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072B1 - 분체도료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분체도료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072B1
KR102014072B1 KR1020180032823A KR20180032823A KR102014072B1 KR 102014072 B1 KR102014072 B1 KR 102014072B1 KR 1020180032823 A KR1020180032823 A KR 1020180032823A KR 20180032823 A KR20180032823 A KR 20180032823A KR 102014072 B1 KR102014072 B1 KR 10201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ating
electromagnet
waste powder
filtration unit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상
Original Assignee
이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상 filed Critical 이선상
Priority to KR1020180032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7/00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분체도료를 입수하여 전자석을 통해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여과부, 상기 1차 여과부를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메쉬철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씨빙머신 및 상기 씨빙머신을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전자석이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시키며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여과부를 포함하는 분체도료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분체도료의 재생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생 분체도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밀착성, 안전성 및 도막성능 등이 우수한 재생분체 도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체도료 재생장치{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Powdery Paint}
본 발명은 분체도료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분체도료의 재생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생 분체도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밀착성, 안전성 및 도막성능 등이 우수한 재생분체 도료를 제조할 수 있는 폐분체 도료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체도료는 액상도료와 달리 용제에 의한 중독이나 화재위험이 적고, 도장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분체도료는 종류가 다양하나, 그 중에서도 에폭시수지로 된 에폭시계 도료, 에폭시수지와 폴리에스테르수지가 소정비율로 혼합된 에폭시-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수지성분이 폴리에스테르수지만으로 된 폴리에스테르계 도료가 주종을 이룬다. 이와 같은 분체도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체도료를 정전도장 등의 방법으로 피도장물에 부착시킨 다음 열처리하는데, 이때 도료의 수지성분이 열에 의해 가교 결합되어 도막이 경화된다.
또한, 분체도료는 보관 및 사용시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거나 또는 소정온도에서 장시간 노출되어도 수지성분들의 가교결합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160~250℃의 온도범위에서 수지성분들이 결합 또는 가교 결합되도록 제조된다.
한편, 분체도료는 액상도료와 달리 일단 특정색상으로 제조된 이후에는 색상이 다른 도료를 혼합하여 새로운 색으로 조색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액상도료에 비해 폐기처분되는 양이 많다. 또한, 분체도료는 도장시 도장부스 내에 떨어져서 손실되는 도료의 양이 상당히 많은데, 여러 가지 색상을 하나의 도장부스에서 도장하는 경우에는 떨어진 도료들이 여러 색상으로 오염되어 있어서 재활용이 곤란하므로 이와 같이 사용되지 않은 분체도료는 별도로 수거하여 소각처리하게 되는 데, 환경보호차원에서 도료의 처리는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즉, 버려진 폐분체도료를 별도 지정된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수거하여 소각처리하고, 그 소각 후 남은 재를 공인 받아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폐분체도료의 처리는 소각시켜야 하므로 소각으로 인한 매연이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소각처리 및 그 절차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폐분체도료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도장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폐분체 도료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분체도료의 제조공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을 수집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재사용하도록 하는 분체도료의 재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폐분체 도료에서 이물질을 분리 한 후 용융 압출기에 의하여 혼합하는 기본적인 기술개념을 개시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폐분체 도료를 재생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종래의 폐분체도료 재생장치는, 폐분체도료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선별장치와, 상기 선별장치로부터 나온 도료를 혼합하는 다수의 혼합장치와, 상기 혼합장치의 출구측에 연결된 도료 강제투입 장치와, 상기 도료 강제투입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가열하고 압착한 후, 배출하는 가열ㆍ압출장치와, 상기 가열ㆍ압출장치에서 나온 판형 도료를 분쇄하여 미립자로 가공하는 분쇄장치와, 상기 분쇄장치로부터 나온 재생완료된 도료를 입자별로 분리하고 저장하는 분리ㆍ저장장치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폐분체도료 재생장치는 복잡한 구조의 장치들을 사용하므로 다량의 장치를 구입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복잡한 구조의 장치들로 인해 즉, 전 과정에 걸쳐 폐분체도료의 이송이 원활하지 못함과 동시에 상당한 양의 도료를 낭비하게 되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잦은 고장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6195호(등록일: 2003.11.06) 한국등록특허 제10-0795090호(등록일: 2008.01.09)
