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96B1 - 필름형 칩용 핸들러 - Google Patents

필름형 칩용 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96B1
KR102014496B1 KR1020190040536A KR20190040536A KR102014496B1 KR 102014496 B1 KR102014496 B1 KR 102014496B1 KR 1020190040536 A KR1020190040536 A KR 1020190040536A KR 20190040536 A KR20190040536 A KR 20190040536A KR 102014496 B1 KR102014496 B1 KR 102014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hip
event
tes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수
Original Assignee
박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수 filed Critical 박형수
Priority to KR1020190040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91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related to sensing or controlling of force, position,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형 칩용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 영역에 프로브 카드 니들(probe card Needle)을 포함하며, 상하로 이동을 통해 필름형 칩과 상기 프로브 카드 니들을 접촉시켜 테스트를 진행하는 프레스 테이블; 상기 프레스 테이블로 상기 필름형 칩을 방출하는 공급릴; 상기 프레스 테이블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필름형 칩을 권취하는 수용릴; 및 상기 필름형 칩의 위치정보에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하는 X-Y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형 칩용 핸들러{HANDLER FOR FILM-TYPE CHIP}
본 발명은 필름형 칩용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 또는 크기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정밀한 테스트가 수행되는 필름형 칩용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필름형 칩(Film-type chip)이란 필름상에 칩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필름형 칩의 종류에는 TCP(Tape Carrier Package),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이 있다. 이러한 필름형 칩의 제조 과정에서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필름형 칩이나 그 중간 단계에 있는 필름형 칩의 성능이나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가 필요하고, 이러한 검사장치는 일반적으로 테스트 본체, 테스트 헤드 및 핸들러(HANDLER)를 포함한다.
핸들러는 필름형 칩을 이송하여 테스트 헤드에 위치시킨 후, 필름형 칩을 눌러 테스트 헤드에 전기적으로 집속된 프로브 카드에 필름형 칩의 패드를 접촉시키는 것으로, 종래의 핸들러는 필름형 칩이 눌러지는 경우에 공급측과 수용측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공급측과 수용측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는 서로 달라지게 되어 가압부에 의하여 눌러지는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가 발생하므로, 결국 필름형 칩의 동작상태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235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 또는 크기변화에 대응하여 X-Y 스테이지 및 비전카메라를 이동시켜 정밀한 테스트가 수행되는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량이라 판단된 테스트 결과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불량으로 판단된 필름형 칩의 테스트 영상을 이벤트처리하여 사용자의 휴대폰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곳에 위치한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구성요소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필름형 칩용 핸들러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에 효과를 발휘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는, 적어도 일 영역에 프로브 카드 니들(probe card Needle)을 포함하며, 상하로 이동을 통해 필름형 칩과 상기 프로브 카드 니들을 접촉시켜 테스트를 진행하는 프레스 테이블; 상기 프레스 테이블로 상기 필름형 칩을 방출하는 공급릴; 상기 프레스 테이블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필름형 칩을 권취하는 수용릴; 및 상기 필름형 칩의 위치정보에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하는 X-Y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배면에는, 상기 X-Y 스테이지를 X축 방향이동 이동시키는 X축 리니어 가이드; 상기 X-Y 스테이지를 Y축 방향이동 이동시키는 Y축 리니어 가이드; 및 상기 프레스 테이블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상기 필름형 칩에 열을 공급하는 고온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 운영방법은, 테스트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필름형 칩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구성하는 프레스 테이블, 비전카메라, X-Y 스테이지, 공급릴, 수용릴, 가이드홀더, 스프로킷, 공급센서카메라, 펀치유닛, 수신센서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및 테스트를 실행 및 테스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필름형 칩의 패스 또는 불량 여부 판단을 세팅하는 단계; 적어도 한번의 불량 판단이 나온 경우 대응방안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를 종료하고, 테스트를 마친 필름형 칩을 권취하여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새로이 공급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테스트를 마친 필름형 칩과 동일한 종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는 동일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부터 진행하고, 다른 종류의 필름형 칩인 경우는 상기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부터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X-Y 스테이지 위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비전카메라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X-Y 스테이지를 상기 필름형 칩에 대응하여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름형 침의 중앙선으로 위치를 변경시킨 후 중앙점으로 설정한 후, 상기 비전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점과 상기 중앙점의 위치를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점과 