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359B1 - 필름형 칩용 핸들러 - Google Patents

필름형 칩용 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359B1
KR101212359B1 KR1020110052838A KR20110052838A KR101212359B1 KR 101212359 B1 KR101212359 B1 KR 101212359B1 KR 1020110052838 A KR1020110052838 A KR 1020110052838A KR 20110052838 A KR20110052838 A KR 20110052838A KR 101212359 B1 KR101212359 B1 KR 101212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ension control
chip
tens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916A (ko
Inventor
이동건
김영삼
박용수
Original Assignee
에이엘티 세미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엘티 세미콘(주) filed Critical 에이엘티 세미콘(주)
Priority to KR102011005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35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가압부의 동작시에 공급측과 수용측에 동일한 장력이 발생하도록 조절하여 가압부에 위치하는 필름형 칩의 위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는, 공급부에서 공급받은 필름형 칩을 가압부로 이송하며, 상기 가압부의 동작상태에 따른 상기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공급측의 장력을 조절하는 공급측장력조절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검사가 완료된 필름형 칩을 수용부로 이송하며, 상기 가압부의 동작상태에 따른 상기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수용측 장력이 상기 공급측 장력과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수용측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의 동작에 따라 필름형 칩이 이동하는 길이만큼을 공급측장력조절부와 수용측장력조절부에서 보상하므로, 가압부의 동작시에 공급측과 수용측에 동일한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공급측장력조절부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와 수용측장력조절부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가 동일하게 된다. 즉, 공급측장력조절부와 수용측장력조절부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가압부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필름형 칩의 평면상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필름형 칩용 핸들러{HANDLER FOR FILM-TYPE CHIP}
본 발명은 필름형 칩용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부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필름형 칩의 평면상 위치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필름형 칩용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필름형 칩(Film-type chip)이란 필름상에 칩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필름형 칩의 종류에는 TCP(Tape Carrier Package),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이 있다.
이러한 필름형 칩의 제조 과정에서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필름형 칩이나 그 중간 단계에 있는 필름형 칩의 성능이나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가 필요하고, 이러한 검사장치는 일반적으로 테스트 본체, 테스트 헤드 및 핸들러(HANDLER)를 포함한다.
핸들러는 필름형 칩을 이송하여 테스트 헤드에 위치시킨 후, 필름형 칩을 눌러 테스트 헤드에 전기적으로 집속된 프로브 카드에 필름형 칩의 패드를 접촉시키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종래 핸들러는 공급부(30), 공급롤러부(50), 공급측장력조절부(10), 수용부(40), 수용롤러부(60), 수용측장력조절부(20) 및 가압부(70)를 포함한다.
공급부(30)에 수용된 필름형 칩(90)은 공급롤러부(50)와 공급측장력조절부(10)를 거쳐 가압부(70)로 이송되고, 가압부(70)는 필름형 칩(90)의 동작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이송된 필름형 칩(90)을 눌러 프로브 카드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필름형 칩(90)의 동작상태를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하여 가압부(70)에 의하여 눌러지는 필름형 칩(90)의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필름형 칩(90)이 가압부(70)에 의하여 눌러져 아래쪽으로 이동한 길이 만큼 공급측(공급측은 공급부, 공급롤러부 및 공급측장력조절부를 포함함)과 수용측(수용측은 수용부, 수용롤러부 및 수용측장력조절부를 포함함)에서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부에 의하여 필름형 칩이 눌러지는 경우에 공급측과 수용측의 장력이 동일하면 공급측과 수용측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어 가압부에 의하여 눌러지는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나, 공급측과 수용측의 장력이 동일하지 않으면 공급측과 수용측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가 서로 달라지게 되어 가압부에 의하여 눌러지는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가 발생하게 되므로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종래 핸들러의 경우 가압부에 의하여 필름형 칩이 눌러지면, 가압부에서 멀리 이격된 공급부와 수용부에 수용된 필름형 칩이 가압부로 이송되므로 공급측과 수용측의 장력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핸들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 4a, 4b에 의하면, 필름형 칩은 제1장력조절블럭(15)과 제4장력조절롤러(14)를 거쳐 가압부(70)로 이송되고, 가압부(70)에서 검사가 완료된 필름형 칩은 제4'장력조절롤러(24)와 제1'장력조절블럭(25)을 거쳐 수용롤러부(60)로 이송된다. 가압부(70)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4장력조절롤러(14)와 제4'장력조절롤러(24)는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4장력조절롤러(14)와 제4'장력조절롤러(24)에 감긴 필름형 칩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필름형 칩이 아래쪽으로 이동한 길이는 공급부(30)와 수용부(40)에 수용된 필름형 칩에 의하여 보상된다. 즉, 필름형 칩이 아래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공급부(30)에 수용된 필름형 칩은 공급롤러부(50), 제1장력조절블럭(15), 제4장력조절롤러(14)를 거쳐 가압부(70)로 이송되고, 수용부(40)에 수용된 필름형 칩은 수용롤러부(60), 제1'장력조절블럭(25), 제4'장력조절롤러(24)를 거쳐 가압부(70)로 이송된다.
