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747B1 - 홀인원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홀인원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747B1
KR102015747B1 KR1020190000305A KR20190000305A KR102015747B1 KR 102015747 B1 KR102015747 B1 KR 102015747B1 KR 1020190000305 A KR1020190000305 A KR 1020190000305A KR 20190000305 A KR20190000305 A KR 20190000305A KR 102015747 B1 KR102015747 B1 KR 10201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eight
housing
parts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중
Original Assignee
박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중 filed Critical 박인중
Priority to KR102019000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86Timers, rhythm indicators or pac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7Phot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Abstract

본 발명은 홀인원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플레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홀인원 상황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로써 입증할 수 있도록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홀인원 조작, 담합 등 각종 홀인원 사기 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신뢰성 및 정확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홀인원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티 그라운드에서의 골프공 타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티샷 감지부, 그리고 홀컵 내부에 구비되고, 홀컵 내부로 진입하는 골프공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홀인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홀인원 감지 시스템{HOLE-IN-ONE SENSING SYSTEM}
본 발명은 홀인원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플레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홀인원 상황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로써 입증할 수 있도록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홀인원 조작, 담합 등 각종 홀인원 사기 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신뢰성 및 정확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홀인원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골프 경기에서는 티 그라운드에서 티샷을 한 골프공이 한 번에 그대로 홀컵에 들어가는 홀인원(hole in one)이라는 제도가 있는데, 이 홀인원의 확률은 아마추어 기준으로 몇 만분의 일이고 평생에 한 번도 홀인원을 경험해보지 못하는 골퍼가 90% 이상이라고 하며, 프로 골퍼에게도 매우 쉽지 않다고 한다.
이에 따라, 홀인원 시 라운딩 동반자들은 비용을 분담하여 홀인원을 기념하는 홀인원 기념패를 전달하는 등 다양한 축하와 더불어 기념행사를 열어주고 있고, 홀인원 당사자는 동반자들의 골프 라운딩비와 캐디피 및 식사비 등을 지불하는 것으로 응답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보험회사에서는 홀인원 당사자가 지불하여야 할 홀인원 응답 비용에 대한 금전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홀인원 시 일정액을 보상하여주는 홀인원 보험을 출시하고 있고, 골프를 즐기는 많은 이들이 이 홀인원 보험에 가입 및 이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홀인원 보험에 가입한 계약자가 라운딩 동반자나 골프장 관계자 또는 캐디(경기보조원)와 짜고 허위로 홀인원이 달성되었다고 주장하여 가짜로 홀인원 보험금을 신청하는 등 홀인원 조작을 통한 사기행위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하나의 예로, 홀인원 보험에 가입한 계약자와 라운딩 동반자가 서로 짜고 골프장에서 선행조와 후미조로 나누어 골프를 치면서 후미조가 티샷을 하면 선행조에서 캐디를 속이거나 캐디를 매수한 상태에 홀컵에 미리 준비한 골프공을 넣어 홀인원을 가장하는 등의 홀인원 조작을 행하고 있다.
부연하면, 현재 홀인원의 인증은 골프장 관계자와 캐디 또는 라운딩 동반자들의 증언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므로 골프장 관계자 또는 캐디를 매수하거나 함께 라운딩하는 동반자들의 묵인만 있으면 홀인원 조작에 의한 사기행위가 얼마든지 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로 인해 보험회사에서는 홀인원 보험에 대한 손해율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확히 확인할 방법이 없는 실정에 있으며, 홀인원 보험사기를 방지하거나 근절시키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강구가 절실한 입장에 있다.
