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989B1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989B1
KR101954989B1 KR1020140118662A KR20140118662A KR101954989B1 KR 101954989 B1 KR101954989 B1 KR 101954989B1 KR 1020140118662 A KR1020140118662 A KR 1020140118662A KR 20140118662 A KR20140118662 A KR 20140118662A KR 101954989 B1 KR101954989 B1 KR 10195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braille
providing apparatus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909A (ko
Inventor
전혜선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라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라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엠에스라인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118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989B1/ko
Priority to PCT/KR2015/009290 priority patent/WO2016036160A1/ko
Publication of KR2016002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작 수행 모드에 따라 시각 장애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점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함으로써,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촬영 영상을 지정된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상기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각 장애인의 편의와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정보를 점자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점자 정보에 기초하여 점자를 표시하는 점자 표시부; 상기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일 영역에 상기 카메라부가 배치된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카메라부의 최소 초점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초점 거리 유지부가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로부터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IM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FOR BLIND PEOPLE}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작 수행 모드에 따라 시각 장애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 전용 도서관과 같은 곳은 점자책을 비치하여 시각 장애인의 편의를 증대시키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서적을 점자책으로 제작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일부 서적에 한하여 점자책을 제작 배포하고 있다. 또한, 개인적으로 특정 서적에 대하여 점자책을 주문 제작하여 받아 볼 수 있으나, 많은 비용이 요구되므로 시각 장애인이 많은 서적을 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상의 정보를 시각 장애인이 인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장치 또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시각 장애인이 외부에서 사용하는 모든 컴퓨터에 상기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은 큰 어려움이 있고, 상기 변환 장치들은 휴대 및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각 장애인들은 서적 등에 포함된 근거리의 문자뿐만 아니라, 간판 등과 같이, 원거리에 위치한 대상물에 포함된 문자를 음성 등을 통해 인식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간판 등의 원거리 대상물에 포함된 문자는 설치 위치 등의 요인 때문에 대상물에 직접 점자를 표시하는 것이 어려우며, 설사 가능하더라도 많은 비용 및 노동력이 요구된다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한편, 시각 장애인은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에 대한 인지가 어렵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이 단독으로 도로 등을 보행하는 것은 상당한 불편함이 있으며,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많은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 현재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보조하여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비 장애인인 안내 도우미가 목적지까지 동행을 하거나, 훈련된 안내 도우미견을 활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내 도우미의 경우, 인력 확보 상의 문제로 시각 장애인의 이동 시마다 매번 동행을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안내 도우미견의 경우, 시각장애인의 눈을 대신하여 보행 중 시각 장애인이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도록 안내하고, 원하는 목적지에 안전하게 도달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원하는 방향으로의 진행을 위해서는 주인이 어느 정도의 지시를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동 도중에 목적의식이 흐려지거나 경로를 이탈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시각 장애인을 보조하여 시각 장애인의 용이하고 안전한 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5531호(2009.10.07.)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각 장애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점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에게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 영상을 지정된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에게 전달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고, 시각 장애인의 편의와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물체를 미리 시각 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정보를 점자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점자 정보에 기초하여 점자를 표시하는 점자 표시부; 상기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일 영역에 상기 카메라부가 배치된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카메라부의 최소 초점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초점 거리 유지부가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로부터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사용자에게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문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문자 정보를 상기 점자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점자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정보의 전송은,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영상 공유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이한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안내하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음성 입력을 기초로,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물체에 관한 안내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안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물체에 관한 안내 음성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검출된 안내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 물체의 존재 여부 및 상기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면, 상기 음성 출력부는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알림음을 출력하되, 상기 알림음이 출력되는 상기 주기는 상기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자 표시부는 복수 개의 점자 블록 및 상기 점자 블록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블록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입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점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함으로써, 시작 장애인들이 보다 다양한 정보들을 간편하게 