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662B1 - 듀얼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듀얼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662B1
KR102015662B1 KR1020130001324A KR20130001324A KR102015662B1 KR 102015662 B1 KR102015662 B1 KR 102015662B1 KR 1020130001324 A KR1020130001324 A KR 1020130001324A KR 20130001324 A KR20130001324 A KR 20130001324A KR 102015662 B1 KR102015662 B1 KR 102015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rier
filling
cap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262A (ko
Inventor
신중광
Original Assignee
신중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광 filed Critical 신중광
Priority to KR102013000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액상의 로션이나 스킨을 자동으로 충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공급, 충전, 인 캡 공급, 인 캡 압입, 아웃 캡 공급, 캡핑, 용기 배출 등과 같이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포장 완료하는 전체적인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화장품 충전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대량생산 체제의 구축으로 생산비 절감 등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자동화 공정의 도입으로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화장품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듀얼라인 화장품 충전장치{CHARGING DEVICE FOR COSMETIC VESSELS}
본 발명은 화장품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에 액상의 로션이나 스킨을 자동으로 충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여성의 아름다움을 가꾸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최근의 화장품은 사용 측면에서 고형화되어 있는 화장품보다는 로션이나 스킨 등과 같은 액상의 화장품으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액상의 화장품은 보관하고 사용함에 있어 그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튜브나 병의 형태로 포장되어 나오고 있다.
보통 액상이나 점액의 형태로 되어 있는 스킨이나 로션 등과 같은 화장품은 상하방향으로 동작하는 분사노즐과 이 분사노즐이 연결된 내용물 압출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품 충전장치에 의해 용기 내에 자동으로 정량 충전된다.
현재 액상의 화장품을 용기에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충전장치는 압축공기로써 액상의 화장품을 가압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자동으로 이송되는 용기를 운반지그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이송시켜가며 해당의 용기가 노즐 하부에 위치하면, 이때의 노즐이 하강하여 용기의 내부에 각종 내용물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화장품을 충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호퍼 등에 저장된 액상의 화장품(로션이나 스킨 등)을 저장조로 보내어 저장한 다음, 이 저장조에 들어 있는 액상 화장품을 다시 펌프로써 가압탱크안으로 이송시켜 저장한다.
이 상태에서 가압탱크 안으로 압축공기를 공기압축기로써 주입하면, 가압탱크 안의 화장품은 그 압축공기의 힘으로 노즐쪽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노즐은 용기의 이동 중에 용기의 윗쪽으로 충분히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비어 있는 상태의 용기가 아래쪽에 위치되면, 노즐이 하강하여 용기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내용물 압출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이 노즐의 하단을 통해 용기 속에 주입되는 방식으로 화장품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화장품 충전장치는 한국등록특허 10-0306614호, 한국공개특허 10-2009-0013318호,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9-0006156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 충전장치들의 경우, 용기에 내용물을 자동으로 충전하는 방식에 대해서만 제시하고 있을 뿐, 용기의 로딩 및 언로딩, 캡의 체결 등과 같은 일련의 과정들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진행하는 관계로 품질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화장품 충전방식은 많은 작업자들이 작업을 행함으로써 인건비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많은 불량률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제10-0306614호(화장품액 자동 충전장치, 2001년08년10일등록) 한국공개특허제10-2009-0013318호(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용기 내에 자동 주입하기 위한분사노즐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2009년02년05일공개) 한국공개실용신안제20-2009-0006156호(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용기 내에 자동 주입하기 위한 분사노즐의 제어장치, 2009년06월22일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 공급, 충전, 인 캡 공급, 인 캡 압입, 아웃 캡 공급, 캡핑, 용기 배출 등과 같이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포장 완료하는 전체적인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화장품 충전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대량생산 체제의 구축으로 생산비 절감 등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자동화 공정의 도입으로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화장품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장품 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화장품 충전장치는 상면에 용기의 이송경로가 조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2열의 캐리어 진행라인 및 캐리어 회수라인을 포함하고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계속 순환하는 캐리어를 이용하여 용기를 각 공정으로 이송시켜주는 이송 파트와,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충전 노즐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파트와, 상기 충전 파트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프레스 블럭을 이용하여 용기의 넥 상단에 인 캡을 압입하는 인 캡 파트와, 상기 인 캡 파트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 동작하는 동시에 회전가능한 핑거를 이용하여 아웃 캡을 체결하는 아웃 캡 파트와, 상기 아웃 캡 파트의 뒷쪽에서 캐리어 회수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동시에 직선 이동이 가능한 픽커를 이용하여 용기를 라인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파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화장품 충전장치는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캐리어에 용기를 탑재하여 이송시키면서 용기의 공급에서부터 내용물 충전, 인 캡 압입 및 아웃 캡 체결, 그리고 용기의 배출까지의 과정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품 충전장치는 이송 파트에 있는 캐리어 진행라인과 캐리어 회수라인의 선단 구간과 후단 구간에 설치되어, 본체 폭방향을 왕복하는 푸셔를 이용하여 캐리어를 상대 라인쪽으로 밀어서 보내주는 트랜스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파트의 캐리어 진행라인과 캐리어 회수라인에서는 각각 스텝 이송방식과 연속 이송방식으로 캐리어를 이송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품 충전장치의 충전 파트는 본체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충전용 실린더와, 상기 충전용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업다운 플레이트와,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아래쪽의 충전 노즐, 측면의 내용물 공급포트를 가지면서 용기 속에 내용물을 채우는 충전 헤드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충전 파트의 경우, 업다운 플레이트상에 설치되고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바와, 용기의 넥에 끼워지는 홀을 가지면서 바의 하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내용물 충전에 앞서 용기를 잡아주는 충전 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충전장치의 아웃 캡 파트는 본체의 상면에 세워지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수평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서보모터 및 중공축과, 상기 서보모터와 중공축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및 풀리와, 상기 중공축에 연결되어 상하 및 회전 함께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다수의 핑거를 가지는 체결 헤드와, 상기 체결 헤드 및 핑거의 동작을 위한 업다운 실린더 및 업다운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웃 캡 파트의 경우, 높이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핸들을 가지면서 포스트에 설치되는 위아래의 스크류 플레이트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와 동시에 베이스의 스크류 블럭에 스크류 전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스크류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충전장치의 소정의 공정 영역에는 용기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수단으로, 이송 파트에 있는 캐리어 진행라인의 양편에 설치되고, 용기를 잡아주는 클램프 블럭 및 이 클램프 블럭을 동작시키는 클램프 실린더로 구성되어, 라인상의 용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면서 용기의 양쪽을 잡아주는 한 쌍의 클램프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 파트는 포스트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면서 본체의 상부에서 본체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LM 장치와, 상기 LM 장치의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한 배출 플레이트과, 상기 배출 플레이트에 수직 설치되는 배출 실린더와, 상기 배출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되는 실린더 