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301B1 - 칫솔대 - Google Patents

칫솔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301B1
KR102014301B1 KR1020170154887A KR20170154887A KR102014301B1 KR 102014301 B1 KR102014301 B1 KR 102014301B1 KR 1020170154887 A KR1020170154887 A KR 1020170154887A KR 20170154887 A KR20170154887 A KR 20170154887A KR 102014301 B1 KR102014301 B1 KR 10201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andle
decorative
pet
decora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666A (ko
Inventor
황인창
Original Assignee
황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창 filed Critical 황인창
Priority to KR102017015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87Brushes with decoration on or in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3Magazins or sets of brushes components, e.g. plurality of brushes linked as a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대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PP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칫솔대의 손잡이 내측부분에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된 장식부재가 매입되되, PP소재인 손잡이부의 전, 후면과 양 측면 및 하단부에 장식부재의 제1장식부, 제2장식부, 제3장식부가 노출되는 형태로 상호 조립결합시켜 제작함으로써, 쉽게 외형적으로 부착할 수 없었던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사출형성된 장식부재를 적용시켜 칫솔대의 외관미 향상은 물론 두가지 소재의 상호 조립결합에 의한 조합 내구성을 높여 줄 수 있는 고품질의 칫솔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칫솔대{A toothbrush handle}
본 발명은 칫솔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시 상호 합체되지 않는 물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소재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둥과 같이, PP 소재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를 합체하여 하나의 칫솔대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소재가 주는 질감의 제공으로 나일론, 고무소재 등의 칫솔모 식재에 따른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칫솔대의 외관미, 강도 향상은 물론, 고급스러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칫솔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칫솔(toothbrush)은 남녀노소 구강의 위생과 잇몸질환발생을 억제시키는 용도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생활필수품 중 하나이다.
대략적인 칫솔대의 형태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며, 칫솔대의 손잡이는 성형이 용이하고 텐션이 좋은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또는 투명성과 강성이 뛰어난 PET(페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소재로 제작되며, 헤드부에 다수개 마련된 식모공에는 설정된 개수의 칫솔모가 식재된다.
한편, 상기 칫솔대에 있어, PP소재의 칫솔대는 최근 그 디자인과 칫솔대를 쥐는 파지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탄력이 있는 무독성 우레탄계열의 고무소재를 합체하여 제작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무독성 우레탄계열의 고무소재는 PP소재로 된 칫솔대에 부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칫솔대의 제작이 뛰어나나 투명도가 낮기 때문에 고급스러움은 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무독성 우레탄계열의 고무소재가 합체된 칫솔대의 경우 칫솔의 전반적인 무게를 가중시키고, 칫솔대의 손잡이부 두께가 비교적 굵게 제작되어 파지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은 프로필렌의 중합체.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도 우수하며, 천연가스로부터 풍부하게 얻어지는, 에틸렌과 비슷하고 탄소 원자가 하나 많은 프로필렌을 중합시키면 폴리에틸렌보다 투명하고 굴절에 강하여 다양한 성형용품의 소재로 사용된다.
한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소재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축합하여 얻을 수 있는 포화폴리에스테르로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보다 분자쇄의 길이가 짧고 잘 휘어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강성, 내열성 등이 좋은 소재로 상기와 같은 칫솔대를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SAN 수지(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s)는, 방향족탄화수소인 스타이렌과 불포화나이트릴인 아크릴로나이트릴을 중합시켜 만든 혼성중합체로서, 투명도, 열변형성, 내화학성, 광택성 등이 뛰어나서 냉장고의 육류와 체소 보관 서랍, 혼합용기 등과 같은 가정용품 성형에 널리 사용된다.
PS(Polystyrene) 소재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용기, 가정용품, 인테리어 장식품, 완구 및 사무용품 등에 널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PET. SAN 수지 및 PS 소재로 성형된 칫솔대는 투명성과 색상을 겸비하여 칫솔대로 사용하기에 좋은 강도를 가지고, 양치 후에 세척이 뛰어난 이점이 있고, 외관상 클리어한 고급스러움을 제공하지만, 식모공에 칫솔모를 식재하기 위한 제작과정에서 식모공이 깨지는 등의 불량사례가 잦은 단점이 있어, 완성품의 가격은 PP소재로 제작된 칫솔에 비하여 고가로 판매되고 있다.
칫솔 관련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20-1986-0002647(명칭: 치솔, 공고일자 1986년 10월 15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칫솔 몸체에 홈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색채와 형상을 갖는 덮개를 삽입하여 제작된 것으로 덮개부분만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몸체와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한 칫솔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칫솔은 홈에 맞는 덮개를 끼워 삽입 고정하는 방식으로 칫솔의 오랜 사용 중 쉽게 덮개가 홈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가령 덮개의 이탈 후에는 몸체의 손잡이 부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PP - PET, PP - SAN 또는 PP - PS 등 두가지 소재의 단순부착 혹은 삽입에 의한 결합은 칫솔대의 손잡이로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PP 소재에 쉽게 부착이나 조합될 수 있는 우레탄계열의 고무소재의 이중성형제작된 칫솔만이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그 목적은