본 발명의 목적은 폐분체도료의 재생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생 분체도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밀착성, 안전성 및 도막성능 등이 우수한 재생분체 도료를 제조할 수 있는 폐분체 도료의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는 폐분체도료를 입수하여 전자석을 통해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여과부, 상기 1차 여과부를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메쉬철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씨빙머신 및 상기 씨빙머신을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전자석이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시키며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여과부는 폐분체도료를 수용하는 용기의 외주면에 전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폐분체도료를 교반시키기 위한 임펠러가 설치된 교반기 형태의 여과부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전자석이 3 내지 15 cm 간격으로 설치된 구조의 전자석일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120 내지 360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1차 여과부는 회전하는 중심축 상부에 적어도 2개의 1차 여과부가 대칭위치에 설치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씨빙머신은 하부에 폐분체도료의 회수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여과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단에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자석이 설치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의 재생장치는 폐분체도료의 재생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생 분체도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밀착성, 안전성 및 도막성능 등이 우수한 재생분체 도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의 1차 여과부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의 2차 여과부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압출기의 우측면 및 후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압출기의 정면 및 우측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개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의 1차 여과부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의 2차 여과부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압출기의 우측면 및 후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압출기의 정면 및 우측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100)는 폐분체도료를 입수하여 전자석(115)을 통해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여과부(110), 상기 1차 여과부(110)를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메쉬철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씨빙머신(130) 및 상기 씨빙머신(130)을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전자석(154, 155)이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151)를 통해 이동시키며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여과부(151)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100)는 폐분체도료를 용기 형태의 1차 여과부(110)에 입수하여 전자석(115)을 통해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1차 제거하고, 1차 여과부(110)를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씨빙머신(130)을 통해 입자가 큰 이물질을 여과시켜 제거한 후, 씨빙머신(130)을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전자석(154, 155)이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151)를 통해 이동시키며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2차 제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순한 구성을 통해 폐분체도료의 재생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생 분체도료 생산에 있어서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밀착성, 안전성 및 도막성능 등이 우수한 재생분체 도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분체도료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분체도료 정의와 그 종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에폭시 분체도료의 기본 화합물로서 에폭시 수지의 분자구조는 아래의 화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28379642-pat00001
상기 에폭시 수지와 페놀계 경화제(R1-OH)와의 경화반응은 아래 반응식 1과 같을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8028379642-pat00002
또한, 에폭시 수지와 1차 아민류 경화제와의 경화반응은 아래 반응식 2와 같고, 2차 아민류 경화제와의 경화반응은 반응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8028379642-pat00003
[반응식 3]
Figure 112018028379642-pat00004
또한, 에폭시-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의 에폭시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화반응은 아래 반응식 4 내지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18028379642-pat00005
[반응식 5]
Figure 112018028379642-pat00006
[반응식 6]
Figure 112018028379642-pat00007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의 폴리에스테르수지와 TGIC와의 경화반응 및 폴리에스테르수지의 TGIC free type 경화반응은 다음의 반응식 7 및 반응식 8로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7]
