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133B1 -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133B1
KR102014133B1 KR1020180068558A KR20180068558A KR102014133B1 KR 102014133 B1 KR102014133 B1 KR 102014133B1 KR 1020180068558 A KR1020180068558 A KR 1020180068558A KR 20180068558 A KR20180068558 A KR 20180068558A KR 102014133 B1 KR102014133 B1 KR 102014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heet
pair
sheet
moving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중국
이준형
안현철
Original Assignee
(주)프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템 filed Critical (주)프로템
Priority to KR102018006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시트의 표면과 외접하는 외부면에 양각패턴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기재시트에 패턴홈을 형성하는 임프린팅롤 ; 상기 패턴홈이 형성된 기재시트에 1차 전극재를 도포하는 디스펜서를 갖추고, 상기 패턴홈에 1차 전극재가 충진되도록 기재시트의 표면을 1차 긁음제거하는 블레이드를 갖추어 상기 기재시트에 도전패턴을 형성하는 인쇄부 ;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기재시트의 표면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원을 갖추어 상기 도전패턴을 건조하면서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2차 전극재를 건조시키는 1차 건조부 ;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과 접하여 일방향 진행되는 크리닝시트를 갖추어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되어 건조된 1차 전극재를 용제가 함침된 크니닝시트에 의해서 제거하는 크리닝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conductibility substrate}
본 발명은 전도성 기판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기재시트를 폭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으로 인장시킨 상태에서 임프린팅, 패턴닝 및 건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기재시트에 잔류하는 전극재를 크리닝시트로서 청결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휴대성이 용이하면서도 좀 더 큰 화면을 원하기 때문에 접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OLED나 LCD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와 저전력 구동을 위해서는 능동형(active matrix) 구동방식이 필요한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제조온도가 높고, 휘거나 구부렸을 때 쉽게 깨어지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스마트 의류(smart wear)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가 증대하고 있는데, 스마트 의류란, 섬유 또는 의류의 속성을 유지하면서도 전기, 전자 소재 등을 접목시켜서, 디지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의미하며, 이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현재에는 의류 분야, 의료 분야 등으로 확대 적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및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프린팅 전자 기술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와 의류를 접목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의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플렉서블 전기·전자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 휘거나 구부렸을 때도 견딜 수 있는 유기박막트랜지스터(Organic Thin Film Transistor, OTFT), OLED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축성이 중요한 연성 전자부품으로의 활용을 위해서는 신축성 내지 유연성을 갖는 기재인 전도성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야 하며 신축성이 유지되면서도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전도성 기판의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10-1225143 B1
(특허문헌 2) KR10-1531401 B1
(특허문헌 3) KR2015-0132790 A
특허문헌 1에는 유연성 및 신축성을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액추에이터 등 연성 전자부품에 적용되는 연성 전극소재를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 2에는 인장 장치에 탑재된 상태에서 처리 전, 처리 동안 및 처리 후에 평탄도를 확보하도록 폴리이미드 혹은 기타 필름 등의 가요성 기판을 재현 가능하면서 가역적으로 인장시키는 것을 돕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시트와 같은 기재의 표면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여 전도성 기판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극한의 휨조건(예를 들어, 곡률반경 1mm)에서 투명전극과 같은 도전패턴의 파단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2에는 제2지지롤과 제3지지롤 사이에 배치되어 블레이딩 유닛을 경유한 임프린티드 필름에서 패턴 밖에 잔류하는 전도성 잉크를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클리닝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블레이딩 유닛의 블레이드에 의해서 임프린티드 필름에 잉크를 도포하여 패턴에 충전하는 과정에서 임프린티드 필름의 패턴 밖에 잔류하는 잉크를 패드에 의해서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패턴 밖에 잔류하는 액상의 잉크를 패드와 접촉시켜 제거하는 과정에서 음각된 패턴의 내부에 충전되어 채어져 있던 액상의 잉크도 점도와 응집력에 기인하여 패드에 묻혀져서 제거되기 때문에 패턴에 채워져 잔류하는 잉크의 충전량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제품불량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패터닝된 기재시트의 패턴에 전도성 잉크를 도포하고 블레이딩 하는 과정에서 양각부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음각부에 충전된 전도성 잉크의 손실없이 청결하게 제거하할 수 있는 크리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시트에 일정크기의 인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패터닝, 도전성 잉크도포, 잔류잉크 크리닝 및 건조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휨변형시 도전패턴의 파단 및 단선과 같은 불량발생이 없는 전도성 기판을 제조할 수 있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재시트의 표면과 외접하는 외부면에 양각패턴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기재시트에 패턴홈을 형성하는 임프린팅롤 ; 상기 패턴홈이 형성된 기재시트에 1차 전극재를 도포하는 디스펜서를 갖추고, 상기 패턴홈에 1차 전극재가 충진되도록 기재시트의 표면을 1차 긁음제거하는 블레이드를 갖추어 상기 기재시트에 도전패턴을 형성하는 인쇄부 ;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기재시트의 표면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원을 갖추어 상기 도전패턴을 건조하면서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2차 전극재를 건조시키는 1차 건조부 ;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과 접하여 일방향 진행되는 크리닝시트를 갖추어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되어 건조된 1차 전극재를 용제가 함침된 크리닝시트에 의해서 제거하는 크리닝부 ; 를 포함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재시트에 일정크기의 인장력을 부여하여 스트레칭하는 스트레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는 상기 기재시트의 양측테두리 상부 마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기재시트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상부가동판 ; 상기 기재시트의 양측테두리 하부 마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기재시트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한쌍의 