습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지정된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영상 정보와 관련된 문자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점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상 정보에 포함된 문자, 물체 등에 관한 정보 전달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물체의 존재를 미리 등록하여 사전에 음성으로 안내하게 하게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보다 용이하게 도로 등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지정된 사용자에게 실시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동작 수행 모드에 따라, 촬영된 영상 정보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점자 또는 음성의 형태로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하거나, 소정의 사용자(300)에게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물체에 관한 안내 정보를 등록하고, 시각 장애인이 상기 물체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물체에 관한 안내 음성 정보를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수행 모드는 글자 인식 모드, 길 안내 모드, 영상 공유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동작 수행 모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술한 시각 장애인 이외에도 인지력 등이 부족한 아이들 또는 노약자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30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영상 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영상 정보와 관련된 문자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자로서, 사용자(300)는 1 이상의 정보 제공 장치(100)를 관리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 서비스 도우미 등의 관리자(310)와 시각 장애인을 통해 미리 정보 제공 장치(100), 관리 서버 등에 등록된 가족, 지인 등의 지정인(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300)는 해당 영상 정보에 포함된 문자, 물체 등을 확인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100)에 문자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300)로부터 수신된 문자 정보 또는 음성 정보는 점자 또는 음성의 형태로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되게 된다. 한편, 정보 제공 장치(100)에는 관리 서버의 IP 주소, 관리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3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카메라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점자 표시부(150), 음성 출력부(160), 메모리부(170) 및 감지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정보 제공 장치(100)의 동작 수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수행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글자 인식 모드, 길 안내 모드, 영상 공유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선택된 동작 수행 모드에 따라, 제어부(140)는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0)는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10)는, 길 안내 모드에서,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예를 들어, 건물, 건널목, 진입 방지봉 등의 장애물 등의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안내하는 음성 입력을,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100)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 안내 보조자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인터페이스부(110)는 카메라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점자 표시부(150), 음성 출력부(160), 메모리부(170) 및 감지부(18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원 스위치,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동작 개시/정지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1 이상의 스위치와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사진 동영상 등의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4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영상 정보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거나, 점자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영상 정보는, 통신부(130)를 통해, 소정의 사용자(3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카메라부(12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를 소정의 사용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센터, 서비스 도우미 등의 관리자(310) 및 시각 장애인 등이 지정한 보호자, 가족, 지인 등의 지정인(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310)로의 전송은 관리 서버 또는 관리 단말로 영상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고, 지정인(320)에 대한 전송은 상기 가족, 지인 등이 사용하는 소정의 사용자 단말로 영상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정보의 전송은 소정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상기 사용자(300)로부터의 영상 공유 요청의 수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영상 정보를 전송받은 사용자(300)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유, 무선으로 관리 서버, 관리 단말, 사용자 단말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동작 수행 모드에 따라,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글자 인식 모드에서, 카메라부(12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며, 영상 정보에 포함된 문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70)를 참조하여, 추출된 문자 정보를 상기 문자 정보에 대응하는 점자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점자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각각 점자 표시부(150) 및/또는 음성 출력부(160)에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글자 인식 모드 또는 길 안내 모드에서, 소정의 사용자(300)로부터 수신한 문자 정보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여 점자 표시부(150)로 출력하거나, 상기 사용자(3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정보를 음성 출력부(160)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길 안내 모드에서, 인터페이스부(110)가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안내하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면, 음성 입력의 수신 시, 정보 제공 장치(100)의 위치 및 상기 음성 입력을 기초로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물체에 관한 안내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상기 안내 정보를 기초로,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물체에 관한 안내 음성 정보를 검출하고, 음성 출력부(160)로 검출된 안내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는 GPS 등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변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점자 표시부(150)는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된 점자 정보에 기초하여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점자 표시부(150)에 의한 점자의 표시는 복수의 점자 블록(도 3의 152)이 점자 정보에 따라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은 점자 표시부(150)에 의해 표시(또는 돌출)되는 점자 블록(도 3의 152)을 촉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점자 표시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음성 출력부(160)는 제어부(140)에 의해 변환되는 음성 정보 및/또는 통신부(130)를 통해 소정의 사용자(3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160)는 