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952B1 -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952B1
KR102220952B1 KR1020200079742A KR20200079742A KR102220952B1 KR 102220952 B1 KR102220952 B1 KR 102220952B1 KR 1020200079742 A KR1020200079742 A KR 1020200079742A KR 20200079742 A KR20200079742 A KR 20200079742A KR 102220952 B1 KR102220952 B1 KR 102220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casses
livestock
weight
parts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이준창
Original Assignee
(주)지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호산업 filed Critical (주)지호산업
Priority to KR102020007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7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derived products of animal origin or their wastes, e.g. leather, dairy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10Addition or removal of substances other than water or air to or from the material during the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사 후 매몰지에 매몰된 가축의 사체를 발효하여 퇴비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축사체를 파분쇄한 후 기능성제를 투입하여 발효효율을 높이고,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가축사체로부터 배출되는 침출수를 수거하고 수거된 침출수에 기능성제를 혼합하여 퇴비를 형성함으로써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파쇄 및 발효 과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폐가축 매몰지로부터 가축사체와 침출수를 수거한 후 침출수는 액상탱크로 이동시키고 가축사체는 가공라인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가공라인으로 이동한 가축사체는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하는 단계; 상기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된 가축사체에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를 포함한 기능성제를 혼합하여 유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유기성 혼합물을 냉각 및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는, 각각 가축사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수분흡수제는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발열제는 10 내지 45 중량부, 상기 악취제거제는 1 내지 4 중량부, 상기 pH조절제는 3 내지 7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Compost manufacturing method with Livestock carcasses}
본 발명은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사 후 매몰지에 매몰된 가축의 사체를 발효하여 퇴비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축사체를 파분쇄한 후 기능성제를 투입하여 발효효율을 높이고,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가축사체로부터 배출되는 침출수를 수거하고 수거된 침출수에 기능성제를 혼합하여 퇴비를 형성함으로써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파쇄 및 발효 과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로 기업화 된 축산산업에서 사육 중인 가축이 구제역과 같은 급성전염병에 감염되는 경우 해당 축사 및 주위의 축사에서 사육 중인 가축을 모두 매장하고 있다.
즉 치사율이 5~55%에 달하는 급성전염병의 경우 그 치료법이 특별히 제시되고 있지 않아 일단 전염이 된 가축이 있는 경우 전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해당 축사 또는 그 주위 축사에서 사육 중인 가축을 매몰처리하고 있으나, 반복되는 대량의 매몰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 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종래 제안된 처리 방법으로는 가축 폐사체를 소각처리하는 방법이 있는데, 매몰지로부터 가축 폐사체를 수거한 이후 고정형 소각로로 이송하여 가축 폐사체를 소각하거나 이동식 소각로를 매몰지로 이동시킨 후 가축 폐사체를 소각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형 소각로 및 이동식 소각로는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환경 오염물질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고정형 소각로의 경우 가축 폐사체를 고정형 소각로까지 이송하기 위한 별도의 운송수단이 필요하여 이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식 소각로의 경우 소각로의 크기가 제한적인데 즉 시간당 최대 600kg ~ 1000kg 정도이기 때문에 대량의 가축 폐사체를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정형 소각로 및 이동식 소각로 모두 소각로를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해서 경유를 사용하는데 경유를 사용하여 소각로를 가열하는 경우 발생하는 매연에 의한 대기 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축사체로부터 발생하는 침출수로 인한 심각한 토양오염 및 지하수 오염의 문제가 있고, 이러한 침출수를 수거한 후 살균 및 희석하여 해양에 투기하거나 토양에 매립하고 있는데, 이러한 해양투기 또는 토양매립은 2차, 3차적인 환경 오염을 야기시킨다.
