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967B1 -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967B1
KR102023967B1 KR1020190071371A KR20190071371A KR102023967B1 KR 102023967 B1 KR102023967 B1 KR 102023967B1 KR 1020190071371 A KR1020190071371 A KR 1020190071371A KR 20190071371 A KR20190071371 A KR 20190071371A KR 102023967 B1 KR102023967 B1 KR 102023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unit
event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식
김학조
김희철
Original Assignee
이광식
김학조
김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식, 김학조, 김희철 filed Critical 이광식
Priority to KR102019007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8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with compensation for tool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6Apparatus for moving or positioning electrode relatively to workpiece; Mounting of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작물의 위치, 형상 또는 치수를 점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프로브(touch probe)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CLAMPING JIG}
본 발명은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 및 가공부의 위치보정이 가능하여 반복된 작업에도 정밀한 공작물 생산이 가능한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머신 등과 같은 컴퓨터 수치 제어 가공장치는 컴퓨터에 입력된 가공 수치 및 형상, 공구 이송속도 등의 가공 조건에 의해 자동적으로 공구의 위치를 결정하고 입력된 좌표를 따라 공구가 이동하면서 공작물을 자동으로 가공하는 기기로써, 공장 자동화 및 공작물의 대량 생산에 유리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가공장치를 이용한 가공이 장시간 반복되면 공구가 마모되어 가공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반은 공구와 기준좌표 자시의 편차량을 보정하여 가공 작업 시 프로그램의 조작이 편리하게 하도록 공구 보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선반용 공구 보정장치는 공구의 선단위치를 감지하고 그 위치를 메인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에 제공하면, 제어부에서는 공구의 최초 선단위치, 즉 영점으로부터 변경위치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그 변화량만큼 공구 위치를 보정하여 가공 정밀도를 향상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공구 보정장치는 새로운 공구의 설치 시에도 최초 영점 위치를 세팅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공구 보정장치에서 공구의 선단위치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센서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공구와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공구의 현재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프로브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공구 보정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프로부는 대부분 하나의 축방향만을 계측할 수 있어, 구조 상 계측에 오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계측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8-006104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마모에 따른 교체나 공작물의 최초 시작점 재설정 또는 보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공작물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공작물의 가공 시 발생하는 먼지를 제거하여 가공된 공작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정밀한 공작물의 형상 및 치수를 점검할 수 있는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곳에 위치한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를 이루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승강기 검사장치를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는,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작물의 위치, 형상 또는 치수를 점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프로브(touch prob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프로브가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터치 프로브에서 전송하는 상기 공작물의 위치, 형상 또는 치수의 좌표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테이블에 탑재된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위치정보 수신기에서 전송받은 위치좌표와 설정해 둔 기준좌표를 비교하여 오차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가공부의 가공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오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며, 일면에 성형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공작물에 상기 전극을 접촉시킬 때 발생되는 방전현상에 의해 상기 전극의 패턴 형상대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가공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공작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를 상기 테이블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어방사부; 상기 테이블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로부터 방출된 상기 먼지를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부; 상기 방출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영역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에 안착된 상기 공작물을 촬영하고, 지그와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공작물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작업 진행에 따라 상기 오차데이터를 영상으로 제공하며, 상기 작업의 시작 시간 내지 종료 시간 이내에 생성된 상기 오차데이터 영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구분하고, 소정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고, 상기 탐색 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면에 표시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 중 상기 이벤트의 내용 및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에 따라 특정 이벤트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오차데이터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방출부는, 외부벽, 투과성 바닥 섹션을 갖는 내부벽 및 상부 배출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상기 투과성 바닥 섹션, 상기 본체 및 상기 상부 배출 개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 상기 내부벽과 상기 외부벽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배출 개구로부터 상기 본체와 분리된 상기 투과성 바닥 섹션을 향하여 상기 물을 복귀시키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본체 아래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적어도 일 영역이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제조된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성 바닥 섹션 아래 상기 외부벽에 놓여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본체의 중앙에서 가장 높은 속도를 가지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감소하는 방해받지 않는 유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는 