감지부(180)가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면,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출력부(160)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70)는 카메라부(12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 및/또는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된 소정의 물체에 관한 안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70)는 6개의 점으로 구성되는 시각 장애인의 문자 체계인 점자 및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 간의 관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70)는 문자 정보 및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 간의 관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70)는 영상 정보를 전송할 대상인 소정의 사용자(300)에 대한, 예를 들어, 전화 번호 등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70)는 제어부(14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170)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감지부(18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 물체의 존재 및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80)가 상기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음성 출력부(160)는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알림음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알림음이 출력되는 주기는 상기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알림음의 출력 주기가 점점 짧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을 통해, 시각 장애인은 메모리부(170)에 안내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물체에 대해서도 미리 존재를 인식하여, 충돌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감지부(18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180)는 정보 제공 장치(100)와 따로 분리되어,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지팡이 등에 구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80) 소정의 무선 통신을 통해 물체의 존재 및 거리에 대한 감지 결과를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도 2에서, 인터페이스부(110), 카메라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점자 표시부(150), 음성 출력부(160), 메모리부(170) 및 감지부(180)는 복수의 물리적인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10), 카메라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점자 표시부(150), 음성 출력부(160), 메모리부(170) 및 감지부(180) 각각은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이용하거나 펌웨어(firmware)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100)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부(110), 카메라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점자 표시부(150), 음성 출력부(160), 메모리부(170) 및 감지부(180)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형상의 하우징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부(200)의 전면의 일 영역에는 카메라부(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120)의 렌즈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초점 거리 유지부(210)가 하우징부(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초점 거리 유지부(210)는 카메라부(120)의 최소의 초점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하우징부(200)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카메라부(120) 노출 높이보다 초점 거리 유지부(210)의 돌출된 높이가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초점 거리 유지부(210)를 통해,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이 정보 제공 장치(100)를 통해 도서 등에 표시된 문자를 인식시키고자 하는 경우와 같이, 근접 촬영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카메라부(120)에 요구되는 최소의 초점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점자 표시부(15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메라부(120)와 대향하도록 카메라부(120)가 배치된 하우징부(200)의 반대면, 즉, 후면 중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부(120)와 점자 표시부(150)를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카메라부(120)의 영상 촬영과 점자 표시부(150)의 점자 표시가 동시에 수행 및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점자 표시부(150)는 복수 개의 점자 블록(152) 및 점자 블록(152)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수용부(154)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점자 표시부(150)는 제어부(140)에 의해 출력되는 점자 정보에 따라, 점자 블록(152)이 수용부(154)로부터 입출되게 함으로써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은 자신의 손가락을, 점자 표시부(150)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입출되는 점자 블록(152)을 접촉 감지하여 점자 나아가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점자 블록(152)의 상기 입출의 구동은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방식, 유압 방식, 도트 프린트 방식 등 다양한 구동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를 구성하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등의 복수의 스위치가 하우징부(20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스위치를 누르거나, 터치하는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의 표면에는 시각 장애인이 스위치의 기능 및 위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점자 또는 형상을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인터페이스부(110)에는 시각 장애인, 안내 보조자 등으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음성 입력 장치가 포함될 수 있음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100)의 하우징부(200) 상단에는 소정의 형상의 줄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100)를 목걸이의 형태로 시각 장애인이 목에 걸어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100)의 각각의 동작 수행 모드에 따른 동작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글자 인식 모드에서, 카메라부(120)가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사진 동영상 등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면, 제어부(140)는 영상 정보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정보를 점자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점자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는 각각 점자 표시부(150) 및/또는 음성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어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150)는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문자 정보의 추출에 실패하면, 소정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통신부(130)를 통해 소정의 사용자(300)에게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300)는 수신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문자를 확인하고, 이를 문자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의 형태로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0)가 상기 사용자(300)로부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문자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40)는 수신한 문자 정보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여 점자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통신부(130)가 상기 사용자(300)로부터 영상 정보와 관련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40)는 