즉 땅에 매립한 후 시간이 지나면 부폐과정이 심각하게 진행되어 토양이 오염되고,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는 물론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7222호(2018.09.04.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수평형 유기성 폐기물 고속 발효 교반장치’에 관한것으로, 원통형 탱크에 가축사체를 투입한 후 원통형 탱크에 열풍을 공급하여 미생물이 활동하는 활동온도를 형성하여 미생물에 의한 발효를 촉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원통형 탱크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의 활동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소요되는 에너지의 낭비가 심하고 이로 인한 비용의 증가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축매몰지가 조성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제역, 조류독감과 같이 공기전파형 가축질병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 중 가장 손쉽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인데, 매몰지를 이용하는 경우 소규모 축사의 경우 효율적으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나 대규모 축사의 경우 심각한 환경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부실하게 조성된 매몰지에서 누출되는 침출수는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오염된 지하수가 하류로 유하되어 지표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2001년 영국(UK)에서 구제역으로 인한 대규모 사축(가축의 사체) 발생시 노천소각 등 검증되지 않은 사체처리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농경지 다이옥신 오염과 같은 환경오염뿐 아니라 질병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방역(biosecurity)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가 유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Glanville et al., Gwyther et al., 2011)
또한 McClaskey(2014)의 연구에 따르면 매몰된 사축은 5년에서 최대 10년가지 분해 과정이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규모로 매몰된 사체는 수년이 경과한 이후에도 체액유실 외 큰 부폐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관찰되었다.(Scudamore et al., 2002) 매몰지에서 발생한 침출수의 고농도 유기물로 인한 토양 지하수 오염뿐 아니라 사체에서 발생한 병원균과 바이러스로 인한 오염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그리고 Kim et al.(2012)은 침출수에서 발생한 박테리아와 장 바이러스가 토양과 지하수 환경에서 장시간 생존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로 인한 지하수 오염에 대하여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가하였다. 또한 Gwyther et al.(2011)는 매몰지 주변 지하수 이용관정을 사용하는 제품과 식수를 통한 병원균의 잠재적 노출에 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매몰지는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켜 국민보건을 위협하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에서 가축매몰지의 환경오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계기를 살펴보면 2010~2011년 발생한 구제역을 처리하는 과정이였는데,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2010년부터 현재까지 약 6000여개 매몰지가 조성된 이후 약 4700개 매몰지가 사체 분해 확인없이 관리해제 되었으며 2017년 11월 기준 약 1100여개 매몰지에 대하여 주기적인 지하수 분석 등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MAFRA, 2017a; MAFRA, 2017b).
또한 매몰지에 의한 환경오염 우려에도 불구하고 2016년 1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발생한 조류독감 630개 농장 중 500개소는 매몰처리, 130개소는 렌더링 등 비매몰처리 되었다(Namuwiki,2018)
매몰한 후 3년간의 발굴금지 기간이 종료되는 즉시 매몰지를 소멸시키려는 요구가 높은데, 가축매몰지의 조성과 관리의 관련된 이해관계자가 축주, 토지주, 정부, 지자체 등 다양하므로 그들간 이해가 충돌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축주와 토지주는 매몰지를 조기 소멸하고 부지 재사용을 희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매몰지의 소멸, 매몰부지 재사용과 관련된 행적적, 기술적인 기반은 취약한데, 공기로 전파되는 가축질병 확산과 관련되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시하는 ‘가축매몰지 사후관리지침’에 따르면 발굴금지기간에도 병원체가 음성인 경우 발굴하여 열처리, 소각이 가능하다.(MAFRA, 2017b) 매몰지 소멸처리를 위한 미분해 사체 처리 방법에 따르면 관측정 수질측정 및 병원체 검사 결과 이상이 없으나 미분해 사체가 남아 있는 가축 매몰지는 미분해 사체 및 잔존물을 전부 발굴한 후 소각 또는 열처리하거나 농장내 퇴비장에서 퇴비와 교반처리를 허용하고 있으며 가축사체와 열처리 부산물을 이용하여 1일 평균 1.5톤 이하의 부산물비료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MAFRA, 2017b)
열처리는 병원성폐기물 전처리에 사용되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가 아니라 실무에서는 대부분 렌더링을 지칭하는데 규격이 없고 사축을 이용한 퇴비의 품질 기준이 없기 때문에 혼란이 발생하고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이 없고 품질 기준이 없기 때문에 적법한 최종처분은 매우 어렵다.
물론 동물의 사체가 가축전염병으로 발생되었다면 가축전염병예방법(MAFRA, 2017c)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처리하여야 하며, 동물의 사체가 전염병에 의하여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폐기물관리법(MOE, 2017a)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여기서 가축전염병으로 주은 경우가 아닌 동물의 사체가 ‘폐기물 관리법 시행령 제2조’의 규정(MOE, 2016)에 의한 사업장에서 발생하였다면 사업장폐기물에 해당되어 소각하거나 관리형 매립시설에 매립하여야 하고, 폐기물 관리법 시행령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사업장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생활폐기물로 분류되어 자치단체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축을 관리형 매립지에 매립하는 것은 반입조차 어렵고 소각 역시 일반 소각시설을 이용하기 어려워 자체 설비를 갖추거나 위탁처리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0~2011년 구제역 발생시 조성된 매몰지를 2018년부터 순차적으로 소멸할 예정인데(MAFRA, 2018a)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조물 처리방법 및 그 과정의 환경영향에 대한 검토가 미흡하다.