Figure 112018028379642-pat00008
[반응식 8]
Figure 112018028379642-pat00009
또한, 폴리우레탄계 분체도료의 폴리우레탄 경화 반응식은 반응식 9로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9]
Figure 112018028379642-pat00010
또한, 아크릴계 분체도료의 아크릴 경화 반응식은 아래 반응식 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10]
Figure 112018028379642-pat00011
상기 1차 여과부(110)는 폐분체도료를 입수하여 전자석에 의해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이면 그 구조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폐분체도료를 수용하는 용기(112)의 외주면에 전자석(115)이 설치되고, 상기 용기(112)의 내부에는 폐분체도료를 교반시키기 위한 임펠러(113)가 설치된 교반기 형태의 여과부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112) 하부에는 상기 씨빙머신(130)으로 1차 여과된 폐분체도료를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주입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펠러(113)가 설치된 1차 여과부(110)는 폐분체도료를 상기 임펠러(113)를 통해 교반시켜 원심력을 통해 용기(112)의 내주면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용기(112)의 외주면에 설치된 전자석(115)에 의한 철가루 제거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석(115)은 상기 용기(112)의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전자석이 3 내지 15 c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전자석(115)들의 간격이 3cm 미만일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전자석을 사용하게 되어 분체도료 재생장치(100)의 무게와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전자석(115)들의 간격이 15 cm 이상일 경우에는 전자석(115)에 의한 상기 폐분체도료의 철가루 제거 효과가 미미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임펠러(113)의 회전수는 120 내지 360 rpm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113)의 회전수가 120 rpm 이하일 경우에는 폐분체도료의 상기 용기(112) 내주면 방향으로의 분산이 약해져 철가루 제거 효과가 미미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임펠러(113)의 회전수가 360 rpm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용기(112) 내부의 폐분체도료가 전체적으로 용기(112) 외부로 쉽게 비산되어 유출됨으로써, 이물질 제거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1차 여과부(110)는 회전하는 중심축(120) 상부에 적어도 2개의 1차 여과부(110)가 대칭위치에 설치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1차 여과부(110)는 모터 등에 의해 회전하는 중심축(120)이 형성된 장치에 의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심축(120)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1차 여과부(110)가 대칭위치에 설치된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중심축(120)을 회전시켜 다수의 1차 여과부(110)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폐분체도료를 입수한 상태에서 번갈아 가며 상기 씨빙머신(130)에 1차 여과한 폐분체도료를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축(120)의해 위치를 바꾸어 가며 이동함으로써, 1차 여과부(110) 내부의 폐분체도로가 원활하게 혼합되고 분산되어 철가루를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전자석(115)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여과부(110)들은 상기 중심축(120) 상에 연결로드(122)를 통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씨빙머신(130)은 하부에 배치되는 폐분체도료의 회수용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수용기(140)는 상기 씨빙머신(130)을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일정량 모아둔 상태에서 배출구(141)를 통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양만큼 상기 2차 여과부(150)의 컨베이어 벨트(151)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여과부(150)에서 전자석의 설치 위치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51)의 양단에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자석(154, 155)이 설치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151)을 구동시키는 양단의 회전 롤러(152, 153) 주변에 각각 전자석(154, 155)을 설치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151)의 시작점과 종점에서 2회에 걸쳐 철가루와 이물질 등의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폐분체도료로부터의 철가루를 포함한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분체 도료의 재생장치는 재생분체 도료를 제조하기 위한 압출기로서 예를 들어, 압출기 피딩존(212)으로의 이물질 등이 제거된 폐분체도료 투입을 더욱 촉진할 수 있도록 피딩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보조모터(230)가 더 구비된 압출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출기(200)는 받침 선반(250)에 피딩 어셈블리(210), 압출모터(220), 보조모터(230) 및 압출 컨베이어(240)가 설치된 구조의 압출기(200)로서 피딩 어셈블리(210)의 피딩 주입구(211)에 이물질 등이 제거되어 재생 전처리된 폐분체도료를 투입하고, 피딩 어셈블리(210)의 피딩존(212)에 대한 폐분체도료의 투입을 더욱 촉진할 수 있도록 피딩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보조모터(230)를 구비함으로써, 폐분체도료가 상기 피딩존(212)으로 강제 투입되도록 하여, 압출 컨베이어(240)의 배출구(241)를 통해 배출되는 폐분체 도료 칩의 품질과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모터(230)는 상기 압출기(200)에 대한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회전력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변환블록(231)에 의해 상기 