이때, 공급측과 수용측의 장력이 동일하여야 동일한 길이의 필름형 칩이 가압부(70)로 이송되어 가압부(70)에 위치한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나, 현실적으로 복수의 구성을 가지는 공급측과 수용측의 장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공급측과 수용측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공급측과 수용측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는 서로 달라지게 되어 가압부에 의하여 눌러지는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가 발생하므로, 결국 필름형 칩의 동작상태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가압부의 동작시에 공급측과 수용측에 동일한 장력이 발생하도록 조절하여 가압부에 위치하는 필름형 칩의 위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필름형 칩용 핸들러는, 공급부에서 공급받은 필름형 칩을 가압부로 이송하며, 상기 가압부의 동작상태에 따른 상기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공급측의 장력을 조절하는 공급측장력조절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검사가 완료된 필름형 칩을 수용부로 이송하며, 상기 가압부의 동작상태에 따른 상기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수용측 장력이 상기 공급측 장력과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수용측장력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측장력조절부는, 상기 가압부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제1장력조절롤러;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에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가압부에 위치하는 필름형 칩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는 제2장력조절롤러; 및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에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에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장력조절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측장력조절부는, 상기 가압부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제1'장력조절롤러;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가압부에 위치하는 필름형 칩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는 제2'장력조절롤러; 및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장력조절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 및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는 상기 가압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의 동작에 따라 필름형 칩이 이동하는 길이만큼을 공급측장력조절부와 수용측장력조절부에서 보상하므로, 가압부의 동작시에 공급측과 수용측에 동일한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공급측장력조절부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와 수용측장력조절부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가 동일하게 된다. 즉, 공급측장력조절부와 수용측장력조절부에서 가압부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가압부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필름형 칩의 평면상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압부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필름형 칩의 평면상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필름형 칩의 동작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 핸들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 4b는 종래 핸들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필름형 칩이란 필름상에 칩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필름형 칩의 종류에는 TCP(Tape Carrier Package),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이 있다.
또한, 필름형 칩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스프로킷(Sprocket)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의 필름형 칩은 스프로킷 롤러를 통하여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즉, 스프로킷 롤러에 형성된 돌기가 필름형 칩의 스프로킷 홈에 삽입되면 필름형 칩이 스프로킷 롤러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으므로, 필름형 칩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1)는, 공급측장력조절부(10), 수용측장력조절부(20), 공급부(30), 수용부(40), 공급롤러부(50), 수용롤러부(60), 가압부(70) 및 연결롤러부(8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급측장력조절부(10), 공급부(30) 및 공급롤러부(50)는 공급측에 해당하고, 수용측장력조절부(20), 수용부(40) 및 수용롤러부(60)는 수용측에 해당한다.