게다가 이러한 홀인원 사기행위는 건전하게 골프를 즐기는 골퍼나 장소를 제공하는 골프장의 입장에서도 골프에 대한 건전성과 스포츠정신을 훼손하게 되므로 역시 불만의 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출된 홀인원 감지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1-0136913호(2011년12월22일)(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홀컵 주위 상황에 대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필드에서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 그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가는지 상황(홀인원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제3자가 홀인원에 장난치는(홀인원을 못하게 하거나 그 반대인 경우) 것을 감시 및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영상데이터만을 활용한 홀인원 검증 방식은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홀인원 여부가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거나, 영상의 편집을 통해 홀인원 상황을 조작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골프 플레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홀인원 상황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로써 입증할 수 있도록 영상데이터와 센서데이터를 증거로 제공함으로써, 홀인원 조작, 담합 등 각종 홀인원 사기 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신뢰성 및 정확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홀인원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티샷의 발생 시점과 홀인의 발생 시점을 기록 및 저장하여 홀인원 검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데이터 및 센서데이터를 악의적으로 조작하거나 편집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치 용이성, 검증 신뢰성, 데이터 수집 편의성 제고를 위한 고유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 티샷 감지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티 그라운드에서의 골프공 타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티샷 감지부, 그리고 홀컵 내부에 구비되고, 홀컵 내부로 진입하는 골프공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홀인 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티샷 감지부에서의 타격 시점과 상기 홀인 감지부에서의 홀인 시점을 측정 및 분석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티 그라운드 측에 구비된 제1타이머 및 상기 홀컵 측에 구비된 제2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티샷 감지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 연결되고 설치면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된 결합프레임, 상기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는 제어모듈,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고 키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수단, 상기 하우징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가림판 및 상기 홀컵 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홀컵 측으로의 골프공 이동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제1카메라)는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카메라는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티샷 감지부와 홀인 감지부의 구성을 통해, 골프 플레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홀인원 상황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로써 입증할 수 있도록 영상데이터와 센서데이터를 증거로 제공하고, 이로 인해 홀인원 조작, 담합 등 각종 홀인원 사기 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신뢰성 및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타이머부의 구성을 통해, 티샷의 발생 시점과 홀인의 발생 시점을 기록 및 저장하여 홀인원 검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영상데이터 및 센서데이터를 악의적으로 조작하거나 편집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 지주, 결합프레임, 제어모듈, 출력수단, 입력수단, 가림판, 제2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는 티샷 감지부의 구성들과 이들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설치 용이성, 검증 신뢰성, 데이터 수집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및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인원 검증 과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티샷 감지부에 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진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골프 플레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홀인원 상황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로써 입증할 수 있도록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홀인원 조작, 담합 등 각종 홀인원 사기 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신뢰성 및 정확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홀인원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인원 감지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S))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도 및 설명도인 도 1을 참고하면, 본 시스템(S)은 기본적으로 티샷 감지부(1) 및 홀인 감지부(2)를 포함하고, 추가로 타이머부(3) 및 시스템 컨트롤러(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부 별로, 티샷 감지부(1)는 티샷의 검증을 위해 사용자의 티 그라운드(G)에서의 티샷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티 그라운드(G)에서의 골프공 타격을 촬영하는 카메라(C1)를 포함하며, 카메라(C1)를 통해 사용자의 티샷 타격 장면을 영상데이터로서 수집함으로써 티샷을 검증한다.
이러한 티샷 감지부(1)는 상기한 카메라(C1)와 함께, 취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상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구비한 처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영상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티샷 감지부(1)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핵심에서 벗어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상식을 따를 수 있다.
그리고 홀인 감지부(2)는 홀인원의 검증을 위해 홀인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홀컵(H) 내부에 구비되고, 홀컵(H) 내부로 진입하는 골프공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며, 근접센서를 통해 홀컵(H) 내부로 골프공이 들어왔는지에 대해 검출함으로써 홀인원을 검증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자기장의 변화를 통해 골프공의 접근을 감지하는 홀 소자, 초음파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접근을 감지하는 초음파 소자, 광섬유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접근을 감지하는 광전 소자, 조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접근을 감지하는 빛 감지 소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인 감지부(2)는 상기한 근접센서와 함께, 취득된 홀인 여부에 관한 정보(이하 홀인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홀인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구비한 처리모듈, 홀인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역시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상식을 따를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티샷 감지부(1)에서 티샷 여부를 검증하고, 홀인 감지부(2)에서 홀인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홀인원 증거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홀인원 조작, 담합 등 각종 홀인원 사기 행위를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골퍼와 보험사 모두에게 홀인원의 입증을 위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홀인원 검증 방식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종래와 달리, 홀인원 검증을 위해 본 시스템(S)을 활용하는 경우, 홀인 여부를 근접센서를 통해 보다 확실하고 명확하게 검증하기 때문에 신뢰성 및 정확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방식 중, 티샷 촬영수단과 홀인 촬영수단을 통해 홀인원을 검증하는 경우,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홀인원 여부가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거나, 영상의 편집을 통해 홀인원 상황을 조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티샷 상황을 영상을 통해 검증하고, 홀인 여부를 근접센서를 통해 검증하는 다차원의 검증을 통해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보다 신뢰성 있고 객관적인 홀인원 검증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시스템(S)은 티샷 감지부(1)에서의 타격 시점과 홀인 감지부(2)에서의 홀인 시점을 측정 및 분석하는 타이머부(3)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타이머부(3)는 티 그라운드(G) 측에 구비된 제1타이머(31) 및 홀컵(H) 측에 구비된 제2타이머(32)를 포함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타이머(31)는 티 그라운드(G) 측에 구비되어 티샷 상황 발생 시점을 기록할 수 있도록 카운터 소자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간 계산 모듈로 구성되고, 제2타이머(32)는 홀컵(H) 측에 구비되어 홀인 상황 발생 시점을 기록할 수 있도록 카운터 소자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간 계산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머부(3)는 티샷의 발생 시점과 홀인의 발생 시점을 기록 및 저장함으로써, 티샷 발생 시점으로부터 홀인 발생 시점 사이의 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홀인원 상황이 조작되었는지를 검증하며, 결과적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홀인원 검증을 제공한다.