플레이트 및 이 실린더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픽커 실린더와, 상기 각 픽커 실린더의 양쪽 로드에 설치되어 용기를 픽업하는 한 쌍의 픽커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장품 충전장치는 배출 파트로부터 배출되는 제품을 포장 등의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켜주는 수단으로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는 본체의 후단으로 길게 연장되는 서브 컨베이어와, 상기 서브 컨베이어의 끝과 연접되면서 같은 높이로 계속 이어지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상에 지지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 컨베이어 및 컨베이어 프레임과, 상기 각 메인 컨베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화장품 용기의 공급에서부터 내용물 충전, 인 캡 압입 및 아웃 캡 체결, 그리고 화장품 용기의 배출까지의 전체 공정을 자동화 설비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대량생산을 통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화장품 용기의 이송시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캐리어를 사용하여 용기를 이송시키는 방식을 구축함으로써, 전체적인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정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이송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트랜스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충전 파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인 캡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아웃 캡 파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클램프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배출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정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품 충전장치는 용기의 공급, 내용물 충전, 인 캡 압입, 아웃 캡 체결, 용기의 배출로 이루어지는 전체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렇게 화장품 충전을 위한 공정에 자동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의 공급, 인 캡 압입을 위한 인 캡 세팅 및 아웃 캡 체결을 위한 아웃 캡 세팅 과정 등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용기의 이송경로가 조성되어 있는 본체(10)가 마련되고, 이러한 본체(10)의 상면에는 용기 이송과 캐리어 회수를 위한 두 개의 라인이 본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용기 이송을 위한 라인, 즉 후술하는 캐리어 진행라인(11)을 따라서 충전 파트(16), 인 캡 파트(18), 아웃 캡 파트(20)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아웃 캡 파트(20)의 뒷쪽으로는 충전 및 캡 체결이 완료된 용기를 라인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파트(22)가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11)과 나란한 캐리어 회수라인(12)의 후단 구간에는 빈 용기의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 파트(16), 인 캡 파트(18) 및 아웃 캡 파트(20)는 서로 일정피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충전 파트(16)와 인 캡 파트(18)사이의 구간에서는 용기 넥에 인 캡을 세팅하는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인 캡 파트(18)와 아웃 캡 파트(20) 사이의 구간에서는 용기 넥에 아웃 캡을 세팅하는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선단부와 후단부, 즉 캐리어 진행라인(11)과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선후단 구간에는 트랜스퍼(24)가 각각 설치되며, 이때의 트랜스퍼 작동에 의해 캐리어 진행라인(11)에서 용기 이송을 마친 캐리어(13)가 캐리어 회수라인(12)으로 넘어올 수 있게 되고, 또 캐리어 회수라인(12)에서 빈 용기를 탑재한 캐리어(13)가 캐리어 진행라인(11)으로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캐리어(13)는 캐리어 진행라인(11)과 캐리어 회수라인(12)을 따라 계속 순환하면서 용기를 실어 나르고, 또 비어 있는 상태로 회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선단부 일측에는 로션이나 스킨 등의 내용물을 펌핑하여 충전 파트(16)측에 제공할 수 있는 서보모터충전부(53)가 설치되고, 이때의 서보모터충전부(53)와 충전 파트(16) 사이에는 호스(미도시)가 연결되어, 내용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충전 파트(16)측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방식은 서보 실린더 방식으로 충전 파트 작동과 연계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단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단부에는 내용물 충전을 마친 후 라인 밖으로 빠져나간 제품을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켜주기 위한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51)가 배치되어, 공정 완료 후 제품이 이곳을 통해 포장 등의 후속 공정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의 이송을 위한 수단으로 이송 파트(14)가 마련되고, 이때의 이송 파트(14)는 본체(10)에 있는 상판의 위아래 영역에 걸쳐 설치된다.
한편, 용기의 최초 공급은 본체(10)의 선단 영역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의 공급 방식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용기를 투입하는 수동 방식, 또는 로봇이나 피더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 용기가 투입되는 자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캐리어 회수라인(12)의 후단 구간에서 작업자가 빈 캐리어상에 용기를 하나씩 올려놓는 수동 방식의 예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체(10)의 선단부, 즉 캐리어 회수라인(12)의 후단 구간에서 용기가 투입되면, 이때의 용기는 캐리어 진행라인(11)을 따라가면서 이송 파트(14)에 의해 한 스텝씩 자리를 옮겨가면서 각 파트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되고, 결국 용기 속에 내용물이 자동으로 충전되는 공정 및 인 캡과 아웃 캡이 자동으로 압입 및 체결되는 공정을 거친 후에 배출 파트(22)에 의해 라인 밖으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화장품 충전공정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11)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는 가장 앞쪽의 캐리어를 한스텝 밀어주면 이와 연접되어 있는 그 앞쪽의 각각의 캐리어들이 자동으로 한스텝씩 밀려나면서 이송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캐리어 회수라인(12)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더는 연속 구동되는 컨베이어 방식에 의해 하나씩 개별적으로 회수되어 선단 구간에서 적체되어 대기하게 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장품 충전을 위한 전 공정이 자동화 라인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생산 사이클 타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결국 대량 생산 체계의 구축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이송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파트(14)는 용기가 탑재되어 있는 캐리어(13)를 이송시켜주는 부분과 빈 캐리어(13)를 이송시켜주는 부분, 그리고 실질적으로 용기를 이송시키는 캐리어(13) 및 이때의 캐리어(13)를 움직여주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연속해서 순환되는 캐리어(13)를 이용하여 용기를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서로는 본체(10)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2열의 캐리어 진행라인(11) 및 캐리어 회수라인(12)이 마련되고, 이때의 캐리어 진행라인(11) 및 캐리어 회수라인(12)에는 일렬로 진행되는 다수의 캐리어(13)가 배치된다.
즉,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11)에서는 캐리어(13)들이 서로 연접상태로 한스텝씩 진행하면서 각각의 공정 영역을 거치게 되는 형태를 보이게 되고, 상기 캐리어 회수라인(12)에서는 용기 이송을 마치고 되돌아오는 몇 개의 캐리어(13)들이 여유있게 진행되면서 연속해서 라인 후단 구간에 적체되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11)을 따라 진행되는 캐리어(13)는 한번에 용기 두 피치씩 옮겨가는 스텝 이송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캐리어 회수라인(12)을 따라 진행되는 캐리어(13)는 소정의 속도로 계속 움직이는 연속 이송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11)에서 용기가 들어 있는 캐리어를 이송시켜주는 수단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스텝핑 모터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구동 파트가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저부 일측, 예를 들면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선단 구간 아래쪽에는 본체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구동모터(73)와 샤프트(74) 및 샤프트 블럭(75)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73)의 축과 상기 샤프트(74)에는 각각 풀리(76a,76b)가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는 양쪽의 풀리(76a,76b) 사이에는 벨트(77)가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풀리와 벨트는 타이밍 풀리와 타이밍 벨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3)가 있는 위치와 샤프트(74)가 있는 위치 사이에는 양쪽의 나란한 가이드 바(78)에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지지되는 무빙 플레이트(79)가 설치되며, 이때의 무빙 플레이트(79)의 일측은 벨트(77)의 길이 일정부분과 결합된다.
예를 들면, 무빙 플레이트(79)의 저면에 벨트(77)의 일정 부분이 밀착되는 동시에 이렇게 밀착되는 벨트 부분을 덮으면서 벨트 고정판(80)이 무빙 플레이트(79)의 저면에 체결 고정되므로서, 무빙 플레이트(79)와 벨트(77)는 일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3)가 작동하게 되면, 풀리(76a,76b)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77)의 움직임에 따라 무빙 플레이트(79)는 가이드 바(78)의 안내를 받으면서 본체 길이방향, 즉 캐리어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무빙 플레이트(79)의 상면에는 업다운 실린더(81)가 수직 자세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업다운 실린더(81)의 로드에는 캐리어를 걸어서 밀어줄 수 있는 푸셔(82)가 장착된다.
