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196B1 -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 Google Patents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196B1
KR101623196B1 KR1020150119030A KR20150119030A KR101623196B1 KR 101623196 B1 KR101623196 B1 KR 101623196B1 KR 1020150119030 A KR1020150119030 A KR 1020150119030A KR 20150119030 A KR20150119030 A KR 20150119030A KR 101623196 B1 KR101623196 B1 KR 10162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r
animal
air
carcass
organ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선
Original Assignee
(주)태창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창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태창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50119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1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01F7/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질병에 감염되어 도살 또는 폐사된 동물의 사체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분해처리함으로써 동물의 사체를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은 동물의 사체를 처리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처리조 내부로 고주파와 수증기를 가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와, 처리조에서 열처리한 동물의 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분쇄단계에서 수거된 유기분쇄물을 축분, 톱밥, 호기성 미생물과 함께 발효기에 투입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발효시켜 상기 유기분쇄물을 퇴비화시키는 퇴비화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Butchery disposal method of animal}
본 발명은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질병에 감염되어 도살 또는 폐사된 동물의 사체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분해처리함으로써 동물의 사체를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 AI 조류인플레인자 등과 같은 전염성이 매우 강한 전염병 발생시 살처분 또는 폐사된 가축의 사체 처리는 현재까지 주로 매몰 처리의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매몰 처리방법은 매몰 장소의 선정이 어렵고, 사후 침출수문제 등으로 인하여 악취와 지하수오염으로 인한 처리비용이 천문학적으로 소요되어도 완벽한 처리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동물을 살처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60878호에는 이동식 동물사체 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동물사체 처리방법은 전염성 병균에 노출된 동물, 또는 전염병에 전염된 동물 및 질병이나 전염병으로 폐사된 동물을 매립하지 않고, 그 발생 지역으로 동물사체 절단용 제1차량, 동물사체 소각용 제2차량 및 집진용 제3차량으로 구성된 차량이 이동하여, 전염병 발생 지역에서 전염성 병균에 노출된 동물, 전염병에 전염된 동물 및 질병이나 전염병으로 폐사된 동물을 직접 소각 처리하여, 매립시 발생되는 2차 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개선하고, 매립 후 전염병의 재발을 방지하며, 또한 매립지역의 주민들의 민원 문제를 개선하며, 매립 시 동원되는 인력들이 각종 전염병에 노출되는 문제점 등을 개선할수 있는 동물사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이동식 동물사체 처리방법은 사체를 소각처리하므로 기존의 매몰처분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소각시 연료비용이 막대함으로써 살처분에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소각 방법은 대상물의 종류와 그 수분의 함유상태에 따라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연소과정에서 미연 물질과 분진, 심한 악취가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제2환경 공해의 문제로 제시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동물사체 처리방법은 동물의 사체를 소각하게 되면 사료, 유지, 퇴비, 연료 등의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60878호: 이동식 동물사체 처리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질병에 감염되어 도살 또는 폐사된 동물의 사체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분해처리하여 동물의 사체를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은 동물의 사체를 처리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상기 처리조 내부로 고주파와 수증기를 가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와; 상기 처리조에서 열처리한 동물의 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수거된 유기분쇄물을 축분, 톱밥, 호기성 미생물과 함께 발효기에 투입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발효시켜 상기 유기분쇄물을 퇴비화시키는 퇴비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기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미생물 담체에 접촉시킨 후 다공성 흡착층을 통과시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악취제거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퇴비화단계는 상기 발효기에 상기 유기분쇄물을 투입하여 상기 유기분쇄물의 무게를 측정한 후 측정된 상기 유기분쇄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축분 및 톱밥의 투입량을 산출한 다음 상기 축분 및 톱밥을 상기 발효기의 내부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분쇄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축분 20 내지 40중량부와 상기 톱밥 30 내지 80중량부의 비로 투입한다.
상기 발효기는 내부에 발효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유기분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설치되고 하부에 퇴비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발효조와, 상기 발효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구동부와, 상기 발효조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제1 및 제 2회전축과,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어 발효조에 저장된 유기분쇄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교반날개와,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교반날개와 함께 회전이 가능한 제 1 및 제 2유체배출날개와, 상기 발효조에 투입된 유기분쇄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계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퇴비화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로 미생물과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유체배출날개에 형성된 분출홀을 통해 미생물과 공기를 상기 발효조의 내부로 투입한다.