공급부(30)에 수용된 필름형 칩(90)은 공급롤러부(50)와 공급측장력조절부(10)를 거쳐 가압부(70)로 이송되며, 가압부(70)에서 검사가 완료된 필름형 칩(90)은 수용측장력조절부(20)와 수용롤러부(60)를 거쳐 수용부(40)로 이송된다. 또한, 연결롤러부(80)를 통하여 수용부(40)에 수용된 필름형 칩(90)을 공급부(30)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공급측장력조절부(10)는 공급부(30)에서 공급받은 필름형 칩을 가압부(70)로 이송하며, 가압부(70)의 동작상태에 따른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공급측의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공급측장력조절부(10)는,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제1장력조절롤러(11); 제1장력조절롤러(11)에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가압부(70)에 위치하는 필름형 칩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1장력조절롤러(11)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1장력조절롤러(11)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는 제2장력조절롤러(12); 및 제2장력조절롤러(12)에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11)에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평행을 이루도록 제2장력조절롤러(1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장력조절롤러(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부(70)는 필름형 칩의 동작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아래쪽으로 동작하여 필름형 칩을 누르거나, 검사가 완료된 경우에 필름형 칩의 이송을 위하여 위쪽으로 동작한다. 즉, 필름형 칩의 동작상태를 검사하는 경우에 아래쪽으로 동작하여 필름형 칩이 프로브 카드에 접촉되도록 하고, 필름형 칩의 동작상태 검사가 완료된 경우에 위쪽으로 동작하여 필름형 칩이 다음 단계로 이송되도록 한다.
제1장력조절롤러(11)는 상술한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즉, 제1장력조절롤러(11)는 가압부(70)가 아래쪽으로 동작하면 그에 따라 아래쪽으로 동일하게 동작하고, 가압부(70)가 위쪽으로 동작하면 그에 따라 위쪽으로 동일하게 동작한다. 이때, 제1장력조절롤러(11)에 필름형 칩이 감겨 있으므로, 제1장력조절롤러(11)의 동작상태에 따라 필름형 칩도 아래쪽으로 동작하거나 위쪽으로 동작한다.
또한, 제1장력조절롤러(11)는 가압부(7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장력조절롤러(11)가 가압부(70)에 구비됨으로써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제1장력조절롤러(11)는 스프로킷 롤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장력조절롤러(11)의 스프로킷 돌기에 필름형 칩의 스프로킷 홈이 삽입되므로, 필름형 칩이 제1장력조절롤러(11)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장력조절롤러(11)는 필름형 칩을 가압부(70)로 용이하게 이송하거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장력조절롤러(12)는 가압부(70)의 동작상태에 따른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공급측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1장력조절롤러(11)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장력조절롤러(12)는, 제2장력조절롤러(12)에서 제1장력조절롤러(11)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제1장력조절롤러(11)에서 가압부(70)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수직을 이루도록, 제1장력조절롤러(11)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장력조절롤러(12)에서 제1장력조절롤러(11)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은 가압부(70)의 상하동작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압부(70)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제1장력조절롤러(11)와 제2장력조절롤러(12)에 감긴 필름형 칩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압부(70)가 위쪽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제1장력조절롤러(11)와 제2장력조절롤러(12)에 감긴 필름형 칩도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압부(70)의 동작상태에 따른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게 된다.
또한, 제2장력조절롤러(12)는 상술한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제2장력조절롤러(12)는 가압부(70)가 아래쪽으로 동작하면 그에 따라 아래쪽으로 동일하게 동작하고, 가압부(70)가 위쪽으로 동작하면 그에 따라 위쪽으로 동일하게 동작한다. 이때, 제2장력조절롤러(12)에 필름형 칩이 감겨 있으므로, 제2장력조절롤러(12)의 동작상태에 따라 필름형 칩도 아래쪽으로 동작하거나 위쪽으로 동작한다.