일반매몰은 사체처분을 위하여 토양을 굴삭하고 바닥 및 측면에 비닐을 포설한 후 침출수 저류조 및 유 공관을 설치하고 사체를 투입한 후, 매몰지 상부에 성토를 하고 불투수재를 포설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저 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원인병원균을 차폐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침출수누출 우려가 높다. 관리기간이 경과된 일반매몰지를 소멸시키는 경우 발생가능한 잔존물은 미분해된 사축, 매몰지 조성시 사용된 폐비닐, 누출된 침출수와 혼합된 토양이다. 실 제 소멸사례를 검토하여 보면, 미분해 사축만을 선택 적으로 제거시킬 방법은 없으며, 미분해사축, 토양, 폐 비닐이 혼합되어 매몰된 사축체적의 수배~수십배에 이르는 매몰지폐기물이 배출된다
사체 자체는 약 70%의 수분을 함유한 부패성 유기물질 이므로 매몰된 가축 사체에는 병원성미생물과 바이러스 가 존재하며 사체 매몰 후 부패과정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와 여기에 함유되어있는 미생물을 비롯한 각종 오염물질의 영향으로 매몰지 주변의 토양 및 수계환경은 오염의 위험성을 내포한다.
가축매몰에 따른 환경오염 관리방안(MOE, 2017b)에 따르면 침출수내 존재할 가능 성 있는 병원균으로는 E.coli 0157:H7, Campylobacter, Salmonella, Leptospira, Clostrdium, Crystosporidium, Giardia, 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prions (광우병유발 단백질)가 있으며, 수질오염을 나타내는 대 표적인 지표세균으로는 분원성대장균군(Fecal coliform), 분원성 연쇄상구균(Fecal streptococci), Shigella가 있다. 또한 사축에 존재하는 미분해 항생제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데 매몰지에서 주변 환경으로 유입된 항생물질은 자체의 독성뿐만 아니라 인간과 환경을 위협하는 강한 내성을 가지는 병원균들을 생성할 수 있어 보건상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즉, 일반 매몰지를 소멸시키는 경우, 보건상 위해를 미치는 병원균과 항생제가 포함된 토양과 병원성폐기물이 다량 발생하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미생물처리 매몰지는 매몰지 조성시 사축부패를 가속시키기 위한 미생물을 추가하는 방법이며,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MAFRA, 2016), 구제역 긴급 행동지침(MAFRA, 2018b)에 예시된 호기성호열미생물을 이용한 가축사체 매몰방법이 다수 적용된 바 있 다. 이는 사축과 유용미생물, 왕겨 등의 부숙재를 이용하여 매몰하는 방법이며 미생물 증식을 이용하여 가축사체를 분해하며 분해중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병원균 사멸을 유도한다. 사체량에 비하여 주입하는 공기량이 적고 교반하지 않으므로 사체분해가 완료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관리기간 이후 잔존물 소멸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매몰지를 소멸시킬 경우 발생되는 잔존물의 형태는 미분해사축과 부숙재의 혼합 물이며, 침출수 누출이 확인된 일반매몰지를 이설하여 미생물처리하여 재매몰한 경우, 일반매몰지 잔존 물과 유사한 미분해사축, 부숙재, 폐비닐, 토양이 혼합 된 형태로 발생한다
대형액비저장조 또는 간이 FRP저장조를 이용하여 사축을 매몰한 경우 관리기간이 경과된 후 소멸시 발생할 수 있는 잔존물은 미분해사축, 저장조폐기물 등이다. 일반 매몰지를 이설하여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FRP, PE (PoluEthylene) 재질 저장조로 이설한 경우, 일반매몰지와 유사한 잔존폐기물이 발생하고, 질병발생시 사축을 직접 매몰한 경우, 미분해사축이 발생한다. 저장조를 이용한 매몰지 이설사례를 고찰하여 보면 사축분해가 완료된 경우는 드물며, 함수율이 낮은 미분해 사축과 다량의 폐자재가 발생한다. 또한 이설 시 저장조가 파괴되므로 도리어 일반매몰지에 비하여 소멸이 까다롭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72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74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0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2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폐사 후 매몰지에 매몰된 가축의 사체를 발효하여 퇴비를 형성하되, 가축사체를 파분쇄한 후 기능성제를 투입하여 발효효율을 높이고,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가축사체로부터 배출되는 침출수를 수거하고 수거된 침출수에 기능성제를 혼합하여 퇴비를 형성함으로써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파쇄 및 발효 과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가축 매몰지로부터 가축사체와 침출수를 수거한 후 침출수는 액상탱크로 이동시키고 가축사체는 가공라인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가공라인으로 이동한 가축사체는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하는 단계;
상기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된 가축사체에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를 포함한 기능성제를 혼합하여 유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유기성 혼합물을 냉각 및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는,
각각 가축사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수분흡수제는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발열제는 10 내지 45 중량부, 상기 악취제거제는 1 내지 4 중량부, 상기 pH조절제는 3 내지 7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흡수제는, 125㎛ 이하의 크기를 갖는 미분 코코피트 20중량부와, 125㎛ 이하의 크기를 갖는 미분 건조톱밥 50중량부와, 미분 왕겨 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발열제는, 경소돌로마이트, 탄산칼슘, 소석회, 탈황석고 중 어느 하나를 30 내지 40 중량부, 황산제1철 수화물, 염화철 수화물, 산성백토폐액 중 어느 하나를 60 내지 70 중량부 혼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악취제거제는, 황산알루미늄(AI2(SO4)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pH조절제는, 생석회, 소석회, 슬래그 분말, 경소 돌로마이트, 하소 돌로마이트, 시멘트 또는 황산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능성제를 투입하고 24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분쇄 단계에서, 상기 파분쇄장치는,
내부에 가축사체를 파분쇄하는 파분쇄모듈이 배치된 통로와, 상기 통로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축사체가 투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파분쇄모듈을 통해 파분쇄된 가축사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의 통로측으로 상기 기능성제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바디의 통로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라인 및
상기 바디의 하방에 배치되어 바디의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파분쇄모듈은,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이동용 나선이 구비된 이동용 스크류와,
상기 이동용 스크류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파쇄암이 구비된 파쇄구와,