상기 중앙점과의 직선 루트를 생성시키며,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직선루트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비전카메라의 이동이 종료된 후 촬영을 실시하여 새로운 기준점과 상기 중앙점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차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운영을 중지시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른 종류의 필름형 칩은 너비가 35mm, 48mm 및 70mm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상기 공급릴, 상기 수용릴 및 상기 스프로킷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택된 필름형 칩의 너비에 대응하여 중심축의 너비가 신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공급릴, 상기 수용릴 및 상기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의 중심축의 너비가 상기 선택된 필름형 칩의 너비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알람이 제공되고, 상기 테스트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비전카메라, 공급센서카메라 및 수신센서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테스트의 시작 시간 내지 종료 시간 이내에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구분하고, 메인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소정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는 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고, 상기 탐색 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면에 표시하는 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 중 상기 이벤트의 내용 및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에 따라 특정 이벤트 영상은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테스트의 불량 판단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 또는 크기변화에 대응하여 X-Y 스테이지 및 비전카메라를 이동시켜 정밀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량이라 판단된 테스트 결과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불량으로 판단된 필름형 칩의 테스트 영상을 이벤트처리하여 사용자의 휴대폰 등을 통해 전달하여, 사용자의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곳에 위치한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구성요소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승강 장치의 상판이 파손되어 작업자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름형 칩용 핸들러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에 효과를 발휘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전면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배면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운영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운영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운영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9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도 9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9는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는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10)는 자동으로 필름형 칩의 내부에 형성된 칩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필름형 칩의 불량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필름형 칩용 핸들러는 필름형 칩의 폭이 35, 48 및 70[mm]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더라도 구성의 큰 변화없이 자동으로 테스트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필름형 칩용 핸들러(10)는 적어도 일 영역에 프로브 카드 니들(probe card Needle)을 포함하며, 상하로 이동을 통해 필름형 칩과 상기 프로브 카드 니들을 접촉시켜 테스트를 진행하는 프레스 테이블(111), 프레스 테이블(111)로 필름형 칩을 방출하는 공급릴(114), 프레스 테이블(111)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필름형 칩을 권취하는 수용릴(115) 및 필름형 칩의 위치정보에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하는 X-Y 스테이지(11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전면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10)는, 프레스 테이블(111), 비전카메라(112), X-Y 스테이지(113), 공급릴(114), 수용릴(115), 스프로킷(116), 가이드홀더(117), 공급센서카메라(118), 펀치유닛(119), 수신센서카메라(120), 이온노즐(121), 이온 블로워(122) 및 디스플레이부(12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 테이블(111)는 적어도 일 영역에 프로브 카드 니들(probe card Needle)을 포함하며, 상하로 이동을 통해 필름형 칩과 프로브 카드 니들을 접촉시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비전카메라(112)는 프레스 테이블(111) 하부에 위치하며,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빛 또는 레이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름형 칩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23)에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X-Y 스테이지(113)는 비전카메라에 의해 제공된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X-Y 스테이지(113)는, 예를 들어, 필름형 칩의 폭이 35, 48 및 70[mm] 중 어느 하나로 변화되더라도 정밀한 측정을 위하여 필름형 칩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도록 X축 또는 Y축으로 평면이동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하 운동하는 실린더 구성 등을 추가하여 Z축 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공급릴(114)은 프레스 테이블(111)로 필름형 칩을 방출한다. 이 때, 방출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소정의 시간에 소정의 길이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수용릴(115)은 프레스 테이블(111)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필름형 칩을 권취할 수 있으며, 공급릴(114)과 연동하여 공급릴(114)를 방출하는 필름형 칩의 길이에 대응하여 테스크가 완료된 필름형 칩을 권취할 수 있다.
