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611B1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611B1
KR102012611B1 KR1020187015677A KR20187015677A KR102012611B1 KR 102012611 B1 KR102012611 B1 KR 102012611B1 KR 1020187015677 A KR1020187015677 A KR 1020187015677A KR 20187015677 A KR20187015677 A KR 20187015677A KR 102012611 B1 KR102012611 B1 KR 102012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aining distance
amount
expansion
stretch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417A (ko
Inventor
히데타카 이시구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가버너의 회전에 따른 회전수를 출력하는 회전수 검지기와,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 각 층상 위치에 따라서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와, 회전수 검지기 및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회전수에 기초하여 목적층까지의 잔여거리를 제1 잔여거리로서 산출하는 제1 잔여거리 산출부와, 착상 플레이트를 검지한 상태로부터 목적층에서 정지할 때까지의 이상적인 잔여거리를 제2 잔여거리로서 산출하는 제2 잔여거리 산출부와, 제1 잔여거리와 제2 잔여거리의 차분치로부터 가버너 로프의 신장량을 추정하는 신축량 추정부와, 추정된 신장량에 기초하여 산출한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제1 잔여거리를 보정하는 신축량 보정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본 발명은 가버너 로프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을 행할 때, 가버너 로프의 신축량을 추정하여 착상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버너 인코더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을 행하는 종래 기술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새로운 가버너 속도 검출기를 추가하는 일 없이, 가버너 로프의 신축에 의해 생기는 가버너 인코더의 오차의 추정을 행하는 기술도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착상 플레이트 내를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했을 때, 가버너 인코더의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량과, 착상 플레이트의 실제의 검지 거리의 편차량으로부터, 가버너 로프의 신축에 의해 생기는 가버너 인코더 카운트 오차를 추정하고, 이 추정 결과를 착상시의 보정량으로서 이용하여, 착상 오차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8-213967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가버너 로프의 신축에 의해 생기는 가버너 인코더의 오차를 추정하는 기술에 있어서, 고정밀한 착상 제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보수원이 실측한 착상 오차 측정 정보를 입력하는 등, 특수한 튜닝 작업이 필요했다.
또, 진동이 적은 이상적인 승차감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착상시에 있어서의 감속도 변화에 따라서, 가버너 로프 신축량의 변화 추이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특수한 튜닝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버너 로프의 신축량을 고려한 잔여거리(殘距離) 보정을, 특별한 튜닝이나 학습 조작과 같은 사전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가버너 로프와 가버너 시브(governor sheave)로 구성된 가버너와, 가버너에 마련되고, 가버너의 회전에 따른 회전수를 출력하는 회전수 검지기와, 건축물의 각 층상 위치에 따라서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 각 층상 위치에 따라서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와, 회전수 검지기로부터 출력된 회전수와,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컨트롤러는,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가 착상 플레이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당해 착상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상태가 된 것을 진입 상태로서 검지하는 플레이트 진입 검지기와, 회전수 검지기로부터 출력된 회전수에 기초하여 목적층까지의 잔여거리를 제1 잔여거리로서 산출하는 제1 잔여거리 산출부와, 플레이트 진입 검지기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진입 상태가 되고 나서 목적층에서 정지할 때까지의 이상적인 잔여거리를 제2 잔여거리로서 산출하는 제2 잔여거리 산출부와, 제1 잔여거리와 제2 잔여거리의 차분치로부터 가버너 로프의 신장량을 추정하는 신축량 추정부와, 신축량 추정부에서 추정된 신장량에 기초하여 보정치를 산출하여,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제1 잔여거리를 보정하고, 보정 후의 잔여거리를 출력하는 신축량 보정부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버너의 회전수에 따라 산출된 제1 잔여거리와, 미리 설정한 이상적인 잔여거리에 상당하는 제2 잔여거리의 차로부터 가버너 로프 신장량을 추정하고, 얻어진 추정량을 이용하여 잔여거리를 보정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통상 서비스시에, 이상적인 잔여거리로의 보정이 가능하고, 보수원에 의한 착상 정밀도 향상이나 진동 저감을 위한 특별한 튜닝이나 학습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잔여거리 산출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신축량의 추정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잔여거리 산출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신축량의 추정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잔여거리 산출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개요도이다.