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706B1 -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706B1
KR102013706B1 KR1020150030599A KR20150030599A KR102013706B1 KR 102013706 B1 KR102013706 B1 KR 102013706B1 KR 1020150030599 A KR1020150030599 A KR 1020150030599A KR 20150030599 A KR20150030599 A KR 20150030599A KR 102013706 B1 KR102013706 B1 KR 10201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uide device
sound guide
detailed information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674A (ko
Inventor
김정숙
김주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70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6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 상기 상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GUIDING BLIND PEOP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은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활용해 주변 상황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이 보행 중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정보통신 보조기기는 음향 신호기와 음성 유도기이다. 음향 신호기는 시각장애인에게 보행 신호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며, 음성 유도기는 음성 유도기가 설치된 주변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한다.
세계 각국은 횡단보도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신호기를 설치하여 다양하게 운영 중이다. 미국와 유럽, 호주는 푸쉬 버튼과 연계한 음향 신호기를 주로 설치하여 시각장애인이 푸쉬 버튼을 누르면 음향 신호기가 활성화되어 보행신호 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한국은 소음 민원 문제로 푸쉬 버튼과 무선 리모컨을 활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요청을 기반으로 음향 신호기를 활성화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푸쉬 버튼은 위치 안내음향을 발생하지 않으며, 설치 규정도 매우 빈약하여 시각장애인이 푸쉬 버튼에 접근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소지하는 무선 리모콘을 사용하여 음향 신호기를 제어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다수의 음향 신호기(혹은 음성 유도기)가 설치되 있을 경우, 선택적 제어에 한계가 있다. 음향 신호기를 무선 리모콘을 이용해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RSSI 신호 정보를 해석하여 가까운 음향신호기를 활성화하는 기술을 사용하지만, RSSI 신호정보는 주변 환경에 민감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오차가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시각장애인은 항상 학습된 경로를 보행하는 특징이 있으며, 보행 중 자신이 암기하는 랜드마크 지점을 통과했을 때 안내 받고 싶어하는 니즈가 있다. 이러한 니즈를 반영하여 GPS와 지도 정보 기반으로 랜드마크 안내 서비스가 개발되었으나, GPS 위치 오차와 실내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로 사용에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68486(공개일 2013. 06. 04)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블루투스 통신이 지원되는 다양한 음향 안내 장치에 접근하면, 시각장애인이 소지하는 휴대형 통신 장치를 통해 음향 안내 장치의 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고, 시각장애인의 선택에 의해 특정 음향 안내 장치만이 음향안내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의 선택에 의해 특정 음향 안내 장치를 휴대형 통신 장치에 등록하고, 이후 시각장애인이 해당 음향 안내 장치의 서비스 영역 안으로 재진입 하는 경우, 자동으로 음향 안내 장치의 음향 안내를 활성화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 상기 상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장치는, 휴대형 통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 안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에 제공할 안내 정보와 제어에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보행자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보행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행자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음향 출력부를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안내 메시지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세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향 안내 장치에게 상세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향 안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음향 안내 장치로 음향 출력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통신 장치는, 음향 안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음향 안내 장치 설정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스캔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상세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음향 안내 장치에게 상세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음향 안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음향 안내 장치로 음향 출력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보행경로상에 있는 음향 안내 장치 중 필요한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하고, 이후 해당 경로를 보행하며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만을 자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명확하고 편리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 당사자가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만을 자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필요한 정보만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통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장치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시스템은, 음향 안내 장치(101) 및 휴대형 통신 장치(102)를 포함한다.