상기 본 시스템(S)의 검증 과정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시스템(S)을 통한 홀인원의 검증 과정은 티샷 촬영 단계(S1), 티샷 시점 수집 단계(S2), 홀인 감지 단계(S3), 홀인 시점 수집 단계(S4) 및 홀인원 판정 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부(3)를 생략하는 경우 티샷 시점 수집 단계(S2)와 홀인 시점 수집 단계(S4)는 생략될 수 있다.
각 단계 별로, 티샷 촬영 단계(S1)는 티샷 감지부(1)가 티샷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티샷 시점 수집 단계(S2)는 제1타이머(31)가 티샷 발생 시점을 기록 및 저장하는 단계로, 티샷 발생 전과 티샷 발생까지의 시간을 기록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 분석 시에 티샷 발생 시점을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홀인 감지 단계(S3)는 홀인 감지부(2)가 홀컵(H) 내부로 진입하는 골프공의 접근을 감지하여 홀인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홀인 시점 수집 단계(S4)는 제2타이머(32)가 홀인 발생 시점을 기록 및 저장하는 단계로, 홀인 감지부(2)에서 홀인이 감지된 시점을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홀인원 판정 단계(S5)는 티샷 감지부(1)에서 수집된 영상데이터와 홀인 감지부(2)에서 수집된 홀인 여부를 통해 홀인원을 판정하는 단계로,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홀인원 검증을 위해 타이머부(3)에서 수집된 티샷 발생 시점과 홀인 발생 시점을 활용할 수 있다. 이 홀인원 판정 단계(S5)는 시스템 자체적으로 구비된 알고리즘 또는 관리자의 분석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본 시스템(S)에서, 시스템 컨트롤러(4)는 티샷 감지부(1) 및 홀인 감지부(2)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하고, 타이머부(3) 역시 시스템 컨트롤러(4)의 제어 하에 구동될 수 있으며, 중앙처리장치(CPU 등)를 구비한 시스템 서버, 응용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티샷 감지부(1)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소개하면,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티샷 감지부(1)는 하우징(11), 지주(12), 결합프레임(13), 제어모듈(미도시), 출력수단(14), 입력수단(15), 가림판(16) 및 제2카메라(C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제어모듈의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한 '카메라'는 티 그라운드(G) 측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이고, 상기한 '제2카메라(C2)'는 홀컵(H) 측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이며, 구분을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카메라'를 제1카메라(C1)로 구분지어 명명하기로 한다.
각 구성 별로, 하우징(11)은 제어모듈을 내장하고, 출력수단(14) 및 입력수단(15)이 장착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제어모듈의 내장을 위한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11)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되며, 특별히 그 형상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11)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주(12)는 티샷 감지부(1)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하부에 연결되고 설치면에 설치된다. 이에 지주(12)의 길이만큼 하우징(11)은 설치면에서 이격 배치되며, 지주(12)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구비되어 티샷 감지부(1)의 전력공급, 데이터 전송 등을 위한 각 종 케이블이 내장된다.