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1)과, 로프(2)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1)의 반대측에 마련된 균형 추(3)를 구비하고 있다. 로프(2)는 권상기(4)에 걸려 있다. 그리고, 권상기(4)에 의해 로프(2)를 감아 올림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을 승강로 내에서 승강시킨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가버너(5)가 설치되어 있다. 가버너(5)는 단부가 엘리베이터 칸(1)에 장착된 로프(5a)와, 로프가 걸린 시브(5b)로 구성된다. 가버너(5)에는, 회전수를 검지하는 회전수 검지기(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수 검지기(6)는 가버너(5)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예를 들면, 펄스 출력 신호로서, 회전수에 상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승강로 내부에는, 각 층상의 착상 존(landing zone)에 따른 위치에, 착상 플레이트(7)가 마련된다. 또한, 착상 플레이트(7)는, 각 층상에 있어서, 도어의 문개폐를 허가하는 존인 도어 존, 리레벨(relevel)을 허가하는 리레벨 존 등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 설치해도 된다.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는 착상 플레이트(7)를 검출하는 하드웨어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 칸(1)에 마련된다. 또한, 착상 플레이트(7)가 도어 존, 리레벨 존 등,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필요 개수 설치한다.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는 엘리베이터 칸(1)이 이동함으로써, 착상 플레이트(7)와 동등한 높이에 배치됨으로써, 착상 플레이트(7)를 검출하여, 착상 플레이트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 1에 의한 제어 장치(9)는 플레이트 진입 검지기(10), 엘리베이터 칸 현재 위치 산출기(11), 운행 지령 연산기(12), 잔여거리 산출기(13), 속도 지령 산출기(14), 및 권상기 제어기(1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9) 내의 각 구성 요소의 처리는, 반드시 개별의 기기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동일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총괄하여 처리를 행해도 된다.
플레이트 진입 검지기(10)는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로부터 출력되는 착상 플레이트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착상 플레이트(7)를 검출하는 상태가 된 것을 검지한다. 즉, 플레이트 진입 검지기(10)는 엘리베이터 칸(1)에 설치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엘리베이터 칸 현재 위치 산출기(11)는 회전수 검지기(6)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와, 플레이트 진입 검지기(10)로부터 출력되는 진입 검지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승강로 내의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운행 지령 연산기(12)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지령을 연산함과 아울러, 운행 지령과 목적층 정보를 출력한다.
잔거리 산출기(13)는 플레이트 진입 검지기(10)로부터의 진입 검지의 신호와, 엘리베이터 칸 현재 위치 산출기(11)로부터 출력되는 엘리베이터 칸 현재 위치와, 운행 지령 연산기(12)로부터의 목적층 정보 및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목적층까지의 잔여거리를 산출하여 출력한다.
속도 지령 산출기(14)는 운행 지령 연산기(12)로부터의 엘리베이터의 운행 지령과, 잔여거리 산출기(13)로부터의 잔여거리에 기초하여, 목적층에 엘리베이터 칸(1)을 이동시키기 위한 속도 지령치를 출력한다.
권상기 제어기(15)는 속도 지령 산출기(14)로부터의 속도 지령치에 기초하여, 권상기(4)를 제어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권상기 제어기(15)는 통상 권상기(4)의 회전수를 귀환하는 것에 의한 속도 피드백 제어, 권상기(4)의 전류를 귀환하는 것에 의한 인버터 PWM 제어 등을 행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잔여거리 산출기(13)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잔여거리 산출기(13)는 제1 잔여거리 산출부(16), 제2 잔여거리 산출부(17), 이상(理想) 잔여거리 기억부(18), 제1 신축량 추정부(19), 제1 신축량 기억부(20), 신축량 보정부(21), 및 제1 가산기(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잔여거리 산출부(16)는 목적층 정보 중 목적층 정지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현재 위치의 차에 기초하여, 제1 잔여거리를 산출한다. 엘리베이터 칸 현재 위치는 엘리베이터 칸 현재 위치 산출기(11)에 의해, 회전수 검지기(6)로부터의 회전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된다. 즉, 제1 잔여거리는 회전수 검지기(6)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값이다.
제2 잔여거리 산출부(17)는 목적층 정보 중 목적층 검지 신호와, 착상 플레이트(7)로의 진입 검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입에서부터 목적층에 정지할 때까지의 이상적인 제2 잔여거리를 산출한다. 이상 잔여거리 기억부(18)에는, 엘리베이터 칸(1)이 이상 가감 속도로 착상할 때의 이상 잔여거리가, 소정 시간 간격마다 미리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잔여거리 산출부(17)는 목적층의 착상 플레이트(7)로의 진입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진입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에 맞춰, 이상 잔여거리 기억부(18)에 기억된 이상 잔여거리를 참조하여, 제2 잔여거리로서 출력한다.