수신한 음성 정보를 음성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길 안내 모드에서, 제어부(14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 물체에 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이 안내 보조자 등과 함께 임의의 이동 경로를 이동하면서,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건물, 장애물 등의 고정된 물체를 설명 또는 안내하는 음성 입력을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음성 입력이 수신된 정보 제공 장치(100)의 위치를 상기 물체의 위치로 간주하고,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 및 물체에 관한 안내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부(170)에 저장함으로써, 임의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물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경로 상의 물체의 등록은, 카메라부(120), 통신부(130) 및 감지부(180)를 이용하여, 안내 보조자 없이 시각 장애인에 의해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감지부(180)를 통해, 메모리부(170)에 등록되지 않은 물체가 감지되면, 시각 장애인은 카메라부(120)를 이용하여 전방의 영상을 촬영한 다음, 생성된 영상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소정의 사용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정보를 전송받은 사용자(300)는 영상 정보로부터 전방의 물체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이를 문자 정보 또는 음성 정보 형태로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하게 되며, 점자 표시부(150) 또는 음성 출력부(160)를 통해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된다. 이를 통해, 시각 장애인은 전방의 물체가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되고, 해당 물체를 설명 또는 안내하는 음성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길 안내 모드에서, 시각 장애인이 임의의 이동 경로를 이동하면, 제어부(140)는 시각 장애인의 현재 위치, 즉,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와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물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등록된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물체에 대한 안내 음성 정보를 메모리부(170)로부터 로딩하여 음성 출력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음성 정보를 통해, 시각 장애인은 현재 자신의 위치를 인지하거나, 전방에 위치된 장애물 등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모리부(170)에 등록되지 않은 물체는 감지부(180)를 통해 감지되어, 소정의 알림음을 통해 시각 장애인에게 인지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영상 공유 모드에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카메라부(120)를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를 관리자(310), 가족, 지인 등의 지정인(320)을 포함하는 소정의 사용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실시간 영상 정보의 전송은 소정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상기 사용자(300)로부터의 영상 공유 요청의 수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이 소정의 스위치를 누르면, 통신부(130)가 상기 사용자(300)에게 영상 정보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영상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3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통해, 영상 공유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사용자(300)인지를 판단하고, 맞을 경우, 통신부(130)가 영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실시간 영상 정보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300)는 이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로 음성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길 안내, 위급 상황에서의 구조 요청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부(120)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 정보는 메모리부(170)에 저장되거나,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해당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모드에서 영상 정보의 전송 대상이 되는 사용자(300)는 복수의 사용자, 즉,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30)는 상기 영상 정보를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에게 상이한 주기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하루를 분할하여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는 서비스 센터, 서비스 도우미 등의 관리자(310)에게 영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보호자, 가족, 지인 등의 지정인(320)에게 영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수행 모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다양한 동작 수행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얼굴 인식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얼굴 인식 모드에서는 카메라부(120)를 통해 촬영된 사람의 사진과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된 이름 등의 상기 사람에 대한 식별 정보를 메모리부(170)에 저장하고, 이후, 카메라부(120)에 촬영된 영상 정보를 통해 주위에 동일한 사람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시각 장애인에게 음성 출력부(160)를 통해 알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정보 제공 장치 110: 인터페이스부
120: 카메라부 130: 통신부
140: 제어부 150: 점자 표시부
152: 점자 블록 154: 수용부
160: 음성 출력부 170: 메모리부
180: 감지부 200: 하우징부
210: 초점 거리 유지부 300: 사용자
310: 관리자 320: 지정인

Claims (10)

  1.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정보를 점자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점자 정보에 기초하여 점자를 표시하는 점자 표시부;
    상기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일 영역에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점자 표시부가 배치된 하우징부;
    관리자 또는 보호자에게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정보 및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물체에 관한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안내하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 물체의 존재 여부 및 상기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카메라부의 최소 초점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초점 거리 유지부가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로부터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점자 표시부가 상기 카메라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가 배치된 상기 하우징부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 줄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목걸이 형태로 시각 장애인의 목에 걸어 휴대가 가능하며,