이때의 푸셔(82)는 업다운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위치되면서 캐리어를 밀어주는 상황에서만 위로 상승하여 캐리어 진행궤적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선단 구간에 빈 용기가 놓여져 있는 캐리어가 위치된 상태에서, 각 파트의 공정 완료 후, 업다운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푸셔(82)가 상승하게 되고, 계속해서 구동모터(73)의 정방향 작동에 의해 벨트(77) 및 무빙 플레이트(79)는 캐리어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무빙 플레이트(79)의 이동에 의해 푸셔(82)가 캐리어(13)의 뒷쪽을 밀어주게 되므로서, 이때의 캐리어(13)는 한 스텝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푸셔(82)가 캐리어(13)를 밀어주게 되면, 이 캐리어(13)와 연속해서 붙어 있는 각 파트상의 캐리어들도 함께 강제적으로 밀리면서 한스텝 전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캐리어(13)를 한 스텝 밀어준 푸셔(82)는 업다운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재차 하강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구동모터(73)의 역방향 작동에 의해 무빙 플레이트(79)는 초기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73)의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 무빙 플레이트(79)의 전후진 왕복 이동에 의해 캐리어 진행라인(11)상의 캐리어 전체가 한 스텝씩 동시에 진행될 수 있게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회수라인(12)에서 빈 캐리어를 이송시켜주는 구동수단은 본체(10)의 상면 영역과 그 아래쪽 영역에 걸쳐 배치되는 일종의 롤러 컨베이어로서, 이때의 롤러컨베이어는 캐리어 회수라인(12) 구간 전체면을 따라 나란하게 각각 배치되고, 캐리어 저면측과의 롤러를 통한 구름운동방식으로 캐리어(13)를 이송시켜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캐리어 회수라인(12)에는 캐리어(13)의 이송을 잠시 구속할 수 있는 수단으로 캐리어 회수라인(12)의 폭 중앙위치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스톱퍼장치(54)가 구비된다.
이때의 스톱퍼장치(54)는 용기 배출이 이루어지는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선단 구간과 빈 용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캐리어 회수라인(12)의 후단 구간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톱퍼장치(54)는 라인 선단 옆쪽에 설치되는 스톱퍼 실린더(55)와 이 스톱퍼 실린더(55)의 로드에 설치된 스톱퍼 블럭(56) 및 이 스톱퍼 블럭(56)상에 지지되는 동시에 캐리어(13)가 진행되어오는 앞쪽을 향해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캐리어(13)측과 접촉되는 쇽업소버 등과 같은 완충기(57a)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톱퍼 실린더(55)의 전진 작동에 의해 완충기(57a)가 이동하게 되면, 이때의 완충기(57a)는 캐리어(13)를 가로막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캐리어 회수라인(12)을 따라 진행되던 캐리어(13)는 완충기(57a)의 로드에 의해 걸려져 그 자리에서 멈추게 되며, 이때 후술하는 배출 파트(22)의 픽커(21)가 멈춰서 있는 캐리어(13) 내의 용기를 픽업해서 갈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용기의 픽업 후, 스톱퍼 실린더(55)의 후진 작동에 의해 완충기(57a)가 복귀되므로, 이때의 캐리어(13)는 자연스럽게 라인을 따라 계속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송 파트(16)에는 실질적으로 용기를 이송시키는 수단으로 캐리어(13)가 마련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13)는 상면의 한쪽 가장자리 위치에 금속 재질의 블럭체(58)를 가지는 사각판 형태의 캐리어 플레이트(59)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59)의 상면 중앙에서 일정간격(용기 피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용기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지지하는 한 쌍의 홀더(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홀더(60)는 직사각의 블럭체로서 서로 마주보는 한쪽면에는 대략 "V"자 모양의 홈(61)이 형성되어 있어서, 원형으로 되어 있는 용기를 용이하게 홀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는 한 쌍의 홀더(60) 내측에 그 하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캐리어(13)와 함께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캐리어 플레이트(59)상에 두 쌍의 홀더(60)가 구비되어, 하나의 캐리어(13)로 2개의 용기를 함께 이송시킬 수 있는 형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캐리어 진행라인(11)에서는 용기를 탑재한 캐리어(13)들이 연접상태로 한 스텝(용기 두 피치)씩 진행하면서 용기를 각각의 공정 영역 내로 이송시켜줄 수 있게 되고, 캐리어 회수라인(12)에서는 빈 캐리어(13)들이 띄엄띄엄 연속 진행하면서 케리어 회수라인(12)의 후단 구간에 모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트랜스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퍼(24)는 캐리어(13)의 이송방향 전환을 위한 수단으로서, 이러한 트랜스퍼(24)가 라인 간에 캐리어(13)를 넘겨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캐리어(13)의 연속적인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 파트(14)의 캐리어 진행라인(11)과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선단 구간과 후단 구간에 트랜스퍼(24)가 설치되고, 이때의 트랜스퍼(24)는 본체 폭방향을 왕복하는 푸셔(23)를 이용하여 캐리어(13)를 상대 라인쪽으로 밀어서 보내주는 역할, 예를 들면 용기 공급측에 있는 트랜스퍼(24)의 푸셔(23)는 회수라인에 있는 캐리어(13)를 진행라인으로 보내주고, 용기 배출측에 있는 트랜스퍼(24)의 푸셔(23)는 진행라인에 있는 캐리어(13)를 회수라인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트랜스퍼(24)는 본체(10)의 상면에서 라인에 대해 90°방향으로 설치되는 푸셔 실린더(62)와, 상기 푸셔 실린더(62)의 로드에 한쪽이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은 라인과 나란하게 연장되면서 라인 구간 내에까지 위치되는 푸셔(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23)는 로드 연결부위의 양편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63a)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퍼(24)는 캐리어 위치 전환시 캐리어(13)를 위로 살짝 들어줌으로써 캐리어(13)가 회수라인에서 진행라인으로, 또 진행라인에서 회수라인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캐리어 리프트(83)를 포함한다.
이러한 캐리어 리프트(83)는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선단 구간 및 후단 구간에 각각 설치되며, 캐리어 진행라인(11)에서 캐리어 회수라인(12)으로 넘어오는 캐리어(13)를 안정적으로 받아서 놓고, 또 캐리어 회수라인(12)에서 캐리어 진행라인(11)으로 넘어가는 캐리어(13)를 안정적으로 건너갈 수 있도록 올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캐리어 리프트(83)는 본체(10)의 저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실린더(83a)와 상기 리프트 실린더(83a)의 로드에 장착되면서 회수라인 바닥면을 따라 길게 놓여지는 리프트 바(83b)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 실린더(83a)의 작동에 따라 리프트 바(83b)가 상승하여 캐리어(13)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트랜스퍼(24)의 푸셔 작동에 의해 캐리어(13)가 위치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 회수라인(12)의 후단 구간에 캐리어(13)가 위치되면, 리프트 실린더(83a)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 바(83b)가 상승하면서 캐리어(13)를 일정높이 올려주게 되고, 마찬가지로 푸셔(23)에 의해 캐리어(13)가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선단 구간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의 캐리어 전환시 캐리어(13)를 받는 쪽에는 쇽업소버 등과 같은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캐리어(13) 및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충전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파트(16)는 용기의 내부에 로션이나 스킨 등과 같은 내용물을 주입하는 것으로서, 공정의 진행방향을 기준하여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선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하 동작하는 충전 노즐(15)을 이용하여 용기 속에 내용물을 채우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0)의 포스트 구조물상의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충전용 업다운실린더(25)가 마련되고, 상기 충전용 업다운실린더(25)의 로드에는 본체(10)의 상부에서 본체 폭방향을 따라 수평 위치되는 업다운 플레이트(26)가 그 후단부를 통해 연결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업다운 플레이트(26)의 선단부는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영역까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26)는 충전용 업다운실린더(25)가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상의 양쪽에 설치되는 가이드 바(63b)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정확하게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내용물을 충전하는 수단으로 업다운 플레이트(26)의 상면에 설치되는 충전 헤드(29)가 마련된다.