또한, 제2장력조절롤러(12)는 가압부(7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장력조절롤러(12)가 가압부(70)에 구비됨으로써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제2장력조절롤러(12)는 스프로킷 롤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장력조절롤러(12)의 스프로킷 돌기에 필름형 칩의 스프로킷 홈이 삽입되므로, 필름형 칩이 제2장력조절롤러(12)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장력조절롤러(12)는 필름형 칩을 가압부(70)로 용이하게 이송하거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3장력조절롤러(13)는, 제3장력조절롤러(13)에서 제2장력조절롤러(12)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제2장력조절롤러(12)에서 제1장력조절롤러(11)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평행을 이루도록, 제2장력조절롤러(12)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장력조절롤러(13)는 제1장력조절롤러(11), 제2장력조절롤러(12)와 달리 가압부(70)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지 않고 고정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3장력조절롤러(13)는 스프로킷 롤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장력조절롤러(13)의 스프로킷 돌기에 필름형 칩의 스프로킷 홈이 삽입되므로, 필름형 칩이 제3장력조절롤러(13)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3장력조절롤러(13)는 필름형 칩을 제2장력조절롤러(12)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측장력조절부(20)는 가압부(70)에서 검사가 완료된 필름형 칩을 수용부(40)로 이송하며, 가압부(70)의 동작상태에 따른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수용측 장력이 공급측 장력과 동일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수용측장력조절부(20)는,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제1'장력조절롤러(21); 제1'장력조절롤러(21)로부터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가압부(70)에 위치하는 필름형 칩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1'장력조절롤러(21)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1'장력조절롤러(21)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는 제2'장력조절롤러(22); 및 제1'장력조절롤러(21)로부터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제2'장력조절롤러(22)로부터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평행을 이루도록 제2'장력조절롤러(2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장력조절롤러(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장력조절롤러(21)는 상술한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제1'장력조절롤러(21)는 가압부(70)가 아래쪽으로 동작하면 그에 따라 아래쪽으로 동일하게 동작하고, 가압부(70)가 위쪽으로 동작하면 그에 따라 위쪽으로 동일하게 동작한다. 이때, 제1'장력조절롤러(21)에 필름형 칩이 감겨 있으므로, 제1'장력조절롤러(21)의 동작상태에 따라 필름형 칩도 아래쪽으로 동작하거나 위쪽으로 동작한다.
또한, 제1'장력조절롤러(21)는 가압부(7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장력조절롤러(21)가 가압부(70)에 구비됨으로써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제1'장력조절롤러(21)는 스프로킷 롤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장력조절롤러(21)의 스프로킷 돌기에 필름형 칩의 스프로킷 홈이 삽입되므로, 필름형 칩이 제1'장력조절롤러(21)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장력조절롤러(21)는 필름형 칩을 가압부(70)로 용이하게 이송하거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장력조절롤러(22)는 가압부(70)의 동작상태에 따른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공급측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1'장력조절롤러(21)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장력조절롤러(22)는, 가압부(70)에서 제1'장력조절롤러(21)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제1'장력조절롤러(21)에서 제2'장력조절롤러(22)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수직을 이루도록, 제1'장력조절롤러(21)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장력조절롤러(21)에서 제2'장력조절롤러(22)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은 가압부(70)의 상하동작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압부(70)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제1'장력조절롤러(21)와 제2'장력조절롤러(22)에 감긴 필름형 칩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압부(70)가 위쪽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제1'장력조절롤러(21)와 제2'장력조절롤러(22)에 감긴 필름형 칩도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압부(70)의 동작상태에 따른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게 된다.
또한, 제2'장력조절롤러(22)는 상술한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제2'장력조절롤러(22)는 가압부(70)가 아래쪽으로 동작하면 그에 따라 아래쪽으로 동일하게 동작하고, 가압부(70)가 위쪽으로 동작하면 그에 따라 위쪽으로 동일하게 동작한다. 이때, 제2'장력조절롤러(22)에 필름형 칩이 감겨 있으므로, 제2'장력조절롤러(22)의 동작상태에 따라 필름형 칩도 아래쪽으로 동작하거나 위쪽으로 동작한다.
