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537B1 -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 Google Patents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537B1
KR102015537B1 KR1020190056302A KR20190056302A KR102015537B1 KR 102015537 B1 KR102015537 B1 KR 102015537B1 KR 1020190056302 A KR1020190056302 A KR 1020190056302A KR 20190056302 A KR20190056302 A KR 20190056302A KR 102015537 B1 KR102015537 B1 KR 10201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t
sawdust
livestock
weigh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온
정현빈
Original Assignee
정경온
정현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온, 정현빈 filed Critical 정경온
Priority to KR102019005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5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meat-wastes or from other wastes of animal origin, e.g. skins, hair, hoofs, feathers, bl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05F17/0027
    • C05F17/0288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염된 가축의 사체와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1차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된 사체를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파쇄 단계와, 상기 파쇄된 사체 파쇄물을 250~350℃, 4~6kgf/㎠의 고온, 고압으로 처리하고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하는 랜더링(rendering) 단계와, 상기 유지가 분리된 사체 파쇄물을 150~250℃의 스팀으로 처리하는 살균 단계와,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에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미생물 배양체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된 사체 혼합물을 FRP 탱크에 투입하여 5~7개월간 부숙하는 부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에 의하면,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의 사체를 악취의 발생이나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퇴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t using livestock stamped out and compost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 등에 감염된 소, 돼지, 닭, 오리 등의 가축 사체를 별도의 매몰지가 없더라도, 악취의 발생 없이 효율적으로 퇴비로 제조하는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에 관한 것이다.
조류인플루엔자(AI, Avian Influenza)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닭, 오리, 야생조류에서 발생하며, 드물게는 사람에게서도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을 가리킨다.
그리고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은 소, 돼지, 염소, 사슴, 낙타 등 우제류(발굽이 2개인 동물) 동물의 입과 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긴 뒤 치사율이 5∼55%에 달하는 가축의 제1종 바이러스성 법정전염병이다.
종전과 달리, 최근에는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이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잦다. 실제, 최근에는 해마다 조류인 플루엔자와 구제역이 발생되는 추세이다.
특히,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은 대량으로 사육되는 닭, 돼지, 소 등의 가축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만약 한 마리라도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에 걸리는 경우에는 같이 사육되는 가축, 그리고 그 주변 지역의 가축들을 모두 살처분해야만 한다. 이는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의 전염성이 매우 높이 때문이며, 주변 지역으로의 전염을 완벽하게 차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의 발생이 시작된 초기에는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이 걸린 가축을 단순히 땅에 묻어 살처분 해 왔지만, 상기 매몰법은 침출수로 인한 수질 오염, 매립지 오염, 악취 발생 등의 2차 오염이 야기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9005호에서는 가축의 사체를 바이오스톤, 톱밥 등과 혼합하고, 매몰하여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시하였다. 상기 선등록 특허에서는 살처분 가축을 효과적으로 퇴비화하였지만, 별도의 매몰지가 요구되므로, 매몰지가 부족하거나 폐사 가축에 대한 매몰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퇴비화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악취 및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1969005 B1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의 목적은, 별도의 매몰지가 없더라도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의 사체를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퇴비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염된 가축의 사체를 악취의 발생 또는 토양의 오염 없이 효과적으로 퇴비화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은, 감염된 가축의 사체와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1차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된 사체를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파쇄 단계와, 상기 파쇄된 사체 파쇄물을 250~350℃, 4~6kgf/㎠의 고온, 고압으로 처리하고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하는 랜더링(rendering) 단계와, 상기 유지가 분리된 사체 파쇄물을 150~250℃의 스팀으로 처리하는 살균 단계와,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에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미생물 