이러한 충전 헤드(29)의 한 쪽 측면에는 내용물 공급포트(28)가 연결되어, 이곳을 통해 내용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고, 이때의 내용물 공급포트(28)에는 서보모터충전부(미도시)로부터 연장되는 호스가 연결된다.
상기 충전 헤드(29)의 하부에는 용기 속에 내용물을 토출하는 충전 노즐(15)이 설치되며, 이때의 충전 노즐(15)은 충전 헤드(29)의 저부로 길게 연장되는 충전관으로 되어, 충전 헤드(29)를 포함하는 업다운 플레이트(26) 전체가 하강할 때 용기의 내부로 진입하여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충전 노즐(15)은 용기 속까지 들어가서 내용물을 토출하여 채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진행라인(11)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4세트의 충전 파트(16)가 마련되어, 2개의 용기에 두 번에 나누어 내용물을 충전하는 예를 보여준다.
즉, 앞선 영역에서는 2세트의 충전 파트(16)에서 2개의 용기에 일정량의 내용물을 충전하고, 곧바로 이어지는 다음 영역에서는 나머지 2세트의 충전 파트(16)에서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져 있는 용기에 나머지 정량의 내용물을 충전하는 방식으로, 충전 공정이 더욱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전 파트(16)의 작업 영역에 용기를 실은 캐리어(13)가 위치되면, 충전용 업다운실린더(25)의 전진 작동에 의해 충전 헤드(29)를 포함하는 업다운 플레이트(26) 전체가 하강하게 되고, 이와 함께 충전 헤드(29)에 있는 충전 노즐(15)이 용기의 넥을 통해 용기 속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충전 노즐(15)을 통한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면서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기의 내부에 미리 정해져 있는 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지게 되면, 충전용 업다운실린더(25)의 후진 작동에 의해 충전 헤드(29)는 물론 업다운 플레이트(26)가 상승하면서 충전 노즐(15) 또한 용기 밖으로 빠져나와 초기 높이로 복귀된다.
이때의 내용물 충전은 용기 속에 들어가 있던 충전 노즐(15)이 위로 상승하는 시점부터 용기 밖으로 빠져나오기 전까지의 과정 동안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충전 노즐(15)을 통한 내용물 토출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맞춰 서보모터충전부(53)로부터의 내용물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그 전에 미리 일정량의 내용물이 충전 헤드(29)측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충전 파트(16)에는 용기 속에 내용물을 충전하기에 앞서 용기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고, 또 충전 노즐(15)의 정확한 진입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충전 가이드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 가이드장치(30)는 충전용 업다운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해 업다운 플레이트(26)와 함께 움직이면서 충전 노즐(15)이 용기 속에 들어가기 전에 용기의 넥부분에 끼워주면서 용기를 흔들리지 않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4세트의 충전파트의 각각의 업다운 플레이트(26)에는 2개의 바(30a)가 양쪽에서 나란하게 수직 관통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바(30a)는 업다운 플레이트(26)의 상면에 있는 원통형의 가이드 블럭(65)을 관통하면서 위아래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30a)에는 바 스톱퍼(66)가 장착되며, 상기 바 스톱퍼(66)가 가이드 블럭(65)의 상단에 걸려짐에 따라 바(30a)의 하향 이동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바(30a)는 가이드 블럭(65)에 바 스톱퍼(66)가 걸려질 때까지만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30a)의 하단에는 플레이트(30c)가 수평자세로 결합되며, 이와 더불어 플레이트(30c)의 뒷쪽으로는 용기의 넥에 끼워지는 홀(30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30c)의 홀(30b)은 충전 노즐(15)이 관통되는 홀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용기 속에 내용물 충전 시 충전용 업다운실린더(25)의 전진작동에 의해 충전 헤드(29)를 포함하는 업다운 플레이트(26) 전체가 하강할 때, 상기 플레이트(30c) 및 바(30a)도 함께 하강하게 되고, 계속해서 충전 노즐(15)보다 아래쪽에 있는 플레이트(30c)의 홀(30b)이 먼저 용기의 넥에 끼워지게 된다.
다음, 충전 헤드(29)를 포함하는 업다운 플레이트(26) 전체가 계속 하강하게 되면, 이때의 플레이트(30c)와 바(30a)는 용기의 넥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플레이트(30c)와 바(30a)는 상대적으로 위로 올라가게 되며, 계속적인 하강에 의해 결국은 충전 노즐(15)이 플레이트(30c)에 있는 홀(30b)을 통해 용기 속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용물 충전이 완료되어 가압용 실린더(27) 및 충전 헤드(29)를 포함하는 업다운 플레이트(26) 전체가 상승할 때, 플레이트(30c)와 바(30a)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와 초기 상태(충전노즐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상태)로 복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인 캡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 캡 파트(18)는 얇은 수지재의 막으로 되어 있는 인 캡을 용기의 넥 상단에 부착하여 용기를 마감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충전 파트(16)의 뒷쪽 영역에는 용기의 넥 상단에 인 캡을 세팅하는 영역과 용기의 넥 상단에 놓여진 인 캡을 압입하는 영역이 조성되고, 앞선 영역에서는 용기 넥 상단에 인 캡이 놓여지는 공정이 수행되고, 그 다음 영역에서는 인 캡을 눌러서 압입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용기의 넥 상단에 인 캡을 세팅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피더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 캡을 공급 및 세팅하는 자동화 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직접 인 캡을 용기 넥 상단에 올려놓는 수작업의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인 캡의 가압 부착을 위한 수단으로 프레스 블럭(17)이 마련되며, 이때의 프레스 블럭(17)은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용기 넥 상단에 있는 인 캡을 위에서 눌러주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의 상판에는 일정높이의 블럭 지지대(68)가 수직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블럭 지지대(68)의 상단부, 즉 캐리어 진행라인(11)이 있는 영역까지 수평 연장되어 있는 끝부분에는 프레스 실린더(69)가 수직 자세로 설치되며, 이때의 프레스 실린더(69)의 로드에 원통형의 프레스 블럭(17)이 결합된다.