하부고정판 ; 상기 한쌍의 하부고정판에 구비되는 부싱부재를 통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가동판과 일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작동축을 갖추어 상기 한쌍의 하부고정판의 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연결판 ; 상기 한쌍의 연결판에 관통형성된 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한쌍의 하부고정판과 일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고정지지바를 상부면에 갖추고, 본체프레임의 베이스판에 고정설치된 안내레일과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가이더를 하부면에 갖추어 상기 한쌍의 연결판의 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이동판 ;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설치되는 수직지지판의 상단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기재시트의 하부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시트지지판 한쌍의 이동판에 구비되는 안내가이더와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레일을 갖추어 기재시트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판 ; 상기 한쌍의 연결판과 일단이 연결되도록 한쌍의 이동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판을 수직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는 복수개의 제1엑추에이터 ; 상기 한쌍의 이동판과 일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이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는 복수개의 제2엑추에이터 ; 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엑추에이터에 의해서 한쌍의 하부고정판에 대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가동판을 하강 작동시켜 상기 기재시트를 클램핑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엑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한쌍의 이동판을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기재시트에 인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프린팅롤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일시 정지된 기재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이동프레임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한쌍의 상부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더를 하부단에 구비하는 한쌍의 이동브라켓과, 한쌍의 이동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일측면에 구비된 수직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임프린팅롤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이동블럭과, 상기 한쌍의 이동블럭과 연결되어 상기 임프린팅롤을 상하작동시키는 한쌍의 상하작동용 엑추에이터와,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중 일측 이동브라켓에 구비되는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을 임프린팅롤과 더불어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작동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쇄부는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수평대에 고정설치되는 제1작동실린더와 상기 제1작동실린더의 로드선단에 연결되고 양단이 상기 수평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수직바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이동판 및 상기 제1이동판에 구비되는 제1홀더봉에 조립되는 제1홀더를 포함하여 상기 제1홀더에 상기 블레이드가 교체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쇄부는 상기 수평대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제2작동실린더와, 상기 제2작동실린더의 로드선단에 연결되고 양단이 상기 수평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직바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이동판와, 상기 제2이동판에 구비되는 제2홀더봉에 조립되는 제2홀더 및 상기 패턴홈에 1차 전극재가 충진된 기재시트의 표면에 단부가 접해지도록 상기 제2홀더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퀴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1차 건조부는 전원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개방된 하부에 고정설치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상기 이동프레임의 연결브라켓에 조립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크리닝부는 크리닝시트가 권취된 시트롤이 교체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바와 상기 시트롤로부터 풀려지는 크링닝시트가 감겨지는 감김롤을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크리닝프레임 및 상기 크리닝시트의 상부면과 접하는 접촉판을 상하작동시키도록 상기 크리닝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상하작용용 실린더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고정판의 안내레일과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가이더를 갖추어 상기 크리닝프레임과 결합되는 좌우한쌍의 이동브라켓을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는 수평작동용 모터 및 상기 크리닝시트에 용제가 함침되도록 용제를 낙하공급하는 용제공급용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트레칭부에 의해서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인장된 기재시트의 표면과 마주하는 슬롯다이를 갖추어 상기 슬롯다이로부터 토출되는 2차 전극재를 기재시트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코팅부 ; 상기 기재시트에 형성된 도전층을 건조하도록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2차 건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부는 상기 슬롯다이가 고정설치된 설치판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작동용 실린더와,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가 고정설치되는 상부고정대의 양단과 조립되고 상기 기재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안내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이동브라켓 및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 중 일측 이동브라켓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을 갖는 왕복작동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 건조부는 열풍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연결구를 갖추어 하부로 개방된 열풍공급 박스체와, 상기 열풍공급박스체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작동용 실린더와,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하부고정판과 연결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상부고정판을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수평이동용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층이 형성된 기재시트가 진입되는 제1,2라미네이팅롤사이로 보호시트를 진입시켜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2라미네이팅롤에 의해서 상기 기재시트와 보호시트가 적층된 적층기판을 형성하는 적층부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기재시트에 함몰형성된 음각패턴인 패턴홈에 1차 전극재를 충진하기 위한 블레이딩 공정이후에 기재시트의 양각면에 잔류하는 전극재를 가열하여 건조시킨 다음, 용제가 함침된 크리닝시트에 의해서 건조된 전극재를 제거함으로써 크리닝작업시 패턴홈에 충진된 1차 전극재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오염물인 전극재에 대한 제거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재시트의 표면상태가 양호한 전도성 기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품수율을 높일 수 있다.