배양체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된 사체 혼합물을 FRP 탱크에 투입하여 5~7개월간 부숙하는 부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제거제는, 황산구리5수화염(CuSO4·5H2O) 0.0001~10중량%, 사과산 0.1~20중량%, 구아검 0.1~5중량% 및 잔부의 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미생물이 흡착된 상태이며, 상기 미생물 배양체는 락토바실러스, 바실러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미생물에 쌀겨, 두부박, 골분, 깻묵, 어박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물을 첨가하여 배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에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미생물 배양체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알긴산 나트륨 0.01~10중량%, 구연산 칼슘 0.1~10중량%, 비자나무의 잎 추출물 0.1~10중량%, 커피박 추출물 0.1~5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악취제거 및 항균 조성물을 더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사체 혼합물을 FRP 탱크에 투입할 시, 상기 FRP 탱크의 내부에 알톱밥, 규조토, 세리사이트, 알톱밥, 세리사이트를 순차적으로 살포한 후, 상기 사체 혼합물을 투입하고, 다시 세리사이트, 알톱밥 및 퇴비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퇴비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에 의하면,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의 사체를 악취의 발생이나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퇴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 등에 감염되어 살처분된 소, 돼지, 닭, 오리 등을 가축 사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축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별도의 매립지가 없더라도 퇴비화가 가능하며,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악취의 발생이 없으며, 효율적인 공정으로 퇴비화가 가능하다는 데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은, 감염된 가축의 사체와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1차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된 사체를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파쇄 단계와, 상기 파쇄된 사체 파쇄물을 250~350℃, 4~6kgf/㎠의 고온, 고압으로 처리하고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하는 랜더링(rendering) 단계와, 상기 유지가 분리된 사체 파쇄물을 150~250℃의 스팀으로 처리하는 살균 단계와,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에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미생물 배양체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된 사체 혼합물을 FRP 탱크에 투입하여 5~7개월간 부숙하는 부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감염된 가축의 사체와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1차 혼합 단계.
먼저,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에 감염된 소, 돼지, 닭, 오리 등을 농림축산수산부의 구제역 및 AI 긴급행동지침(SOP)에 의하여 안락사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감염된 가축의 사체를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및 악취제거제와 혼합한다. 여기서, 후공정인 파쇄 및 랜더링 단계에 앞서 상기한 보조 성분들을 혼합하는 이유는, 파쇄 및 랜더링 단계에서 다량의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부터 악취의 발생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왕겨 및 톱밥은 퇴비화 공정의 보조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높은 수분 흡수력과 암모니아 흡착력, 공극의 안정성 등이 뛰어나, 악취를 저감시키고 부숙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왕겨와 톱밥을 함께 사용하는 이유는, 수분 흡수 및 암모니아 흡착력이 톱밥이나 왕겨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개선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왕겨로는 구운 왕겨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상기 톱밥으로는 적송을 250℃의 고열로 30분간 건조한 후, 쪼개어 제작한 것으로, 그 입경이 1~5mm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악취를 유발하는 가스를 흡착, 농축시켜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킨다. 상기 제올라이트의 입자크기는 제한하지 않으나, 입경이 1~5mm 정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올라이트는 미생물을 흡착시킨 상태로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러한 미생물을 통해 부숙을 촉진함과 동시에, 상기 제올라이트에 흡착된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가스의 흡착, 제거율을 현저히 높여주기 때문이다. 상기 미생물로는 로도박터 캡슐라타(Rhodobacter capsulata)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흡착방법은 제올라이트에 상기 미생물의 배양액을 폭기를 통하여 접촉시킴으로써, 제올라이트 표면에 미생물을 부착시키는 정도면 족한바, 상기 제올라이트에 미생물을 흡착시키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악취제거제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황산구리5수화염(CuSO4·5H2O) 0.0001~10중량%, 사과산 0.1~20중량%, 구아검 0.1~5중량% 및 잔부의 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황산구리5수화염는 악취를 제거하는 주요 조성으로서, 활성화된 구리이온은 황화수소와 같은 산성취와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중성취를 쉽게 제거하고, 황산이온은 암모니아와 같은 알칼리성취를 빠르게 제거해준다. 상기 사과산은 상기 황산구리5수화염를 구리이온과 황산이온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아검은 활성화된 구리 및 황산이온을 조성물 내 분산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물에 황산구리5수화염를 용해한 후, 이에 사과산을 혼합하면, 상기 황산구리5수화염가 황산이온과 구리이온으로 활성화되고, 이에 다시 구아검을 첨가하면 황산이온과 구리이온이 안정화됨으로써, 우수한 악취제거 효과를 보이게 된다.
