124165A KR20120124165A KR102016662B1 KR 102016662 B1 KR102016662 B1 KR 102016662B1 KR 1020120124165 A KR1020120124165 A KR 1020120124165A KR 20120124165 A KR20120124165 A KR 20120124165A KR 102016662 B1 KR102016662 B1 KR 102016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electric motor
reverse rotation
crankshaf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871A (ko
Inventor
백창현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14Position of fuel or air inj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85Engine crank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 및 상기 엔진과 연동되는 전기모터 모두에 대한 정지 요구에 따라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 상기 검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며, 상기 엔진의 재시동에 따라 상기 판별된 실린더를 대상으로 연료분사 및 점화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ENGINE OF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전기모터의 역회전에 따라 변동되는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기초로 엔진 재시동 시 연료분사와 점화가 이루어질 실린더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넓은 의미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동력원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차량을 구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나, 대부분의 경우는 엔진과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얻는 차량을 의미하며, 이를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 HEV)이라 부르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차량 구동용 전기모터는 차량에 탑재된 고전압 배터리의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데, 전기모터가 차량을 구동시키는 목적 이외에 회생제동(회생발전)을 하여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회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전기모터가 차량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발전에 사용한 뒤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여, 차량 주행속도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발전에 필요한 에너지로 사용하며, 이를 통해 운동에너지의 저감(주행속도의 감소) 및 전기에너지의 발전을 동시에 구현한다.
한편, 소프트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엔진과 전기모터가 상호 연동되는 구조이며, 엔진 출력과 모터 출력이 더해져 변속기를 통해 구동축에 전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엔진과 모터 사이에 클러치가 없는 구조이므로 엔진의 단독 출력은 가능하나 모터의 단독 출력은 불가능하다.
이에 엔진이 회전을 하면 모터에서 출력되는 토크가 없어도 모터는 회전을 하게 되고, 반대로 모터가 토크를 출력하여 회전하면 엔진도 같이 회전을 하게 되어 엔진의 역회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엔진과 전기모터가 직결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재시동과 관련하여 정확한 연료분사 및 점화 시점 결정을 위해 전기모터의 엔진의 역회전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전기모터의 역회전에 따라 변동되는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기초로 엔진 재시동 시 연료분사와 점화가 이루어질 실린더의 위치를 판별하여 차량 시동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장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 및 상기 엔진과 연동되는 전기모터 모두에 대한 정지가 요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는 모터상태확인부;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하는 엔진상태확인부; 상기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 상기 검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부; 및 상기 엔진의 재시동에 따라 상기 판별된 실린더를 대상으로 연료분사 및 점화를 수행하는 엔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회전검출부는, 상기 전기모터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제어부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해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속도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회전속도를 기초로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판별부는,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 확인 시점부터 상기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검출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를 누적하여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된 상기 크랭크 축의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누적 산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상기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서의 캠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 및 상기 엔진과 연동되는 전기모터 모두에 대한 정지가 요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는 역회전확인단계;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하는 엔진상태확인단계; 상기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 상기 검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단계; 및 상기 엔진의 재시동에 따라 상기 판별된 실린더를 대상으로 연료분사 및 점화를 수행하는 엔진구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회전확인단계는, 상기 전기모터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제어부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해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속도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회전속도를 기초로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판별단계는,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 확인 시점부터 상기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검출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를 누적하여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된 상기 크랭크 축의 각도를 산출하는 누적산출단계; 및 상기 누적 산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상기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서의 캠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는 실린더판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전기모터의 역회전 구간에서 검출되는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기초로 역회전에 따른 엔진의 변동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연료분사와 점화가 이루어질 실린더의 위치를 판별함으로써, 엔진 재시동 시 연료 분사 및 점화 시점을 보정하기 위한 프리 인젝션 과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시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장치는, 전기모터(600)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는 모터상태확인부(100), 엔진(500)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하는 엔진상태확인부(200),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부(300) 및, 연료분사와 점화를 수행하는 엔진구동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모터상태확인부(100)는 전기모터(600)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전기모터(6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제어부(MCU: Motor Control Un0it, 700)와 연동하게 된다.
또한, 엔진상태확인부(200)는 엔진(500)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크랭크 축의 각도를 센싱하는 크랭크축위치센서(도시안됨)과 캠의 위치를 센싱하는 캠센서(도시안됨)와 연동한다.
또한, 위치판별부(300)는 엔진(500)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엔진상태확인부(200)에서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한다.