수직면으로 배열되고, 방사상으로 뻗어 있으며, 중앙 위치에서 교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리브들을 연결하는 가이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는, 일면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몸체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저장모듈; 상기 저장모듈 각각을 상기 몸체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연결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저장모듈 내부에 수용되는 냉각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모듈은, 상기 저장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관; 상기 제 1 연결관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연결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는 상기 저장 모듈 상에 교번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저장모듈 상에서 다른 반경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유입로 또는 유출로 측에 더 가까운 반경 방향(r1)에 위치되고, 제 2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유입로 또는 유출로 측에서 더 먼 반경방향 (r2)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수는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 및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수정 35 내지 55 중량부, 귀사문석 5 내지 10 중량부 및 귀양석 3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르말린분말 20 내지 40 중량부, 옥 20 내지 35 중량부, 규산염 4 내지 8 중량부, 칼슘 4 내지 8 중량부 및 텅스텐 4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맥반석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청제 1 내지 10 중량부,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수정, 귀사문석 및 귀양석의 비율은,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수정 45 중량부, 귀사문석 7.5 중량부 및 귀양석 45 중량부로 제조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공작물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X축 및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상기 공작물들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지그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상기 공작물들의 높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지그와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상기 공작물들을 검사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작업의 반복에 따른 가공 오차를 제거할 수 있으며, 공작물의 최초 시작점 세팅 내지 보정을 통해 공작물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작물의 가공 시 발생하는 먼지를 제거하여 가공된 공작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정밀한 공작물의 형상 및 치수를 점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승강 장치의 상판이 파손되어 작업자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의 일측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도 9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은 도 8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는 도 15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도 16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동작을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프로브(11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 프로브(110)는 CNC 선반장치(10)를 기준으로 아래를 바라보게 형성되거나, 반대로 위를 바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제공되는 공작물들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아래를 바라보게 형성된 터치 프로브(110)는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 프로브(110)를 분리한 후 공작물을 결합시킨 후 위를 바라보게 형성된 터치 프로브(110)를 이용하여 공작물의 위치, 형상 또는 치수를 점검할 수 있다. 터치 프로브(110)는 공작물의 정밀한 점검을 위하여,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공작물의 위치, 형상 또는 치수를 점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의 일측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는 터치 프로브(110), 하우징부(120), 위치정보 수신부(130), 가공부(140), 제어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170), 에어방사부(180) 및 방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20)는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의 각 세부구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하나의 터치 프로브(110)가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우징부(120)는 후술할 도 6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 장치를 포함하여 하우징부(120)의 수리, 점검, 청소 등을 사용자가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130)는 터치 프로브(110)에서 전송하는 공작물(A)의 위치, 형상 또는 치수의 좌표를 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치정보 수신부(130)는 스캔 장치 등을 포함하여 수신된 좌표를 후술할 제어부(150)를 통해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로 표현하게 할 수 있다.
가공부(140)는 하우징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테이블(B)에 탑재된 상기 공작물(A)을 가공한다. 가공부(140)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작물(A)을 가공하거나 레이저, 빛 등을 이용하여 공작물(A)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한 가공부(140)를 하우징부(12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치정보 수신기(130)에서 전송받은 위치좌표와 설정해둔 기준좌표를 비교하여 오차 여부를 판단하여 가공부(140)의 가공위치를 보정한다. 다수의 공작물(A)을 반복 가공함에 따라 가공부(140)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열변형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진동 등에 의해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의 각 구성요서의 위치가 처음 위치에서 벗어나 공작물(A)의 최종 가공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터치 프르브(110)와 위치정보 수신기(130)를 통하여 이러한 오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오차 여부가 허용 범위를 넘어선 경우, 가공부(140)의 작업 범위를 수정하거나 기준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50)에 의해 판단된 오차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60)는 사용자에게 오차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허용된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170)은 하우징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며, 일면에 성형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한다.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작물에 전극을 접촉시킬 때 발생되는 방전현상에 의해 상기 전극의 패턴 형상대로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170)는 하우징부(120)의 착탈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우징부(120)에서 터치 프로브(110)를 탈락시킨 후,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170)만 결합시켜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를 작동할 수 있다.