본 발명은 질병에 감염되어 도살 또는 폐사된 동물의 사체에 고주파와 수증기를 이용하여 열처리한 후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처리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살처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의 사체를 미생물을 발효시켜 분해하므로 분해된 발효물은 퇴비와 같은 비료로 유용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조의 내부에 투입되는 유기물의 투입량과 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발효시 투입되는 재료들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어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하는 제 1 및 제 2회전축을 통하여 발효조 내부로 공기와 미생물을 공급하므로 호기성 조건에서 미생물과 유기물에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어 발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처리조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발효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2회전축을 통하여 공기 및 미생물을 공급하는 공기 및 미생물공급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악취제거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은 동물의 사체를 처리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처리조 내부로 고주파와 수증기를 가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와, 처리조에서 열처리한 동물의 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수거된 유기분쇄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발효시키는 퇴비화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투입단계에서 도살 또는 폐사된 동물의 사체를 수거하여 처리조에 투입한다.
그리고 처리조 내부로 고주파와 수증기를 가하여 동물의 사체를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를 수행한다.
열처리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조의 모습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처리조(200)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처리조(200)의 상부에는 동물의 사체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호퍼가 마련된다. 투입호퍼는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처리조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처리조(200)의 후면 또는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된다.
처리조(2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배수홀(205)이 형성된 다공판(203)이 설치된다. 그리고 다공판(203)의 상부에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증기분사노즐(210)이 설치된다. 수증기분사노즐(210)은 처리조(2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수증기분사노즐(210)은 처리조(200) 내측면에 고정된 지지바(215)에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증기분사노즐(210)은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와 연결된다. 수증기분사노즐(210)을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의 온도는 80 내지 150℃일 수 있다.
그리고 처리조(200) 내부로 고주파를 조사하기 위해 고주파 발생기가 처리조에 설치된다. 고주파발생기로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마그네트론(미도시)과, 마그네트론과 연결되어 발효조 내부에 설치되는 도파관(220)을 구비한다. 마그네트론은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진회로에 의해 고주파를 생성시켜 도파관(220)으로 방출시킨다.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대략 800MHz 내지 300GHz의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이다.
열처리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수거한 동물의 사체를 처리조(200)에 투입하여 다공판(203) 위에 쌓은 다음 처리조(20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다. 그리고 고온의 수증기를 수증기분사노즐(210)을 통해 처리조(200) 내부로 분사한다. 이때 80 내지 150℃의 수증기를 10 내지 120분 동안 가할 수 있다. 수증기의 온도와 분사시간은 사체의 양과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수증기를 분사한 다음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공급하여 처리조(200) 내부로 고주파를 가한다. 일 예로 800MHz 내지 300GHz의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20 내지 60분 동안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의 수증기와 고주파를 가하여 동물 사체 중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처리조 내부에 무전극식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고주파의 조사와 함께 자외선 광에 의한 살균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무전극식 자외선 램프는 진공관의 내부에 전극을 형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고주파를 조사시킴으로써 자외선이 방출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고밀도의 고주파 전기장 내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는 진공관 내부에 충전된 수은 및 아르곤 등의 기체분자가 여기되어 방전을 일으켜 자외선을 방사하게 된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살균효과는 다양한 세균에 유효하다.
상술한 열처리 과정에서 전염병 원인균의 살균처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유지가 배출된다. 동물의 사체에서 배출되는 유지는 다공판(203)에 형성된 배수홀(206)을 통해 수분과 함께 수집공간(207)에 모인다. 수집공간(207)에 모인 유지와 수분 혼합물은 배출관(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된 유지와 수분 혼합물은 별도의 발효처리과정을 통해 액비로 활용할 수 있다.
동물 사체의 열처리가 완료되면 동물의 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수행한다.