스프로킷(116)은 프레스 테이블(111)의 동작과 연동하며 공급릴(114)로부터 방출된 필름형 칩을 이동시킬 수 있다. 스프로킷(116)은 공급 스프로킷, 메인 스프로킷, 수용 스프로킷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 스프리킷은 공급릴(114) 근처에 형성되며, 메인 스프로킷은 프레스 테이블(111) 근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스프로킷은 수용릴(115)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더(117)는 필름형 칩이 스프로킷(11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급센서카메라(118)는 프레스 테이블(111)로 공급되는 필름형 칩 내부의 칩 존재여부를 이미지 촬영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내부에 칩이 부존재하는 경우 불량이라는 신호를 생성하여 펀치유닛(119)으로 전달할 수 있다.
펀치유닛(119)은 프레스 테이블(111)의 테스트 결과 불량 판정이 나거나 필름형 칩 내부에 칩이 부존재하는 경우 필름형 칩의 적어도 일 영역에 구멍을 뚫어 불량을 표시할 수 있다.
수신센서카메라(120)는 펀치유닛(119)의 펀치작업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센서카메라(120)는 필름형 칩에 빛 또는 레이저 등을 조사함으로써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온노즐(121) 및 이온 블로워(122)은 필름형 칩의 이동 시 발생하는 정전기 또는 필름형 칩용 핸들러(10)에 발생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온 블로워(122)는 스프로킷(116)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 형성되어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3)는 비전카메라(112), 공급센서카메라(118) 및 수신센서카메라(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이미지는 불량여부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이미지로서 불량인 경우 정상과 비교하여 색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3)는 불량 발생 시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름형 칩용 핸들러(10)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배면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10)의 배면에는 공급릴용 구동모터(211), 수용릴용 구동모터(212), X축 리니어 가이드(213), Y축 리니어 가이드(214), 스프로킷용 구동모터(215); 고온조절유닛(216) 및 LED 컨트롤러(217)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릴용 구동모터(211) 및 수용릴용 구동모터(212)은 각각 공급릴(114)와 수용릴(115)을 구동시킬 수 있다. 공급릴용 구동모터(211) 및 수용릴용 구동모터(212)은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선택회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필름형 칩의 이동방향 또는 장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릴용 구동모터(211) 및 수용릴용 구동모터(212) 모두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필름형 칩의 이동방향을 공급릴(114)에서 수용릴(115)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공급릴용 구동모터(211) 및 수용릴용 구동모터(212) 모두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용일(115)에서 공급릴(114) 방향으로 필름형 칩을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특수한 사정으로 필름형 칩이 테스트를 거치지 못한 경우 다시 필름형 칩을 후진시킴으로써 테스트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X축 리니어 가이드(213) 및 Y축 리니어 가이드(214)는 X-Y 스테이지(113)를 X축 방향이동으로 이동시키거나 Y축 방향이동 이동시킬 수 있다.
스프로킷용 구동모터(215)는 스프로킷(116)을 구동시킬 수 있다. 스프로킷용 구동모터(215)는 스포르킷(116)의 개수만큼 필름형 칩용 핸들러(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온조절유닛(216)은 프레스 테이블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상기 필름형 칩에 열을 공급한다.
LED 컨트롤러(217)는 비전카메라(112), 공급센서카메라(118), 수신센서카메라(120) 및 디스플레이부(123)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운영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운영방법은 먼저, 필름형 칩용 핸들어의 테스트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모드란, 실제 테스트 모드, 시험운행 모드, 테스트 시간, 테스트 주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테스트 모드가 추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필름형 칩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구성하는 프레스 테이블, 비전카메라, X-Y 스테이지, 공급릴, 수용릴, 가이드홀더, 스프로킷, 공급센서카메라, 펀치유닛, 수신센서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필름형 칩의 종류는 너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의 설정을 필름형 칩의 종류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각 구성요소는 외관, 동작방법, 동작시간 등이 변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테스트를 실행 및 테스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테스트 반복 횟수, 불량여부 및 불량횟수 등 다양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운영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어의 운영방법은 먼저,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운영의 테스트 모드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필름형 칩의 패스 또는 불량 여부 판단을 세팅한다.