에어방사부(180)는 하우징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가공부(140)의 동작에 의하여 공작물(A)로부터 발생되는 먼지를 공기를 방사하여 테이블(B)로부터 방출시킨다. 즉, 에어방사부(180)는 가공부(140)가 작업을 하는 도중이나 작업을 마친 후, 공작물(A)에 붙어있는 먼지 또는 부산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터치 프로브(110)의 점검도 더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가공부(140)도 먼지나 부산물로 인해 작업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방사부(180)는 먼지가 방출부(190)를 벗어나지 않도록 토출하는 공기의 속도 또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방출부(190)는 테이블(B)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테이블(B)로부터 방출된 상기 먼지를 하우징부(120) 외부로 방출한다. 즉, 에어방사부(180)는 공기를 불어주는 형식으로 먼지 또는 부산물을 제거하며, 이로 인해, 테이블(B) 밖으로 먼지 등이 날라가게 된다. 날라간 먼지는 방출부(190)에 포함된 물에 빠지게 되어 방출부(190)로 먼저가 날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250)는 방출부(190) 내부에 형성되며, 방출부(190) 내부에 포함된 물의 온도를 조절한다. 온도조절부(250)는, 일면을 포함하는 몸체, 본체의 높이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몸체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저장모듈, 저장모듈 각각을 상기 몸체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연결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저장모듈 내부에 수용되는 냉각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결모듈은 저장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관, 제 1 연결관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제 1 연결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몸체의 일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연결관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연결부는 저장모듈 상에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연결부 각각은 저장모듈 상에서 다른 반경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유입로 또는 유출로 측에 더 가까운 반경 방향(r1)에 위치되고, 제 2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유입로 또는 유출로 측에서 더 먼 반경방향 (r2)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는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 및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수정 35 내지 55 중량부, 귀사문석 5 내지 10 중량부 및 귀양석 3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르말린분말 20 내지 40 중량부, 옥 20 내지 35 중량부, 규산염 4 내지 8 중량부, 칼슘 4 내지 8 중량부 및 텅스텐 4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맥반석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청제 1 내지 10 중량부,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자수정, 귀사문석 및 귀양석의 비율은,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수정 45 중량부, 귀사문석 7.5 중량부 및 귀양석 45 중량부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천연광물질로서 원적외선 방출 효과 및 이온 발생 효과가 뛰어난 자수정, 귀사문석 및 귀양석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냉각수의 열을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온도조절부(2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부(270)는 하우징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 형성되며, 테이블(B)에 안착된 공작물(A)을 촬영하고, 지그와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공작물(A)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공작물을 검사하거나 터치 프로브(110) 및 가공부(140)의 위치를 제어부(150)를 통해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부(270)는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270)를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X축 및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70)는 지그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상기 공작물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지그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상기 공작물들의 높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여 지그와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상기 공작물들을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카메라부(270)는 테이블(B)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공작물(A) 사이의 거리(d) 등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각도(α)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부(270)는 상기 공작물(A) 사이의 거리(d) 이외에도 상기 공작물(A)의 높이나 카메라부(2700)와 공작물(A)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의 (b)와 같이, 부품들 사이의 거리(d`)가 도 18의 (a)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d>d`), 카메라부(270)는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크게(α<α`)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각도의 조절을 통해, 테이블(B)에 수직으로 결합된 공작물(A)이 다양한 간격 또는 높이를 가진다 하더라도, 공작물(A)의 영상데이터를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B)과 수직으로 결합된 공작물(A)의 거리는, 카메라부(270)에서 빛을 쏘아서 측정하는 방법, 제어부(150)를 통해 미리 공작물(A) 간의 거리를 입력하는 방법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거리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70)는 수평면과 일정각도(α, α`)를 유지하고 테이블(B)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270)를 이동시키면서 테이블(B)에 고정장착된 공작물(A)들을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렌즈부의 초점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공작물(A)의 작업 불량 여부도 순차적으로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170)는 하우징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며, 일면에 성형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170)는 전극(1715)이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홀더(1710)가 구비되고, 홀더(1710)의 밑면에는 반구형태의 머리부를 가지는 고정볼트가 중심부에 체결 고정된다. 