동물의 사체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동물의 사체를 잘게 분쇄한다. 분쇄기로 동물의 뼈까지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를 이용한다. 일 예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쌍의 분쇄롤러 사이로 동물의 사체를 통과시켜 살과 뼈를 잘게 분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쇄단계에서 수거된 분쇄된 동물의 사체 즉, 유기분쇄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발효시키는 퇴비화단계를 수행한다.
퇴비화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발효기의 모습을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고 잇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발효기(10)는 발효조(13)와, 발효조(13) 내부에 투입된 유기분쇄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20)과, 발효조(13)에 투입된 유기분쇄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계량유닛(30)을 구비한다.
발효조(13)는 상부에 유기분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가 설치되고, 하부측에 발효된 퇴비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입구(11)에 유기분쇄물(300)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발효조(13)의 외측에는 엘리베이터(15)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15)의 승강바스켓(17)에 유기분쇄물을 일정량 넣은 다음 엘리베이터(15)를 작동시켜 승강바스켓(17)을 상승시킨다. 상승된 승강바스켓(17)에 수용된 유기분쇄물은 투입구(11)로 낙하하여 발효조(13) 내부로 투입된다.
발효조(13) 하부에는 발효조(1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6)이 설치된다.
계량유닛(30)은 지지프레임(16)의 하부에 설치된다. 계량유닛(30)은 투입구(11)을 통하여 투입되는 유기분쇄물을 계량하기 위한 것이다.
계량유닛(30)은 지지프레임(16)의 하부에 다수가 설치된다. 각 계량유닛(30)은 상부베이스부재(33), 하부베이스부재(35), 상부베이스부재(33)와 하부베이스부재(35)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셀(31)로 이루어진다. 로드셀(31)에 의한 유기분쇄물의 계량은 초기 설정 시 발효조(13)와 지지프레임(16), 교반유닛(20) 등과 같은 장비의 기본무게를 제외한 유기분쇄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세팅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계량유닛(30)은 지지프레임(16)과 발효조(13)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교반유닛(20)은 발효조(13)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6)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구동부(25)(26)와, 발효조(13)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제 1 및 제 2구동부(25)(26)에 의해 회전하며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제1 및 제 2회전축(21)(22)과, 제 1 및 제 2회전축(21)(22)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어 발효조(13)에 저장된 유기분쇄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교반날개(23)(24)과,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21)(22)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교반날개(23)(24)와 함께 회전이 가능한 제 1 및 제 2유체배출날개(42)(46)를 구비한다.
제 1구동부(25)는 제 1회전축(21)을 회전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로서, 지지프레임(16)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와 제 1회전축(21)을 연결하는 조인트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구동부(26)는 제 2회전축(22)을 회전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로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와 제 2회전축(22)을 연결하는 조인트부재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회전축(21)(22)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발효조(13) 내부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 1회전축(21)의 내부에는 제 1연결관로(41)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2회전축(22)의 내부에도 제 2연결관로(45)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회전축(21)(22)의 외주면에는 발효조(13)의 내부에 저장된 유기분쇄물의 발효 시 이를 교반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교반날개(23)(24)들이 각각 설치된다.
제 1회전축(21)에 반경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 1교반날개(23)들과 제 2회전축(22)에 반경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 2교반날개(23)들은 제 1회전축(21)의 외주면과 제 2회전축(22)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제 1 및 제 2교반날개(23)(24)들은 회전 시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제 1,2교반날개(23)(24)는 유기분쇄물의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이울러 임의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이 서로 다른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경사각 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유체배출날개(42)는 제 1회전축(21)에 설치된다. 제 1유체배출날개(4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구조이다. 이러한 제 1유체배출날개(42)의 내부는 제 1연결관로(41)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1유체배출날개(42)에는 다수의 제1분출홀(43)들이 형성된다.
제 2유체배출날개(46)는 제 2회전축(22)에 설치된다. 제 2유체배출날개(46)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구조이다. 이러한 제 2유체배출날개(46)의 내부는 제 2연결관로(45)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2유체배출날개(46)에는 다수의 제2분출홀(47)들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유체배출날개(42)(46)는 후술할 공기 및 미생물 공급유닛(4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미생물을 발효조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제 1 및 제 2유체배출날개(42)(46)는 제 1 및 제 2교반날개(23)(24)와 함께 회전하면서 공기와 미생물을 발효조(13) 내부로 분출시킨다.
