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563B1 -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563B1
KR102016563B1 KR1020120158353A KR20120158353A KR102016563B1 KR 102016563 B1 KR102016563 B1 KR 102016563B1 KR 1020120158353 A KR1020120158353 A KR 1020120158353A KR 20120158353 A KR20120158353 A KR 20120158353A KR 102016563 B1 KR102016563 B1 KR 10201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olarizing plate
sides
cut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750A (ko
Inventor
한대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8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5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A) 기판의 4변을 비젼 검사하는 단계와, (B) 편광판을 기판의 한 변에 맞추고, 나머지 3변은 기판보다 넓게 부착하는 단계와, (C) 상기 나머지 3변보다 안쪽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와, (D) 절단된 편광판을 기판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s for Liquid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편광판을 기판에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 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을 협지한 액정표시 패널을 이용해서 화상을 표시한다. 이 액정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액정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해 화상을 표시하므로, 두 기판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과 하부 편광판을 필요로 한다.
상부 편광판과 하부 편광판의 광축은 서로 직교하기 때문에, 굴절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의 배열을 조절해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라 기판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스테이지(10)는 기판(11)을 진공 흡착한 상태로 일 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며, 이때 롤러(15)가 편광판(15)을 기판(13)에 압착해 편광판(15)을 기판(13)에 부착하게 된다.
한편, 편광판(13)은 기판(11) 사이즈에 맞춰 재단된 후에 한 장씩 기판(11)에 부착되는데, 편광판(13)을 1장씩 재단할 때 발생하는 작업 공차와, 재단된 편광판(13)을 기판(11)에 부착할 때 발생하는 작업 공차가 있기 때문에, 이 둘의 작업 공차로 인해서 기판(11)에 1장씩 재단된 편광판(13)을 맞춰 부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기판에 편광판을 오부착없이 부착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A) 기판의 4변을 비젼 검사하는 단계와, (B) 편광판을 기판의 한 변에 맞추고, 나머지 3변은 기판보다 넓게 부착하는 단계와, (C) 상기 나머지 3변보다 안쪽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와, (D) 절단된 편광판을 기판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 실시예의 제조 방법은 상기 (A) 단계의 비젼 검사로 획득한 모서리 좌표를 참조로, 상기 기판의 4변 모서리를 그라인딩(grinding)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모서리 좌표에 옵셋값을 더해 상기 모서리 좌표를 보정하고, 보정된 좌표를 참조로 상기 기판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절단된 편광판을 그립퍼(griper)가 그립핑(griping)한 상태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기판을 흡착한 스테이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해 상기 절단된 편광판을 기판에서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판을 기판보다 넓게 부착한 다음에 기판보다 작게 절단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처럼 편광판을 기판 사이즈에 맞춰 재단한 후에 한 장씩 기판에 부착해 발생하는, 재단 작업 공차와, 부착 작업 공차 때문에 오부착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기판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에서, 이 시스템은 기판(110)을 진공 흡착해서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스테이지(100)와, 기판(110)의 절단 위치(x1/x2, y1/y2)를 검출하는 비전 카메라(300)와, 기판을 절단하는 레이저(200)와, 편광판(130)을 분리하는 그립퍼(griper: 400)를 포함한다. 한편,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각 구성요소를 동작시키는 기계 구성 또는 전자 장치를 포함해서 더 구성되나, 이 같은 기계 구성 및 전자 장치는 이미 공지된 것이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3에 도 2를 결부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S100 단계에서, 기판(110)에 편광판(130)을 부착하기 전,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기판(110)의 4변을 그라인더(grinder)로 그라운딩(grinding)해서 모서리를 라운드(rounding)지게 만든다. 이때, 비전 카메라(200)는 기판(110)을 비전 검사해 그라운딩하고자 하는 기판(130)의 모서리 좌표(x1, y1)(x2, y2)를 획득해 그라인더에 인가하고, 그라인더는 이 좌표에 따라 기판(110)의 4변을 그라운딩한다.