기재시트를 길이방향 또는/그리고 폭방향으로 일정세기의 인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전극재를 도포하여 도전패턴을 형성하고,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도성 기판의 비유연성을 극복하고 극한의 휨조건에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초고유연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저저항 특성을 갖는 전도성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휨변형에 대한 도전패턴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도성 기판을 가요성을 요구하는 터치패널, 평판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차량용 투명발열체, 투명 전자파차폐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기술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어 확장성이 큰 기술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서 본체프레임을 제거한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스트레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스트레칭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스트레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스트레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크리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크리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코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코팅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2차 건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크리닝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코팅부와 2차건조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f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의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림롤(R1)과 감김롤(R2)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진행되는 기재시트(S)의 일시 정지시 기재시트의 표면에 패턴홈을 형성하고 패턴홈에 1차 전극재를 도포하여 도전패턴을 형성하며, 블레이딩이훙 시트면에 잔류하는 이물인 전극재를 제거하도록 스트레칭부(100), 임프린팅롤(200), 인쇄부(300), 1차 건조부(400) 및 크리닝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림롤(R1)은 일정량의 기재시트가 두루마리형태로 감겨져 있고,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기재시트를 일방향으로 풀림공급하는 롤부재이며, 상기 감김롤(R2)은 기재시트에 도전패턴 및 전극층을 형성하는 전도성기판을 두루마리형태로 권취하는 롤부재이다.
이러한 풀림롤(R1)과 감김롤(R2)은 복수개의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F)의 하부층에 각각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칭부(100)는 상기 풀림롤에서 풀려져 상기 감김롤에 감겨지도록 일방향 진행되는 기재시트(S)가 상기 본체프레임(F)의 상부층에서 일시 정지될때 상기 기재시트(S)에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일정세기의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레칭부(100)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동판(110), 하부고정판(120), 연결판(130), 이동판(140), 시트지지판(150) 및 제1,2엑추에이터(160,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동판(110)은 스트레칭 대상물인 기재시트(S)의 상부에서 기재시트의 양측테두리인 상부 마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기재시트(S)의 상부에서 시트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대략 직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판(120)은 상기 기재시트(S)의 하부에서 기재시트(S)의 양측테두리인 하부 마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기재시트(S)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대략 직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시트(S)를 사이에 두고 상하 한쌍으로 배치되는 상부가동판(110)과 하부고정판(120)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대략 직사각 판상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가동판(110)의 하부면 또는/그리고 상기 하부고정판(120)의 상부면에는 스트레칭 대상물인 기재시트와의 접촉시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드부재(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판(130)은 상기 한쌍의 하부고정판(120)에 구비되는 부싱부재(122)를 통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가동판(111)의 하부면과 일단인 상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작동축(132)의 타단인 하단이 상부면에 수직하게 갖추어 상기 한쌍의 하부고정판(120)의 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대략 직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싱부재(122)는 상기 상부가동판(110)과 연결판(130)사이에 연결되는 작동축(132)이 관통배치되어 상기 작동축의 상하작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고정판(120)에 관통형성되는 장착공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는 안내부재이다.
상기 이동판(140)은 상기 연결판(130)에 관통형성된 일정크기의 안내공(135)을 통하여 상기 하부고정판(120)의 하부면과 일단인 상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고정지지바(145)를 상부면에 수직하게 복수개 갖추어 상기 연결판(130)의 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본체프레임(F)의 베이스판(B)에 고정설치된 안내레일(142)과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가이더(141)를 하부면에 갖추며 대략 직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142)은 상기 기재시트의 양측테두리를 따라 시트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이동판에 구비된 안내가이더와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레일과 상기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쌍의 이동판에 구비되는 안내가이더와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바(145)는 상기 하부고정판(120)과 이동판(140)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수직형 지지 고정구조물이며, 상기 이동판(140)의 상부면에 탑재되어 상기 연결판과 연결되는 제1엑추에이터(160)의 작동에 의한 상부가동판과 연결판의 상하이동시 상기 연결판(130)의 안내공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안내공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외경크기를 갖는 원통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공(135)에는 고정부재인 고정지지바에 대한 상대적인 상하안내이동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베어링부재 또는 부싱부재와 같은 안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지지판(150)은 상기 베이스판(B)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수직지지판(151)의 상단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시정지되어 상기 임프린팅롤(200)과 외접하는 기재시트(S)의 하부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재이다.