음향 안내 장치(101)는 음향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장치(101)는 보행자 신호등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에게 보행자 신호정보를 제공하는 음향 신호기, 지하철 역사, 지자체 건물 등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에게 주변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유도기 및 간판, 자판기 등 주요 랜드마크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에게 랜드마크 정보를 제공하는 랜드마크 정보 제공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음향 안내 장치(101)의 종류 구분은 하나의 실시예일뿐이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시각 장애인이 휴대하며, 음향 안내 장치(101)로부터 보행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음향 안내 시스템을 위한 전용 기기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 장치에 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하여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안내 장치(101)와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05 단계에서 휴대형 통신 장치(102)가 안내 방송을 스캔 중에 110 단계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가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게 된다.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115 단계에서 수신한 안내 메시지를 바탕으로 상세 정보가 더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 정보가 더 필요한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120 단계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에 상세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음향 안내 장치(101)는 125 단계에서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 상세 정보를 전송한다. 그 후,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130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수신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휴대형 통신 장치(102)가 115 단계에서 상세 정보가 더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105 단계로 돌아가 안내 방송을 계속 스캔 한다.
이후,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135 단계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를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휴대형 통신 장치(102)가 음향 안내 장치(101)를 선택하면, 140 단계에서 해당 음향 안내 장치(101)에게 음향 출력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음향 출력을 요청하기로 결정한 경우, 145 단계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로 음향 출력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음향 안내 장치(101)는 150 단계에서 음향을 출력한다.
휴대용 통신 장치(102)는 155 단계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를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음향 안내 장치(101)를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160 단계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를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다만, 140 단계와 160 단계는 시간 순이 아니라 병렬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휴대형 통신 장치(102)가 135 단계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를 선택하지 않거나, 140 단계에서 음향 출력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105 단계로 돌아가 안내 방송을 계속 스캔하게 된다. 또한, 155 단계에서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하지 않는 경우에도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105 단계로 돌아가 안내 방송을 계속 스캔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아래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와 휴대형 통신 장치(102) 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음향 안내 장치(101)는 210 단계에서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 장치(101)는 BLE(Bluetooth Low Energy) advertising 기술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자신의 존재에 대하여 안내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송출되는 패킷은 음향 안내 장치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종류구분자, 음향안내장치를 유일하게 구분하는 ID, 부가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 신호기와 음성 유도기는 서로 다른 종류구분자로 구분될 수 있고, 음향 신호기들은 동일한 종류구분자를 방송한다.
다음으로, 음향 안내 장치(101)는 220 단계에서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부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음향 안내 장치(101)의 동작 반경에 진입한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 상세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220 단계에서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향 안내 장치(101)는 230 단계로 진행하여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 상세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 장치(101)가 제공하는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음향 신호기가 제공하는 상세 정보는 위치(예를 들어, XX앞), 횡단 방향(예를 들어, XX 방향), 현시 정보(예를 들어, 녹색, 적색), 보행 잔여 시간(예를 들어, XX초)이고, 음성 유도기가 제공하는 상세 정보는 주변 정보(예를 들어, 전방에 2번 출구, 오른쪽에 화장실 등)이고, 랜드마크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상세 정보는 정적 랜드마크 정보(예를 들어, 여자화장실, 자판기, XX 버스정류소), 랜드마크 관련 동적 정보(예를 들어, XX버스 도착)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세 정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음향 안내 장치(101)는 240 단계로 진행하여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부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20 단계에서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바로 240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는 경우, 음향 안내 장치(101)는 250 단계로 진행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은 시각장애인이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를 인지하도록 돕는 음향일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음향 출력은 멜로디, 새소리, 타격음, 음성 안내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되 시각장애인이 명확히 인지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음향 안내 장치(101)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명확하고 편리하게 안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로 구현되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는 수단을 생성할 수 있다. 