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634B1 -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634B1
KR101070634B1 KR1020090057354A KR20090057354A KR101070634B1 KR 101070634 B1 KR101070634 B1 KR 101070634B1 KR 1020090057354 A KR1020090057354 A KR 1020090057354A KR 20090057354 A KR20090057354 A KR 20090057354A KR 101070634 B1 KR101070634 B1 KR 101070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voice message
output
wireless sig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024A (ko
Inventor
송오영
김지호
정종명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7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6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은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무선 모듈; 및 횡단보도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횡단보도의 횡단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메시지의 출력은 상기 무선 AP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AP와 교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지그비, zigbee, 음성 안내, 횡단보도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ound guidance using radio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모듈을 소지한 사용자에게 횡단보도의 횡단 안내 서비스 또는 대중 교통 정류장의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radio communication)이란 전파를 정보의 전송 매체로 이용해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여러 정보 처리 기기들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을 의미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크게 적외선(IR: IntraRed)방식과 고주파(RF: Radio Frequency)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IR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경우, 무선 모듈들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경우에만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반면에, RF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경우, 전방향성으로 작동할 뿐만 아니라 무선 모듈들 사이에 벽과 같은 장애물이 놓여 있는 경우에도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RF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대표적인 예로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무선 통신과 지그비(zigbee) 방식의 무선 통신이 있다.
특히, 지그비 방식의 무선 통신은 전송속도가 250kbps로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소비되는 전력량이 적어 장거리에 걸쳐 연결이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빠른 전송 속도가 요구되지 않는 통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횡단보도의 횡단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는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는 음성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무선 모듈; 및 횡단보도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횡단보도의 횡단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메시지의 출력은 상기 무선 AP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AP와 교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경우, 상기 무선 AP는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임을 안내하는 제1 음성 메시지, 상기 제1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상기 적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2 음성 메시지, 상기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되었음을 안내하는 제3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제3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상기 녹색등이 점 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4 음성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AP는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녹색등의 잔여 점등 시간을 안내하는 제5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제5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상기 녹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6 음성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무선 모듈; 및 대중 교통 정류장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메시지의 출력은 상기 무선 AP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AP와 교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경우,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은 버스 정류장과 대응되고,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는 상기 버스 정류장의 명칭, 및 상기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은 지하철 정류장과 대응되고, 상기 무선 AP는 상기 지하철 정류장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하철 정류장의 명칭 및 상기 출입구의 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횡단보도의 횡단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의 횡단보도의 횡단을 안내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사용자가 신호등에 설치된 버튼을 눌러야만 신호등의 상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데, 시각 장애인과 같은 보행 약자의 경우, 신호등에 설치된 버튼을 쉽게 찾을 수 없어 음성 안내를 용이하게 들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안내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12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모듈(110)을 소지하는데, 무선 모듈(110)은 횡단보도 부근에 설치된 무선 AP(1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무선 AP(130)가 신호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무선 AP(130)는 신호등과 분리되어 횡단보도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120)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모듈(110)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일례로, 무선 모듈(110)은 3초 내지 4초의 간격으로 무선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신호는 임의의 방향으로 전송된다.
사용자(120)가 무선 모듈(110)을 소지하고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120)가 위치하고 쪽에 설치된 무선 AP(130)는 무선 모듈(110)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이 후, 무선 AP(13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120)의 횡단보도 횡단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을 제어한다.
이 때, 음성 메시지는 음성 출력 장치(일례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데, 음성 출력 장치는 무선 AP(130) 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무선 AP(13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음성 출력 장치가 무선 AP(13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무선 AP(130)과 음성 출력 장치는 유/무선으로 교신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성 메시지의 출력이 무선 AP(13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무선 모듈(110) 및 무선 AP(130)는 지그비(zigbee) 신호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모듈 및 지그비 AP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사용자(120)는 부가적인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횡단보도 횡단의 안내를 위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런데, 무선 AP(130)가 무선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 모두에 대응하여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면, 사용자(120)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의사가 없이 횡단보도 인근을 지나가는 경우에도 무선 AP(130)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은 무선 신호의 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120)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의사가 있는지를 먼저 예측하고, 이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120)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의사가 있는지를 먼저 예측하고, 이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AP(130)는 무선 모듈(110)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의 수신세기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신호의 수신 세기 값은 무선 모듈(110)과 무선 AP(130)간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고, 무선 모듈(110)과 무선 AP(130)간의 거리는 사용자(12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므로, 무선 AP(130)는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세기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120)의 횡단보도를 횡단 의사 유무를 판단하여 음성 메시지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 AP(130)는 무선 신호의 수신세기 값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세기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경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모듈(110)을 