다음으로, 결합프레임(13)은 제1카메라(C1) 및 제2카메라(C2)의 설치를 위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우징(11)의 상부로 돌출되게끔 구비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프레임(13)은 하우징(11)의 결합프레임(13)은 하우징(11)에 연결된 수직부(131) 및 수직부(131)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부(1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수직부(131)는 하우징(11)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수평부(132)는 하우징(11)의 상부에 수직부(131)의 길이만큼 하우징(11)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추가로, 상기 수평부(132)에는 제1카메라(C1)와 제2카메라(C2)가 설치되되, 제1카메라(C1)는 수평부(132)의 하면에 결합되고, 제2카메라(C2)는 수평부(132)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프레임(13)의 구조는 수직부(131)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제1 및 제2카메라(C1)(C2)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촬영해야 하는 제2카메라(C2)를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촬영의 용이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수집되는 영상데이터의 퀄리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수단(14)은 입력 요청, 중간 결과, 최종 결과 등 홀인원 감지에 관한 제반사항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일 측에 구비되고, 화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입력수단(15)은 사용자 명령 입력 등 홀인원 감지에 관한 제반사항을 입력받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일 측에 구비되고, 키패드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키패드가 디스플레이에 결합된 터치 패드로 구성된 실시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본 시스템(S)을 이용하기 위한 수수료를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수단으로서의 금액 투입구가 입력수단(15)의 일 구성으로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림판(16)은 디스플레이, 키패드를 포함하는 하우징(11)의 외면, 그 중에서도 특히 전면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태양광, 우천 등에서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상부에 하우징(11)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고 하우징(11)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끔 구성된다. 이러한 가림판(16)은 차양 효과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의 가시성을 높이는 효과를 함께 제공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제2카메라(C2)는 홀컵(H) 측에서 발생하는 홀인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홀인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검증하기 위한 추가수단으로서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카메라(C2)는 홀컵(H) 측으로 배치되어 홀컵(H) 측으로의 골프공 이동을 촬영하는데, 여기에서 홀컵(H) 측으로의 배치라는 의미는 제2카메라(C2)의 촬상 소자가 홀컵(H) 측을 향한다는 의미이다.
한편, 상기한 티샷 감지부(1)를 구성하는 하우징(11), 지주(12), 결합프레임(13), 가림판(16) 등은 티샷 감지부(1)가 우천 등과 같은 야외 환경에 상시 노출된다는 점, 그리고 비행하는 골프공이나 스윙 중의 클럽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한 보호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보호수단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1), 지주(12), 결합프레임(13) 및 가림판(16) 중 일 이상의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공층(G1), 이 다공층(G1) 상부에 구비되는 발열층(G2) 및 다공층(G1), 발열층(G2)을 포함하여 상기 외면을 덮는 보호층(G3)을 포함하는 보호막(G)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공층(G1)은 보호막(G)에 완충성을 부가하는 구성으로, 발포폴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 5 중량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7 중량부 및 팽창 흑연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은 난연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단열성능이 뛰어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 때문에 사용되었다. 다공층(G1)의 각 조성물은 발포스트렌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는 휘안석으로부터 취득되는 금속산화물로, 기타 난연재에 비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다는 장점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는 발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연소 시에 발생하는 라디칼 화합물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고가인 이유로 경제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는 폴리인산화??물의 일종으로, 유리도막을 형성하여 산소접근을 차단하는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반복 실험 결과, 유리도막의 적정 두께 형성을 위한 최적의 사용량은 발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7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팽창 흑연(Expanded Graphite)은 연소 시 탄화물을 생성함으로써 난연 기능을 부가하는 흑연화합물로서 첨가되며, 바람직한 사용량은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인데, 반복 실험 결과 상기한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와의 중량 비율이 0.7 : 1로 사용될 때 난연 효과가 최대로 발현되었으며, 이 결과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상기 다공층(G1)은 상기 구성들을 물을 용매로 하여 분산시킨 후 소정의 경화 작업을 거쳐 제조된다. 