여기서, 감염된 가축의 사체와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및 악취제거제의 혼합비는 제한하지 않으나, 상기 감염된 가축의 사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왕겨 10~20중량부, 톱밥 10~20중량부, 제올라이트 5~10중량부 및 악취제거제 0.1~1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악취의 저감에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혼합된 사체를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파쇄 단계
다음으로, 상기 혼합된 사체를 파쇄기로 파쇄한다. 이때, 파쇄 입도는 제한하지 않으나, 입경이 1~10cm 정도면 족하다.
상기 파쇄된 사체 파쇄물을 250~350℃, 4~ 6kgf / ㎠의 고온, 고압으로 처리하고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하는 랜더링 (rendering) 단계.
다음으로, 상기 사체 파쇄물을 250∼350℃ 및 4~6kgf/㎠의 고온, 고압으로 2~4시간 처리하고, 이를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한다. 이러한 랜더링 단계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지가 분리된 사체 파쇄물을 150~250℃의 스팀으로 처리하는 살균 단계.
상기 유지가 분리된 사체 파쇄물을 150~250℃의 스팀으로 5~60초간 처리하여 다시 살균한다.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에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미생물 배양체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
그리고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에 다시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미생물 배양체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한다. 여기서, 상기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및 악취제거제는 상기 1차 혼합 단계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미생물 배양체는 살균된 사체 파쇄물의 생분해를 위한 것으로, 바실러스, 락토바실러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미생물에 유기물을 1:1~1.5중량비로 첨가하여 30~35℃의 혐기 조건에서 5~7일간 배양하고, 이에 다시 유기물을 1:20~50 중량비로 첨가하여 30~35℃의 혐기 조건에서 5~7일간 배양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실러스와 락토바실러스는 미호기성 혹은 통성혐기성 미생물로써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며, 생분해능 역시 우수하여 부숙을 촉진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물로는 쌀겨, 두부박, 골분, 깻묵, 어박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물을 80~150mesh 정도로 분쇄한 후, 150~200℃의 스팀을 1~2분간 가해 잡균을 살균하고, 35~40℃의 열풍을 송풍하여 함수량이 30~40중량%가 되도록 건조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에서 혼합비는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왕겨 20~50중량부, 톱밥 20~50중량부, 제올라이트 10~30중량부, 미생물 배양체 0.01~1중량부 및 악취제거제 1~5중량부임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 함량비를 벗어날 경우 부숙의 진행이 더디거나, 퇴비의 유기물, 질소 등의 함량이 퇴비로서 요구하는 수준을 벗어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혼합된 사체 혼합물을 FRP 탱크에 투입하여 5~7개월간 부숙하는 부숙 단계
다음으로, 상기 혼합된 사체 혼합물을 FRP 탱크에 투입하여 5~7개월간 부숙함으로써 퇴비화한다. 여기서, 상기 FRP 탱크는 사체의 부숙을 위한 저장조로서, 종래 게시된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FRP 탱크는 예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1894호 등에 상세히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살처분된 가축을 매몰지에 매립하여 퇴비화하는 것이 아닌, FRP 탱크에 저장, 부숙하여 퇴비화하는 것으로, 별도의 매몰지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 퇴비화 공정에서 FRP 탱크를 활용하지 못한 이유는, 그 처리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이었는바, 본 발명에서는 랜더링 과정을 통해 유지를 제거한 후 나머지 잔여물을 퇴비화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된 사체 혼합물을 FRP 탱크에 투입할 시, 상기 사체 혼합물만을 투입하여 부숙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FRP 탱크, 즉 사체 혼합물이 투입되는 바디의 내부에 알톱밥, 규조토, 세리사이트, 알톱밥, 세리사이트를 순차적으로 살포한 후, 상기 사체 혼합물을 투입하고, 다시 세리사이트, 알톱밥 및 퇴비를 살포하는 것이다. 이는 악취의 저감 및 빠른 부숙을 위한 것이다.
먼저, 상기 알톱밥은 적송을 250℃의 고열로 30분간 건조과정을 거쳐 살균처리한 후, 쪼개어 제작되는 것으로, 수분 함량은 15% 이하이며, 0.5 ~ 10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사체의 부숙을 돕는 것은 물론, 악취를 제거하고, 수분을 흡수한다.