이때의 프레스 실린더(69) 및 프레스 블럭(17)은 듀얼 타입으로 이루어져 동시에 2개의 용기에 대한 인 캡 압입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넥 상단에 인 캡이 가(假) 접착되어 있는 용기가 인 캡 파트(18)의 작업 영역에 위치되면, 프레스 실린더(69)의 작동에 의해 프레스 블럭(17)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인 캡을 눌러주게 되므로서, 용기의 넥 상단에 인 캡이 압입되어 접착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아웃 캡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웃 캡 파트(20)는 용기의 넥에 아웃 캡을 자동으로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용기의 넥에 아웃 캡을 세팅(가 체결)하고, 이렇게 세팅되어 있는 아웃 캡을 핑거(19)로 잡고 돌려서 최종 체결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아웃 캡 파트(20)에는 다수의 영역, 즉 용기 한 피치 거리씩 떨어져 있는 2곳 내지 4곳 정도의 아웃 캡 세팅 영역과 2곳의 아웃 캡 체결 영역이 용기 진행방향을 따라 차례로 조성되며, 아웃 캡 세팅 영역에서는 용기의 넥에 아웃 캡을 살짝 체결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아웃 캡 체결 영역에서는 아웃 캡이 완전히 체결되는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아웃 캡의 세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직접 아웃 캡을 용기의 넥에 살짝 체결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수동의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아웃 캡 파트(20)에서는 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핑거 상하 동작 및 핑거 클램핑 동작, 그리고 핑거 회전 동작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아웃 캡을 체결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0)의 상면에는 수직의 포스트(31)가 세워지고, 상기 포스트(31)의 상단부에는 뒷쪽에 스크류 블럭(38)을 가지는 베이스(32)가 수평 자세로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32)의 윗쪽에는 다수의 수직바(84)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 플레이트(85)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2)의 선단부에는 보스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의 중공축(86)이 설치되고, 이때의 중공축(86)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업다운 블럭(87)에 지지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중공축(86)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핑거(19)를 가지는 체결 헤드(34)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 헤드(34)에는 그 원통형 몸체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120°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핑거(19)가 상단 핀 결합구조로 장착되고, 이때의 핑거(19)는 아웃 캡을 잡고 돌리는 수단으로서 대략 "L"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상단이 체결 헤드(34)측에 핀 구조로 지지됨과 더불어 이때의 핀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핑거(19)들은 초기에 각각이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다가 체결시에는 동시에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아웃 캡을 클램핑하고, 이 상태에서 회전함과 더불어 아래로 내려가면서 아웃 캡을 완전히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다양한 크기의 아웃 캡에 골고루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핑거(19)는 충분히 벌어져 있는 초기 자세로 설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웃 캡을 돌려서 체결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서보모터(33)가 마련되고, 이때의 서보모터(33)는 보조 플레이트(85)의 상면에 수직 자세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33)의 축과 중공축(86)의 길이 중간 위치에는 풀리(88a,88b)가 장착되고, 이때의 각 풀리(88a,88b)는 벨트(89)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축(86)에 장착되는 풀리(88b)의 경우 보조 플레이트(85)의 저면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동시에 중공축(86)과는 세레이션 구조로 결속되어, 중공축 상하 이동에 따른 위치 변화시에도 중공축(86)과 결속관계를 유지하면서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보모터(33)가 작동하게 되면 풀리(88a,88b) 및 벨트(89)의 전동에 의해 중공축(86)이 회전하게 되고, 결국 이때의 중공축(86)의 회전에 의해 그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헤드(34) 및 핑거(19)가 회전되면서 아웃 캡을 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헤드(34)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수단으로 보조 플레이트(85)상에 설치되는 업다운 실린더(35)와 이 업다운 실린더(35)의 로드에 연결되는 업다운 블럭(87)이 마련되고, 이때의 업다운 블럭(87)은 다수의 베어링을 매개로 중공축(86)의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업다운 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업다운 블럭(87) 및 중공축(86)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핑거(19) 및 체결헤드(34) 전체가 상승 및 하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핑거(19)를 벌려주기 위한 수단으로 로드(90)가 마련되고, 이때의 로드(90)는 그 상단부가 보조실린더(91)에 의해 체결되어 업다운 블럭(87)상에서 신축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로드(90)의 하단부는 중공축(86)을 동심원상으로 관통하면서 아래로 연장되어 체결헤드(34)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이렇게 연장되는 로드(90)의 하단에는 하측 구면을 이용하여 핑거(19)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캠(92)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업다운 실린더(35)의 작동과 후 로드(90)가 하강 및 상승하면서 그 하단의 캠(92)을 통해 핑거(19)를 오므리거나 다시 벌려줄 수 있게 된다.
즉, 로드 하강시 캠(92)이 각 핑거(19)의 상단부(실질적으로는 상단부에 있는 롤러)를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눌러주게 되고, 결국 핑거(19)는 핀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단이 안쪽으로 오므라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로드 상승시 핑거(19)는 탄지된 스프링에 의해 의해 복귀되어 바깥쪽쪽으로 벌려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업다운 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업다운 블럭(87)이 위아래로 움직임에 따라 중공축(86)도 위아래로 약간 움직일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중공축(86)의 풀리 장착부위가 세레이션 구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89)가 동력을 전달하는데에는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넥 상단에 아웃 캡이 가(假) 체결되어 있는 용기가 아웃 캡 파트(20)의 작업 영역에 위치되면, 후술하는 2개의 클램프 블럭(35)이 용기를 잡아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업다운 실린더(87)의 작동에 의해 핑거(19)를 포함하는 체결 헤드(34) 전체가 하강함과 동시에 로드(90)의 작동에 의해 벌어져 있던 핑거(19)들이 오므라들면서 아웃 캡을 클램핑하게 되며, 계속해서 서보모터(33)의 작동 및 벨트 전동에 의해 중공축(86)이 회전하게 되면서 핑거(19) 및 체결 헤드(34) 전체가 회전하게 되고, 결국 아웃 캡을 잡고 돌려주게 되므로서, 용기의 넥에 아웃 캡의 완전히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웃 캡 파트(20)의 경우, 다양한 규격의 용기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해주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은 핸들(36)을 가지는 스크류바(39)와, 상기 스크류바(39)의 양단 지지를 위한 스크류 플레이트(37a,37b), 그리고 스크류바(39)와 스크류 전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스크류 블럭(3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핸들(36)의 조작에 따른 스크류바(39)와 스크류 블럭(38) 간의 스크류 전동작용에 의해 체결 헤드(34) 및 체결용 실린더(33)를 포함하는 베이스(32) 전체의 위치가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포스트(31)의 상단 부근과 하단 부근에는 높이 조절시 기준체 역할을 하는 스크류 플레이트(37a,37b)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32)의 일측, 예를 들면 포스트(31)에 결합되는 부분의 한쪽 측면부위에는 스크류 블럭(38)이 설치된다.
그리고, 핸들(36)을 가지는 스크류바(39)는 양단을 통해 위아래의 스크류 플레이트(37a,37b)를 동시에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동시에 베이스(32)측에 있는 스크류 블럭(38)과는 스크류 전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즉, 상기 스크류 블럭(38)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홀이 구비되고, 이때의 홀에 스크류바(39)가 나사결합되므로서, 스크류바(39)와 스크류 블럭(38) 간의 스크류 전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의 사양 변경시, 즉 높이가 달라지는 용기를 대상으로 한 아웃 캡 체결시 베이스(32)의 포스트측 체결부위의 볼트를 약간 느슨하게 푼 다음, 작업자가 핸들(38)을 돌리면 스크류바(39)와 스크류 블럭(38) 간의 스크류 전동작용에 의해 체결 헤드(34) 및 서보 모터(33) 등을 포함하는 베이스(32) 전체가 위아래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렇게 높이 조절 후 베이스(32)를 포스트측에 재차 고정시키면, 결국 해당 용기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클램프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의 넥에 아웃 캡을 세팅(가 체결)할 때, 그리고 아웃 캡을 실제 체결할 때 용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수단을 제공한다.