고정수단(1720)은 홀더(1710)가 놓이는 몸체(1721) 및 몸체(1721)를 고정시키기 위한 밑판(1722)으로 구성된다. 몸체(1721)에는 원통형 회전링(1730)이 내장되도록 회전링(1730)을 수용하는 공간부(1723)가 형성된다. 공간부(1723)는 몸체(1721)의 밑면으로 개방되고, 회전링(1730)이 공간부(1723)로 끼워지면 밑판(1722)이 몸체(1721)의 밑면에 체결되어 회전링(1730)이 몸체(1721)에 빠지지 않게 내장된다. 공간부(1723)에는 양측으로 회전자리(1724)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회전링(1730)에는 서로 떨어져 각 회전자리(1724)에 끼워져 회전되는 회전판(1733)이 구비된다. 회전링(1730)의 사이에는 머리부(1712)가 끼워지도록 개방부(1731)를 제외하고 원호형의 돌기부(1732)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회전링(1730)이 회전되는 동안 돌기부(1732)들이 함께 회전되면서 머리부(1712)의 반구형 외주면이 상기 돌기부(1732)들에 의해 구속된다. 그리고 몸체(1721)의 상부에는 상기 머리부가 회전링(1730)의 개방부(1731)로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머리구멍(1725)이 공간부(1723)와 통하도록 형성되고, 몸체(1721)의 측면에는 회전링(1730)의 한쪽 회전판(1733)에 형성된 십자홈(1734)으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집어넣고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구멍(1726)이 공간부(1723)와 통하게 천공된다. 가이드핀(1727)은 몸체(1721)의 상부에 사방으로 형성된 가이드핀(1727), 핀구멍(1716)은 가이드핀(1727)에 꼽히도록 홀더(1710)의 밑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가지는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작물에 전극(1715)을 접촉시킬 때 발생되는 방전현상에 의해 상기 전극의 패턴 형상대로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190)는 외부벽(194), 투과성 바닥 섹션을 갖는 내부벽(193), 및 상부 배출 개구(196)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1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과성 바닥 섹션(195), 본체(192) 및 상부 배출 개구(196)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197)를 포함한다. 스크류(197)에서 야기되는 압력에 의해 물이 상부 배출 개구(1966)를 통하여 내부벽(193)과 외부벽(194) 사이로 인도된다. 계속하여 물은 내부벽(193)과 외부벽(194) 사이에서 다시 본체(192)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내부벽(193)과 외부벽(194) 사이에 형성되며 상부 배출 개구(196)로부터 본체(192)와 분리된 상기 투과성 바닥 섹션(195)을 향하여 상기 물을 복귀시키기 위한 가이드 수단(199) 및 본체(192) 아래의 가이드 부재(211)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211)의 배열 및/또는 형상은 도달한 물이 규칙적인 유동 패턴으로 투과성 바닥 섹션(195)을 통해서 본체(192)로 상부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것은 가이드 부재(211)가 본체(192)에 존재하는 테이블(B)을 따라 기본적으로 상부쪽으로 향하는 물의 유동을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물의 유동 패턴이 본체(192)의 중앙 위치에서 가장 높은 속도를 가지고 바깥쪽으로 감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이드 부재(211)는 가이드 리브(215)를 포함하고, 투과성 바닥 섹션(195) 아래 외부벽(194)에 놓여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11)는 본체(192)의 중앙에서 가장 높은 속도를 가지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감소하는, 방해받지 않는 유동 패턴을 제공하고 가이드 리브(215)는 수직면으로 배열되고, 방사상으로 뻗어 있으며, 중앙 위치에서 교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리브(215)들을 연결하는 가이드 부분(213)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리브(215)는 4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면으로 배열되어 있고 방사상으로 뻗어 있으며 중앙 위치에서 교차한다. 이러한 가이드 리브(215)는 상부로 이동하는 물의 유동을 촉진하고, 원형(소용돌이) 유동을 방지하며 중앙 위치를 향하여 힘의 증가를 일으킨다. 가이드 부분(213)의 위쪽으로 둘레면은 물을 본체(192)의 상부쪽으로 향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211)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적어도 일 영역이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제조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60)는, 작업 진행에 따라 오차데이터를 영상으로 제공하며, 작업의 시작 시간 내지 종료 시간 이내에 생성된 오차데이터 영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영상이란 사용자가 설정한 오차 범위를 벗어난 오차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계속하여 소정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는 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고, 상기 탐색 바를 디스플레이부(160)의 일 측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 중 상기 이벤트의 내용 및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에 따라 특정 이벤트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60)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오차데이터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오차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알람을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는, 다기능 승강 장치(20)를 더 포함한다.