다음으로, 필름형 칩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구성하는 프레스 테이블, 비전카메라, X-Y 스테이지, 스프로킷, 공급센서카메라, 펀치유닛, 수신센서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X-Y 스테이지(113)의 위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비전카메라(112)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X-Y 스테이지(113)를 필름형 칩에 대응하여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시켜 필름형 침의 중앙선으로 위치를 변경시킨 후 중앙점으로 설정한 후, 비전카메라(112)를 이용하여 기준점과 중앙점의 위치를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점과 중앙점과의 직선 루트를 생성시키며, 비전카메라(112)는 직선루트를 따라 이동하고, 비전카메라(112)의 이동이 종료된 후 촬영을 실시하여 새로운 기준점과 중앙점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른 종류의 필름형 칩은 너비가 35mm, 48mm 및 70mm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상기 공급릴, 상기 수용릴 및 상기 스프로킷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택된 필름형 칩의 너비에 대응하여 중심축의 너비가 신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공급릴, 상기 수용릴 및 상기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의 중심축의 너비가 상기 선택된 필름형 칩의 너비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알람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한번의 불량 판단이 나온 경우 대응방안을 설정하고, 테스트를 실행한다. 이후 테스트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람은 필름형 칩의 불량 발생 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필름형 칩 내부에 칩이 부존재하거나 테스트 결과, 펀칭작업 결과 불량인 경우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테스트를 종료하고, 테스트를 마친 필름형 칩을 권취하여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새로이 공급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테스트를 마친 필름형 칩과 동일한 종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는 동일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부터 진행하고, 다른 종류의 필름형 칩인 경우는 상기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부터 진행한다.
다음으로, 필름형 칩용 핸들러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필름형 칩용 핸들러(10)에 메인 전원을 차단하여 필름형 칩용 핸들러 운영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운영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테스트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S8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비전카메라, 공급센서카메라 및 수신센서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테스트의 시작 시간 내지 종료 시간 이내에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소정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는 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탐색 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면에 표시하는 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 중 상기 이벤트의 내용 및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에 따라 특정 이벤트 영상은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테스트의 불량 판단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기능 승강 장치(30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다기능 승강 장치(300)는, 작업자가 필름형 칩용 핸들러(10)를 정비할 수 있도록 상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정비가 필요한 위치까지 작업자를 승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필름형 칩용 핸들러(1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곳에 위치한 곳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기능 승강 장치(300)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승강시킴으로써, 필름형 칩용 핸들러(10)의 정비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기능 승강 장치(300)의 상판이 파손되어 작업자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판(310)은,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으로 인하여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9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9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5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15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12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도 9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 프레임(31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31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1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하여 다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5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9는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20는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10)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필름형 칩용 핸들러(10)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35460866-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필름형 칩용 핸들러
111: 프레스 테이블
112: 비전카메라
113: X-Y 스테이지
114: 공급릴
115: 수용릴
116: 스프로킷
117: 가이더홀더
118: 공급센서카메라
119: 펀치유닛
120: 수신센서카메라
121: 이온노즐
122: 이온 블로워
123: 디스플레이부
211: 공급릴용 구동모터
212: 수용릴용 구동모터
213: X축 리니어 가이드
214: Y축 리니어 가이드
215: 스프로킷용 구동모터
216: 고온조절유닛
217: LED 컨트롤러
300: 승강 장치

Claims (1)

  1. 필름형 칩용 핸들러 운영방법에 있어서,
    테스트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필름형 칩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구성하는 프레스 테이블, 비전카메라, X-Y 스테이지, 공급릴, 수용릴, 가이드홀더, 스프로킷, 공급센서카메라, 펀치유닛, 수신센서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및