물론, 용기 속에 내용물을 충전할 때나 인 캡을 압입할 때 등과 같은 공정에서는 용기가 캐리어(13)상의 홀더(60)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특히 용기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들 공정에서는 특별히 용기를 잡아주는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 캡 파트(20)의 아웃 캡 세팅 영역 및 아웃 캡 체결 영역에는 각각 한 쌍씩의 클램프장치(40)가 설치되어 각각의 공정 중 용기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 블럭(40a)과 클램프 실린더(40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클램프장치(40)가 이송 파트(14)의 캐리어 진행라인(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즉 한 쌍의 클램프장치(40)가 용기 이송라인을 가운데 두고 본체 폭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이에 따라 그 사이에 용기가 놓여지면 용기 양면을 2개의 클램프 블럭(40a)이 함께 클램핑하여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 실린더(40b)는 본체(10)의 상판에서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실린더 지지대(67)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 블럭(40a)은 판 형태로서 클램프 실린더(40b)의 로드에 설치되어, 실린더 작동시 본체 폭 방향으로 전후진 동작하면서 용기측에 밀착되거나 용기측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의 클램프 블럭(40a)에는 선단부에 대략 "V"모양의 홈(6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부분으로 원형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면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캡 파트(20)의 아웃 탭 세팅 영역에 배치되는 클램프장치(40)의 경우, 1개의 클램프 실린더(40b)가 배치되고, 이 클램프 실린더(40b)의 로드에 용기의 세 피치 간격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길이, 즉 4개의 용기를 동시에 클램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클램프 블럭(40a)이 설치되어, 실린더 작동시 하나의 클램프 블럭(40a)이 네 개의 용기를 동시에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의 클램프 블럭(40a)의 선단부에는 4개의 "V"모양의 홈(61)이 용기 피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장치(40)의 경우에 다양한 규격의 용기를 클램프할 수 있도록 본체 폭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배출 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파트(22)는 아웃 캡 파트(20)의 뒷쪽 영역에 위치되면서 내용물 충전은 물론 인 캡 압입 및 아웃 캡 체결까지 모두 마친 용기를 라인 밖으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서,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선단 구간 상부와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52)에 있는 서브 컨베이어(47)의 선단 구간 상부 사이를 오가는 픽커(21)를 이용하여 용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0)의 상판에는 수직의 포스트 구조물(41)이 세워지게 되고, 상기 포스트 구조물(41)의 상단부에는 본체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LM 장치(4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LM 장치(42)의 슬라이더 전면에는 수평의 배출 플레이트(43)가 후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배출 플레이트(43)에는 수직의 배출 실린더(4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 실린더(44)의 로드는 배출 플레이트(43)를 관통하여 그 저부까지 위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 플레이트(43)의 저부에는 실린더 플레이트(45)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때의 실린더 플레이트(45)는 배출 실린더(44)의 로드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실린더 작동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플레이트(45)는 양쪽의 가이드 바에 의한 동작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플레이트(45)의 저면에는 양쪽에 로드를 가지면서 본체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픽커 실린더(46)가 설치되고, 각각의 픽커 실린더(46)의 양쪽 로드에는 실질적으로 용기를 집어서 옮겨주는 한 쌍의 픽커(2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픽커(21)는 픽커 실린더(46)의 작동에 의해 서로 좁혀졌다가 벌어지는 동작을 통해 용기를 픽업하여 옮긴 후에 놓아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가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선단 구간에 위치되면, 즉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선단 구간에 있는 스톱퍼장치(54)에 의해 용기를 실은 캐리어(13)가 멈추게 되면, 배출 실린더(44)의 전진 작동에 의해 픽커(21) 등을 포함하는 실린더 플레이트(45) 전체가 하강하게 되고, 계속해서 픽커 실린더(46)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픽커(21)가 모여지면서 용기를 픽업하게 된다.
이렇게 용기 픽업 후, 배출 실린더(44)의 후진 작동에 의해 용기를 픽업하고 있는 픽커(21)를 포함하는 실린더 플레이트(45) 전체가 상승하게 되고, 계속해서 LM 장치(42)의 작동에 의해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52)의 서브 컨베이어(47)측으로 이동한 후, 배출 실린더(44)의 전진 작동 및 픽커 실린더(46)의 작동에 의해 픽커(21)가 서브 컨베이어(47) 위에 용기를 놓아주게 되므로서, 용기의 배출과정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용기 배출 후에 픽커(21)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대기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충전장치의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52)는 배출 파트(22)로부터 배출되는 제품을 포장 등의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켜주는 수단으로서, 서브 컨베이어(47), 지지수단으로서의 프레임 구조물(48), 그리고 급속 이송수단으로서의 메인 컨베이어(49) 및 컨베이어 프레임(50),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51)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본체(10)의 후단부에는 배출 파트(22)의 영역에서부터 본체 뒷쪽으로 연장되는 서브 컨베이어(47)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서브 컨베이어(47)의 뒷쪽으로는 서브 컨베이어(47)의 끝과 연접되면서 같은 높이로 계속 이어지는 구조의 프레임 구조물(4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조물(48)에는 본체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동시에 본체 폭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메인 컨베이어(49) 및 컨베이어 프레임(5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메인 컨베이어(49)은 옆으로 세워진 자세를 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기의 양쪽 측면과의 접촉마찰을 통해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컨베이어 프레임(50)의 후단 상면에는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위한 모터(5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51)는 메인 컨베이어(49)의 구동을 위한 모터이고, 서브 컨베이어(47)는 자체적으로 모터(47a)를 구비하여 구동될 수 있거나, 또는 본체측 구동력을 연계하여 구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 파트(22)에 의해 캐리어 회수라인(12)으로부터 배출되는 용기는 서브 컨베이어(47) 위에 놓여져 이송되고, 계속해서 그 끝에 가서 메인 컨베이어(49)의 구간 내로 진입하게 되고, 이렇게 진입한 용기는 벨트 컨베이어 구동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메인 컨베이어(49) 및 컨베이어 프레임(50)은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용기의 사양(크기 등)에 맞게 그때 그때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 컨베이어 프레임(50)의 저면에는 아래로 수직 연장되는 프레임 브라켓(7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브라켓(70)에는 컨베이어 브라켓(71)이 형성되며, 이때의 컨베이어 브라켓(71)에는 핸들을 가지는 스크류 조작봉(72)이 회전가능하게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조작봉(72)과 프레임 브라켓(70)은 스크류 전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스크류 조작봉(72)의 회전 조작시 각 프레임 브라켓(70)을 포함하는 메인 컨베이어(49) 및 컨베이어 프레임(50) 전체가 본체 폭방향으로 좁혀지거나 벌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스크류 조작봉(72)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두 부분이 동시에 존재하여, 핸들 조작시 양쪽의 메인 컨베이어(49) 및 컨베이어 프레임(50) 전체가 본체 폭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움직임을 보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용기의 사양이 변경되어 간격을 다시 설정해야 하는 경우, 작업자가 핸들을 조작하면 한 쌍의 메인 컨베이어(49) 및 컨베이어 프레임(50)이 본체 폭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에 맞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화장품 충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장품 충전공정은 용기 공급, 내용물 충전, 인 캡 압입, 아웃 캡 체결, 용기 배출의 순서로 진행된다.
캐리어 진행라인(11)상에서 각각의 공정을 차례로 거치게 되는 용기는 캐리어(13)에 탑재된 상태에서 이송 파트(14)에 의한 스텝 이송방식으로 두 피치씩 옮겨가면서 공정 영역 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용기를 처음 공급하는 공정, 인 캡을 가(假) 압입하는 공정, 아웃 캡을 가(假) 체결하는 공정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전체 공정 라인에서 용기는 하나의 캐리어(13)에 2개씩 탑재되어 두 피치씩 이송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먼저, 캐리어 회수라인(12)의 후단 구간에서 작업자에 의해 빈 용기가 캐리어(13)상에 탑재되고, 이렇게 용기를 탑재한 캐리어(13)는 트랜스퍼(24)에 의해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선단 구간으로 보내져 본격적으로 각 공정을 위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캐리어 진행라인(11)으로 진입한 캐리어(13)상의 용기는 이송 파트(14)에 의해 충전 파트(16)의 영역으로 이송되어 위치되며, 이곳에서 충전 노즐(15)에 의해 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게 된다.