공기 및 미생물 공급유닛(40)은 회전하는 제 1 및 제 2회전축(21)(22)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공급관(51)(52)과, 제 1 및 제 2공급관(51)(52)에 연결되어 제 1회전축(51)과 제 2회전축(52)에 공기 또는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60) 및 미생물공급부(70)을 구비한다.
제 1회전축(21)의 상부는 제 1로터리 조인트(93)에 의해 제 1공급관(51)과 연결되고, 제 2회전축(22)의 상단부는 제 2로터리 조인트(95)에 의해 제 2공급관(52)과 연결된다.
미생물공급부(70)는 액상의 미생물 배양액이 저장된 저장탱크로 이루어진다. 미생물공급부(70)는 제 1공급관(51)에 의해 제 1연결관로(41)와 연결된다. 제 1공급관(51)에 설치된 펌프(75)가 제 1연결관로(41)로 미생물 배양액을 이동시킨다. 제 1공급관(51)에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53)가 설치된다.
공압공급부(60)는 송풍기 또는 공기 압축기로 이루어진다. 공압공급부(60)는 제 2공급관(52)에 의해 제 2연결관로(45)와 연결된다. 제 2공급관(52)에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54)가 설치된다.
한편, 발효조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미생물 담체(102)에 접촉시킨 후 다공성 흡착층을 통과시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악취제거유닛(1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악취제거유닛(100)은 발효조 상부에 설치된다. 악취제거유닛(100)은 발효조(13) 상부에 설치되어 발효조(13) 내부와 연통되는 가스배출관(101)과, 가스배출관(101)과 연결되어 악취가 포함된 가스가 유입되는 탈취조(102)와, 탈취조(102)의 일측에 연결되어 악취가 제거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배출관(107)을 구비한다.
탈취조(103)의 내부에는 미생물 담체(103)가 충진된 담체층과, 미생물 담체층과 인접하게 형성된 다공성 흡착층(104)과, 다공성 흡착층(104)과 인접하게 형성된 필터층(105)이 마련되어 있다.
미생물 담체(103)에는 악취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공지의 미생물들이 담지되어 있다. 그리고 다공성 흡착층(104)은 제올라이트와 같은 다공성 세라믹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층(1050은 다수 겹의 부직포 사이에 활성탄 분말이 충전된 구조이다.
상기의 악취제거유닛(100)에 의해 발효조에서 발생되는 악취성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발효기를 이용한 퇴비화단계를 설명한다.
분쇄단계에서 수거된 유기분쇄물을 축분, 톱밥, 호기성 미생물과 함께 발효조(13)에 투입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발효시킨다. 이를 위해 먼저 유기분쇄물을 먼저 발효조(13)에 투입한다. 발효조(13)에 투입된 유기분쇄물은 계량유닛(30)에 의해 무게가 측정된다. 측정된 유기분쇄물의 무게에 따라 축분 및 톱밥의 투입량을 산출한 후 적절한 양의 축분 및 톱밥을 발효조(13)의 내부에 투입한다.
가령, 유기분쇄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축분 20 내지 40중량부와 톱밥 30 내지 80중량부의 비로 투입할 수 있다.
발효조에 유기분쇄물, 축분, 톱밥을 투입한 후 교반유닛(20)을 작동시켜 내부의 내용물들을 골고루 교반시킨다. 그리고 유기분쇄물을 호기성 조건에서 발효시키기 위해 호기성 미생물과 공기를 발효조(13)로 공급한다.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회전축(21)(22)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연결관로(41)(45)로 미생물과 공기를 공급하여 제 1 및 제 2유체배출날개(42)(46)에 형성된 분출홀을 통해 미생물과 공기를 발효조의 내부로 투입한다.