압출기(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압출기의 경우, 피딩 어셈블리의 상부에서 폐분체도료를 자연 낙하시켜 피딩존으로 폐분체도료를 투입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폐분체도료는 20 내지 110 마이크론의 미립자가 주를 이루고 있어서 일반적인 압출기의 피딩존으로 투입이 원활하지 않고 피딩존 주변으로 겉돌게 되어 폐분체 도료 칩의 품질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모터(230)가 더 구비된 압출기(200)의 경우, 압출기의 피딩존(212)에 대한 폐분체도료의 투입이 촉진될 수 있도록 보조모터(230)를 통해 피딩존(212)으로 폐분체도료를 강제 투입할 수 있도록 하여 폐분체도료의 재생률을 100%에 가깝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 재생장치에 의해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는 예를 들어,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에 버진 분체도료를 혼합하여 전처리하는 재생 전처리 단계, 상기 재생 전처리된 폐분체 도료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가열 용융시키고, 압출하여 폐분체 도료 칩을 생성하는 폐분체 도료 칩 제조단계 및 상기 폐분체 도료 칩을 분쇄하고 분급하여 재생 분체 도료를 생성하는 재생 분체 도료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분체도료의 재생방법에 의해 최종 재생분체 도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전처리 단계는 예를 들어, 상기 폐분체 도료를 유광 분체 도료로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 도료에 신규 버진 분체도료를 10 내지 20 중량%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폐분체 도료를 반광 분체 도료로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 도료에 신규 버진 분체도료를 20 내지 40 중량%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재생 전처리 단계는 상기 폐분체 도료를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유광 분체 도료로 제조할 경우에는 신규 버진 분체도료를 10 내지 20 중량%로 첨가하여 제조하고, 반광 분체 도료로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신규 버진 분체도료를 20 내지 40 중량%로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최적의 작업성, 밀착성, 도착효율 등의 성능을 갖는 재생 분체 도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폐분체 도료 칩 제조단계는 상기 2차 재생 전처리된 폐분체 도료를 상기 압출기에 강제 투입방식으로 투입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신규 분체 도료의 제조 과정에서의 분체 도료 재료의 압출기로의 투입과정은 자연낙하방식의 투입과정으로 수행되나, 상기 폐분체 도료 칩 제조단계에서의 폐분체 도료의 압출기 투입방식은 강제 투입방식으로 수행되거나, 강제 투입방식이 적용되는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수행됨으로써, 상기 폐분체 도료 칩 제조 원료의 균일한 분산을 통해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고, 재생 분체 도료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폐분체 도료 칩 제조단계는 상기 2차 재생 전처리된 폐분체 도료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90 내지 100℃에서 가열 용융시키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가열 용융된 상기 폐분체 도료를 편상의 칩 상태로 압출하여 폐분체 도료 칩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재생 분체도료 제조단계는 상기 폐분체 도료 칩을 분쇄하여 34 내지 42 ㎛의 입경 사이즈를 갖는 입자로 분급하여 재생 분체 도료를 생성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재생 분체도료 제조단계는 상기 폐분체 도료 칩을 분쇄하여 정전도장 등에 적합하고, 최적의 작업성과 도착효율 등을 나타낼 수 있는 34 내지 42 ㎛의 입경 사이즈를 갖는 입자만을 분리하여 최종 재생 분체 도료로서 포장하여 생산하고, 34 내지 42 ㎛의 입경 사이즈 이외의 입경 사이즈를 갖는 입자들은 다시 분쇄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34 내지 42 ㎛의 입경 사이즈를 갖는 입자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분쇄과정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분체도료 재생장치
110: 1차 여과부
120: 중심축
130: 씨빙머신
140: 회수장치
150: 2차 여과부

Claims (7)

  1. 폐분체도료를 입수하여 전자석을 통해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여과부;
    상기 1차 여과부를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메쉬철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씨빙머신; 및
    상기 씨빙머신을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전자석이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시키며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여과부;
    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여과부는 폐분체도료를 수용하는 용기의 외주면에 전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폐분체도료를 교반시키기 위한 120 내지 360 rpm으로 회전하는 임펠러가 설치된 교반기 형태의 여과부이며,
    재생분체 도료를 제조하기 위한 압출기로서 압출기 피딩존으로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폐분체도료의 투입을 촉진할 수 있도록 피딩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보조모터 및 상기 압출기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도록 회전력 힘의 방향을 바꿀수 있는 변환블록이 설치된 압출기를 포함하는 분체도료 재생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전자석이 3 내지 15 cm 간격으로 설치된 구조의 전자석인 분체도료 재생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여과부는 회전하는 중심축 상부에 적어도 2개의 1차 여과부가 대칭위치에 설치된 구조로 구비되는 분체도료 재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씨빙머신은 하부에 폐분체도료의 회수용기를 더 포함하는 분체도료 재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여과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단에 철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자석이 설치된 구조로 형성되는 분체도료 재생장치.