상기 세리사이트와 규조토는 악취를 저감해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살포되는 퇴비 역시 악취의 저감을 위한 것으로, 종래 일반적은 토사를 덮어주는 것이 비하여 악취의 발생이 현저히 저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퇴비로는 시판 상품 및 기타의 방법으로 제조된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퇴비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살포되는 각 재료의 사용량은 제한하지 않는데, 순차적으로 살포되는 알톱밥, 규조토, 세리사이트, 알톱밥 및 세리사이트를 각각 10~20cm의 높이로 적층한 후, 이에 사체 혼합물을 100~150cm의 높이로 투입하고, 다시 세리사이트, 알톱밥 및 퇴비를 각각 10~20cm 정도로 투입하는 정도면 족하다.
상기와 같이 부숙된 부숙물은 별도의 부재료를 혼합하지 않더라도 FRP 탱크 내 순차적으로 적층된 알톱밥, 규조토, 세리사이트, 퇴비에 의해 바로 퇴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투입된 사체 혼합물은 적층된 알톱밥, 규조토, 세리사이트, 퇴비와 함께 부숙되게 되므로, 부숙 후 이를 균일하게 교반하면 별도의 부재료를 더 혼합하지 않더라도 퇴비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톱밥 및 왕겨를 더 혼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은, 악취의 발생이나 토양오염을 야기시키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퇴비는 유기물 대 질소의 비나, 수은, 비소, 카드뮴, 납, 구리 등의 함량이 기준치 이하이고, 대장균, 살모넬라 등이 검출되지 않아 퇴비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에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미생물 배양체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에서, 알긴산 나트륨 0.01~10중량%, 구연산 칼슘 0.1~10중량%, 비자나무의 잎 추출물 0.1~10중량%, 커피박 추출물 0.1~5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악취제거 및 항균 조성물 1~5중량부를 더 혼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중량부는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알긴산 나트륨, 비자나무의 잎 추출물, 커피박 추출물은 악취가스를 흡수 및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구연산 칼슘은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이산화황, 메틸 머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등과 반응하여 수용성 물질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이러한 물질은 우수한 항균 및 살균 효과를 발휘하여 퇴비 내 대장균 등이 검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비자나무의 잎 추출물, 커피박 추출물의 제조는 일반적인 열수추출의 과정이면 족한바, 시료에 10~20배의 물을 가하고, 40~100℃에서 1~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하는 정도면 족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농축 및 건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조류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어 살처분된 닭을 1000kg에 왕겨 100kg, 톱밥 100kg, 제올라이트 50kg, 악취제거제 2kg을 투입하고, 이를 파쇄기로 파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파쇄된 사체 파쇄물을 250℃, 4kgf/㎠의 조건에서 3시간 처리하고,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하는 랜더링 과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유지가 분리된 사체 파쇄물을 200℃의 스팀으로 30초간 처리하여 살균하고, 살균된 사체 파쇄물 1000kg에 다시 왕겨 300kg, 톱밥 300kg, 제올라이트 100kg, 미생물 배양체 5kg 및 악취제거제 10kg을 혼합하고, 이를 FRP 탱크에 투입하여 6개월간 부숙시켜 퇴비를 제조하였다.
상기 FRP 탱크에 상기한 혼합물을 투입할 시 알톱밥, 규조토, 세리사이트, 알톱밥, 세리사이트를 순차적으로 약 10cm의 높이로 살포한 후, 상기 혼합물을 100cm의 높이로 투입하고, 다시 세리사이트, 알톱밥 및 퇴비를 10cm의 높이로 순차적으로 살포하였으며, 부숙 후에는 상기 탱크 내부의 부숙물과 적층물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퇴비를 제조하였다.