여기에서, 다공층(G1)의 경화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발열층(G2)은 다공층(G1)의 상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받아 자체 발열하여 상기한 다공층(G1)과 보호층(G3) 간의 융화와 혼련이 자체적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가되며, 상온에서는 이 혼련 시간이 24시간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약 40 ~ 60℃의 온도 조건을 제공하여 혼련 시간을 30분 이내로 단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열층(G2)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100 중량부 대비, 이산화망간 5 중량부 및 실리카겔 3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테트라클로로금(Ⅲ)산(HAuCl4)은 금을 왕수(王水)에 녹이거나 염화금(Ⅲ)을 염산에 용해시켜 취득하는 담황색의 결정으로, 입경에 따라 발열 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평균 입경이 15 ~ 3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층(G2)을 구성하는 이하의 조성물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이산화망간(MnO2)은 망간과 상소가 결합한 화합물로, 발열층(G2)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태양광 파장의 활용 영역을 최적화하기 위해 첨가되며, 티타늄, 크롬, 니켈, 구리 등 4주기의 전이금속 중 원적외선 영역에서의 복사율 및 복사에너지 효율이 좋아 채택되었다. 이러한 이산화망간은 산소 존재 하에서 약 1000℃로 소결시켜 제조되며, 입경이 작을수록 유도 가열 효과가 증대되므로 평균 입경이 10 ~ 10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열전도 효율을 보였던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리카겔(Silica Gel)은 발열층(G2)의 발열 효과를 지속시키고 발열 포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반복 실험 결과 3 중량부가 포함될 때 최적의 발열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발열층(G2)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수용액을 약 10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에 소량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수용액 상태로 만든 다음, 이에 상기 배합 비율로 이산화망간 및 실리카겔을 혼합 및 분산시킨 후, 소정의 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여기에서, 건조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보호층(G3)은 보호막(G)의 기본 구성으로, 상기한 다공층(G1)과 발열층(G2)을 포함한 보호 부위 전체를 덮어서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층(G3)은 테트라에톡시실란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 대비, 포졸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벤토나이트 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3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실리카 결합수는 포졸란의 지오 폴리머 반응을 위해 첨가되며, 다량의 실리카(SiO)가 함유된 것이 좋다. 이러한 실리카 결합수는 결합수 전체 중량 대비,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MTES)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데, 테트라에톡시실란은 실리카 분자의 안정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은 네트워크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이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보호층(G3)의 경도 저하가 발생하고,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실리카 전구체 함량이 높아져 건조 시의 크랙 발생 우려가 있다. 또한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이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보호층(G3)의 경도가 저하된다. 보호층(G3)을 구성하는 이하의 조성물은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포졸란은 지오 폴리머 반응의 주요한 결합재로서, 화산재 등과 같은 천연 포졸란,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흄 등과 같은 인공 포졸란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포졸란은 1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과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할 때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조성비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발현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계면활성제는 작업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고, 벤토나이트는 탈락 방지를 위한 점탄성 조절제로서 첨가되어 요변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와 벤토나이트는 공지된 기술 및 일반 상식을 참고하여 시판되는 제품을 상기 조성비로 첨가되면 족하다.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는 경우, 흐름성이 기준치에 과도하거나 또는 미달되게 된다.
그리고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acrylate)는 부착증진제로서 첨가되며, 특히 경화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 채용되었다. 반복 실험 결과, 바람직한 사용량은 40 중량부이며,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부착 증진 효과 발현이 미미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휘발도가 높아지고 독성이 강해진다.
그리고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htylenediaminetetracetate)는 흡착강화제로서 첨가되며, 보호막(G)의 초기 시공 시의 흡착력을 강화하여 결과적으로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흡착 강화 효과를 발현하는 사용량은 3중량부로 확인되었다.