소지한 사용자(120)가 횡단보도 인근 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있어, 사용자(120)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의사가 있다면, 횡단 보도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의 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머물러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무선 AP(130)는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세기 값이 일정시간 동안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경우에 사용자(120)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의사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 판단하여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AP(130)는 무선 모듈(110)으로부터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수신하는 경우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모듈(110)이 3초 내지 4초 간격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AP(130)의 유효 거리가 4m 내지 5m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만약 사용자(120)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의사가 있다면, 사용자(120)는 무선 AP(130)의 유효 거리 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머물러 있게 되므로, 무선 AP(130)는 무선 모듈(110)로부터 반복적으로 전송된 무선 신호를 2회 이상 수신할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120)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의사가 없이 무선 AP(130)의 주변을 지나쳐 가는 경우, 사용자(120)의 보행 속도를 감안하면, 무선 AP(130)는 무선 모듈(110)로부터 무선 신호를 1회만 수신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무선 AP(130)는 첫번째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이후 두번째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한해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일례에 있어서, 만약 무선 AP(130)가 신호등의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첫번째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첫번째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 이내에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된다면, 무선 AP(130)가 두번째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음성 메시지 출력을 보류한다면, 사용자(120)는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되었음에도 수초 간의 시간 동안 횡단보도를 횡단하지 못하고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AP(130)가 신호등의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무선 신호 중에서 첫번째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첫번째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횟수의 무선 신호를 수 신하기 이전에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되는 경우, 무선 AP(130)는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120)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의사가 있는지를 먼저 예측하고, 이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무선 AP(130)에서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AP(130)는 신호등의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무선 모듈(110)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임을 안내하는 제1 음성 메시지, 제1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상기 적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2 음성 메시지,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되었음을 안내하는 제3 음성 메시지, 및 제3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녹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4 음성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신호등의 적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선 모듈(110)을 소지한 사용자(120)가 횡단보도 부근으로 진입하여 음성 메시지의 출력이 결정된 경우, 무선 AP(130)는 먼저 신호등의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임을 안내하는 제1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일례로, 무선 AP(130)는 "신호등의 색깔은 빨간색입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제1 음성 메시지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1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무선 AP(130)는 신호등이 녹색등이 점등되는 시점까지 적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를 안내하는 제2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일례로, 무선 AP(130)는 특정 주기로 반복되는 비프음(beep sound)을 제2 음성 메시지로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무선 AP(130)가 제2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무선 모듈(110)이 아닌 제2 무선 모듈로부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AP(130)는 제2 무선 신호를 무시하여 별도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는다.
제2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고 있는 도중에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되는 경우, 무선 AP(130)는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되었음을 안내하는 제3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일례로, 무선 AP(130)는 "신호등의 색깔은 파란색입니다. 건너가십시오"라는 음성 메시지를 제3 음성 메시지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3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무선 AP(130)는 신호등이 적색등이 점등되는 시점까지 녹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를 안내하는 제4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일례로, 무선 AP(130)는 특정 주기로 반복되는 비프음을 제4 음성 메시지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4 음성 메시지를 구성하는 비프음과 제2 음성 메시지를 구성하는 비프음은 서로 다른 비프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무선 AP(130)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AP(130)는 녹색등의 잔여 점등 시간을 안내하는 제5 음성 메시지 및 제5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녹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6 음성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 AP(130)가 제4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무선 모듈(110)이 아닌 제2 무선 모듈로부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AP(130)는 제5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무선 모듈(110)을 소지한 사용자(120)가 횡단보도를 횡단하여 맞은 편에 설치된 제2 무선 AP(140)로 접근하는 경우, 제2 무선 AP(140) 역시 제5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6 음성 메시지는 앞서 설명한 제4 음성 메시지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 등에 별도의 고유 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고유 번호가 무선 모듈(11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AP(130)는 무선 모듈(110)과 교신하여 상기 고유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무선 AP(130)가 버스 정류장 부근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 3에서는 무선 AP(130)가 지하철 정류장의 출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AP(130)는 사용자(120)가 소지한 무선 모듈(110)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여 버스 정류장 또는 지하철 정류장과 같은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도, 음성 메시지는 무선 AP(130) 상에 또는 무선 AP(130)의 외부에 설치된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무선 모듈(110) 및 무선 AP(130)는 지그비 신호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모듈 및 지그비 AP일 수 있다.
무선 AP(130)가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은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무선 AP(130)의 동작과 대응되므로, 이하에서는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AP(130)가 버스 정류장 부근에 설치되는 경우(즉, 대중 교통 정류장이 버스 정류장과 대응되는 경우),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는 버스 정류장의 명칭, 및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모듈(110)을 소지한 사용자(120)가 무선 AP(130)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으로 진입하는 경우, 무선 AP(130)는 "본 정류장은 xx 정류장입니다. 본 정류장에는 0번, 00번, 000번의 버스가 정차합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AP(130)가 지하철 정류장 의 출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경우(즉, 대중 교통 정류장이 지하철 정류장과 대응되는 경우),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는 지하철 정류장의 명칭 및 출입구의 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모듈(110)을 소지한 사용자(120)가 무선 AP(130)가 설치된 지 하철 정류장의 출입구 부근으로 진입하는 경우, 무선 AP(130)는 "여기는 xx역 0번 출입구 입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단계(S41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무선 모듈이 무선 신호를 무선 AP로 전송한다.