이때, 알톱밥으로는 적송을 250℃의 고열로 30분간 건조과정을 거쳐 살균처리한 후, 5mm의 입경을 갖도록 파쇄한 것(수분 함량 10%)을 사용하였으며, 세리사이트, 규조토는 입경이 1mm인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퇴비는 시판되는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아울러, 상기 왕겨는 왕겨를 100℃에서 30분간 구운 후, 입경이 1mm가 되도록 파쇄한 구운 왕겨(수분 함량 2%)를 사용하였고, 상기 톱밥은 적송을 250℃의 고열로 30분간 건조한 후, 입경이 1mm가 되도록 파쇄한 것(수분함량 8%)을 사용하였으며, 제올라이트는 입경이 1mm인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악취제거제로는 황산구리5수화염 1중량%를 물 97중량%에 녹인 후, 사과산 1중량%를 투입하여 황산구리5수화염를 활성화시키고, 구아검 1중량%를 추가 투입하여 안정화시킨 것을 사용하였고, 미생물 배양체로는 락토바실러스에 유기물을 1:1중량비로 첨가하여 32℃의 혐기 조건에서 5일간 배양하고, 이에 다시 유기물을 1:30 중량비로 첨가하여 32℃의 혐기 조건에서 7일간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유기물로는 쌀겨와 어박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mesh 정도로 분쇄한 후, 200℃의 스팀을 1분간 가해 잡균을 살균하고, 40℃의 열풍을 송풍하여 함수량이 30중량%가 되도록 건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구제역에 의해 감염된 소의 사체를 이용하였다. 아울러, 살균된 사체 파쇄물 1000kg에 다시 왕겨 300kg, 톱밥 300kg, 제올라이트 100kg, 미생물 배양체 5kg 및 악취제거제 10kg을 혼합할 시 악취제거 및 항균 조성물 10kg을 더 혼합하였다.
상기 악취제거 및 항균 조성물로는, 알긴산 나트륨 5중량%, 구연산 칼슘 5중량%, 비자나무의 잎 추출물 1중량%, 커피박 추출물 1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는바, 그 제조방법은 물에 구연산 칼슘을 혼합하고, 잘 교반한 후 약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후, 이에 알긴산 나트륨, 구연산 칼슘, 비자나무의 잎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 을 첨가하여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비자나무 잎 추출물은 비자나무의 건 잎에 20중량배의 물을 가한 후 60℃에서 20시간 추출하여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커피박 추출물은 커피박에 20중량배의 물을 가한 후 60℃에서 20시간 추출하여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상기 FRP 탱크로부터 악취가 발생하는지 유무를 관능검사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2 모두 1주차부터 악취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2주차부터 악취가 전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감염된 가축의 사체와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1차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된 사체를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파쇄 단계와,
    상기 파쇄된 사체 파쇄물을 250~350℃, 4~6kgf/㎠의 고온, 고압으로 처리하고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하는 랜더링(rendering) 단계와,
    상기 유지가 분리된 사체 파쇄물을 150~250℃의 스팀으로 처리하는 살균 단계와,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에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미생물 배양체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된 사체 혼합물을 FRP 탱크에 투입하여 5~7개월간 부숙하는 부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된 사체 파쇄물에 왕겨, 톱밥, 제올라이트, 미생물 배양체 및 악취제거제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알긴산 나트륨 0.01~10중량%, 구연산 칼슘 0.1~10중량%, 비자나무의 잎 추출물 0.1~10중량%, 커피박 추출물 0.1~5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악취제거 및 항균 조성물을 더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사체 혼합물을 FRP 탱크에 투입할 시,
    상기 FRP 탱크의 바디 내부에 알톱밥, 규조토, 세리사이트, 알톱밥, 세리사이트를 순차적으로 살포한 후, 상기 사체 혼합물을 투입하고, 다시 세리사이트, 알톱밥 및 퇴비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제거제는,
    황산구리5수화염(CuSO4·5H2O) 0.0001~10중량%, 사과산 0.1~20중량%, 구아검 0.1~5중량% 및 잔부의 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미생물이 흡착된 상태인 것이며,
    상기 미생물 배양체는,
    락토바실러스, 바실러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미생물에 쌀겨, 두부박, 골분, 깻묵, 어박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물을 첨가하여 배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
KR1020190056302A 2019-05-14 2019-05-14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KR10201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02A KR102015537B1 (ko) 2019-05-14 2019-05-14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02A KR102015537B1 (ko) 2019-05-14 2019-05-14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537B1 true KR102015537B1 (ko) 2019-08-28

Family

ID=6777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302A KR102015537B1 (ko) 2019-05-14 2019-05-14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5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952B1 (ko) * 2020-06-30 2021-02-26 (주)지호산업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CN113042506A (zh) * 2021-03-29 2021-06-29 湖南祥柏生态环保科技有限公司 病死畜禽无害化处理及产物利用综合系统