가령, 미생물공급부(70)에서 공급되는 미생물은 제 1공급관(51)을 통해 제 1회전축(21)의 내부에 설치된 제 1연결관로(41)로 유입된다. 제 1연결관로(41)로 유입된 미생물은 제 1유체배출날개(42)의 제 1분출홀(43)을 통해 발효조(13) 내부로 분출된다. 그리고 고압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제 2공급관(52)을 통해 제 2회전축(22)의 내부에 설치된 제 2연결관(45)으로 유입된다. 제 2연결관(45)으로 유입된 미생물은 제 2유체배출날개(46)의 제 2분출홀(47)을 통해 발효조(13) 내부로 분출된다. 제 1공급관(51) 및 제 2공급관(52)에 설치된 밸브(53)(54)를 조작하여 공기와 미생물은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생물로 동물의 사체를 분해할 수 있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기성 미생물의 일 예로 로도슈도마나스(Rhodopsudomonas), 로도스피릴룸(Rhodospirillum),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물의 사체를 호기조건에서 분해처리함으로써 사체 분해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미생물을 발효조(13) 내부로 적정량 공급한 후 10 내지 30일 동안 발효시켜 퇴비화시킨다. 발효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교반유닛을 작동시켜 유기분쇄물을 교반하면서 공기를 공급한다. 가령, 교반 주기는 1일당 2시간, 교반속도는 분당 10회전으로 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호기성 조건에서 유기성 분쇄물을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 즉, 퇴비는 배출부(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동물의 사체를 미생물을 발효시켜 분해하므로 분해된 발효물을 퇴비와 같은 비료로 유용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발효기 13: 발효조
20: 교반유닛 21: 제 1회전축
22: 제 2회전축 25: 제 1구동부
26: 제 2구동부 30: 계량유닛
40: 공기 및 미생물공급유닛 100: 악취제거유닛
200: 처리조 203: 다공판
210: 수증기분사노즐

Claims (5)

  1. 동물의 사체를 처리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상기 처리조 내부로 고주파와 수증기를 가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와;
    상기 처리조에서 열처리한 동물의 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수거된 유기분쇄물을 축분, 톱밥, 호기성 미생물과 함께 발효기에 투입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발효시켜 상기 유기분쇄물을 퇴비화시키는 퇴비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기는 내부에 발효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유기분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설치되고 하부에 퇴비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발효조와, 상기 발효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구동부와, 상기 발효조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내부에 제 1 및 제 2연결관로가 형성된 제1 및 제 2회전축과,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발효조에 저장된 유기분쇄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교반날개와,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연결관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교반날개와 함께 회전이 가능한 제 1 및 제 2유체배출날개와, 상기 제 1 및 제 2유체배출날개에 다수로 형성된 제 1 및 제 2분출홀들과, 상기 발효조에 투입된 유기분쇄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계량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유체배출날개를 통해 상기 발효조 내부로 공기와 미생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및 미생물공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및 미생물공급유닛은 상기 제 1회전축의 상부와 제 1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제 1공급관과, 상기 제 2회전축의 상부와 제 2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제 2공급관과, 상기 제 1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 1연결관로로 액상의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공급부와, 상기 제 2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 2연결관로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와, 상기 제 1 및 제 2공급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공급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퇴비화단계는 상기 미생물공급부에서 상기 제 1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 1연결관로로 미생물을 유입시켜 상기 제 1유체배출날개의 제 1분출홀로 미생물을 분출시켜 상기 발효조 내부로 미생물을 공급하고,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상기 제 2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 2연결관로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제 2유체배출날개의 제 2분출홀로 공기를 분출시켜 상기 발효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및 제 2공급관에 설치된 상기 밸브를 조작하여 상기 발효조 내부로 미생물과 공기를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기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미생물 담체에 접촉시킨 후 다공성 흡착층을 통과시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악취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화단계는 상기 발효기에 상기 유기분쇄물을 투입하여 상기 유기분쇄물의 무게를 측정한 후 측정된 상기 유기분쇄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축분 및 톱밥의 투입량을 산출한 다음 상기 축분 및 톱밥을 상기 발효기의 내부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분쇄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축분 20 내지 40중량부와 상기 톱밥 30 내지 80중량부의 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5. 삭제