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작업자가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를 정비할 수 있도록 상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정비가 필요한 위치까지 작업자를 승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영역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기능 승강 장치(20)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승강시킴으로써, 정비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기능 승강 장치(20)의 상판이 파손되어 작업자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으로 인하여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9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0 내지 도 14는 도 9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5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15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12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도 8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 프레임(31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31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1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하여 다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는 도 15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8은 도 16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9는 도 17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1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구조물의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61447310-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110: 터치 프로브(touch probe)
120: 하우징부
130: 위치정보 수신부
140: 가공부
150: 제어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
180: 에어방사부
190: 방출부
211: 가이드 부재
215: 가이드 리브
310: 상판
320: 하판
400: 승강부
410: 상판 체결부
420: 구동부
430: 구동 프레임
440: 체결부
500: 탄성 지지부
510: 받침 플레이트
520: 지지 프레임
530: 지지 기둥
540: 받침 프레임

Claims (2)

  1.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작물의 위치, 형상 또는 치수를 점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프로브(touch probe)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프로브가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터치 프로브에서 전송하는 상기 공작물의 위치, 형상 또는 치수의 좌표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테이블에 탑재된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에서 전송받은 위치좌표와 설정해 둔 기준좌표를 비교하여 오차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가공부의 가공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오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며, 일면에 성형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공작물에 상기 전극을 접촉시킬 때 발생되는 방전현상에 의해 상기 전극의 패턴 형상대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방전전극 클램핑지그부;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가공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공작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를 상기 테이블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어방사부;
    상기 테이블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로부터 방출된 상기 먼지를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부;
    상기 방출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영역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에 안착된 상기 공작물을 촬영하고, 지그와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공작물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작업 진행에 따라 상기 오차 데이터를 영상으로 제공하며, 상기 작업의 시작 시간 내지 종료 시간 이내에 생성된 상기 오차 데이터 영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구분하고, 소정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고, 상기 탐색 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면에 표시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 중 상기 이벤트의 내용 및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에 따라 특정 이벤트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오차 데이터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방출부는, 외부벽, 투과성 바닥 섹션을 갖는 내부벽 및 상부 배출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상기 투과성 바닥 섹션, 상기 본체 및 상기 상부 배출 개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 상기 내부벽과 상기 외부벽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배출 개구로부터 상기 본체와 분리된 상기 투과성 바닥 섹션을 향하여 상기 물을 복귀시키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본체 아래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적어도 일 영역이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제조된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성 바닥 섹션 아래 상기 외부벽에 놓여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본체의 중앙에서 가장 높은 속도를 가지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감소하는 방해받지 않는 유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는 수직면으로 배열되고, 방사상으로 뻗어 있으며, 중앙 위치에서 교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리브들을 연결하는 가이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는, 일면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몸체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저장모듈; 상기 저장모듈 각각을 상기 몸체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연결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저장모듈 내부에 수용되는 냉각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모듈은, 상기 저장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관; 상기 제 1 