흐름도/블록도들에서의 각 블록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모듈 또는 로직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블록도들에 언급한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언급한 순서를 벗어나 발생할 수도 있고,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RO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및 다른 영구 저장부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매체가 사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장치(101)는, 블루투스 송수신부(310), 음향 출력부(320), 저장부(330), 보행 정보 수집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송수신부(310)는 휴대형 통신 장치(102)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즉, 블루투스 송수신부(310)는 휴대형 통신 장치(102)에 구비된 블루투스 송수신부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 송수신부(310)는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20)는 안내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 음향은 시각장애인이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를 인지하도록 돕는 음향일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음향 출력은 멜로디, 새소리, 타격음, 음성 안내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되 시각장애인이 명확히 인지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휴대형 통신 장치(102)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54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될 수 있으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플래시 낸드 메모리(Flash NAND Memory)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330)는 휴대형 통신 장치(102)에 제공할 안내 정보와 제어에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보행 정보 수집부(340)는 보행자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 정보 수집부(340)는 음향 안내 장치(101)와 연계된 보행자 신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센서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음향 안내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블루투스 송수신부(310)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부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보행자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전송하며,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부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향 출력부(320)를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부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부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향 출력부(320)를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휴대형 통신 장치(102)로부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다시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50)는 보행 정보 수집부(340)를 통해 보행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음향 안내 장치(101)는 경우에 따라 푸쉬 버튼 및/또는 제2의 무선통신 송수신부(예를 들어, 358.5MHz 대역 송수신부, 235.3MHz 대역 송수신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05 단계에서 안내 메시지를 스캔한다. 휴대형 통신 장치(102)를 소지한 시각장애인이 음향 안내 장치(101)의 통신 반경 내에 진입하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10 단계에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메시지는 안내 방송 패킷으로 수신될 수 있고, 안내 방송 패킷은 음향 안내 장치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종류구분자, 음향 안내 장치를 유일하게 구분하는 ID, 부가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종류구분자를 해석하여 안내 방송 패킷을 송신한 음향 안내 장치의 종류를 구분하고 이후, 음향 안내 장치의 종류에 적합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15 단계에서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20 단계로 진행하여 음향 안내 장치(101)에게 상세 정보 제공을 요청하여, 425 단계에서 상세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형 통신 장치(102)가 음향 안내 장치(101)로부터 수신하는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음향 신호기가 제공하는 상세 정보는 위치(예를 들어, XX앞), 횡단 방향(예를 들어, XX 방향), 현시 정보(예를 들어, 녹색, 적색), 보행 잔여 시간(예를 들어, XX초)이고, 음성 유도기가 제공하는 상세 정보는 주변 정보(예를 들어, 전방에 2번 출구, 오른쪽에 화장실 등)이고, 랜드마크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상세 정보는 정적 랜드마크 정보(예를 들어, 여자화장실, 자판기, XX 버스정류소), 랜드마크 관련 동적 정보(예를 들어, XX버스 도착)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세 정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통신 장치(102)가 다수의 음향 안내 장치(101)와 통신 가능할 경우, 리스트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35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415 단계에서 상세 정보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30 단계로 진행하여 안내 메시지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430 단계에서 안내 메시지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435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430 단계에서 안내 메시지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가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05 단계로 되돌아가 안내 메시지 스캔을 계속 수행한다.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40 단계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를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음향 안내 장치(101)를 선택하는 경우, 445 단계로 진행하여 음향 출력을 요청할 것인지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할 것인지 결정한다. 음향 출력을 요청하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50 단계로 진행하여 음향 안내 장치(101)로 음향 출력 요청을 전송한다. 이는 음향 안내 장치(101)에서 출력되는 안내 음향을 통해 음향 안내 장치(101)의 물리적 위치를 인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발생되는 음향 출력은 멜로디, 새소리, 타격음, 음성 안내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되 시각장애인이 명확히 인지할 수 있는 음향일 수 있다.
445 단계에서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55 단계로 진행하여 은향 안내 장치를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한다. 시각장애인은 일반적으로 학습된 보행 경로를 따라 보행하는 특성이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상기 보행 경로를 항상 유지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은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101)를 미래의 자동 안내 모드에서 서비스 받을 자동 안내 장치로 선택하여 등록함으로써 편리하게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자동 안내 모드 서비스에서 음향 출력을 자동으로 요청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450 단계와 455 단계는 선택적인 관계가 아니며, 두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440 단계에서 음향 안내 장치(101)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405 단계로 되돌아가 안내 메시지 스캔을 계속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보행경로상에 있는 음향 안내 장치 중 필요한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하고, 이후 해당 경로를 보행하며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만을 자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명확하고 편리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 당사자가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만을 자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필요한 정보만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휴대형 통신 장치(102)가 자동 안내 장치의 통신 반경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 휴대형 통신 장치(102)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510 단계에서, 에서 안내 메시지를 스캔한다. 휴대형 통신 장치(102)를 소지한 시각장애인이 음향 안내 장치(101)의 통신 반경 내에 진입하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520 단계에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530 단계에서,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 음향 안내 장치(101)가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되어 있는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540 단계로 진행하여 음향 안내 장치(101)에게 상세 정보 제공을 요청하여, 550 단계에서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 560 단계에서 수신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시각장애인은 일반적으로 학습된 보행 경로를 따라 보행하는 특성이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상기 보행 경로를 항상 유지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은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101)를 미래의 자동 안내 모드에서 서비스 받을 자동 안내 장치로 선택하여 등록함으로써 편리하게 안내를 받을 수 있다.