KR102281355B1 (ko) 2020-12-02 2021-07-2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랜더링된 사체 잔류물을 이용한 콜라겐 액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602947A (zh) * 2022-03-18 2022-06-10 南阳迎盈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病死猪无害化处理的除臭方法
KR102484596B1 (ko) * 2022-04-25 2023-01-04 주식회사 원발효산업 가축분뇨 및 가축 부산물을 이용한 퇴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5406B1 (ko) * 2022-04-25 2023-03-06 주식회사 원발효산업 수평형 스마트 콤포스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콤포스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1250A1 (en) * 2007-02-16 2008-08-21 Vitag Corporation Process for treating sludge and manufacturing bioorganically-augmented high nitrogen-containing inorganic fertilizer
WO2012133989A1 (ko) * 2011-03-25 2012-10-04 Cho Young Doo 친환경 사체 처리장치
KR20150009094A (ko) * 2013-07-15 2015-01-26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청정에너지 농업시스템
KR101623196B1 (ko) * 2015-08-24 2016-05-20 (주)태창바이오텍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KR101796168B1 (ko) * 2017-08-04 2017-11-16 중원환경(주) 동물 사체 비료화 방법
KR101969005B1 (ko) 2019-02-27 2019-04-15 주식회사 그린바이오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1250A1 (en) * 2007-02-16 2008-08-21 Vitag Corporation Process for treating sludge and manufacturing bioorganically-augmented high nitrogen-containing inorganic fertilizer
WO2012133989A1 (ko) * 2011-03-25 2012-10-04 Cho Young Doo 친환경 사체 처리장치
KR20150009094A (ko) * 2013-07-15 2015-01-26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청정에너지 농업시스템
KR101623196B1 (ko) * 2015-08-24 2016-05-20 (주)태창바이오텍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KR101796168B1 (ko) * 2017-08-04 2017-11-16 중원환경(주) 동물 사체 비료화 방법
KR101969005B1 (ko) 2019-02-27 2019-04-15 주식회사 그린바이오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952B1 (ko) * 2020-06-30 2021-02-26 (주)지호산업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KR102281355B1 (ko) 2020-12-02 2021-07-2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랜더링된 사체 잔류물을 이용한 콜라겐 액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042506A (zh) * 2021-03-29 2021-06-29 湖南祥柏生态环保科技有限公司 病死畜禽无害化处理及产物利用综合系统
CN114602947A (zh) * 2022-03-18 2022-06-10 南阳迎盈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病死猪无害化处理的除臭方法
KR102484596B1 (ko) * 2022-04-25 2023-01-04 주식회사 원발효산업 가축분뇨 및 가축 부산물을 이용한 퇴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5406B1 (ko) * 2022-04-25 2023-03-06 주식회사 원발효산업 수평형 스마트 콤포스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콤포스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537B1 (ko)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KR102015472B1 (ko) 친환경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탈취제
JP3505147B2 (ja) 有機廃物を生物改質して変性され無菌の栄養素製品を作り出す方法
US627392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ertilizer made from organic wastes
Kiyasudeen et al. Prospects of organic waste management and the significance of earthworms
CN103896636B (zh) 病死动物尸体及有机废弃物无害化处理方法
KR101989280B1 (ko)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6168B1 (ko) 동물 사체 비료화 방법
KR102196309B1 (ko) 도축 폐기물 처리 및 동애등에 유충 사육방법
KR20170127182A (ko) 유기물이 풍부한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KR101994394B1 (ko) 동물사체 악취 저감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9823A (ko)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KR102484596B1 (ko) 가축분뇨 및 가축 부산물을 이용한 퇴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ekar et al. Trends in patenting and commercial utilisation of poultry farm excreta
KR101671577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101326A (zh) 一种微生物除臭剂
Das et al. Recycling of recalcitrant solid waste from herbal pharmaceutical industry through vermicomposting
KR102244733B1 (ko) 팥물을 활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KR102249167B1 (ko)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1477078B1 (ko) 생약성분을 포함하는 천연 탈취 및 살균제와 그 제조방법
KR101833719B1 (ko) 폐잣송이를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20220069429A (ko) 신바이오틱제제를 이용한 축산 악취 저감 및 가축 생산성 향상 방법
KR100355095B1 (ko) 재(灰)와 인분을 주재로 한 활성 무기질 비료
KR20160018276A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
WO2006087594A1 (en) A process for treatment of meat industry was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