상기 임프린팅롤(200)의 구름회전시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된 기재시트의 하부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시트지지판(150)에 의해서 상기 임프린팅롤의 표면에 형성된 양각패턴을 기재시트에 전사하여 패턴홈을 함몰형성하는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판(151)에는 상기 시트지지판(150)의 하부면과 상부면이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대략 사각판의 보조지지판(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지지판(150)은 상기 수직지지판(191)의 상단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린더부재와 같은 엑추에이터에 의해서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엑추에이터(160)는 상기 연결판(130)의 하부면과 일단인 로드선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이동판(140)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엑추에이터(16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연결판(130)과 작동축(132)을 매개로 연결되는 상부가동판(110)을 하부고정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왕복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엑추에이터(160)는 상기 연결판(130)과 로드선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동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모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엑추에이터(170)는 상기 이동판(140)과 일단인 로드선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판(B)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엑추에이터(17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엑추에이터가 설치되는 이동판(140)은 상부가동판, 하부고정판 및 연결판과 더불어 수평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엑추에이터(170)는 상기 이동판(140)과 로드선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동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모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엑추에이터(160)의 하강작동에 의해서 상기 기재시트의 양측테두리에 배치되거나 상기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고정판에 대하여 상기 연결판과 더불어 상부가동판을 하강 작동시키면, 상기 이동판의 고정지지바를 매개로 상기 기재시트의 하부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하부고정판에 대하여 상기 연결판과 더불어 상부가동판을 하강시켜 상기 하부고정판과 상부가동판사이에 기재시트를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엑추에이터(17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판의 안내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이동판(140)을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외력을 인가하거나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다른 이동판(140)을 기재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기재시트를 클램핑 고정하고 있는 상부가동판과 하부고정판이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강제이동되거나 길이방향으로 강제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기재시트에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재시트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부여되는 인장력은 기재시트의 재질에 따라 설정되는 탄성한도 항복점에서 일정한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일정 응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엑추에이터(170)의 작동에 기인하는 한쌍의 이동판의 이동량에 의해서 공정조건에 맞추어 조절 및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칭부(100)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인장력이 부여되는 기재시트(S)는 PET, PI, PDMS, PU계열 중 어느 하나인 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재시트가 제1엑추에이터에 의해서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엑추에이터에 의해서 길이방향 또는/그리고 폭방향으로 인장력이 부여되면, 기재시트에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서 기재시트는 응력에 비례하여 변형(탄성변형)이 되고 응력인 인장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응력이 어떤 한계를 넘었을 때 변형이 급격히 증대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을 항복이라 하고 그 한계응력을 그 물질의 항복응력 또는 단지 항복값 또는 항복점이라고 한다.
즉, 항복응력 이상에서는 응력을 제거하여도 기재시트는 먼저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영구변형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임프린팅롤(20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풀림롤(R1)로부터 풀려져 진입되어 일시 정지된 기재시트(S)의 표면과 마주하는 외부면에 양각패턴을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트레칭부(100)에 의해서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기재시트를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음각패턴인 패턴홈을 함몰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임프린팅롤(200)은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과 외접하는 외부면에 양각패턴을 형성하고,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된 기재시트(S)의 표면과 접하여 회전되는 원통형 가열롤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재시트(S)의 표면에 접하여 구름회전되고 가열되는 임프린팅롤(210)에 의해서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는 양각패턴을 전사하여 패턴홈을 함몰형성하게 되고, 상기 인쇄부에 의해서 상기 패턴홈에 1차 전극재를 충진하여 도전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임프린팅롤(200)은 상기 본체프레임(F)의 상부층에 일시 정지된 기재시트(S)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이동프레임(500)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500)은 상기 기재시트(S)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본체프레임(F)에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레일(501)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더(511)를 하부단에 구비하는 한쌍의 이동브라켓(510)을 포함하고, 한쌍의 이동브라켓(51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브라켓(520)의 일측면에 구비된 수직레일(521)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임프린팅롤(200)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이동블럭(530)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이동블럭(530)과 연결되어 상기 임프린팅롤을 기재시트(S)와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상하작동시키는 한쌍의 상하작동용 엑추에이터(540)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510)중 일측 이동브라켓에 구비되는 암나사부(551)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55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을 임프린팅롤과 더불어 기재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작동용 모터(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상하작동용 엑추에이터(540)는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의 각 상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고정대(541)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칭부(100)에 의해서 일시 정지된 기재시트를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작동용 엑추에이터(540)를 하강작동시키면, 하강되는 임프린팅롤(200)의 외주면은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외접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왕복작동용 모터(550)에 의해서 스크류축(552)을 정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 상기 이동프레임(500)은 기재시트를 따라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시트지지판과 임프린팅롤사이에 개재된 기재시트의 표면에는 외접하면서 