상기 이동용 스크류의 하방에서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파쇄되는 가축사체로부터 배출되는 액상형 분비물이 통과하는 메쉬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디의 바닥면은 상기 출구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메쉬망을 통과한 액상형 분비물을 상기 출구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판의 일단부에는 상기 출구를 향해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의 배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에는 액상형 분비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판의 타단부측을 향해 확장 형성된 루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매몰지에 매몰된 가축사체와 침출수를 분리수거한 후 가축사체를 일정한 크기를 가지도록 파분쇄한 후 기능성제를 투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악취저감 및 부숙촉진은 물론 별도의 열풍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축사체와 침출수를 발효 처리하는 공정 시간을 최소화하여 단시간에
또한 본 발명은 가축사체 이외에도 도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농축산부산물을 파분쇄 후 기능성제를 투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가축부숙물의 폐기량을 줄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축사체, 침출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배출을 최소화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파분쇄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안내판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은, 폐가축 매몰지로부터 가축사체와 침출수를 수거한 후 침출수는 액상탱크로 이동시키고 가축사체는 가공라인으로 이동하는 단계(S10)와, 상기 가공라인으로 이동한 가축사체는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하는 단계(S20)와, 상기 기능성제를 투입하고 24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S30)와, 상기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된 가축사체에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를 포함한 기능성제를 혼합하여 유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40) 및 제조된 유기성 혼합물을 냉각 및 숙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각 단계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폐가축 매몰지로부터 가축사체와 침출수를 수거한 후 침출수는 액상탱크로 이동시키고 가축사체는 가공라인으로 이동하는 단계(S10)는, 폐가축이 매몰된 매몰지에서 가축사체와 침출수를 수거하되 침출수는 별도의 액상탱크로 이동시켜 수거하고, 가축사체만을 가공라인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가공라인은 후술하는 파분쇄장치, 투입호퍼, 반응기, 스크린, 저장조, 안정화조를 포함한 것으로 매몰지에서 수거한 가축사체를 퇴비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이다.
상기 가축사체를 가공라인으로 이동하는 단계(S10)에서는 매몰지에서 수거한 가축 사체를 파분쇄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투입호퍼로 투입하여 가축 사체가 파분쇄장치로 일정한 속도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액상탱크는 침출수를 수거하여 임시 저장하는 것으로 소정 저장용량이 형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가공라인으로 이동한 가축사체는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하는 단계(S20)는, 매몰지에서 수거한 가축사체를 파분쇄장치로 투입하여 파분쇄장치에 구비된 파분쇄모듈을 통해 가축사체를 일정 크기 이하가 되도록 파쇄 및 분쇄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파분쇄장치(M1)는, 내부에 가축사체를 파분쇄하는 파분쇄모듈(60)이 배치된 통로(11)와, 상기 통로(11)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축사체가 투입되는 입구(12)와, 상기 입구(1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파분쇄모듈(60)을 통해 파분쇄된 가축사체가 배출되는 출구(13)를 구비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통로(11)측으로 상기 기능성제를 투입하는 투입구(20)와, 상기 투입구(20)를 개폐하는 덮개(30)와, 상기 바디(10)의 통로(11)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라인(40) 및 상기 바디(10)의 하방에 배치되어 바디(10)의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셀(5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파분쇄장치(M1)는 상기 입구(12)를 통해 투입된 가축사체는 통로(11)를 이동하면서 파분쇄모듈(60)을 통해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 및 분쇄된 후 상기 바디(10)의 출구(13)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통로(11)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통로(11)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가축사체가 투입되는 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2)와 대향하는 위치에 파분쇄된 가축사체가 배출되는 출구(13)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20)는 상기 바디(10)의 통로(11)측으로 기능성제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디(10)의 상측단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3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투입구(20)를 통해 투입되는 기능성제는 통로(11)를 통해 이동하는 가축사체와 혼합되어 수분을 제거하고, 악취 저감은 물론 발효를 촉진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성제는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는, 각각 가축사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수분흡수제는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발열제는 10 내지 45 중량부, 상기 악취제거제는 1 내지 4 중량부, 상기 pH조절제는 3 내지 7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수분흡수제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가축사체에서 분비되는 액상형 분비물 즉 수분을 제거하기 어렵고, 20 중량부 초과로 혼합되는 경우 가축사체가 상호 뭉침으로써 교반 및 이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기능성제의 다른 성분이 혼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제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발효 또는 액상형 분비물을 증발시키기 위한 온도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4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필요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축 사체 또는 다른 기능성제가 연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어서 상기 악취제거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악취 제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악취제거제의 성분에 의한 오염의 문제점이 있다.