또한, 엔진구동부(400)는 엔진(500)는 재시동 시, 연료분사 및 점화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위치판별부(300)의 판별 결과를 기초로 연료분사와 점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엔진(500)과 전기모터(400)가 상호 연동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엔진(500)이 회전을 하면 전기모터(600)에서 출력되는 토크가 없어도 전기모터(600)는 회전을 하게 되고, 반대로 모터가 토크를 출력하여 회전하면 엔진(500)도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엔진의 구동이 멈추는 시점에서 전기모터의 역회전 토크에 의해 엔진이 역방향으로 돌아가 정지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엔진 재시동 시 연료 분사 및 점화 시점을 보정하기 위해 프리 인젝션의 과정 등이 부가적인 절차가 요구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기모터(600)의 역회전에 따른 변동되는 엔진(500)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확인하여 엔진 재시동 시 연료분사와 점화가 이루어질 실린더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상태확인부(100)는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상태확인부(100)는 차량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도시안됨)의 제어에 따라 엔진 및 상기 엔진과 연동되는 전기모터 모두에 대한 정지가 요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모터(600)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모터상태확인부(100)는 전기모터(6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제어부(700)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해 전기모터(600)의 회전속도를 수신하게 되며, 이와 같이 수신된 회전속도를 기초로 전기모터(600)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엔진상태확인부(200)는 엔진(500)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엔진상태확인부(200)는 전기모터(500)의 역회전 상태가 확인된 상태에서, 크랭크 축의 각도를 센싱하는 크랭크축위치센서(도시안됨)과 캠의 위치를 센싱하는 캠센서(도시안됨)와 연동함으로써, 전기모터(500)의 역회전에 의해 변동되는 엔진(500)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엔진(500)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에 대한 검출 동작의 경우, 전기모터(500)와 엔진이 모두 정지하는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위치판별부(300)는 엔진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판별부(300)는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 검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한다.
이때, 위치판별부(300)는 전기모터(600)의 역회전 상태 확인 시점부터 엔진(500)과 전기모터(600)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검출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를 누적하여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된 상기 크랭크 축의 각도를 산출한다.
나아가, 위치판별부(300)는 누적 산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상기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서의 캠의 위치를 기초로 엔진(500)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게 된다.
엔진구동부(400)는 엔진(500) 재시동에 따라 상기 판별된 실린더를 대상으로 연료분사 및 점화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엔진구동부(400)는 차량제어기(도시안됨)의 제어에 따라 엔진 재시동이 요구될 경우, 엔진 재시동 시 연료 분사 및 점화 시점을 보정하기 위한 프리 인젝션 과정 없이 상기 판별된 실린더를 대상으로 연료분사 및 점화를 바로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장치에 의하면, 전기모터의 역회전 구간에서 검출되는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기초로 역회전에 따른 엔진의 변동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연료분사와 점화가 이루어질 실린더의 위치를 판별함으로써, 엔진 재시동 시 연료 분사 및 점화 시점을 보정하기 위한 프리 인젝션 과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시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모터상태확인부(100)는 차량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도시안됨)의 제어에 따라 엔진 및 상기 엔진과 연동되는 전기모터 모두에 대한 정지가 요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모터(600)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한다(S110-S120).
이때, 모터상태확인부(100)는 전기모터(6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제어부(700)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해 전기모터(600)의 회전속도를 수신하게 되며, 이와 같이 수신된 회전속도를 기초로 전기모터(600)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엔진상태확인부(200)는 전기모터(500)의 역회전 상태가 확인된 상태에서, 크랭크 축의 각도를 센싱하는 크랭크축위치센서(도시안됨)과 캠의 위치를 센싱하는 캠센서(도시안됨)와 연동함으로써, 전기모터(500)의 역회전에 의해 변동되는 엔진(500)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S130).
이때, 엔진(500)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에 대한 검출 동작의 경우, 전기모터(500)와 엔진이 모두 정지하는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그런 다음, 위치판별부(300)가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 검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한다(S140-S150).
이때, 위치판별부(300)는 전기모터(600)의 역회전 상태 확인 시점부터 엔진(500)과 전기모터(600)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검출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를 누적하여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된 상기 크랭크 축의 각도를 산출한다.
나아가, 위치판별부(300)는 누적 산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상기 엔진과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서의 캠의 위치를 기초로 엔진(500)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게 된다.