그 후,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570 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음향 출력 요청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안내 장치의 경우, 자동 안내 모드 서비스에서 음향 출력을 자동으로 요청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자동 음향 출력 요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 선택 및 음향 출력 요청 결정 과정 없이 바로 580 단계로 진행하여 음향 출력을 요청할 수 있다.
530 단계에서 자동 안내 장치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590 단계로 진행하여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일반적인 절차로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보행경로상에 있는 음향 안내 장치 중 필요한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하고, 이후 해당 경로를 보행하며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만을 자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명확하고 편리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 당사자가 선택한 음향 안내 장치만을 자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필요한 정보만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로 구현되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는 수단을 생성할 수 있다. 흐름도/블록도들에서의 각 블록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모듈 또는 로직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블록도들에 언급한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언급한 순서를 벗어나 발생할 수도 있고,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RO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및 다른 영구 저장부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매체가 사용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통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블루투스 송수신부(610), 저장부(620), 음향 출력부(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송수신부(610)는 음향 안내 장치(1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즉, 블루투스 송수신부(610)는 음향 안내 장치(101)에 구비된 블루투스 송수신부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 송수신부(610)는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저장부(620)는 음향 안내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62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될 수 있으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플래시 낸드 메모리(Flash NAND Memory)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620)는 음향 안내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안내 정보 및 음향 안내 장치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630)는 사용자를 위한 안내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음향 안내 장치(101)로부터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630)를 통해 사용자, 즉 시각장애인에게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휴대형 통신 장치(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40)는 블루투스 송수신부(610)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스캔하고,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세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향 안내 장치(101)에게 상세 정보를 요청하여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 음향 안내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음향 안내 장치(101)를 선택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음향 안내 장치(101)를 선택하는 경우 음향 안내 장치(101)로 음향 출력을 요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상세 정보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안내 메시지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안내 메시지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 음향 안내 장치(101)를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640)는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 음향 안내 장치(101)가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 음향 안내 장치(101)가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음향 안내 장치(101)에게 상세 정보를 요청하여 상세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자동 음향 출력 요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음향 안내 장치(101)로 음향 출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통신 장치(102)는 경우에 따라 제2의 무선통신 송수신부(예를 들어, 358.5MHz 대역 송수신부, 235.3MHz 대역 송수신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향신호기(720, 730)는 주기적으로 안내 방송을 송출한다. 이러한 안내 방송 패킷의 부가 정보는 현시정보(녹색, 적색)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통신 장치(710)를 소지한 시각장애인이 음향신호기(720, 730) 각각의 통신영역 내에 진입하면, 휴대형 통신 장치(710)는 음향신호기 1(720)과 음향신호기 2(730)의 안내 방송을 수신한다. 휴대형 통신 장치(710)는 안내 패킷의 종류구분자를 해석하여 안내 방송을 송출하는 음향 안내 장치를 음향신호기(720, 730)로 인지하고, 각각의 음향신호기(720, 730)로부터 상세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상세 정보는 음향신호기 위치, 횡단 방향, 현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통신 장치(710)는 상세 정보를 기반으로 현 지점에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음향신호기 리스트를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고, 시각장애인은 리스트에서 특정 음향신호기를 선택하여 음향 위치 안내, 음향 신호 안내 등을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음향 안내가 선택 요청된 음향신호기는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향출력부를 통해 음향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시각장애인은 음향신호기 리스트 중 특정 음향신호기(720)를 선택하여 보행경로 상의 랜드마크 및 보행신호 정보제공 음향신호기로 휴대형 통신 장치(710)에 등록하고 자동 음향 안내 요청을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시각장애인이 음향신호기의 통신 반경 내에 진입하면, 휴대형 통신 장치(710)는 안내 방송 패킷의 장치구분자와 ID를 이용하여 등록된 음향신호기(720)를 인지하고, 상세 정보를 요청해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신호기(720)가 주변에 위치함을 안내하며, 자동으로 음향 신호 안내를 음향신호기(720)로 요청한다. 음향 신호 안내를 요청 받은 음향신호기(720)는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신호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음향 안내 장치
102: 휴대형 통신 장치

Claims (16)

  1. 휴대형 통신 장치가 안내 메시지를 스캔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로부터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에게 상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 상기 상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로부터 상기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세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음향 안내 장치로 음향 출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자동 안내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상세 정보 제공 요청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안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상기 휴대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음향 출력 활성화 요청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안내 방법.