폴리프로필렌(PP) 소재와 페트(PET) 소재, 폴리프로필렌(PP) 소재와 산(SAN)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소재와 피에스(PS)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쌍을 합체 성형하여 하나의 칫솔대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소재가 주는 질감의 제공으로 나일론, 고무소재 등의 칫솔모 식재에 따른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칫솔대의 외관미, 강도 향상은 물론, 고급스러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칫솔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식모공에 칫솔모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 및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PP소재의 칫솔대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의 손잡이부에는 손잡이부의 색상과 대비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손잡이부의 전후면으로 노출되는 제1장식부와, 손잡이부의 양측으로 노출되는 제2장식부와, 일측에 돌출되어 손잡이부 내에 매입되는 제1고정부와, 고정돌부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손잡이부가 종단되는 내측에 매입되는 제2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일측에 확장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단부를 마감하는 제3장식부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부재가 PP소재의 칫솔대의 손잡이부 내에 매입상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식부재의 제1장식부 및 제2장식부의 노출부분은 상기 손잡이부의 외표면과 동일면을 이루거나 손잡이부의 외표면으로부터 1 내지 1.5mm 돌출되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은, 통상의 PP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칫솔대의 손잡이 내측부분에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된 장식부재가 매입되되, 손잡이부의 전, 후면과 양 측면 및 하단부에 장식부재의 제1장식부, 제2장식부, 제3장식부가 노출되는 형태로 이중 사출 성형하여 제작함으로써, 쉽게 외형적으로 부착할 수 없었던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사출성형된 장식부재를 적용시켜 칫솔대의 외관미 향상은 물론 두가지 소재를 특정구조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조합 내구성을 높여 주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인 칫솔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의 손잡이부에 매입되는 장식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전면 및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를 절개하여 측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 3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는 다수개의 식모공(11a)에 칫솔모(M)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11) 및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12)로 이루어진 통상의 PP소재 칫솔대(10)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10)의 손잡이부(12)에는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사출형성된 장식부재가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매입되는 형태로 손잡이부의 성형으로써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성형된 장식부재를 일체감 있게 결합한다.
통상 PP소재와 PET소재, PP소재와 SAN 수지 또는 PP소재와 PS소재는 외형적으로 부착이 불가하기 때문에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사출형성된 장식부재(20)와, PP소재부재가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와 같은 칫솔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20)는 손잡이부(12)의 색상과 대비되는 반투명한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성형된 것으로써, 손잡이부의 전후면으로 노출되는 제1장식부(21)와, 손잡이부의 양측으로 노출되는 제2장식부(22)와, 일측에 돌출되어 손잡이부 내에 매입되는 제1고정부(23)와, 제1고정부(23)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손잡이부가 종단되는 내측에 매입되는 제2고정부(24)와, 제2고정부의 일측에 확장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단부를 마감하는 제3장식부(25)가 일체로 형성된 형상모양으로 그 구체적인 형상은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장식부재(20)의 제1장식부(21), 제2장식부(22) 및 제3장식부(25)는 손잡이부의 이중 사출에 의해 손잡이부(12)의 외표면에 노출되거나 그대로 드러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장식부(21)와 제2장식부(22)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되, 그 둘레부 및 제1고정부(23), 제2고정부(24)는 손잡이부(12) 내측에 묻히는 형태가 되어 칫솔대(10)를 형성함으로써, 칫솔대에 표현하고자 하는 미려함과 더불어 손잡이부의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우레탄 고무계열과 PP소재로 성형되는 칫솔대에 비해 손잡이부가 불필요한 두께로 투박해짐을 해결할 수 있으며, PET, SAN 수지 또는 PS 소재가 주는 클리어한 느낌은 칫솔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통상 헤드부의 식모공에 식재되는 칫솔모는 PP소재에 불량률 없이 식재되어 칫솔모의 기능을 충실이 이행할 수 있음은 물론 투명한 재질를 갖는 미려한 외관의 손잡이부를 갖는 칫솔대의 헤드부가 PP소재로 얇게 제작될 수 있어 양치시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줄여 준다.
상기 장식부재(20)는 동일 디자인의 칫솔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손잡이부 내에 매입 성형케 함으로써, 두 가지 소재가 주는 촉감과 기능적인 부분을 달리할 수 있어 칫솔 제품의 미려함 제공과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칫솔대(10)는 상기 제1장식부(21) 및 제2장식부(22)는 손잡이부(12)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노출되어 손잡이부(12)를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하드한 성질의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의 소재가 주는 투명 혹은 반투명부위가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칫솔대의 미려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단일 PP소재로 된 손잡이부에 비해 손잡이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장식부재(20)의 제1장식부(21) 및 제2장식부(22)의 노출부분은 상기 손잡이부(12)의 외표면과 동일면을 이루어 일체감을 갖도록 하거나 손잡이부의 외표면으로부터 1 내지 1.5mm 돌출되어 노출되어 파지감을 더해줄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미도시 하였지만 상기 제1장식부(21) 및 제2장식부(22)의 노출된 표면에는 지압돌기 혹은 미끄럼 방지돌기를 더 형성하여 파지감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칫솔대 11: 헤드부
12: 손잡이부 20: 장식부재
21: 제1장식부 22: 제2장식부
23: 제1고정부 24: 제2고정부
25: 제3장식부 M: 칫솔모