또한, 제2'장력조절롤러(22)는 가압부(7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장력조절롤러(22)가 가압부(70)에 구비됨으로써 가압부(70)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제2'장력조절롤러(22)는 스프로킷 롤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장력조절롤러(22)의 스프로킷 돌기에 필름형 칩의 스프로킷 홈이 삽입되므로, 필름형 칩이 제2'장력조절롤러(22)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장력조절롤러(22)는 필름형 칩을 제3'장력조절롤러(23)로 용이하게 이송하거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3'장력조절롤러(23)는, 제1'장력조절롤러(21)에서 제2'장력조절롤러(22)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제2'장력조절롤러(22)에서 제3'장력조절롤러(23)로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평행을 이루도록, 제2'장력조절롤러(22)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장력조절롤러(23)는 제1'장력조절롤러(21), 제2'장력조절롤러(22)와 달리 가압부(70)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지 않고 고정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3'장력조절롤러(23)는 스프로킷 롤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장력조절롤러(23)의 스프로킷 돌기에 필름형 칩의 스프로킷 홈이 삽입되므로, 필름형 칩이 제3'장력조절롤러(23)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3'장력조절롤러(23)는 필름형 칩을 수용롤러부(60)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1)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1)의 동작상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칩용 핸들러(1)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가압부(70)가 위쪽으로 동작한 상태이고 도 2b는 필름형 칩을 검사하기 위하여 가압부(70)가 아래쪽으로 동작한 상태이다.
필름형 칩은 공급측장력조절부(10)를 거쳐 가압부(70)로 이송되며, 가압부(70)에서 검사가 완료된 필름형 칩은 수용측장력조절부(20)로 이송된다. 즉, 필름형 칩은 제3장력조절롤러(13)의 하측, 제2장력조절롤러(12)의 상측, 제1장력조절롤러(11)의 하측을 거쳐 가압부(70)로 이송되고, 가압부(70)에서 검사가 완료된 필름형 칩은 제1'장력조절롤러(21)의 하측, 제2'장력조절롤러(22)의 상측, 제3'장력조절롤러(23)의 하측을 거쳐 수용롤러부(60)로 이송된다.
가압부(70)가 아래쪽 방향으로 동작하면, 제1장력조절롤러(11)와 제1'장력조절롤러(21)가 아래쪽 방향으로 동작하게 되고, 동시에 제2장력조절롤러(12)와 제2'장력조절롤러(22)도 아래쪽 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제1장력조절롤러(11), 제2장력조절롤러(12), 제1'장력조절롤러(21) 및 제2'장력조절롤러(22)가 가압부(70)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가압부(70)가 아래쪽으로 동작한 길이만큼 제1장력조절롤러(11), 제2장력조절롤러(12), 제1'장력조절롤러(21) 및 제2'장력조절롤러(22)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부(70)가 아래쪽 방향으로 동작하면 제1장력조절롤러(11)와 제1'장력조절롤러(21)가 아래쪽 방향으로 동작하게 되어 제1장력조절롤러(11)와 제1'장력조절롤러(21)에 감긴 필름형 칩이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장력조절롤러(12)와 제2'장력조절롤러(22)가 아래쪽 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므로 제2장력조절롤러(12)와 제2'장력조절롤러(22)에 감긴 필름형 칩도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가압부(70)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필름형 칩의 이동은 공급부(30)와 수용부(40)에 수용된 필름형 칩에 의해 보상되는 것이 아니라, 제2장력조절롤러(12)와 제2'장력조절롤러(22)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에 의해 보상되므로, 공급측장력조절부(10)와 수용측장력조절부(20)의 장력은 동일하게 유지되며, 이로 인해 가압부(70)의 하측에 위치한 필름형 칩의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필름형 칩의 동작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필름형 칩용 핸들러 10 : 공급측장력조절부
11 : 제1장력조절롤러 12 : 제2장력조절롤러
13 : 제3장력조절롤러 20 : 수용측장력조절부
21 : 제1'장력조절롤러 22 : 제2'장력조절롤러
23 : 제3'장력조절롤러 30 : 공급부
40 : 수용부 50 : 공급롤러부
60 : 수용롤러부 70 : 가압부
80 : 연결롤러부 90 : 필름형 칩

Claims (4)

  1. 필름형 칩의 동작상태 검사를 위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형 칩을 누르거나, 또는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필름형 칩의 이송을 위해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형 칩을 들어올리는 가압부;