다음, 내용물 충전을 마친 캐리어(13)상의 용기는 이송 파트(14)에 의해 인 캡 파트(18)의 인 캡 세팅 영역으로 이송되어 위치되며, 이곳에서 작업자에 의해 용기 넥 상단에 인 캡이 가 압입된다.
다음, 인 캡이 가 압입되어 있는 캐리어(13)상의 용기는 이송 파트(14)에 의해 인 캡 파트(18)의 인 캡 압입 영역으로 이송되어 위치되며, 이곳에서 프레스 블럭(17)에 의해 용기 넥 상단에 인 캡이 완전히 압입되면서 용기의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인 캡 압입 후에 캐리어(13)상의 용기는 이송 파트(14)에 의해 아웃 캡 파트(20)의 아웃 캡 세팅 영역으로 이송되어 위치되고, 이곳에서 작업자에 의해 용기 넥에 아웃 캡이 가 체결된다.
다음, 아웃 캡이 가 체결되어 있는 캐리어(13)상의 용기는 이송 파트(14)에 의해 아웃 캡 파트(20)의 영역, 즉 아웃 캡을 완전히 체결하는 영역으로 이송되어 위치되고, 이곳에서 핑거(19)에 의해 용기 넥에 아웃 캡이 체결된다.
다음, 아웃 캡까지의 공정을 모두 거친 캐리어(13)상의 용기는 캐리어 진행라인(11)의 후단 구간에서 트랜스퍼(24)에 의해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선단 구간으로 보내지게 되고, 이렇게 보내진 캐리어(13)상의 용기는 캐리어 회수라인(12)에 있는 스톱퍼장치(54)의 구속에 의해 잠시 이송을 멈추게 되며, 이 상태에서 배출 파트(22)의 픽커(21)에 의해 캐리어(13)에 있던 용기는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52)측으로 옮겨져 배출된다.
그리고, 용기가 빠져나간 빈 캐리어(13)는 캐리어 회수라인(12)을 따라 이송된 후에 라인 후단 구간에 위치되어 멈추게 되고, 이곳에서 새로운 빈 용기를 탑재하여 재차 순환할 수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캐리어 진행라인
12 : 캐리어 회수라인 13 : 캐리어
14 : 이송 파트 15 : 충전 노즐
16 : 충전 파트 17 : 프레스 블럭
18 : 인 캡 파트 19 : 핑거
20 : 아웃 캡 파트 21 : 픽커
22 : 배출 파트 23 : 푸셔
24 : 트랜스퍼 25 : 충전용 실린더
26 : 업다운 플레이트 27 : 가압용 실린더
28 : 내용물 공급포트 29 : 충전 헤드
30 : 충전 가이드장치 30a : 바
30b : 홀 30c : 플레이트
31 : 포스트 32 : 베이스
33 : 서보모터 34 : 체결 헤드
35 : 업다운 실린더 36 : 핸들
37a,37b : 바 플레이트 38 : 스크류 블럭
39 : 스크류바 40 : 클램프장치
40a : 클램프 블럭 40b : 클램프 실린더
41 : 포스트 구조물 42 : LM 장치
43 : 배출 플레이트 44 : 배출 실린더
45 : 실린더 플레이트 46 : 픽커 실린더
47 : 서브 컨베이어 48 : 프레임 구조물
49 : 메인 컨베이어 50 : 컨베이어 프레임
51 : 모터 52 : 제품이송용 컨베이어장치
53 : 서보무터충전부 54 : 스톱퍼장치
55 : 스톱퍼 실린더 56 : 스톱퍼 블럭
57 : 완충기 58 : 블럭체
59 : 캐리어 플레이트 60 : 홀더
61 : 홈 62 : 푸셔 실린더
63a,63b : 가이드 바 64 : 충전관
65 : 가이드 블럭 66 : 바 스톱퍼
67 : 실린더 지지대 68 : 블럭 지지대
69 : 프레스 실린더 70 : 프레임 브라켓
71 : 컨베이어 브라켓 72 : 스크류 조작봉
73 : 구동모터 74 : 샤프트
75 : 샤프트 블럭 76a,76b : 풀리
77 : 벨트 78 : 가이드 바
79 : 무빙 플레이트 80 : 벨트 고정판
81 : 업다운 실린더 82 : 푸셔
83 : 캐리어 리프트 84 : 수직바
85 : 보조 플레이트 86 : 중공축
87 : 업다운 블럭 88a,88b : 풀리
89 : 벨트 90 : 로드
91 : 보조실린더 92 : 캠

Claims (10)

  1. 용기의 공급에서부터 내용물 충전, 인 캡 압입 및 아웃 캡 체결, 그리고 용기의 배출까지의 과정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면에 용기의 이송경로가 조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2열의 캐리어 진행라인(11) 및 캐리어 회수라인(12)을 포함하고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계속 순환하는 캐리어(13)를 이용하여 용기를 각 공정으로 이송시켜주는 이송 파트(14);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충전 노즐(15)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파트(16);
    상기 충전 파트(16)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프레스 블럭(17)을 이용하여 용기의 넥 상단에 인 캡을 압입하는 인 캡 파트(18);
    상기 인 캡 파트(18)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 동작하는 동시에 회전가능한 핑거(19)를 이용하여 아웃 캡을 체결하는 아웃 캡 파트(20);
    상기 아웃 캡 파트(20)의 뒷쪽에서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동시에 직선 이동이 가능한 픽커(21)를 이용하여 용기를 라인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파트(22);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캡 파트(20)는 본체(10)의 상면에 세워지는 포스트(31)와, 상기 포스트(31)에 수평 설치되는 베이스(32)와, 상기 베이스(32)에 설치되는 서보모터(33) 및 중공축(86)과, 상기 서보모터(33)와 중공축(86)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및 풀리와, 상기 중공축(86)에 연결되어 상하 및 회전 함께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다수의 핑거(19)를 가지는 체결 헤드(34)와, 상기 체결 헤드(34) 및 핑거(17)의 동작을 위한 업다운 실린더(35) 및 업다운 블럭(8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파트(14)에 있는 캐리어 진행라인(11)과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선단 구간과 후단 구간에는 본체 폭방향을 왕복하는 푸셔(23)를 이용하여 캐리어(13)를 상대 라인쪽으로 밀어서 보내주는 트랜스퍼(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 파트(14)의 캐리어 진행라인(11)과 캐리어 회수라인(12)에서는 각각 스텝 이송방식과 연속 이송방식으로 캐리어(13)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파트(16)는 본체(1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충전용 업다운실린더(25)와, 상기 충전용 업다운실린더(25)의 로드에 연결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업다운 플레이트(26)와,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26)에 설치되고 아래쪽의 충전 노즐(15), 측면의 내용물 공급포트(28)를 가지면서 용기 속에 내용물을 채우는 충전 헤드(29)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전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파트(16)는 업다운 플레이트(26)상에 설치되고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바(30a)와, 용기의 넥에 끼워지는 홀(30b)을 가지면서 바(30a)의 하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30c)로 구성되어, 내용물 충전에 앞서 용기를 잡아주는 충전 가이드장치(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전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 캡 파트(20)는 높이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핸들(36)을 가지면서 포스트(31)에 설치되는 위아래의 스크류 플레이트(37a,37b)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와 동시에 베이스(32)의 스크류 블럭(38)에 스크류 전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스크류바(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전장치.