일방향으로 구름회전되는 임프린팅롤(200)의 양각패턴에 의해서 음각패턴을 일정구간 함몰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음각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일측으로 수평이동된 임프린팅롤(200)은 상기 상하작동용 엑추에이터의 상승복귀작동에 의해서 상승복귀된 다음 상기 왕복작동용 모터의 복귀작동에 의해서 원위치로 수평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인쇄부(3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임프린팅롤에 의해서 패턴홈이 함몰형성된 기재시트(S)에 1차 전극재를 도포하고, 상기 패턴홈에 1차 전극재가 충진되도록 긁음제거하는 블레이드(310)를 갖추어 상기 기재시트에 도전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1차 전극재는 Ag paste, AgNW, Copper, Ni, CNT, Graphene, PEDO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프레임(500)에는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510)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수평대(560)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제1작동실린더(3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실린더(311)의 로드선단에 연결되고 양단이 상기 수평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수직바(31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이동판(3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판에 구비되는 제1홀더봉(314)에 조립되는 제1홀더(315)를 포함하여 상기 제1홀더에 상기 블레이드(310)가 교체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500)에는 표면에 음각패턴이 함몰형성된 기재시트의 상부면으로 액상의 1차 전극재를 토출하는 디스펜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칭부(100)에 의해서 일시 정지된 기재시트를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하고, 상기 임프린팅롤(200)이 구름회전되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된 다음 상승복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실린더가 하강작동하면 상기 블레이드(310)의 단부가 음각패턴이 형성된 기재시트의 표면에 접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330)에 의해서 기재시트의 표면으로 액상의 1차 전극재를 낙하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왕복작동용 모터(550)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이동프레임이 도면상 우측으로 복귀이동되면,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과 선단이 접해진 블레이드가 이동프레임과 더불어 이동되면서 기재시트의 표면에 도포된 액상의 1차 전극재를 긁어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패턴홈에 액상의 1차 전극재를 충진하여 도전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500)은 수평대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제2작동실린더(3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실린더(321)의 로드선단에 연결되고 양단이 상기 수평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직바(3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이동판(3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판에 구비되는 제2홀더봉(324)에 조립되는 제2홀더(325)를 포함하여 상기 제2홀더에 상기 패턴홈에 1차 전극재가 충진된 기재시트의 표면에 단부가 접해지는 스퀴징부재(320)가 교체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310)와 스퀴징부재(320)는 상기 제1,2홀더에 각각 수평한 기재시트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폭방향으로 선단이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고무판과 같은 탄성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칭부(100)에 의해서 일시 정지된 기재시트를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하고, 상기 이동프레임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평이동되어 원위치된 다음 상기 블레이드(310)가 상승복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작동실린더가 하강작동하면 상기 스퀴징부재(320)의 패턴홈에 1차 전극재가 충진된 기재시트의 표면에 접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왕복작동용 모터(550)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이동프레임이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과 선단이 접해진 스퀴징부재(320)가 이동프레임과 더불어 이동되면서 기재시트의 표면인 양각면에 잔류하는 액상의 1차 전극재를 긁어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1차 건조부(400)는 도 1 내지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기재시트(S)의 표면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원(410)을 갖추어 상기 기재시트의 패턴홈에 1차 전극재가 충진된 도전패턴을 건조하면서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1차 전극재를 건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1차 건조부(400)는 전원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4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원을 개방된 하부에 고정설치한 케이싱(42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420)을 상기 이동프레임(500)의 연결브라켓(520)의 외측면에 조립하는 연결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원(410)은 전원인가시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430)는 상기 연결브라켓(52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수직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가이더를 갖추고, 상기 케이싱을 수직방향으로 상하이동시켜 상기 전기히터부재와 기재시트간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도록 실린더와 같은 엑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칭부(100)에 의해서 일시 정지된 기재시트를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하고,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과 스퀴징부재의 선단이 접해져 기재시트의 표면인 양각면에 잔류하는 액상의 1차 전극재를 긁어 제거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이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가열원(410)에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가열원의 복사열에 의해서 상기 패턴홈에 충진된 1차 전극재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퀴징부재에 의해서 긁음제거되지 못하고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1차 전극재를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크리닝부(6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재시트(S)의 표면과 접하여 일방향 진행되는 크리닝시트(610)를 갖추어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되어 건조된 1차 전극재를 용제가 함침된 크리닝시트(610)에 의해서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크리닝부(600)는 일정량의 크리닝시트(610)가 권취된 시트롤(611)이 교체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바(620)와 상기 시트롤(611)로부터 풀려지는 크링닝시트가 감겨지되는 감김롤(630)을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크리닝프레임(640)을 포함하고, 상기 크리닝시트의 상부면과 접하는 접촉판(650)을 상하작동시키도록 상기 크리닝프레임의 수평판(641)에 고정설치되는 상하작용용 실린더(66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고정판(671)의 안내레일(673)과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가이더를 갖추어 상기 크리닝프레임(640)과 결합되는 좌우한쌍의 이동브라켓(670)을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는 수평작동용 모터(680)를 포함하하며, 상기 크리닝시트에 용제가 함침되도록 용제를 낙하공급하는 용제공급용 디스펜서(6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리닝프레임(640)에는 상기 감김롤의 일단부와 구동축이 연결되어 상기 감김롤에 크리닝시트가 감겨지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재(631)를 갖춤으로써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과 외접하면서 기재시트의 양각면에 잔류되어 건조된 1차 전극재를 제거하여 오염된 크리닝시트를 감김롤에 두루마리형태로 권취하여 수거하는 것이다.
