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156B1 -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6156B1 KR102016156B1 KR1020170170974A KR20170170974A KR102016156B1 KR 102016156 B1 KR102016156 B1 KR 102016156B1 KR 1020170170974 A KR1020170170974 A KR 1020170170974A KR 20170170974 A KR20170170974 A KR 20170170974A KR 102016156 B1 KR102016156 B1 KR 1020161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e material
- secondary battery
- positive electrode
- electrode active
- precur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80—Compounds containing nickel, with or without oxygen or hydrogen, and containing one or more other elements
- C01G53/82—Compounds containing nickel, with or without oxygen or hydrogen, and containing two or more other elements
-
- C01G53/006—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 C01G53/42—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3/50—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O2)n-, e.g. Li(NixMn1-x)O2 or Li(MyNixMn1-x-y)O2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의 (a) 및 (b)는 각각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3 의 (a) 내지 (c)는 각각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4 의 (a) 내지 (c)는 각각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의 X 선 회절 패턴 그래프이다.
도 5 의 (a) 내지 (c)는 각각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6 의 (a) 내지 (c)는 각각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X 선 회절 패턴 그래프이다.
도 7 의 (a) 내지 (c)는 각각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단추형 전지의 C-rate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의 (a) 내지 (c)는 각각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단추형 전지의 수명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의 (a) 및 (b)는 각각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를 충전할 때 발생되는 니켈, 코발트 및 망간의 산화상태를 측정한 이미지이다.
Claims (11)
- 코어-쉘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100 n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다공성 나노 구조이고,
상기 쉘은 1 ㎛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벌크 구조이고,
상기 코어 및/또는 상기 쉘은 하기 화학식 1 로서 표시되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내에 포함되는 니켈의 함량이 상기 쉘 내에 포함되는 니켈의 함량보다 많은 것이고,
상기 코어 내에 포함되는 코발트의 함량이 상기 쉘 내에 포함되는 코발트의 함량보다 적은 것이고,
상기 코어 내에 포함되는 망간의 함량이 상기 쉘 내에 포함되는 망간의 함량보다 적은 것인,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
[화학식 1]
NiaCobMnc(OH)2+d
(상기 화학식 1 에서, 0.3≤a≤0.9, 0.0≤b≤0.5, 0.0≤c≤0.6, 0.0≤d≤0.3 이다).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상기 쉘은 구 형상을 가지는 것인,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하기 화학식 2 로서 표시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1200 rpm 내지 1800 rpm 의 교반 속도로 1 차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액을 700 rpm 내지 1300 rpm 의 교반 속도로 2 차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1 차 반응시키는 단계에서 100 n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다공성 나노 구조인 코어가 형성되고,
상기 2 차 반응시키는 단계에서 1 ㎛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벌크 구조인 쉘이 형성되는 것인,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2]
NiaCobMnc(OH)2+d
(상기 화학식 2 에서, 0.3≤a≤0.9, 0.0≤b≤0.5, 0.0≤c≤0.6, 0.0≤d≤0.3 이다).
- 제 8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와 리튬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화합물은 리튬수화물(LiOH·2H2O), 리튬하이드록사이드(LiOH), 리튬카보네이트(Li2CO3), 리튬나이트레이트(LiNO3), 리튬아세테이트(LiCH3CO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와 리튬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마이크로웨이브로(Microwave Furnace) 소결, 유도전기로(Induction Furnace) 소결, 아크로(Arc Furnace) 소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0974A KR102016156B1 (ko) | 2017-12-13 | 2017-12-13 |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0974A KR102016156B1 (ko) | 2017-12-13 | 2017-12-13 |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0458A KR20190070458A (ko) | 2019-06-21 |
KR102016156B1 true KR102016156B1 (ko) | 2019-08-29 |
Family
ID=6705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097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6156B1 (ko) | 2017-12-13 | 2017-12-13 |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615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8878A (ko) * | 2020-10-13 | 2022-04-20 | 한국자동차연구원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고강도 다공성 입체 집전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입체 집전체를 포함한 음극 |
WO2024196148A1 (ko) * | 2023-03-20 | 2024-09-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양극 활물질 전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1219A (ko) * | 2021-02-24 | 2022-08-3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 전지 |
KR102799082B1 (ko) | 2023-12-29 | 2025-05-21 | 주식회사 마인텍 | 분말 입도 선별이 가능한 반응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00941804A (en) * | 2007-12-12 | 2009-10-01 | Umicore Nv | Homogeneous nanoparticle core doping of cathode material precursors |
KR102157479B1 (ko) * | 2013-04-29 | 2020-10-2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
KR101689212B1 (ko) * | 2011-12-07 | 2016-12-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WO2016068594A1 (ko) * | 2014-10-28 | 2016-05-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1941638B1 (ko) * | 2015-12-21 | 2019-04-1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
2017
- 2017-12-13 KR KR1020170170974A patent/KR10201615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8878A (ko) * | 2020-10-13 | 2022-04-20 | 한국자동차연구원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고강도 다공성 입체 집전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입체 집전체를 포함한 음극 |
KR102397790B1 (ko) * | 2020-10-13 | 2022-05-13 | 한국자동차연구원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고강도 다공성 입체 집전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입체 집전체를 포함한 음극 |
WO2024196148A1 (ko) * | 2023-03-20 | 2024-09-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양극 활물질 전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0458A (ko) | 2019-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5399B1 (ko) | 코아·쉘 구조를 가지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를사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429531B1 (ko) | 코어-쉘 이중층 구조를 갖는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양극활물질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 |
JP4096754B2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 |
Zhang et al. |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Li1. 2Ni0. 2Mn0. 6O2 cathode materials by coating LiAlO2 for lithium-ion batteries | |
KR102357836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70075596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100738192B1 (ko) | 코아·쉘 다층구조를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과이를 사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JP2014116308A (ja) | 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
JP2013520782A (ja) | 高容量の正極活物質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
JP2006253140A (ja) | 非水電解質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
JP2013214491A (ja) | 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Rapulenyane et al. | High-performance Li1. 2Mn0. 6Ni0. 2O2 cathode materials prepared through a facile one-pot co-precipitation process for lithium ion batteries | |
US11677065B2 (en) | Cathode active material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2016156B1 (ko) |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
JP7235130B2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JP2016509348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複合素材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極製造方法及び前記電極の充放電方法 | |
JP5516463B2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 |
KR20200086111A (ko) |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된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 |
JPWO2020027158A1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KR102152370B1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0723973B1 (ko) |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용량이 높은 코어쉘 구조를 가지는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그를사용한 리튬이차전지 | |
KR100786779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JP2004175609A (ja) |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正極に用いるコバルト酸リチウ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 |
KR101401770B1 (ko) | 리튬이차전지용 고용량 망간계 산화물 합성공정 및 이를 이용한 전지 제조방법 | |
KR20190052184A (ko)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