Claims (3)

  1. 다수개의 식모공(11a)에 칫솔모(M)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11) 및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12)로 이루어진 PP소재의 칫솔대(10)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10)의 손잡이부(12)에는 손잡이부의 색상과 대비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손잡이부의 전후면으로 노출되는 제1장식부(21)와, 손잡이부의 양측으로 노출되는 제2장식부(22)와, 일측에 돌출되어 손잡이부 내에 매입되는 제1고정부(23)와, 제1고정부(23)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손잡이부가 종단되는 내측에 매입되는 제2고정부(24)와, 제2고정부의 일측에 확장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단부를 마감하는 제3장식부(25)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부재(20)가 PP소재의 칫솔대의 손잡이부 내에 매입된 상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20)의 제1장식부(21) 및 제2장식부(22)의 노출부분은 상기 손잡이부(12)의 외표면과 동일면을 이루거나 손잡이부의 외표면으로부터 1 내지 1.5mm 돌출되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는,
    PET, SAN 수지 또는 PS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대.

KR1020170154887A 2017-11-20 2017-11-20 칫솔대 KR102014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87A KR102014301B1 (ko) 2017-11-20 2017-11-20 칫솔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87A KR102014301B1 (ko) 2017-11-20 2017-11-20 칫솔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66A KR20190057666A (ko) 2019-05-29
KR102014301B1 true KR102014301B1 (ko) 2019-08-26

Family

ID=6667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887A KR102014301B1 (ko) 2017-11-20 2017-11-20 칫솔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617B1 (ko) 2022-12-16 2024-04-16 이현화 대나무 칫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851B2 (ja) 1991-10-31 2000-08-28 東芝機械株式会社 光学部品の調芯方法
JP3095258B2 (ja) * 1991-05-31 2000-10-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トルコン付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200229914Y1 (ko) 2000-12-29 2001-07-03 정정수 칫솔
KR200278891Y1 (ko) 2002-03-09 2002-06-21 김규원 칫솔의 식별을 위한 캐릭터 부재
KR200286488Y1 (ko) 2002-04-26 2002-08-22 윤웅태 헤어 브러시
WO2006125597A1 (en) 2005-05-24 2006-11-30 Unilever N.V. Toothbrush
KR200466641Y1 (ko) 2013-03-08 2013-04-29 김창호 결합력이 향상된 분리형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340A (ko) * 1999-04-01 2000-11-15 박충서 칫솔대
JP3081851U (ja) * 2001-04-16 2001-11-22 喜晴 矢本 保護カバー付子供用歯ブラシ
JP3095258U (ja) * 2003-01-15 2003-07-25 陳 ▲ぎょく▼▲さん▼ 歯ブラシ
KR200456479Y1 (ko) * 2009-04-24 2011-11-01 최병철 기능성 칫솔
KR20180093362A (ko) * 2017-02-13 2018-08-22 양승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258B2 (ja) * 1991-05-31 2000-10-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トルコン付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3081851B2 (ja) 1991-10-31 2000-08-28 東芝機械株式会社 光学部品の調芯方法
KR200229914Y1 (ko) 2000-12-29 2001-07-03 정정수 칫솔
KR200278891Y1 (ko) 2002-03-09 2002-06-21 김규원 칫솔의 식별을 위한 캐릭터 부재
KR200286488Y1 (ko) 2002-04-26 2002-08-22 윤웅태 헤어 브러시
WO2006125597A1 (en) 2005-05-24 2006-11-30 Unilever N.V. Toothbrush
KR200466641Y1 (ko) 2013-03-08 2013-04-29 김창호 결합력이 향상된 분리형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617B1 (ko) 2022-12-16 2024-04-16 이현화 대나무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66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430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CN103945732B (zh) 具有内腔的牙刷柄部
EP1951084B2 (en) Toothbrush device
CN105307539B (zh) 生产牙刷的方法以及由此生产的牙刷
US10021959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RU25340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меющее декоратив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10536518A (ja) 化粧品ユニットの部品
US11071373B2 (en) Imple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MX2012006091A (es) Implemento para el cuidado oral con mangos de componentes multiples.
KR20090060151A (ko) 칫솔 및 칫솔 제조방법
US20140216497A1 (en) Cosmetic applicator
KR102014301B1 (ko) 칫솔대
KR102045237B1 (ko) 칫솔 제조방법
WO2017208488A1 (ja) 歯ブラシ
JP2002028028A (ja) 歯ブラシハンドル
CN206213523U (zh) 一种牙刷
KR102652899B1 (ko) 구강 관리 기구 및 그 제작방법
JP4632608B2 (ja) 歯ブラシの製造方法
CN202072043U (zh) 一种多功能桶
KR101150649B1 (ko) 밴딩 칫솔
JP2005144033A (ja) 歯ブラシ
KR200391954Y1 (ko) 세척용 솔
JP2013132457A (ja) 歯ブラシ
TWM290392U (en) Improved structure of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