    공급부에서 공급받은 필름형 칩을 상기 가압부로 이송하며, 상기 가압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상태에 따른 상기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공급측의 장력을 조절하는 공급측장력조절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검사가 완료된 필름형 칩을 수용부로 이송하며, 상기 가압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상태에 따른 상기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여 수용측 장력이 상기 공급측 장력과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수용측장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측장력조절부는 1)상기 가압부의 이동상태와 동일하게 이동하는 제1장력조절롤러, 2)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에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가압부에 위치하는 필름형 칩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의 이동상태와 동일하게 이동하여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는 제2장력조절롤러 및 3)상기 제2장력조절롤러에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에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장력조절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측장력조절부는 1')상기 가압부의 이동상태와 동일하게 이동하는 제1'장력조절롤러, 2')상기 제1'장력조절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가압부에 위치하는 필름형 칩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와 동일하게 이동하여 필름형 칩의 이동을 보상하는 제2'장력조절롤러 및 3')상기 제1'장력조절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필름형 칩이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필름형 칩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장력조절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측장력조절부의 상기 제1 및 제2장력조절롤러와, 상기 수용측장력조절부의 상기 제1' 및 제2'장력조절롤러는 상기 가압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의 이동상태와 동일하게 이동하는 필름형 칩용 핸들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52838A 2011-06-01 2011-06-01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101212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838A KR101212359B1 (ko) 2011-06-01 2011-06-01 필름형 칩용 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838A KR101212359B1 (ko) 2011-06-01 2011-06-01 필름형 칩용 핸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916A KR20120133916A (ko) 2012-12-11
KR101212359B1 true KR101212359B1 (ko) 2012-12-13

Family

ID=4751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838A KR101212359B1 (ko) 2011-06-01 2011-06-01 필름형 칩용 핸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3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496B1 (ko) 2019-04-08 2019-10-21 박형수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102016395B1 (ko) 2019-04-08 2019-10-21 류호민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102044174B1 (ko) 2019-04-08 2019-12-02 유종표 필름형 칩용 핸들러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496B1 (ko) 2019-04-08 2019-10-21 박형수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102016395B1 (ko) 2019-04-08 2019-10-21 류호민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102044174B1 (ko) 2019-04-08 2019-12-02 유종표 필름형 칩용 핸들러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916A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8393B2 (en) Substrate fixing apparatus and substrate working apparatus
CN104802504B (zh) 丝网印刷装置、电子部件安装系统及丝网印刷方法
KR101470996B1 (ko) 땜납 볼 인쇄 탑재 장치
JP6857241B2 (ja) 電子部品搭載機
KR101212359B1 (ko) 필름형 칩용 핸들러
WO2014170993A1 (ja) 基板クランプ装置
US10863657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KR20200085078A (ko) 레이저 본딩 장치용 마스크 교체 유닛
CN102858539B (zh) 丝网印刷生产线及丝网印刷方法
JP4950831B2 (ja) 基板搬送コンベヤ
CN204643248U (zh) 基板输送装置
KR101052726B1 (ko) 소자핸들러
JP2009044084A (ja) 表面実装装置
US9386735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20150097025A1 (en) Electrode forming device and electrode forming method
JP6045376B2 (ja) 基板搬送装置、基板の搬送方法
KR100914986B1 (ko) 칩 본딩 장비
JP6792631B2 (ja) 基板作業装置
JP2006032987A (ja) 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01968313B1 (ko) 연성회로기판 자동 부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자동 부착 방법
JP7271673B2 (ja) 作業機、および部品搬送方法
KR100833933B1 (ko) 반도체 패키지용 프레임에 방열판을 부착하는 장치 및 방법
JPWO2018109891A1 (ja) 基板搬送装置
JP2017103402A (ja) 基板搬送方法、部品実装方法、基板搬送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
JP2002111294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