상기 용제공급용 디스펜서(690)는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660)가 설치되는 수평판의 일측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감김롤에 감겨지면서 기재시트의 표면과 외접하는 크리닝시트에 용제를 낙하공급하며, 상기 크리닝시트(610)는 낙하공급되는 액상의 용제가 흡수되어 함침되도록 부직포와 같은 천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4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칭부(100)에 의해서 일시 정지된 기재시트를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하고,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된 스퀴징부재(320)에 의해서 긁음제거되지 못하고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1차 전극재가 가열원에 의해서 건조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작동용 모터(68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기재시트의 외측에 대기하고 있던 이동브라켓이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전진이동되면서 상기 크리닝프레임(640)에 설치된 크리닝시트(610)를 기재시트의 직상부에 위치시켜 대기시킨다.
연속하여,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660)의 하강작동에 의해서 하강되는 접촉판이 크리닝시트의 상부면과 접해지면서 크리닝시트의 하부면을 기재시트의 표면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감김롤이 감김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위치고정된 기재시트에 대하여 크리닝시트가 일방향으로 감김이동되면서 상기 크리닝시트에 함침된 용제에 의해서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되어 건조된 1차 전극재를 녹여서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크리닝시트(610)는 기재시트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크리닝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블레이드 및 스퀴징부재에 의해서 긁음제거되어 기재시트에 잔류하고 있던 1차 전극재도 용제가 함침된 크리닝시트에 의해서 동시에 제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재시트에 대한 크리닝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상하작용 실린더의 상승복귀작동에 의해서 접촉판(650)은 상승복귀되면서 크리닝시트를 기재시트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감김롤의 일방향 회전구동에 의한 크리닝시트의 감김작동을 중단한 다음, 상기 수평이동용 모터의 복귀작동에 의해서 상기 크리닝프레임(640)은 상기 기재시트의 이동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이동프레임과 간섭되지 않도록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복귀이동시켜 크리닝작업을 종료한다.
이어서, 상기 이동프레임(500)은 기재시트의 이송방향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복귀이동되어 후속하는 임프린팅롤에 의한 임프린팅 공정을 준비대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측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시정지된 기재시트에 도전패턴을 형성한 다음 연속하여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기재시트의 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코팅부(700)와 상기 도전층을 건조하는 2차 건조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부(700)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칭부(100)에 의해서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인장된 기재시트(S)의 표면과 마주하는 슬롯다이(710)를 상하이동 및 갖춤으로써 상기 슬롯다이로부터 토출되는 2차 전극재를 기재시트의 표면에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도전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2차 전극재는 상기 1차 전극재보다 전도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상기 1차 전극재와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2차 전극재는 Ag paste, AgNW, Copper, Ni, CNT, Graphene, PEDO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코팅부(700)는 상기 슬롯다이(710)가 고정설치된 설치판(715)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작동용 실린더(720)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가 고정설치되는 상부고정대(721)의 양단과 조립되고 상기 기재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안내레일(171)과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가이더를 갖는 한쌍의 이동브라켓(730)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730) 중 일측 이동브라켓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741)을 갖는 왕복작동용 모터(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판(715)은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하부고정대(716)의 수직레일(717)과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가이더를 갖춤으로써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720)의 상하작동시 상기 슬롯다이가 기재시트의 표면과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상하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이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레일(751)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층에 구비되는 수평한 고정판상에 기재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4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기재시트는 일정거리 수평이동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다른 스트레칭부(100)의 위치에서 일시정지된 다음, 상기 스트레칭칭부에 의해서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부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슬롯다이(710)는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720)에 의해서 기재시트측으로 하강이동된 다음, 상기 왕복작동용 모터(740)의 구동력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토출단이 근접하도록 하강된 슬롯다이(710)를 수평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레칭부(100) 의해서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된 기재시트의 표면에 액상의 2차 전극재를 분사하여 상기 패턴홈에 충진된 도전패턴을 덮는 도전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2차 건조부(9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재시트(S)의 표면을 덮도록 슬롯다이(710)에 의해서 도포된 형성된 도전층을 건조하도록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2차 건조부(900)는 고온의 열풍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연결구(911)를 갖추어 하부로 개방된 열풍공급박스체(910)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박스체(910)를 상하이동시켜 기재시트에 근접하거나 이격시키는 상하작동용 실린더(920)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920)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하부고정판(921)과 연결바(932)를 매개로 연결되는 상부고정판(931)을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수평이동용 실린더(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박스체(910)는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의 하강작동시 도전층을 형성한 기재시트의 상부를 덮도록 하부단이 기재시트에 접하도록 하부로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이동용 