상기 보호층(G3)은 상기 구성들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혼합 및 교반한 다음, 소정의 건조 및 경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보호막(G)의 시공에 관한 실시예로, 시험용 블록에 다공층(G1), 발열층(G2) 및 보호층(G3) 순으로 구비한 다음, 태양광이 조사되는 환경 하에 1시간동안 방치하여 혼련 과정을 거치고, 경화시켜 보호막(G)을 형성하였다. 이 보호막(G)에 크로스-컷(cross-cut) 시험, 스크래칭 시험, 화염 분사를 통한 연소 시험, 물 분사를 통한 내부 침습도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박리율은 1% 미만이었으며, 파손율은 5% 미만이었고, 다공층(G1)의 연소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부 침습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본 시스템(홀인원 감지 시스템)
1: 티샷 감지부
11: 하우징 12: 지주
13: 결합프레임 131: 수직부
132: 수평부 14: 출력수단
15: 입력수단 16: 가림판
C1: 카메라(제1카메라) C2: 제2카메라
2: 홀인 감지부
3: 타이머부 31: 제1타이머
32: 제2타이머

Claims (4)

  1. 티 그라운드에서의 골프공 타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티샷 감지부; 및
    홀컵 내부에 구비되고, 홀컵 내부로 진입하는 골프공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홀인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티샷 감지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 연결되고 설치면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된 결합프레임, 상기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는 제어모듈,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고 키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수단, 상기 하우징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가림판 및 상기 홀컵 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홀컵 측으로의 골프공 이동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카메라는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지주, 결합프레임 및 가림판 중 일 이상의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공층, 상기 다공층 상부에 구비되는 발열층 및 상기 다공층, 발열층을 포함하여 상기 외면을 덮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층은 발포폴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 5 중량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7 중량부 및 팽창 흑연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100 중량부 대비, 이산화망간 5 중량부 및 실리카겔 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테트라에톡시실란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 대비, 포졸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벤토나이트 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인원 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티샷 감지부에서의 타격 시점과 상기 홀인 감지부에서의 홀인 시점을 측정 및 분석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티 그라운드 측에 구비된 제1타이머 및 상기 홀컵 측에 구비된 제2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인원 감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00305A 2019-01-02 2019-01-02 홀인원 감지 시스템 KR10201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05A KR102015747B1 (ko) 2019-01-02 2019-01-02 홀인원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05A KR102015747B1 (ko) 2019-01-02 2019-01-02 홀인원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747B1 true KR102015747B1 (ko) 2019-08-28

Family

ID=6777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305A KR102015747B1 (ko) 2019-01-02 2019-01-02 홀인원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7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94U (ko) * 1998-04-20 1998-07-25 윤진수 골프 게임용 보조 장치
US20010021673A1 (en) * 1998-07-21 2001-09-13 Cleveland Kenneth R. Hole-in-one golf video registration system
JP2009159515A (ja) * 2007-12-27 2009-07-16 Akira Kudo ホールインワン確認システム
JP2013248381A (ja) * 2012-05-01 2013-12-12 Maruyoshi Setsubi Service Kk ホールインワン確認システム及びその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94U (ko) * 1998-04-20 1998-07-25 윤진수 골프 게임용 보조 장치
US20010021673A1 (en) * 1998-07-21 2001-09-13 Cleveland Kenneth R. Hole-in-one golf video registration system
JP2009159515A (ja) * 2007-12-27 2009-07-16 Akira Kudo ホールインワン確認システム
JP2013248381A (ja) * 2012-05-01 2013-12-12 Maruyoshi Setsubi Service Kk ホールインワン確認システム及びそのカメ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670B2 (en) System for pitching of baseball
US8827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tting golf equipment
CN101198383B (zh) 位置检测系统
US200701117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ity analysis
KR20040064855A (ko) 골퍼의 플레이에 대한 정보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정보 분석 방법
CN106382090B (zh) 内外窗联合控制系统
CN103252070B (zh) 高尔夫球赛中的辅助方法及系统
CA27859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KR102015747B1 (ko) 홀인원 감지 시스템
US20160180544A1 (en) Apparatus for camera-assisted trajectory estimation of a sensorized sports projectile
CN102470269B (zh) 高尔夫练习装置
KR102080225B1 (ko) 현장 미세먼지 경보 시스템
JP2010284177A (ja) シャフト部に画像センサ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
WO2000004961A9 (en) Hole-in-one golf video registration system
JP2007005895A (ja) 撮影システム
JP2007209451A (ja) 不正行為防止機能付きゲーム装置、ゲーム中の不正行為防止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40142772A1 (en) Ball trajectory measuring apparatus
JP2009159515A (ja) ホールインワン確認システム
JPH10286337A (ja) ゴルフ場携帯機
KR101077568B1 (ko) 골프장 티잉그라운드의 타구음을 이용한 골프 스윙의 영상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67568A (ja) アイアンソール形状の設計方法とそのためのシステム
CN105894466A (zh) 一种图像数据的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JP2008167245A (ja) ホールインワン・ニアピン認定システム
JP2015083059A (ja) ホールインワン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JP3401194B2 (ja) ゴルフクラブの挙動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