제1 신축량 추정부(19)는 제1 잔여거리와 제2 잔여거리의 차로부터 가버너 로프 신축량을 추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신축량 추정부(19)는 제2 잔여거리로부터 제1 잔여거리를 뺀 값을, 가버너 로프 신축량의 추정량으로서 출력한다.
제1 신축량 기억부(20)는 제1 신축량 추정부(19)로부터 출력되는 추정량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신축량 기억치로서 기억한다. 추가로, 제1 신축량 기억부(20)는 운행 지령 연산기(12)로부터 출력되는 목적층 정보 중 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축량 기억치를 층상마다 관련지어 기억한다. 따라서, 제1 신축량 기억부(20)는 최하층에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높이)에 따라서, 예를 들면, 최하층에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1)의 높이에 비례한 양으로서, 신축량 기억치를 기억하게 된다.
신축량 보정부(21)는 운행 지령 연산기(12)로부터 출력되는 운행 지령 중 엘리베이터 기동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주행 개시 및 진입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에 맞춰, 제1 신축량 기억부(20)에 기억되어 있는, 목적층에 따른 신축량 기억치를 참조하여, 보정치로서 출력한다.
또한, 신축량 보정부(21)는 신축량 기억치의 샘플링간의 값에 관해서는, 선형 보완으로 구하여 출력한다.
또, 가버너 로프의 신축은 감속시의 엘리베이터 칸 감속도에 대략 비례하도록 신축한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보정치도 감속도에 대략 비례하도록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구성의 복잡화를 피하는 이유, 및 정지층에 가까운 위치에서의 잔여거리의 정밀도가 우선되면 문제 없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신축량 보정부(21)는 목적층의 착상 플레이트(7)에 진입하기 이전의 보정치로서는, 착상 플레이트(7) 진입 시점의 신축량 기억치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제1 가산기(22)는 제1 잔여거리 산출부(16)로부터 출력된 제1 잔여거리와, 신축량 보정부(21)로부터 출력된 보정치를 가산하여, 잔여거리로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신축량의 추정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3의 상단에 나타낸 도면은, 엘리베이터 칸 바닥 정지 위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1)의 잔여거리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점선은 제1 잔여거리, 실선은 제2 잔여거리를 나타낸다. 검정 동그라미로 나타낸 각각의 점은, 제2 잔여거리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로서, 이상 잔여거리 기억부(18)에 기억된 이상 잔여거리의 기억치를 나타낸다.
한편, 도 3의 하단에 나타낸 도면은, 제1 신축량 추정부(19)에 의한 추정량을 나타내고 있고, 검정 동그라미의 점은 제1 신축량 기억부(20)에 기억되어 있는 신축량 기억치를 나타낸다.
제2 잔여거리 산출부(17)는, 도 3의 시각 0에 있어서, 착상 플레이트(7)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이상적 잔여거리인 제2 잔여거리를 출력한다. 시각 0에 있어서의 제2 잔여거리는, 엘리베이터 칸(1)의 정지 위치인 착상 플레이트(7)의 중앙 위치로부터 단부(端部)까지의 길이와 일치한다.
제1 신축량 기억부(20)는 시각 0에 있어서의 제2 잔여거리로부터 제1 잔여거리를 뺀 차분치를 추정량으로서 기억한다.
시각 0 이후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엘리베이터 칸(1)이 목적층을 향해 주행하기 때문에, 제1 잔여거리가 서서히 감소한다. 이상 잔여거리인 제2 잔여거리도, 마찬가지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감소한다.
이에, 제1 신축량 기억부(20)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도 3의 상단의 검정 동그라미의 점의 시점, 즉, 제2 잔여거리가 기억된 소정 시간 간격에 맞춰, 제2 잔여거리와 제1 잔여거리의 차분치를, 추정량으로서 기억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1 신축량 기억부(20)는 가버너 로프 신축량으로서의 신축량 기억치를, 엘리베이터 칸(1)의 승강로 내의 위치에 따라서, 격납,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정리한다.