    상기 점자 표시부는 복수 개의 점자 블록 및 상기 점자 블록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블록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입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점자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문자 정보의 추출에 실패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호자 또는 상기 관리자에게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 또는 상기 관리자가 영상 정보로부터 문자 정보를 확인하여 문자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의 형태로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음성 입력을 기초로,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물체에 관한 안내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안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물체에 관한 안내 음성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검출된 안내 음성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되지 않은 물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호자 또는 상기 관리자에게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 또는 상기 관리자가 문자 정보를 확인하여 문자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의 형태로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문자 정보와 음성 정보를 점자 표시부와 음성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면, 상기 음성 출력부는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알림음을 출력하되,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알림음의 출력 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의 전송은, 상기 통신부가 상기 보호자 또는 상기 관리자로부터 영상 공유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는 제 1 관리자 및 제 2 관리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제 1 관리자 및 상기 제 2 관리자에게 상이한 주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18662A 2014-09-05 2014-09-05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KR10195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662A KR101954989B1 (ko) 2014-09-05 2014-09-05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PCT/KR2015/009290 WO2016036160A1 (ko) 2014-09-05 2015-09-0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662A KR101954989B1 (ko) 2014-09-05 2014-09-05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909A KR20160029909A (ko) 2016-03-16
KR101954989B1 true KR101954989B1 (ko) 2019-03-08

Family

ID=5544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662A KR101954989B1 (ko) 2014-09-05 2014-09-05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4989B1 (ko)
WO (1) WO2016036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740B1 (ko) * 2019-07-24 2021-11-10 이상현 시각 장애인을 위한 객체 위치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212529B1 (ko) 2019-10-16 2021-02-0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즈베리파이 카메라를 이용한 점자 변환기
KR102157096B1 (ko) * 2019-12-24 2020-09-18 이상준 시각장애인 정보 취득 장치
CN111399638B (zh) * 2020-02-29 2023-06-30 浙江工业大学 一种盲用电脑及适配于盲用电脑的智能手机辅助控制方法
KR102452152B1 (ko) * 2020-11-03 2022-10-1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키오스크 실시간 점자 변환 장치
KR102256721B1 (ko) * 2020-12-30 2021-05-27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의 자립 생활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230117963A (ko) 2022-02-03 2023-08-10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IoT 도서 낭독 시스템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20230126113A (ko) 2022-02-22 2023-08-2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순차적 마스킹을 적용한 객체 검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644647B1 (ko) 2022-02-22 2024-03-0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점자블록 검출 기반 시각장애인 경로 안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9605A2 (en) * 1999-10-22 2001-04-26 Mikki Arai Optical guide fixt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21A (ja) * 2000-08-29 2002-03-05 Komatsu Ltd 視覚障害者用環境認識支援装置及びその方法
ATE529087T1 (de) * 2006-08-15 2011-1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Hilfssystem für sehbehinderte personen
KR20090105531A (ko) * 2008-04-03 2009-10-07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KR101438823B1 (ko) * 2008-06-16 2014-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54025B1 (ko) * 2009-07-07 2011-08-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93721B1 (ko) * 2010-10-05 2012-10-2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 장치
KR20120059752A (ko) * 2010-12-01 2012-06-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정을 인식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장치, 안내 시스템,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30038025A (ko) * 2011-10-07 2013-04-17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점자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9605A2 (en) * 1999-10-22 2001-04-26 Mikki Arai Optical guide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909A (ko) 2016-03-16
WO2016036160A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989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KR20150079129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24740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객체 위치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779718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 지팡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9116A (ko) 시각 장애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10576B1 (ko) 시각 장애인 보조용 드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97043A (ko) 스마트 안경 및 지팡이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256721B1 (ko) 시각장애인의 자립 생활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314482B1 (ko)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US9996730B2 (en) Vision-assist systems adapted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session
KR101197693B1 (ko) 센서노드와 연동되는 점자보도블럭의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81059B1 (ko) 보행 보조 스마트 폰
KR20120088320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물인식 및 보행안내 장치
KR20190023017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96380A (ko) 도보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31423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움직임센서 및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촉각신호로 변환되는 시스템
KR101748777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JP2001221649A (ja) 歩行者誘導システム
KR101849594B1 (ko) 라이다를 이용하는 무선 헤드셋, 보행 보조 시스템 및 보행 보조 제어 방법
KR20180051104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9752A (ko) 감정을 인식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장치, 안내 시스템,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260879B1 (ko) 이동로봇의 인물탐색 방법
KR20160008931A (ko) 음성안내 시스템
CN115427910A (zh) 机器人的控制方法、机器人以及程序
KR20130115042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장애물 경고 시스템 및 경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