이어서 상기 pH조절제가 3 중량부 미만 또는 7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산도 조절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되는 기능성제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수분흡수제는, 125㎛ 이하의 크기를 갖는 미분 코코피트 20중량부와, 125㎛ 이하의 크기를 갖는 미분 건조톱밥 50중량부와, 미분 왕겨 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코코피트는 코코넛 과실에서 섬유, 유지, 과즙 원료를 채취하고 난 과피의 부산물로서 수분을 20%이하로 하여 압축하고 가공한 것을 125㎛로 미분(微粉)한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코코피트는 건조톱밥과 미분 왕겨와 함께 혼합된 이후 투입되어 투입된 가축사체와 혼합된 침출수 또는 가축사체로부터 분비된 액상형 분비물을 흡수한다.
상기 발열제는 경소돌로마이트, 탄산칼슘, 소석회, 탈황석고 중 어느 하나를 30 내지 40 중량부, 황산제일철 수화물(구체적으로, 황산제1철1수화물, 4수화물 또는 7수화물), 염화철 수화물(구체적으로, 염화철1수화물, 4수화물, 또는 7수화물), 산성백토폐액 중 어느 하나를 60 내지 70 중량부 혼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경소돌로마이트는 돌로마이트나 돌로마이트질 석회석을 소성(燒成)하여 함유한 이산화탄소(탄산가스)를 방출시켜 형성한 것으로, 가소성(可塑性)이 크고 풀제(劑)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탈황석고는 페트로 코크스(erto-cokes)나 중유를 보일러 연료로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을 배연탈황(Flue-gas desulfurization)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과정에서 산출되는 석고로서, 산화칼슘과 이산화황이 반응하여 석고를 형성하는 것으로 파분쇄된 가축사체 또는 액상형 분비물을 고형화하는 주요한 성분이다.
상기 황산제일철 수화물은 황 화합물, 암모늄염과 반응하여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고, 황산과 생석회, 2가 황산철 및 3가 황산철의 반응에서 대략 70, 164, 300 kcal/mol의 열이 방출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잔류 수분이 제거되면서 이때 발생하는 열로 인해 미생물이 사멸될 수 있기 때문에 혐기성 상태의 악취저감에 대한 효과도 나타낸다.
이러한 발열제는 수분과 접촉하면 반응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투입시 120℃ 정도의 반응열이 생성된다.
상기 악취제거제는 황산알루미늄(AI2(SO4)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으로, 황산알루미늄은 주로 샘물의 정화, 물 처리, 종이 제조에서 응집제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축 사체에 포함된 냄새 포자를 포집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탄산수소나트륨은 베이킹소다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냄새 포자를 포집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pH조절제는 생석회, 소석회, 슬래그 분말, 경소 돌로마이트, 하소 돌로마이트, 시멘트 또는 황산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할 수 있는 것으로 가축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pH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pH조절제는 활성화제로서도 작용할 수 있어 발효 반응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되는 기능성제는 가축사체와 혼합되어 수분을 제거하고 반응열을 통해 형성된 고온에 의해 가축사체의 발효를 촉진하며 발효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고, pH농도를 조절하여 퇴비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파분쇄장치(M1)에 배치되는 파분쇄모듈(60)은, 상기 통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이동용 나선이 구비된 이동용 스크류(61)와, 상기 이동용 스크류(6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파쇄암(621)이 구비된 파쇄구(62)와, 상기 이동용 스크류(61)의 하방에서 상기 통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파쇄되는 가축사체로부터 배출되는 액상형 분비물이 통과하는 메쉬망(63)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용 스크류(61)는 상기 통로(11)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이동용 나선이 형성되어 가축사체를 출구(13)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용 스크류(61)에 형성된 이동용 나선은 상기 입구(12)와 출구(13)측의 이동용 나선과 중앙부의 이동용 나선이 서로 다른 곡률 및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중이 집중되는 입구(12)와 출구(13)측의 이동용 나선은 상호 간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중앙부의 이동용 나선은 가축사체가 통로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호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쇄구(62)는 상기 바디(10)의 통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수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통로에서 이동 중인 가축사체를 파쇄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파쇄구(6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파쇄암(621)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암(6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파쇄구(62)에 클램프 또는 결합볼트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파쇄암(621)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맞닿은 가축사체를 파쇄하기 위한 별도의 파쇄판(도면 중 미도시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메쉬망(63)은 상기 이동용 스크류(61)의 하방에 배치되어 파쇄되는 가축사체로부터 배출되는 액상형 분비물을 분리 수거하는 것이다.