(효과 1)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제1 잔여거리와 제2 잔여거리의 차로부터 가버너 로프 신장량을 추정하고, 얻어진 추정량을 이용하여 잔여거리를 보정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통상 서비스시에 있어서, 이상적인 잔여거리로의 보정이 가능해져, 착상 정밀도 향상이나 진동 저감을 위한 보수원에 의한 특별한 튜닝이나 학습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효과 2)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이 이상 가감 속도로 착상할 때의 이상 잔여거리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미리 기억해 두고, 이 이상 잔여거리가 되도록 보정을 행함으로써 잔여거리를 산출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을 이상 가감 속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상적인 승차감을 실현할 수 있다.
(효과 3)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가버너 로프 신장량의 추정치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신축량 기억치로서 기억하고, 샘플링간의 가버너 로프 신축량은 선형 보완으로 구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신축량 기억치를 기억시켜 두는 기억 장치의 기억 용량이 유한(有限)한 경우에도, 가버너 로프 신축량을 스무스하게 산출 가능해져, 잔여거리가 불연속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효과 4)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목적층의 착상 플레이트에 진입하기 이전에는, 착상 플레이트 진입 시점의 신축량 기억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일정 감속시의 추정량(신축량)을 보정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목적층의 착상 플레이트 진입시의 잔여거리를 이상 잔여거리에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이상적인 승차감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체 개요는, 앞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잔여거리 산출기(13a)는 내부 구성 요소 및 신호 처리 내용이, 앞의 실시 형태 1과 일부 다르다. 이에, 이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잔여거리 산출기(13a)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잔여거리 산출기(13a)는 제1 잔여거리 산출부(16), 제2 잔여거리 산출부(17), 이상 잔여거리 기억부(18), 제2 신축량 추정부(19a), 제2 신축량 기억부(20a), 신축량 보정부(21), 제1 가산기(22), 및 제2 가산기(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잔여거리 산출부(16), 제2 잔여거리 산출부(17), 이상 잔여거리 기억부(18), 신축량 보정부(21), 및 제1 가산기(22)에 대해서는, 앞의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고, 동일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제2 가산기(23)는 제1 잔여거리와 보정치를 가산하여, 제3 잔여거리로서 출력한다. 즉, 제2 가산기(23)는 제1 잔여거리에 대해서, 목적층에 따른 가버너 로프 신축량을 가산하여, 제3 잔여거리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제2 신축량 추정부(19a)는, 제1 잔여거리 대신에, 제3 잔여거리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2 신축량 추정부(19a)는 제2 잔여거리로부터 제3 잔여거리를 뺀 차분치에 대해, 소정의 계수를 곱한 것을 추정량으로서 출력한다.
제2 신축량 기억부(20a)는 제2 신축량 추정부(19a)로부터 출력된 추정량을, 전회(前回)의 신축량 기억치에 가산함으로써 갱신하고, 갱신한 신축량 기억치를 기억한다. 즉,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제2 잔여거리로부터 제3 잔여거리를 뺀 값에 대해, 소정의 계수를 곱한 것을, 가버너 로프의 전회의 신축량 기억치에 가산하여, 이번 신축량 기억치로서 기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신축량의 추정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의 가로축은, 도 3과 마찬가지로, 시간을 나타낸다.
도 5의 상단에 나타낸 도면은, 엘리베이터 칸 바닥 정지 위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1)의 잔여거리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점선은 제3 잔여거리, 실선은 제2 잔여거리를 나타낸다. 검정 동그라미로 나타낸 각각의 점은, 도 3과 마찬가지로, 이상 잔여거리 기억부(18)에 기억된 이상 잔여거리의 기억치를 나타낸다. 이 제2 잔여거리는 앞의 도 3에서 나타낸 값과 동일하다.
또, 도 5의 중단에 나타낸 도면은, 제2 신축량 추정부(19a)에 의한 추정량을 나타낸다. 추가로, 도 5의 하단에 나타낸 도면은, 제2 신축량 추정부(19a)에 의한 추정량을 전회의 신축량 기억치에 가산함으로써 갱신된 이번 신축량 기억치를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선은 전회의 신축량 기억치를 나타내고, 검정 동그라미의 점은 갱신 후에 제2 신축량 기억부(20a)에 기억되는 이번 신축량 기억치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제2 가산기(23)에 의해서 산출되는 제3 잔여거리에는, 제1 잔여거리에 전회의 신축량 기억치가 가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잔여거리와 제3 잔여거리의 차는 작아진다. 즉, 제3 잔여거리는 거의 이상 잔여거리에 가까워져 있게 된다.