이후, 엔진구동부(400)는 차량제어기(도시안됨)의 제어에 따라 엔진 재시동이 요구될 경우, 엔진 재시동 시 연료 분사 및 점화 시점을 보정하기 위한 프리 인젝션 과정 없이 상기 판별된 실린더를 대상으로 연료분사 및 점화를 바로 수행하게 된다(S170-S19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에 의하면, 전기모터의 역회전 구간에서 검출되는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기초로 역회전에 따른 엔진의 변동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연료분사와 점화가 이루어질 실린더의 위치를 판별함으로써, 엔진 재시동 시 연료 분사 및 점화 시점을 보정하기 위한 프리 인젝션 과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시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의 경우, 전기모터의 역회전 구간에서 검출되는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기초로 역회전에 따른 엔진의 변동 상태를 확인하여 엔진 재시동 시 연료분사와 점화가 이루어질 실린더의 위치를 판별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모터상태확인부
200: 엔진상태확인부
300: 위치판별부
400: 엔진구동부

Claims (6)

  1.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 및 상기 엔진과 연동되는 전기모터 모두에 대한 정지가 요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는 모터상태확인부;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하는 엔진상태확인부;
    상기 엔진과 상기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 상기 검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부; 및
    상기 엔진의 재시동에 따라 상기 판별된 실린더를 대상으로 연료분사 및 점화를 수행하는 엔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판별부는,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 확인 시점부터 상기 엔진과 상기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검출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를 누적하여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된 상기 크랭크 축의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누적 산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상기 엔진과 상기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서의 캠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상태확인부는,
    상기 전기모터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제어부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속도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회전속도를 기초로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장치.
  3. 삭제
  4.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 및 상기 엔진과 연동되는 전기모터 모두에 대한 정지가 요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는 역회전확인단계;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의 위치를 검출하는 엔진상태확인단계;
    상기 엔진과 상기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 상기 검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캠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단계; 및
    상기 엔진의 재시동에 따라 상기 판별된 실린더를 대상으로 연료분사 및 점화를 수행하는 엔진구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판별단계는,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 확인 시점부터 상기 엔진과 상기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검출되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도를 누적하여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에서 변동된 상기 크랭크 축의 각도를 산출하는 누적산출단계; 및
    상기 누적 산출된 크랭크 축의 각도와 상기 엔진과 상기 전기모터가 모두 정지되는 시점에서의 캠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엔진의 재시동 시 연료분사가 수행될 실린더를 판별하는 실린더판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확인단계는,
    상기 전기모터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제어부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속도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회전속도를 기초로 상기 전기모터의 역회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6. 삭제
KR1020120124165A 2012-11-05 2012-11-05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01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65A KR102016662B1 (ko) 2012-11-05 2012-11-05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65A KR102016662B1 (ko) 2012-11-05 2012-11-05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871A KR20140057871A (ko) 2014-05-14
KR102016662B1 true KR102016662B1 (ko) 2019-08-30

Family

ID=5088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165A KR102016662B1 (ko) 2012-11-05 2012-11-05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442B1 (ko) * 2016-09-22 202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cu 독립형 엔진정지각 보상 방법 및 하이브리드 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441B2 (ja) * 2003-02-04 2006-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停止始動制御装置
KR100887800B1 (ko) 2007-07-19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 시동모터 토크제어방법
JP4747916B2 (ja) 2006-03-31 2011-08-17 マツダ株式会社 多気筒4サイク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11201413A (ja) 2010-03-25 2011-10-13 Mazda Motor Corp 車両用駆動制御装置
JP4911364B2 (ja) 2007-12-27 2012-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441B2 (ja) * 2003-02-04 2006-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停止始動制御装置
JP4747916B2 (ja) 2006-03-31 2011-08-17 マツダ株式会社 多気筒4サイク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0887800B1 (ko) 2007-07-19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 시동모터 토크제어방법
JP4911364B2 (ja) 2007-12-27 2012-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1201413A (ja) 2010-03-25 2011-10-13 Mazda Motor Corp 車両用駆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871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4396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車両のエンジン停止位置の制御方法
US88253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art/stop contro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348684B2 (en) Drive unit
US8423220B2 (en) Control system for series-type hybrid vehicle
CN102667413B (zh) 旋转传感器的异常判断装置
JP2009024548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2007182179A5 (ko)
US8292778B2 (en) Idle-stop restart control system
KR101500406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용 인젝터 보정 장치 및 방법
CN106499532A (zh) 一种发动机的快速起动方法
JP2015511195A (ja) ハイブリッド車両内の排気センサ及び燃料調量装置を較正する方法
KR10106322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토크 모니터링 방법
KR10201666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6869224B2 (ja) 始動および停止システムにおける内燃エンジンの再始動を管理するプロセス
CN106545420B (zh) 引擎起动及停止运转控制方法
CN102529968A (zh) 对机动车的驱动系统的驱动装置进行监控的方法和装置
KR101047636B1 (ko) 엔진의 시동 시간 단축 시스템 및 방법
US11280307B2 (en) Engine drive system
JP2013029052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KR20190046323A (ko) 순차시동방식 엔진 냉시동 방법 및 하이브리드 차량
KR20190079205A (ko) 차량의 엔진 시동성능 향상 방법
KR102621530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9138A (ko) 크랭크 신호의 에러 방지 방법
US9109516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unit,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and signal sequence
US105897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ild hybri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