단계(S420)에서는 무선 AP가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횡단보도 횡단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420)에서 무선 AP는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세기 값이 변화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단계(S420)에서 무선 AP는 무선 신호의 수신세기 값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세기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경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420)에서 무선 AP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임을 안내하는 제1 음성 메시지, 제1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적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2 음성 메시지,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되었음을 안내하는 제3 음성 메시지, 및 제3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녹색등이 점등되 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4 음성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AP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녹색등의 잔여 점등 시간을 안내하는 제5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 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Claims (14)

  1.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무선 모듈; 및
    횡단보도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횡단보도의 횡단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메시지의 출력은 상기 무선 AP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AP와 교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듈은 지그비(zigbee) 모듈이고,
    상기 무선 AP는 지그비 AP 이고,
    상기 무선 신호는 지그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세기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세기 값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세기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듈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주기로 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AP는 상기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는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무선 신호 중에서 첫번째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첫번째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횟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 기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되는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는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임을 안내하는 제1 음성 메시지,
    상기 제1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상기 적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2 음성 메시지,
    상기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되었음을 안내하는 제3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제3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상기 녹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4 음성 메시지
    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는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녹색등의 잔여 점등 시간을 안내하는 제5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제5 음성 메시지가 출력된 후 상기 녹색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되는 제6 음성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9.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무선 모듈; 및
    대중 교통 정류장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메시지의 출력은 상기 무선 AP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AP와 교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듈은 지그비 모듈이고,
    상기 무선 AP는 지그비 AP 이고,
    상기 무선 신호는 지그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세기 값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세기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은 버스 정류장과 대응되고,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는
    상기 버스 정류장의 명칭 및 상기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은 지하철 정류장과 대응되고,
    상기 무선 AP는 상기 지하철 정류장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대중 교통 정류장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하철 정류장의 명칭 및 상기 출입구의 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14.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무선 모듈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AP가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횡단보도 횡단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AP 또는 상기 무선 AP와 교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방법.
KR1020090057354A 2009-06-26 2009-06-26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07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54A KR101070634B1 (ko) 2009-06-26 2009-06-26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54A KR101070634B1 (ko) 2009-06-26 2009-06-26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24A KR20110000024A (ko) 2011-01-03
KR101070634B1 true KR101070634B1 (ko) 2011-10-07

Family

ID=4360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354A KR101070634B1 (ko) 2009-06-26 2009-06-26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900B1 (ko) 2013-03-05 2014-08-14 주식회사 네미센스 횡단보도 인식 및 신호등 연계방식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210072740A (ko) * 2020-06-03 2021-06-17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교통 이벤트의 보고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687B1 (ko) * 2011-07-07 2013-02-22 (주)공간파크 음성유도장치
KR101633308B1 (ko) * 2015-01-29 2016-06-27 주식회사 엠디아이 시각 장애인용 자동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064B1 (ko) 1996-04-25 1999-06-15 채광선 시각장애자용 교통신호 안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76063Y1 (ko) 1999-11-08 2000-03-15 주식회사협승통상 시각장애자용 교통신호 안내장치
JP2002015394A (ja) 2000-06-29 2002-01-18 Toshiba Corp 通信方法、視覚補助システム、歩行補助端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064B1 (ko) 1996-04-25 1999-06-15 채광선 시각장애자용 교통신호 안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76063Y1 (ko) 1999-11-08 2000-03-15 주식회사협승통상 시각장애자용 교통신호 안내장치
JP2002015394A (ja) 2000-06-29 2002-01-18 Toshiba Corp 通信方法、視覚補助システム、歩行補助端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900B1 (ko) 2013-03-05 2014-08-14 주식회사 네미센스 횡단보도 인식 및 신호등 연계방식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210072740A (ko) * 2020-06-03 2021-06-17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교통 이벤트의 보고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KR102540045B1 (ko) 2020-06-03 2023-06-05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교통 이벤트의 보고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24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2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FID blocks
Liu et al.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a V2X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and pedestrian safety
KR102021534B1 (ko) 딥러닝 기반 차량 및 보행자 감지 영상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101070634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2019015642A1 (zh) 控制乘客进入正确的电梯轿厢的智能指引
CN104282144B (zh) 交互式公共交通系统
US10457197B2 (en) Vehicle for conveying persons and orientation aid
KR100645955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JP7139491B2 (ja) 制御装置
KR100861094B1 (ko)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KR10124367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828559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시스템
KR101970105B1 (ko) 교통약자 좌석 인식 시스템
KR20200128936A (ko) 역사 내 이동 편의를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0414368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신호음 송수신시스템
JP6658735B2 (ja) 車両誘導システム、車両誘導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18703A (ja) 駐車場内誘導システム
CN109478872B (zh) 用于控制至少一个声学输出设备的输出音量的方法和装置
KR101130056B1 (ko) 장애인용 교통 편의 장치
KR102452997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00804B1 (ko) 자율주행버스의 동적 정류장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08211B1 (ko) 버스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04133701A (ja) 視覚障害者誘導装置、視覚障害者進路案内装置、杖および視覚障害者歩行支援システム
WO2022138554A1 (ja) 交通通信システム、無線路側機、及び交通通信方法
KR20110128568A (ko) Usn 기반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