    테스트를 실행 및 테스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필름형 칩의 패스 또는 불량 여부 판단을 세팅하는 단계;
    적어도 한번의 불량 판단이 나온 경우 대응방안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를 종료하고, 테스트를 마친 필름형 칩을 권취하여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새로이 공급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테스트를 마친 필름형 칩과 동일한 종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는 동일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부터 진행하고, 다른 종류의 필름형 칩인 경우는 상기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부터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X-Y 스테이지 위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비전카메라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X-Y 스테이지를 상기 필름형 칩에 대응하여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름형 칩의 중앙선으로 위치를 변경시킨 후 중앙점으로 설정한 후, 상기 비전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점과 상기 중앙점의 위치를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점과 상기 중앙점과의 직선 루트를 생성시키며,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직선루트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비전카메라의 이동이 종료된 후 촬영을 실시하여 새로운 기준점과 상기 중앙점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차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운영을 중지시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른 종류의 필름형 칩은 너비가 35mm, 48mm 및 70mm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상기 공급릴, 상기 수용릴 및 상기 스프로킷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택된 필름형 칩의 너비에 대응하여 중심축의 너비가 신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테스트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비전카메라, 공급센서카메라 및 수신센서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테스트의 시작 시간 내지 종료 시간 이내에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구분하고, 메인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소정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는 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고, 상기 탐색 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면에 표시하는 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 중 상기 이벤트의 내용 및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에 따라 특정 이벤트 영상은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테스트의 불량 판단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되는,필름형 칩용 핸들러 운영방법.
KR1020190040536A 2019-04-08 2019-04-08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102014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36A KR102014496B1 (ko) 2019-04-08 2019-04-08 필름형 칩용 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36A KR102014496B1 (ko) 2019-04-08 2019-04-08 필름형 칩용 핸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496B1 true KR102014496B1 (ko) 2019-10-21

Family

ID=6846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536A KR102014496B1 (ko) 2019-04-08 2019-04-08 필름형 칩용 핸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860A (ja) * 1993-10-05 1995-04-21 Hitachi Ltd Tcp用ハンドラ
KR20090122306A (ko) * 2007-03-29 2009-11-26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Tcp 핸들링 장치
KR20120133916A (ko) * 2011-06-01 2012-12-11 에이엘티 세미콘(주)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20180084337A (ko) *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에이티테크놀러지 Tab용 핸들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860A (ja) * 1993-10-05 1995-04-21 Hitachi Ltd Tcp用ハンドラ
KR20090122306A (ko) * 2007-03-29 2009-11-26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Tcp 핸들링 장치
KR20120133916A (ko) * 2011-06-01 2012-12-11 에이엘티 세미콘(주)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101212359B1 (ko) 2011-06-01 2012-12-13 에이엘티 세미콘(주)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20180084337A (ko) *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에이티테크놀러지 Tab용 핸들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39937B (zh) 摄像头的自动测试设备
CN104639936B (zh) 摄像头的自动测试方法
KR102016162B1 (ko) 절곡장치
CN107493468B (zh) 一种摄像头一拖二四工位全自动调焦机
CN104023911A (zh) 钻头的自动重磨装置
KR102014496B1 (ko)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102016395B1 (ko) 필름형 칩용 핸들러
CN209306357U (zh) 一种led端子传送装置
KR102044174B1 (ko) 필름형 칩용 핸들러 및 그 운영방법
CN211248787U (zh) 一种自动化产品打标设备
CN108971013A (zh) 一种保险丝测试设备
CN209841345U (zh) 一种汽车灯具光束检测用多功能支架
CN106328556A (zh) 一种晶元自动测试机
CN204408547U (zh) 摄像头的自动测试设备
KR102015989B1 (ko) 절곡장치
CN103692402B (zh) 采用机器人的电子秤组装生产线
KR102023967B1 (ko)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CN108284078A (zh) 用于检测led封装缺陷的光学检测设备
CN106238353B (zh) 一种高频变压器自动测试装置及装盘装置
CN219648139U (zh) 一种芯片测试实验台
CN205927810U (zh) 一种手表零部件的自动组装设备
CN208879104U (zh) 一种保险丝测试设备
CN209175699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工装夹具
CN212635672U (zh) 一种液晶显示屏检测用无尘工装台
CN203848935U (zh) 一种显示面板测试治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