KR1020180032823A 2018-03-21 2018-03-21 분체도료 재생장치 KR10201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23A KR102014072B1 (ko) 2018-03-21 2018-03-21 분체도료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23A KR102014072B1 (ko) 2018-03-21 2018-03-21 분체도료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072B1 true KR102014072B1 (ko) 2019-10-21

Family

ID=6846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23A KR102014072B1 (ko) 2018-03-21 2018-03-21 분체도료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456A (zh) * 2020-02-28 2020-06-05 东台市华裕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旋转式有色金属分选装置
CN112275444A (zh) * 2020-10-09 2021-01-29 湖南瑶岗仙矿业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白钨矿的选矿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95B1 (ko) 2000-09-04 2003-11-19 우석리싸이클링 주식회사 분체도료의 재처리방법 및 장치
KR100743033B1 (ko) * 2006-07-07 2007-07-26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제강분진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100795090B1 (ko) 2006-11-10 2008-01-17 기화기계(주) 분체도장용 도료회수장치
KR100809480B1 (ko) * 2006-07-21 2008-03-03 배용생 폐 페인트통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0880383B1 (ko) * 2008-06-26 2009-01-23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도료 제조 장치
KR101179901B1 (ko) * 2010-09-30 2012-09-06 원승열 폐페인트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95B1 (ko) 2000-09-04 2003-11-19 우석리싸이클링 주식회사 분체도료의 재처리방법 및 장치
KR100743033B1 (ko) * 2006-07-07 2007-07-26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제강분진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100809480B1 (ko) * 2006-07-21 2008-03-03 배용생 폐 페인트통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0795090B1 (ko) 2006-11-10 2008-01-17 기화기계(주) 분체도장용 도료회수장치
KR100880383B1 (ko) * 2008-06-26 2009-01-23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도료 제조 장치
KR101179901B1 (ko) * 2010-09-30 2012-09-06 원승열 폐페인트 재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456A (zh) * 2020-02-28 2020-06-05 东台市华裕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旋转式有色金属分选装置
CN111229456B (zh) * 2020-02-28 2021-12-24 东台市华裕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旋转式有色金属分选装置
CN112275444A (zh) * 2020-10-09 2021-01-29 湖南瑶岗仙矿业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白钨矿的选矿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3971A (en) Pulverizing, separating, and size regulating molded resin articles
KR102014072B1 (ko) 분체도료 재생장치
JPH0985212A (ja) 自動車破砕残留物−合成樹脂混合物の製造方法
KR101980038B1 (ko) 폐분체 도료의 재생방법
CN106580702A (zh) 一种改良型混合均匀的湿法制粒机
JP6442002B1 (ja) 廃棄合成樹脂の再生方法
KR101781132B1 (ko) 폐유리 재활용을 위한 필름-유리 회수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폐유리 처리 방법
CN1084527A (zh) 废聚氯乙烯的再生方法及其再生装置
CN114147897A (zh) 一种回收废旧酚醛塑料制备再生板材的生产工艺
CN212189367U (zh) 粉末涂料生产用粉碎研磨装置
KR102020028B1 (ko) 액체 페인트의 폐분진 페인트 재활용 장치
CN108817024B (zh) 一种填埋场矿化垃圾综合利用方法和系统
DE411885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thermoplastischen abfaellen
FI90953C (fi) Menetelmä muovien talteenottamiseksi metalli-muovijätteistä sekä laitteisto menetelmän toteuttamiseksi
CN206604771U (zh) 一种粉料筛的物料回收系统
JPH07164444A (ja) 廃棄樹脂成形品の回収・造粒方法および装置
JP2001198919A (ja) 塗装樹脂製品の塗膜剥離方法及び装置
CN210208523U (zh) 一种旧砂机械再生的沙粒摩擦器
JPH07156149A (ja) 塗装膜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製品の塗装膜分離方法並びに再生処理方法及び装置
JP2553807B2 (ja) 廃棄樹脂成形品の回収・造粒方法および装置
CN109807062B (zh) 适用于氨基模塑料的高速筛粉设备及其筛粉方法
JP2011020298A (ja) 樹脂製バンパーの再生方法
CN105269716B (zh) 一种废旧轮胎胶粉回收生产线
DE4312429C2 (de) Verfahren zur trockenen Aufbereitung eines hauptsächlich Kunststoffteile enthaltenden Ausgangsgemenges aus Abfallkunststoff und Verunreinigungen sowie Anwendung des Verfahrens auf besondere Abfallkunststoffe
CN219581026U (zh) 一种塑粉振动筛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