  8. 용기의 공급에서부터 내용물 충전, 인 캡 압입 및 아웃 캡 체결, 그리고 용기의 배출까지의 과정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면에 용기의 이송경로가 조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2열의 캐리어 진행라인(11) 및 캐리어 회수라인(12)을 포함하고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계속 순환하는 캐리어(13)를 이용하여 용기를 각 공정으로 이송시켜주는 이송 파트(14);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충전 노즐(15)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파트(16);
    상기 충전 파트(16)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프레스 블럭(17)을 이용하여 용기의 넥 상단에 인 캡을 압입하는 인 캡 파트(18);
    상기 인 캡 파트(18)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 동작하는 동시에 회전가능한 핑거(19)를 이용하여 아웃 캡을 체결하는 아웃 캡 파트(20);
    상기 아웃 캡 파트(20)의 뒷쪽에서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동시에 직선 이동이 가능한 픽커(21)를 이용하여 용기를 라인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파트(22);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파트(14)에 있는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양편에 설치되고, 용기를 잡아주는 클램프 블럭(40a) 및 이 클램프 블럭(40a)을 동작시키는 클램프 실린더(40b)로 구성되어, 라인상의 용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면서 용기의 양쪽을 잡아주는 한 쌍의 클램프장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전장치.
  9. 용기의 공급에서부터 내용물 충전, 인 캡 압입 및 아웃 캡 체결, 그리고 용기의 배출까지의 과정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면에 용기의 이송경로가 조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2열의 캐리어 진행라인(11) 및 캐리어 회수라인(12)을 포함하고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계속 순환하는 캐리어(13)를 이용하여 용기를 각 공정으로 이송시켜주는 이송 파트(14);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충전 노즐(15)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파트(16);
    상기 충전 파트(16)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프레스 블럭(17)을 이용하여 용기의 넥 상단에 인 캡을 압입하는 인 캡 파트(18);
    상기 인 캡 파트(18)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 동작하는 동시에 회전가능한 핑거(19)를 이용하여 아웃 캡을 체결하는 아웃 캡 파트(20);
    상기 아웃 캡 파트(20)의 뒷쪽에서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동시에 직선 이동이 가능한 픽커(21)를 이용하여 용기를 라인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파트(22);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파트(22)는 포스트 구조물(41)에 의해 지지되면서 본체(10)의 상부에서 본체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LM 장치(42)와, 상기 LM 장치(42)의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한 배출 플레이트(43)과, 상기 배출 플레이트(43)에 수직 설치되는 배출 실린더(44)와, 상기 배출 실린더(44)의 로드에 설치되는 실린더 플레이트(45) 및 이 실린더 플레이트(45)의 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픽커 실린더(46)와, 상기 각 픽커 실린더(46)의 양쪽 로드에 설치되어 용기를 픽업하는 한 쌍의 픽커(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전장치.
  10. 용기의 공급에서부터 내용물 충전, 인 캡 압입 및 아웃 캡 체결, 그리고 용기의 배출까지의 과정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면에 용기의 이송경로가 조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2열의 캐리어 진행라인(11) 및 캐리어 회수라인(12)을 포함하고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계속 순환하는 캐리어(13)를 이용하여 용기를 각 공정으로 이송시켜주는 이송 파트(14);
    상기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충전 노즐(15)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파트(16);
    상기 충전 파트(16)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프레스 블럭(17)을 이용하여 용기의 넥 상단에 인 캡을 압입하는 인 캡 파트(18);
    상기 인 캡 파트(18)의 뒷쪽에서 캐리어 진행라인(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 동작하는 동시에 회전가능한 핑거(19)를 이용하여 아웃 캡을 체결하는 아웃 캡 파트(20);
    상기 아웃 캡 파트(20)의 뒷쪽에서 캐리어 회수라인(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는 동시에 직선 이동이 가능한 픽커(21)를 이용하여 용기를 라인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파트(22);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파트(22)로부터 배출되는 제품을 포장 등의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본체(10)의 후단으로 길게 연장되는 서브 컨베이어(47)와, 상기 서브 컨베이어(47)의 끝과 연접되면서 같은 높이로 계속 이어지는 프레임 구조물(48)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48)상에 지지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 컨베이어(49) 및 컨베이어 프레임(50)과, 상기 각 메인 컨베이어(49)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51)로 구성되는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전장치.
KR1020130001324A 2013-01-04 2013-01-04 듀얼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KR102015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324A KR102015662B1 (ko) 2013-01-04 2013-01-04 듀얼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324A KR102015662B1 (ko) 2013-01-04 2013-01-04 듀얼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262A KR20140089262A (ko) 2014-07-14
KR102015662B1 true KR102015662B1 (ko) 2019-08-28

Family

ID=5173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324A KR102015662B1 (ko) 2013-01-04 2013-01-04 듀얼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194A (ko) * 2016-06-08 2017-12-19 (주) 비쥬코스메틱 매니큐어 제조 설비
CN106829834B (zh) * 2017-04-06 2024-09-06 常州市泰瑞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对中夹瓶器伺服夹瓶调节机构
CN112125270A (zh) * 2020-10-15 2020-12-25 珠海市宇星辉科技有限公司 一种纯净水灌装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614B1 (ko) * 1999-03-09 2001-09-24 조명재 화장품액 자동 충전장치
KR20090013318A (ko) 2007-08-01 2009-02-05 (주)아모레퍼시픽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용기 내에 자동 주입하기 위한분사노즐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200455560Y1 (ko) * 2008-10-24 2011-09-1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충진장치
KR20090006156U (ko) 2009-04-30 2009-06-22 (주)아모레퍼시픽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용기 내에 자동 주입하기 위한 분사노즐의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262A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8771B (zh) 具有多个出口的传送系统
CN113479838B (zh) 一种液体灌装设备的使用方法
CN101720302B (zh) 用于处理包装的方法及装置
US20120273324A1 (en) Machine for forming groups of products for the casing thereof
CN103754806A (zh) 直列式旋盖机
CN105129358A (zh) 具有顶升模块的双层皮带线及其运行方法
JPH0752917A (ja) 包装機械
DE102014103671B3 (de) Behälterbehandlungsmaschine sowie Verfahren zum Zu- und/oder Abführen von Behältern zu einer Behälterbehandlungsmaschine
DE20108401U1 (de) Umsetzer
US4854815A (en) Apparatus for feeding a packaging machine with cardboard cut pieces stored in stacks
KR102015662B1 (ko) 듀얼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KR20140089186A (ko) 싱글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EP158455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Gefässen für flüssige und fliessfähige Medien, insbesondere Getränke
DE202020103718U1 (de) Flaschentray und Flaschenbehandlungsanlage
US8899245B2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iners of liquids, and manipulator device for said containers
WO2021191291A1 (de) Reihenbildungsvorrichtung, reihenbildungsverfahren und flaschenbehandlungsanlage
CN203715214U (zh) 一种直列式旋盖机
CN105271096A (zh) 化妆品单线加料装置
CN208655787U (zh) 转盘式全自动软包锂电池注液机
JP2694614B2 (ja) 連続した処理作業箇所に沿って物品搬送具を搬送する装置
CN214296597U (zh) 输液瓶灯检装箱生产线的上料系统
CN214356969U (zh) 输液瓶装箱生产线的瓶体装箱传送装置
CN214241475U (zh) 输液瓶装箱生产线
CN214241362U (zh) 输液瓶的装箱夹取装置
CN214268089U (zh) 输液瓶的传送链板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