즉, 상기 메쉬망(63)은 상기 파쇄암(621)에 의해 파쇄되는 가축사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액상형 분비물은 통과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액상형 분비물만을 분리 하여 수거하고 수거된 액상형 분비물은 통로의 내벽을 따라 출구(13)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10)의 바닥면 즉, 통로의 내벽은 상기 출구(13)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메쉬망(63)을 통과한 액상형 분비물을 상기 출구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64)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판(64)의 일단부에는 상기 출구(13)를 향해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의 배수관(65)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65)에는 액상형 분비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판(64)의 타단부측을 향해 확장 형성된 루프(66)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판(64)과 상기 배수관(65) 및 상기 배수관(65)에 구비된 루프(66)는 상기 메쉬망(63)을 통과한 액상형 분비물이 통로(11)에 남아 있지 않도록 수거하고, 수거 과정에서 배수관(65) 및 루프(66)를 통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65)은 상부가 개구되며 횡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메쉬망(63)을 통과한 액상형 분비물의 수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루프(66)가 배수관(65)의 길이 방향 중 출구(13)측에 배치되어 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형 분비물이 배출과정에서 역류가 발생하여 배수관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산소공급라인(40)은 상기 통로(11)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산소탱크 또는 외기를 펌핑하여 공급받은 산소를 바디(10)의 통로(11)로 투입하여 발효 효율을 극대화하며, 발효 중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을 포함한 것으로, 이러한 산소공급라인(40)의 구조와 동작 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로드셀(50)은 상기 바디(10)의 하방에 배치되어 바디(10)의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로드셀(50)은 바디(10)에 투입된 가축사체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가축사체의 발효 과정을 측정하는 것이다.
즉, 바디(10)는 밀폐된 원통형의 탱크 형태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내부의 발효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감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바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주기적으로 시료를 채취한 후 분석하여 발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온도 측정의 경우 바디 내부의 온도는 투입된 기능성제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온도 측정만으로 정확한 발효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시료 분석의 경우 채취 및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디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내부에서 발효 중인 가축사체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발효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바디 내부에 정상적으로 가축사체가 발효되는 과정에서 투입된 가축사체의 함수율이 66%인 경우의 하중을 기준으로 하여 입구(12)를 폐쇄하여 외부로부터 하중을 간섭하는 요인의 접근을 차단한 상태에서 바디(10) 내부의 가축사체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가축사체의 함수율이 45%로 낮아져 퇴비가 되면 저하된 함수율에 의한 중량감량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중량감량을 로드셀(50)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바디 내부에서 진행되는 발효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로드셀(50)을 통해 감지되는 중량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여 로드셀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이 기준값에 도달하면 발효의 완료가 이루어진 것을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상기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된 가축사체에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 조절제를 포함한 기능성제를 혼합하여 유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상술한 파분쇄장치에 기능성제를 투입하여 파분쇄된 가축사체를 발효시켜 유기성 혼합물 즉 퇴비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기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능성제를 투입하고 24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유기성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효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에는 미발효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48시간까지 퇴비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발효가 완료되기 때문에 더 이상의 발효는 공정 효율 면에서 불필요하다.
다음, 상기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된 가축사체에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를 포함한 기능성제를 혼합하여 유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40)는 상술한 파분쇄장치에 기능성제를 투입하여 파분쇄된 가축사체를 발효시켜 유기성 혼합물 즉 퇴비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다음, 제조된 유기성 혼합물을 냉각 및 숙성하는 단계(S50)는, 상기 바디(10)로부터 배출된 유기성 혼합물을 별도의 야적장에서 배치하여 상온에서 일정 시간 방치하여 자연 냉각시키고, 이와 동시에 숙성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및 숙성 과정에서 공기 중 포함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방수천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량용 바스켓에 투입된 후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액상탱크에 수거된 침출수에는 상기 기능성제를 투입한 후 이를 발효시킴과 동시에 고형화시킨 후 이를 상기의 냉각 및 숙성 단계를 거쳐 퇴비로 성형한다.
본 발명의 퇴비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일반매몰지에서 회수한 사체를 처리했을 때의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은 함수율이 92%인 침출수 1㎏당 기능성제의 투입에 따른 평가 결과이다.