  4. 삭제
  5. 안내 메시지를 스캔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로부터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에게 상세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로 음향 출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를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자동 안내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내 메시지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 메시지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자동 음향 출력 요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향 안내 장치로 음향 출력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 설정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스캔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상세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에게 상세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로 음향 출력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를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하고, 상기 상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자동 안내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가 자동 안내 장치로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안내 장치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30599A 2015-03-04 2015-03-04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99A KR102013706B1 (ko) 2015-03-04 2015-03-04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99A KR102013706B1 (ko) 2015-03-04 2015-03-04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74A KR20160108674A (ko) 2016-09-20
KR102013706B1 true KR102013706B1 (ko) 2019-08-26

Family

ID=5710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599A KR102013706B1 (ko) 2015-03-04 2015-03-04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713A (ko) 2017-01-13 2018-07-23 장재순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406Y1 (ko) 2003-06-25 2003-10-17 손삼호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 장치
KR101330622B1 (ko) 2012-07-13 2013-11-18 도로교통공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 시스템
KR101430900B1 (ko) 2013-03-05 2014-08-14 주식회사 네미센스 횡단보도 인식 및 신호등 연계방식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492913B1 (ko) * 2014-10-02 2015-02-12 송석우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152A (ko) * 2004-11-23 2006-05-26 (주)유비테크놀로지스 시각장애인 보행 음성 안내 시스템
KR20070035626A (ko) * 2005-09-28 2007-04-02 주식회사유진테크 시각 장애인용 위치안내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14637A (ko) * 2006-05-29 2007-12-04 조영선 맹인에게 주변정보를 자동으로 음성 안내하는무선태그/리더장치 및 그 방법
KR101268486B1 (ko) 2011-12-09 2013-06-04 오규태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406Y1 (ko) 2003-06-25 2003-10-17 손삼호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 장치
KR101330622B1 (ko) 2012-07-13 2013-11-18 도로교통공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 시스템
KR101430900B1 (ko) 2013-03-05 2014-08-14 주식회사 네미센스 횡단보도 인식 및 신호등 연계방식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492913B1 (ko) * 2014-10-02 2015-02-12 송석우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74A (ko)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064B1 (ko)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EP2495936A1 (en) Server for grouping devices based on sounds collected and method therefor
US20130200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fid blocks
WO2019015642A1 (zh) 控制乘客进入正确的电梯轿厢的智能指引
KR101954989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KR102326272B1 (ko) 외부 장치의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42216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9121077B (zh) 一种车库的蓝牙工作系统及其工作方法
CN106959430A (zh) 经由信号强度和信号衰落事件确定车辆位置
US20200130988A1 (en) Communication under elevator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in building
KR100846299B1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370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9028663A (ja) 配車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KR20190018091A (ko) 버스 하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8785A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및 보행자 간의 상호인지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3017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101748777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CN110969858B (zh) 车祸处理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070634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3713A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9448B1 (ko) 사물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3887650B2 (ja) 歩行者に施設情報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01712A (ko) 택시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52997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37082A (ko) 무선단말 기반 주차결제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