KR1020150119030A 2015-08-24 2015-08-24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Active KR10162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30A KR101623196B1 (ko) 2015-08-24 2015-08-24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30A KR101623196B1 (ko) 2015-08-24 2015-08-24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196B1 true KR101623196B1 (ko) 2016-05-20

Family

ID=5610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030A Active KR101623196B1 (ko) 2015-08-24 2015-08-24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1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937B1 (ko) * 2016-05-25 2018-02-26 정은희 사축 잔류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KR101998184B1 (ko) * 2018-09-17 2019-07-09 유광열 동물 사체의 재처리 퇴비화 시스템
KR102015537B1 (ko) * 2019-05-14 2019-08-28 정경온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KR102027562B1 (ko) * 2018-08-22 2019-10-01 오태길 폐사체 분해 및 발효 촉진시스템
KR102150919B1 (ko) * 2020-02-25 2020-09-03 정응식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동물사체의 비매몰 방식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고속퇴비화 장치
KR20210108531A (ko) * 2020-02-25 2021-09-03 정응식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되어 매몰된 동물사체의 매몰지 소멸화 고속처리공정
CN116692279A (zh) * 2023-07-28 2023-09-05 邦基(山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乳猪复合预混合饲料存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741B1 (ko) * 2011-02-22 2011-08-30 주식회사 현진기업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도살처분 방법 및 도살처분 장치, 이를 이용한 사체 유기물의 퇴비화방법
KR101478492B1 (ko) * 2014-09-26 2015-01-02 장병민 반려동물 사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741B1 (ko) * 2011-02-22 2011-08-30 주식회사 현진기업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도살처분 방법 및 도살처분 장치, 이를 이용한 사체 유기물의 퇴비화방법
KR101478492B1 (ko) * 2014-09-26 2015-01-02 장병민 반려동물 사체처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937B1 (ko) * 2016-05-25 2018-02-26 정은희 사축 잔류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KR102027562B1 (ko) * 2018-08-22 2019-10-01 오태길 폐사체 분해 및 발효 촉진시스템
KR101998184B1 (ko) * 2018-09-17 2019-07-09 유광열 동물 사체의 재처리 퇴비화 시스템
KR102015537B1 (ko) * 2019-05-14 2019-08-28 정경온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KR102150919B1 (ko) * 2020-02-25 2020-09-03 정응식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동물사체의 비매몰 방식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고속퇴비화 장치
KR20210108531A (ko) * 2020-02-25 2021-09-03 정응식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되어 매몰된 동물사체의 매몰지 소멸화 고속처리공정
KR102324767B1 (ko) 2020-02-25 2021-11-10 정응식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되어 매몰된 동물사체의 매몰지 소멸화 고속처리공정
CN116692279A (zh) * 2023-07-28 2023-09-05 邦基(山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乳猪复合预混合饲料存储装置
CN116692279B (zh) * 2023-07-28 2023-09-26 邦基(山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乳猪复合预混合饲料存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196B1 (ko)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US20240080950A1 (en) Microwave waste heating system and related features
KR100850033B1 (ko) 유기물 처리 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907591B1 (ko) 동물 사체 처리용 반응조 및 이를 이용한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101337393B1 (ko)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장치용 반응조
KR20130033885A (ko) 감염성 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시스템
WO2022250663A1 (en) Microwave waste heating system
CN105770961A (zh) 医疗废物及生物废物的臭氧消毒处理装置
KR200470568Y1 (ko)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374388B1 (ko) 음식물 쓰레기와 축산 폐기물 처리 장치
KR10028907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차량
JP2006272203A (ja) 使用済み紙おむつの処理装置
KR101947448B1 (ko) 구제역 및 ai의 사체 처리 및 매몰지 토양 복원 플랜트 장치
KR101429210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밀폐형 시스템
CN209464371U (zh) 一种医疗废弃物处理罐的清理装置
CN110668851A (zh) 有机垃圾的分类处理方法及装置
KR20120103790A (ko) 가축 매몰처분 사체에 의한 토양오염방지 처리방법
JP2003126899A (ja) 有機質ケーキの熱処理装置及び熱処理方法
KR102237796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102237795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77695B1 (ko) 바이오매스/폐기물의 생물 유기화학성 토양 강화제 및개량제와 연료로의 전환을 위한 장치 및 공정
JP2004113911A (ja) 有機廃棄物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