실린더는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b 및 도 14f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층이 형성된 기재시트는 스트레칭부(100)에 의해서 폭방향 또는/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열풍공급박스체(910)는 상기 수평이동용 실린더에 의해서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수평이동된 다음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920)에 의해서 기재시트측으로 하강이동되면, 상기 도전층이 형성된 기재시트의 상부면을 덮을수 있기 때문에 열풍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온의 열풍에 의해서 기재시트의 표면에 코팅된 도전층을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전층에 대한 건조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의 상승복귀 및 수평이동용 실린더의 후진복귀작동에 의해서 상기 열풍공급박스체는 상기 기재시트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복귀되는 코팅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복귀이동시켜 건조작업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의 상승복귀 및 상기 왕복작동용 모터의 후진복귀 작동에 의해서 상기 슬롯다이를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공정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층에는 상기 도전층이 형성된 기재시트의 표면에 보호시트를 적층하여 적층기판을 형성하는 적층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부(8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2라미네이팅롤(810,820)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이 형성된 기재시트(S)와 박리지가 제거된 보호시트를 상기 제1,2라미네이팅롤사이로 동시에 진입시킴으로써, 상기 기재시트와 보호시트가 적층된 적층기판을 제조완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라미네이팅롤(810,820)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기재시트 및 보호시트가 합지된 적층기판은 감김롤(R2)에 의해서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스트레칭치부
200 : 임프린팅롤
300 : 인쇄부
400 : 1차 건조부
500 : 이동프레임
600 : 크리닝부
700 : 코팅부
800 : 적층부
900 : 2차 건조부
S : 기재시트
S1 : 보호시트
R1 : 풀림롤
R2 : 감김롤

Claims (11)

  1. 기재시트의 표면과 외접하는 외부면에 양각패턴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기재시트에 패턴홈을 형성하는 임프린팅롤 ;
    상기 패턴홈이 형성된 기재시트에 1차 전극재를 도포하는 디스펜서를 갖추고, 상기 패턴홈에 1차 전극재가 충진되도록 기재시트의 표면을 1차 긁음제거하는 블레이드를 갖추어 상기 기재시트에 도전패턴을 형성하는 인쇄부 ;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기재시트의 표면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원을 갖추어 상기 도전패턴을 건조하면서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2차 전극재를 건조시키는 1차 건조부 ;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과 접하여 일방향 진행되는 크리닝시트를 갖추어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에 잔류되어 건조된 1차 전극재를 용제가 함침된 크리닝시트에 의해서 제거하는 크리닝부 ; 를 포함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시트에 일정크기의 인장력을 부여하여 스트레칭하는 스트레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는
    상기 기재시트의 양측테두리 상부 마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기재시트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상부가동판 ;
    상기 기재시트의 양측테두리 하부 마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기재시트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한쌍의 하부고정판 ;
    상기 한쌍의 하부고정판에 구비되는 부싱부재를 통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가동판과 일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작동축을 갖추어 상기 한쌍의 하부고정판의 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연결판 ;
    상기 한쌍의 연결판에 관통형성된 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한쌍의 하부고정판과 일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고정지지바를 상부면에 갖추고, 본체프레임의 베이스판에 고정설치된 안내레일과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가이더를 하부면에 갖추어 상기 한쌍의 연결판의 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이동판 ;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설치되는 수직지지판의 상단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기재시트의 하부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시트지지판 한쌍의 이동판에 구비되는 안내가이더와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레일을 갖추어 기재시트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판 ;
    상기 한쌍의 연결판과 일단이 연결되도록 한쌍의 이동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판을 수직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는 복수개의 제1엑추에이터 ;
    상기 한쌍의 이동판과 일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이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는 복수개의 제2엑추에이터 ; 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엑추에이터에 의해서 한쌍의 하부고정판에 대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가동판을 하강 작동시켜 상기 기재시트를 클램핑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엑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한쌍의 이동판을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기재시트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프린팅롤은 일시 정지된 기재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이동프레임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기재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더를 하부단에 구비하는 한쌍의 이동브라켓과, 한쌍의 이동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일측면에 구비된 수직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임프린팅롤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이동블럭과, 상기 한쌍의 이동블럭과 연결되어 상기 임프린팅롤을 상하작동시키는 한쌍의 상하작동용 엑추에이터와,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중 일측 이동브라켓에 구비되는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을 임프린팅롤과 더불어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작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는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수평대에 고정설치되는 제1작동실린더와 상기 제1작동실린더의 로드선단에 연결되고 양단이 상기 수평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수직바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이동판 및 상기 제1이동판에 구비되는 제1홀더봉에 조립되는 제1홀더를 포함하여 상기 제1홀더에 상기 블레이드가 교체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는 상기 수평대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제2작동실린더와, 상기 제2작동실린더의 로드선단에 연결되고 양단이 상기 