기능성제 800g/㎏ 투입 기능성제 500g/㎏ 투입
발열온도 95℃ 78℃

함수율변화
1시간 경과: 42.8%
1일 경과: 38.1%
3일 경과: 30.3%
1시간 경과: 54.8%
1일 경과: 48.3%
3일 경과: 41.2%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침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제 50 중량부 이상을 투입하면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일 경과 후 수분율이 기능성제 80 중량부 및 50 중량부를 투입한 경우에 대하여 각각 30.3%, 41.2%로 수분율이 저감되어 효과적인 침출수의 퇴비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4시간이 경과하면 함수율이 50%이하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능성제의 함량이 침출수 100 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 이상일 때 충분한 퇴비화가 가능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또한, 함수율이 78%인 사체로 오염된 토양을 회수하여 1㎏당 기능성제의 투입에 따른 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기능성제 400g/㎏ 투입 기능성제 200g/㎏ 투입
발열온도 97℃ 69℃

함수율변화
1시간 경과: 34,4%
1일 경과: 29,2%
3일 경과: 24.9%
1시간 경과: 53,9%
1일 경과: 46.4%
3일 경과: 34.1%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오염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제 20 중량부 이상을 투입하면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일 경과 후 수분율이 기능성제 40 중량부 및 20 중량부를 투입한 경우에 대하여 각각 24.9%, 34.1%로 액상의 침출수를 처리할 때 보다 높은 수분율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24시간이 경과하면 함수율이 50%이하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능성제의 함량이 오염토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 이상일 때 충분한 퇴비화가 가능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0 : 침출수와 가축사체를 수거한 후 가축사체를 가공라인으로 이동하는 단계
S20 : 파분쇄장치를 통해 가축사체를 파분쇄하는 단계
S30 : 상기 기능성제를 투입하고 24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S40 : 파분쇄장치에 기능성제를 투입하여 가축사체와 혼합하여 유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50 : 제조된 유기성 혼합물을 냉각 및 숙성하는 단계
M1 : 파분쇄장치
10 : 바디
11 : 통로 12 : 입구
13 : 출구
20 : 투입구
30 : 덮개
40 : 산소공급라인
50 : 로드셀
60 : 파분쇄모듈
61 : 이동용 스크류 62 : 파쇄구
63 : 메쉬망 64 : 안내판
65 : 배수관 66 : 루프

Claims (5)

  1. 폐가축 매몰지로부터 가축사체와 침출수를 수거한 후 침출수는 액상탱크로 이동시키고 가축사체는 가공라인으로 이동하는 단계(S10);
    상기 가공라인으로 이동한 가축사체는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하는 단계(S20);
    상기 파분쇄장치를 통해 파분쇄된 가축사체에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를 포함한 기능성제를 혼합하여 유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
    제조된 유기성 혼합물을 냉각 및 숙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되,
    상기 수분흡수제, 발열제, 악취제거제, pH조절제는,
    각각 가축사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수분흡수제는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발열제는 10 내지 45 중량부, 상기 악취제거제는 1 내지 4 중량부, 상기 pH조절제는 3 내지 7 중량부를 혼합하되,
    상기 수분흡수제는, 125㎛ 이하의 크기를 갖는 미분 코코피트 20중량부와, 125㎛ 이하의 크기를 갖는 미분 건조톱밥 50중량부와, 미분 왕겨 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발열제는, 경소돌로마이트, 탄산칼슘, 소석회, 탈황석고 중 어느 하나를 30 내지 40 중량부, 황산제1철수화물, 염화철 수화물, 산성백토폐액 중 어느 하나를 60 내지 70 중량부 혼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악취제거제는, 황산알루미늄(AI2(SO4)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pH조절제는, 생석회, 소석회, 슬래그 분말, 경소 돌로마이트, 하소 돌로마이트, 시멘트 또는 황산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30)에서는 상기 기능성제를 투입하고 24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분쇄 단계(S20)에서,
    상기 파분쇄장치(M1)는,
    내부에 가축사체를 파분쇄하는 파분쇄모듈(60)이 배치된 통로(11)와, 상기 통로(11)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축사체가 투입되는 입구(12)와, 상기 입구(1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파분쇄모듈(60)을 통해 파분쇄된 가축사체가 배출되는 출구(13)를 구비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통로(11)측으로 상기 기능성제를 투입하는 투입구(20)와,
    상기 투입구(20)를 개폐하는 덮개(30)와,
    상기 바디(10)의 통로(11)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라인(40) 및
    상기 바디(10)의 하방에 배치되어 바디(10)의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셀(50)을 포함하고,
    상기 파분쇄모듈(60)은,
    상기 통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이동용 나선이 구비된 이동용 스크류(61)와,
    상기 이동용 스크류(6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파쇄암(621)이 구비된 파쇄구(62)와,