연결관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연결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관은 상기 저장 모듈 상에 교번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관 각각은 상기 저장모듈 상에서 다른 반경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연결관은 상대적으로 유입로 또는 유출로 측에 더 가까운 반경 방향(r1)에 위치되고, 제 2 연결관은 상대적으로 유입로 또는 유출로 측에서 더 먼 반경방향 (r2)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수는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 및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수정 35 내지 55 중량부, 귀사문석 5 내지 10 중량부 및 귀양석 3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르말린분말 20 내지 40 중량부, 옥 20 내지 35 중량부, 규산염 4 내지 8 중량부, 칼슘 4 내지 8 중량부 및 텅스텐 4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맥반석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청제 1 내지 10 중량부,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수정, 귀사문석 및 귀양석의 비율은, 상기 이온알칼리수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수정 45 중량부, 귀사문석 7.5 중량부 및 귀양석 45 중량부로 제조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공작물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X축 및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상기 공작물들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지그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상기 공작물들의 높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지그와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상기 공작물들을 검사하는,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2. 삭제
KR1020190071371A 2019-06-17 2019-06-17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KR102023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371A KR102023967B1 (ko) 2019-06-17 2019-06-17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371A KR102023967B1 (ko) 2019-06-17 2019-06-17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967B1 true KR102023967B1 (ko) 2019-09-23

Family

ID=6806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371A KR102023967B1 (ko) 2019-06-17 2019-06-17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9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197B1 (ko) * 2023-12-04 2024-03-25 이정환 방전기계 스마트 원점 세팅장치
KR102660331B1 (ko) * 2023-12-20 2024-04-23 성경애 다국어 의료 관리 및 의료 관광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291B2 (ko) * 1986-09-24 1993-09-17 Canon Kk
JP2002346885A (ja) *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加工用位置決め方法
JP2004268220A (ja) * 2003-03-11 2004-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加工装置
KR20140087792A (ko) * 2012-12-31 2014-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기종 지그 위치 확인 및 가공 재질별 클램프 압력 가변 시스템
KR20180061049A (ko)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탄성체 조성물 및 이로 구현된 방열탄성체
KR101992489B1 (ko) * 2019-05-16 2019-06-24 최윤기 Cnc 공작기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291B2 (ko) * 1986-09-24 1993-09-17 Canon Kk
JP2002346885A (ja) *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加工用位置決め方法
JP2004268220A (ja) * 2003-03-11 2004-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加工装置
KR20140087792A (ko) * 2012-12-31 2014-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기종 지그 위치 확인 및 가공 재질별 클램프 압력 가변 시스템
KR20180061049A (ko)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탄성체 조성물 및 이로 구현된 방열탄성체
KR101992489B1 (ko) * 2019-05-16 2019-06-24 최윤기 Cnc 공작기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197B1 (ko) * 2023-12-04 2024-03-25 이정환 방전기계 스마트 원점 세팅장치
KR102660331B1 (ko) * 2023-12-20 2024-04-23 성경애 다국어 의료 관리 및 의료 관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967B1 (ko)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CN203849177U (zh) 非接触式检测设备
US82140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rotationally-symmetric precision part
CN110328149A (zh) 一种手机镜片外观缺陷自动检测设备
CN103707033A (zh) 一种自动选择零件的零件安装机
CN102141374A (zh) 一种影像式喷丝板自动检测仪
CN104639937B (zh) 摄像头的自动测试设备
CN110116326B (zh) 利用数控机床加工的加工件的自动化生产线
CN105181600A (zh) 一种大口径曲面光学元件表面微缺陷的检测与激光修复装置
CN106895763A (zh) 一种全自动螺纹通止检测设备
JP6709280B2 (ja) 機械加工モジュール、機械加工モジュールのためのアクセサリ・アセンブリ、及び、機械加工モジュールを始動するための方法
KR101527311B1 (ko) 공작 기계
JP5537792B2 (ja) 重量のある加工物用の測定装置およびかかる測定装置用の加工物受け具
CN212019765U (zh) 激光加工设备
CN102735191A (zh) 一种蜂窝陶瓷垂直度测定装置
JP5351552B2 (ja) 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並びに切削機械の加工位置補正装置及びその加工位置補正方法
CN201170772Y (zh) 一种工业检测装置
CN110039424A (zh) 一种工业化工件加工生产装置
CN204408547U (zh) 摄像头的自动测试设备
CN208246174U (zh) 一种适用于主泵法兰密封面在线修复的设备
JP2018524194A (ja) セット・アップ方法及びセット・アップ・モジュールを含むワークピース機械加工システム
CN109986280A (zh) 一种适用于主泵法兰密封面在线修复的设备
CN210731368U (zh) 一种自动上下料激光打标设备
CN104826809B (zh) 工件的高度检料装置
CN214641754U (zh) 一种卧式加工中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