S200 단계에서, 도 3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기판(110)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편광판(130) 중 하측 단변은 기판(110)의 하측 단변에 맞춰진 상태로 부착되고, 하측 단변을 제외한 좌측 장변, 우측 장변, 상측 단변은 기판(110)의 좌측 장변(110a)과 우측 장변(110b) 그리고 상측 단변(110c)과 제1 거리(d1)만큼 떨어져 부착된다. 이처럼, S200 단계에서, 편광판(130)은 기판(110)에 맞춰 부착되는 대신에 기판(110)보다 넓게 부착이 되므로, 종래기술처럼 부착 공차 때문에 발생하는 미스 얼라인을 줄일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레이저부(200)는 비전 카메라(200)로부터 입력된 모서리 좌표(x1, y1)(x2, y2)에 옵셋(offset) 값을 더해 구해진 새로운 좌표(x´1, y´1)(x´2, y´2)를 기준으로 편광판(130)을 절단한다. 여기서, 옵셋값은 도 4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기판의 가장자리 위치를 나타내는 모서리 좌표(x1, y1)(x2, y2)를 기판 안쪽으로 제2 거리(d2)만큼 이동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변수이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처럼, 레이저부(200)는 기판(110)의 끝에서 제1 거리(d1)만큼 더 길게 부착된 편광판(130)을 기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제2 거리(d2)만큼 안쪽으로 위치한 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해 편광판(130)의 좌측 장변, 우측 장변, 상측 단변을 절단한다. 이처럼 편광판(130)을 기판(130)의 끝에 맞춰 절단하지 않고, 제2 거리(d2)만큼 안쪽을 절단하는 이유는 빛의 회절 성질과 작업 공차 때문에 레이저로 편광판(130)을 절단하면, 그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레이저로 편광판(130)의 좌측 장변, 우측 장변, 상측 단변을 절단하더라도, 편광판(130)은 점착제에 의해 기판(110)에 부착된 상태라 절단된 부분(130b)은 기판(110)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S400 단계에서, 그립퍼(400)는 절단된 편광판의 장변(130b)을 그립핑(griping)한 채 도면의 x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에 반해, 기판(110)을 진공흡착하고 있는 스테이지(100)는 x축 방향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편광판의 절단된 부분은 기판(110)에서 분리된다.
이처럼 이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은 편광판을 기판보다 넓게 부착한 다음에 기판보다 작게 절단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처럼 편광판을 기판 사이즈에 맞춰 재단한 후에 한 장씩 기판에 부착해 발생하는, 재단 작업 공차와, 부착 작업 공차 때문에 오부착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A) 기판의 4변을 비젼 검사하는 단계와,
    (B) 편광판을 상기 기판의 한 변에 맞추고, 나머지 3변은 상기 기판보다 넓게 부착하는 단계와,
    (C) 상기 나머지 3변보다 안쪽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편광판을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 외측의 제2 부분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D) 절단된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기판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기판 상에 잔류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측은 상기 기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D) 단계에서, 그립퍼(griper)는 상기 돌출된 제2 부분을 직접 그립핑(griping)한 상태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기판을 흡착한 스테이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해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기판에서 분리하여, 상기 제1 부분만을 상기 기판 상에 잔류시키는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비젼 검사로 획득한 모서리 좌표를 참조로, 상기 기판의 4변 모서리를 그라인딩(grinding)하는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모서리 좌표에 옵셋값을 더해 상기 모서리 좌표를 보정하고, 보정된 좌표를 참조로 상기 기판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삭제
KR1020120158353A 2012-12-31 2012-12-31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53A KR102016563B1 (ko) 2012-12-31 2012-12-31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53A KR102016563B1 (ko) 2012-12-31 2012-12-31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750A KR20140087750A (ko) 2014-07-09
KR102016563B1 true KR102016563B1 (ko) 2019-08-30

Family

ID=5173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353A KR102016563B1 (ko) 2012-12-31 2012-12-31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649B1 (ko) 2015-01-27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컨텐츠를 통합하고 가변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 표시 시스템 및 그의 차량 컨텐츠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6773211A (zh) * 2016-12-29 2017-05-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切割机及其切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519A (ko) * 2003-02-06 2004-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745150B1 (ko) * 2005-12-08 2007-08-01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액정패널의 상부 보호필름 분리장치
JP4981944B2 (ja) * 2010-03-26 2012-07-2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セ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750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371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US8531764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pattern retarder metho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891165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alignment method thereof
CN105209965B (zh) 光学显示设备的生产系统
US2020003171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control panel, light control panel, optical imaging device, and aerial image forming system
KR102016563B1 (ko)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82883B1 (ko) 패턴 위상차 필름, 그 제조 방법,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3d 화상 표시 장치, 및 마스크
CN105190734B (zh) 剥离装置以及光学显示器件的生产系统
CN106556947A (zh) 一种偏光片贴附方法及装置
KR101893372B1 (ko) 글래스 표면 필름 커팅용 레이저 가공방법
CN111660352A (zh) 切削加工膜的制造方法
US20100089883A1 (en) Workpiece splitting method and object producing method
JP2010032674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864178B2 (en) Reflection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reflection imaging device
US10444560B2 (en) Method of producing display panel
CN105229718A (zh) 光学显示设备的生产系统
KR20080048669A (ko) 편광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WO2015008666A1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07076914B (zh) 偏振板的制造方法以及液晶面板的制造方法
CN205608349U (zh) 一种显示屏及电子设备
KR102319347B1 (ko) 대면적 마스터 웨이퍼, 대면적 마스터 웨이퍼의 제조 방법 및 대면적 마스터웨이퍼를 이용한 광학 소자 제조 방법
US8894797B2 (en) Method of splicing polarized films
WO2016190240A1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04704544B (zh) 检测装置、光学构件贴合体的制造装置以及光学构件贴合体的制造方法
US11187938B2 (en) Method of producing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