    상기 이동용 스크류(61)의 하방에서 상기 통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파쇄되는 가축사체로부터 배출되는 액상형 분비물이 통과하는 메쉬망(6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바닥면은 상기 출구(13)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메쉬망(63)을 통과한 액상형 분비물을 상기 출구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64)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판(64)의 일단부에는 상기 출구(13)를 향해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의 배수관(65)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65)에는 액상형 분비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판(64)의 타단부측을 향해 확장 형성된 루프(6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KR1020200079742A 2020-06-30 2020-06-30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KR102220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42A KR102220952B1 (ko) 2020-06-30 2020-06-30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42A KR102220952B1 (ko) 2020-06-30 2020-06-30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952B1 true KR102220952B1 (ko) 2021-02-26

Family

ID=7468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742A KR102220952B1 (ko) 2020-06-30 2020-06-30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008B1 (ko) 2022-03-02 2022-12-20 정경온 동물 사체를 이용한 펠릿형 압축비료 제조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55A (ko) * 2004-02-17 2005-08-22 양경선 음식잔재물을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퇴비의제조방법
KR101633248B1 (ko) * 2015-12-02 2016-06-27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가축 사체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737414B1 (ko) 2016-09-22 2017-05-19 정은희 고온 호기발효가 촉진되는 매몰형 사축 소멸장치
KR101777279B1 (ko) 2015-08-27 2017-09-12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살처분 동물 사체의 재처리 방법
KR101808007B1 (ko) 2017-09-11 2017-12-13 윤기호 이동형 동물 사체 비료화 처리장치
KR101897222B1 (ko) 2018-03-12 2018-09-10 (주)지호산업 수평형 유기성 폐기물 고속 발효 교반장치
KR101938522B1 (ko) * 2018-07-04 2019-01-14 김덕환 기능성 동물 사체를 비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5537B1 (ko) * 2019-05-14 2019-08-28 정경온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55A (ko) * 2004-02-17 2005-08-22 양경선 음식잔재물을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퇴비의제조방법
KR101777279B1 (ko) 2015-08-27 2017-09-12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살처분 동물 사체의 재처리 방법
KR101633248B1 (ko) * 2015-12-02 2016-06-27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가축 사체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737414B1 (ko) 2016-09-22 2017-05-19 정은희 고온 호기발효가 촉진되는 매몰형 사축 소멸장치
KR101808007B1 (ko) 2017-09-11 2017-12-13 윤기호 이동형 동물 사체 비료화 처리장치
KR101897222B1 (ko) 2018-03-12 2018-09-10 (주)지호산업 수평형 유기성 폐기물 고속 발효 교반장치
KR101938522B1 (ko) * 2018-07-04 2019-01-14 김덕환 기능성 동물 사체를 비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5537B1 (ko) * 2019-05-14 2019-08-28 정경온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퇴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008B1 (ko) 2022-03-02 2022-12-20 정경온 동물 사체를 이용한 펠릿형 압축비료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wyther et al. The environmental and biosecurity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carcass disposal methods: A review
CN106824972B (zh) 一种规模化养猪场养殖污染综合治理系统及方法
CN106116736B (zh) 规模化养殖场畜禽粪尿及病死畜禽胎盘治理系统及方法
Bendixen Safeguards against pathogens in Danish biogas plants
WO2016173000A1 (zh) 一种农村大宗有机废弃污染物源头综合治理系统及方法
KR101787683B1 (ko) 매몰 가축 사체 및 오염된 토양의 혼합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CN206046638U (zh) 一种规模化养猪场养殖污染综合治理系统
KR102220952B1 (ko) 폐가축 사체의 퇴비제조방법
Chmielewski et al. ‘Zero energy’electron beam technology for sludge hygienization
CN109721129A (zh) 一种利用加速器处理畜禽粪便和养殖污水的装置及方法
KR101947448B1 (ko) 구제역 및 ai의 사체 처리 및 매몰지 토양 복원 플랜트 장치
CN102060582B (zh) 污泥好氧处理气体的回用减排方法
KR101429210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밀폐형 시스템
Sánchez et al. Treatment of animal carcasses in poultry farms using sealed ditches
KR102237795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37796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JP2004136262A (ja) ハウス型・有機物発酵処理システム
US20170252470A1 (en) Sanitizing Biogenic Waste Using Waste Gas from an Incineration System
CN211921357U (zh) 生物酶厨余垃圾处理设备
KR101595184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방법
JP2007044570A (ja) ミミズを利用した有機性廃棄物処理方法及び、処理施設
Dhakal et al. Waste to energy: management of biodegradable healthcare waste through anaerobic digestion
CN106905015A (zh) 一种用蚯蚓处理混合基质并将其干燥的装置及其方法
KR101267538B1 (ko) 마사토와 슬러지를 이용한 토양 개량제와 그 제조방법
CN107520226A (zh) 一种生活垃圾无害化处理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