수평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직바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이동판와, 상기 제2이동판에 구비되는 제2홀더봉에 조립되는 제2홀더 및 상기 패턴홈에 1차 전극재가 충진된 기재시트의 표면에 단부가 접해지도록 상기 제2홀더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퀴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부는 전원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개방된 하부에 고정설치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상기 이동프레임의 연결브라켓에 조립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는 크리닝시트가 권취된 시트롤이 교체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바와 상기 시트롤로부터 풀려지는 크링닝시트가 감겨지는 감김롤을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크리닝프레임 및 상기 크리닝시트의 상부면과 접하는 접촉판을 상하작동시키도록 상기 크리닝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상하작용용 실린더 및 본체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고정판의 안내레일과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가이더를 갖추어 상기 크리닝프레임과 결합되는 좌우한쌍의 이동브라켓을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는 수평작동용 모터 및 상기 크리닝시트에 용제가 함침되도록 용제를 낙하공급하는 용제공급용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부에 의해서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인장된 기재시트의 표면과 마주하는 슬롯다이를 갖추어 상기 슬롯다이로부터 토출되는 2차 전극재를 기재시트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코팅부 ;
    상기 기재시트에 형성된 도전층을 건조하도록 상기 기재시트의 표면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2차 건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슬롯다이가 고정설치된 설치판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작동용 실린더와,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가 고정설치되는 상부고정대의 양단과 조립되고 상기 기재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안내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이동브라켓 및 상기 한쌍의 이동브라켓 중 일측 이동브라켓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을 갖는 왕복작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건조부는 열풍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연결구를 갖추어 하부로 개방된 열풍공급 박스체와, 상기 열풍공급 박스체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작동용 실린더와,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하부고정판과 연결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상부고정판을 기재시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수평이동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형성된 기재시트가 진입되는 제1,2라미네이팅롤사이로 보호시트를 진입시켜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2라미네이팅롤에 의해서 상기 기재시트와 보호시트가 적층된 적층기판을 형성하는 적층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KR1020180068558A 2018-06-15 2018-06-15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KR102014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558A KR102014133B1 (ko) 2018-06-15 2018-06-15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558A KR102014133B1 (ko) 2018-06-15 2018-06-15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133B1 true KR102014133B1 (ko) 2019-08-26

Family

ID=6780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558A KR102014133B1 (ko) 2018-06-15 2018-06-15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296A (ko) * 2005-01-14 2006-07-20 주식회사 비에이치플렉스 다층형 연성인쇄기판의 커버레이 라미네이팅 방법 및 장치
KR20110004353A (ko) * 2007-12-10 2011-01-13 유니버셜 인스트루먼츠 코퍼레이션 가요성 기판 인장장치
KR20110097708A (ko) * 2010-02-24 2011-08-31 (주)씨아이제이 연성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0598A (ko) * 2010-05-28 2011-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50132790A (ko) * 2014-05-16 2015-11-26 한국기계연구원 임프린티드 필름 자동 잉킹 장치
KR20170113798A (ko) * 2016-03-25 2017-10-13 (재)한국나노기술원 전도성 기판을 갖는 플렉시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태양전지 그리고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296A (ko) * 2005-01-14 2006-07-20 주식회사 비에이치플렉스 다층형 연성인쇄기판의 커버레이 라미네이팅 방법 및 장치
KR20110004353A (ko) * 2007-12-10 2011-01-13 유니버셜 인스트루먼츠 코퍼레이션 가요성 기판 인장장치
KR20110097708A (ko) * 2010-02-24 2011-08-31 (주)씨아이제이 연성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0598A (ko) * 2010-05-28 2011-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50132790A (ko) * 2014-05-16 2015-11-26 한국기계연구원 임프린티드 필름 자동 잉킹 장치
KR20170113798A (ko) * 2016-03-25 2017-10-13 (재)한국나노기술원 전도성 기판을 갖는 플렉시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태양전지 그리고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5574B (zh) 丝网印刷机以及印刷方法
CN100579333C (zh) 电路基板用部件、电路基板的制造方法及电路基板的制造装置
KR101366359B1 (ko) 투명전극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4712597U (zh) 丝网印刷机
CN202037107U (zh) 亚光防水喷墨打印耗材涂布机
KR20160107893A (ko)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유연전극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4597663A (zh) 一种贴布机及采用该贴布机的贴布方法
KR102014133B1 (ko)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ITMO20120020A1 (it) Macchina per la elettromarcatura di grandi superficie metalliche e procedimento relativo
CN207274142U (zh) 一种印刷机
KR101959836B1 (ko) 시트 스트레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기판 제조장치
KR100885670B1 (ko) 자동이송방식을 이용한 고온엠보싱 장치
CN211542745U (zh) 一种橡胶膏压力涂布机
KR100787237B1 (ko) 탄성중합체 스탬프를 이용한 롤-프린트 방식의 미세접촉인쇄장치
KR102286823B1 (ko) 스크린 프린팅 장치 및 이를 갖는 롤투롤 기판 제조장치
CN112590363A (zh) 一种双面线路板印刷设备及印刷方法
KR101683738B1 (ko)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KR20120097345A (ko)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CN104167367B (zh) 膜处理装置
KR102417318B1 (ko) 롤투롤 플렉서블 기판 제조장치
CN205086476U (zh) 一种热烫机
CN114226146A (zh) 一种水滴纹印花板材及生产设备
KR101705941B1 (ko)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JP2010272702A (ja) 異方性導電材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CN107415455B (zh) 一种印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