제2 신축량 추정부(19a)는 제2 잔여거리로부터 제3 잔여거리를 뺀 값에 소정 계수를 곱한 값을, 추정량으로서 출력한다. 제2 신축량 기억부(20a)는 도 5 중의 검정 동그라미의 점의 시점, 즉, 제2 잔여거리가 기억된 소정 시간 간격에 맞춰, 추정량에 전회의 신축량 기억치를 가산한 값을, 최신의 신축량 기억치로서 기억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제2 신축량 기억부(20a)는 가버너 로프 신축량으로서의 신축량 기억치를, 전회의 보정량을 고려하여 산출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정리한다.
(효과 1)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제1 잔여거리에 목적층에 따른 신축량 기억치를 가산한 것을 제3 잔여거리로 하고, 제2 잔여거리로부터 제3 잔여거리를 뺀 값에 대해, 소정의 계수를 곱한 것을, 전회 신축량 기억치에 가산하여, 최신의 신축량 기억치를 갱신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계수를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신축량 기억치의 학습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개요도이다.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나 제어 장치(9)의 구성은, 외부의 대용량 기억 장치(24)의 추가를 제외하고, 앞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의 구성과 같다.
외부의 대용량 기억 장치(24)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축물의 외부에 마련된다. 또,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잔여거리 산출기(13b)는, 외부의 대용량 기억 장치(24)에 대해서 신축량 기억치를 송신한다. 이 결과, 대용량 기억 장치(24)는 엘리베이터마다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잔여거리 산출기(13b)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잔여거리 산출기(13b)는 제1 잔여거리 산출부(16), 제2 잔여거리 산출부(17), 이상 잔여거리 기억부(18), 제2 신축량 추정부(19a), 제3 신축량 기억부(20b), 신축량 보정부(21), 제1 가산기(22), 및 제2 가산기(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7의 구성은, 제2 신축량 기억부(20a)가 제3 신축량 기억부(20b)로 치환되어 있는 점 이외는, 앞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도 4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3 신축량 기억부(20b)는 목적층 마다의 신축량 기억치를, 해석용 데이터로서, 외부의 대용량 기억 장치(24)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출력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정리한다.
(효과 1)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외부의 대용량 기억 장치에 신축량 기억치를 송신하고, 엘리베이터마다 데이터를 축적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이한 사양의 엘리베이터에서의 가버너 로프 신축량에 대한 정보 수집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원격에서의 감시, 수집 데이터 해석으로부터, 로프 신축량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에 의한 설계로의 피드백, 및 보수원에 대한 메인터넌스 정보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가버너 로프와 가버너 시브로 구성된 가버너와,
    상기 가버너에 마련되고, 상기 가버너의 회전에 따른 회전수를 출력하는 회전수 검지기와,
    건축물의 각 층상 위치에 따라서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각 층상 위치에 따라서 마련된 상기 착상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와,
    상기 회전수 검지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회전수와, 상기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가 상기 착상 플레이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당해 착상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상태가 된 것을 진입 상태로서 검지하는 플레이트 진입 검지기와,
    상기 회전수 검지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회전수에 기초하여 목적층까지의 잔여거리(殘距離)를 제1 잔여거리로서 산출하는 제1 잔여거리 산출부와,
    상기 플레이트 진입 검지기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진입 상태가 되고 나서 상기 목적층에서 정지할 때까지의 이상적인 잔여거리를 제2 잔여거리로서 산출하는 제2 잔여거리 산출부와,
    상기 제1 잔여거리와 상기 제2 잔여거리의 차분치로부터 상기 가버너 로프의 신장량을 추정하는 신축량 추정부와,
    상기 신축량 추정부에서 추정된 상기 신장량에 기초하여 보정치를 산출하여, 상기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제1 잔여거리를 보정하고, 보정 후의 잔여거리를 출력하는 신축량 보정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잔여거리 산출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이상(理想) 가감 속도로 상기 목적층에 착상할 때의 이상 잔여거리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미리 기억한 이상 잔여거리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진입 상태가 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맞춰, 상기 이상 잔여거리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이상 잔여거리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잔여거리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축량 추정부에서 추정된 상기 신장량을 미리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신축량 기억치로서 기억하는 신축량 기억부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신축량 보정부는 샘플링간의 상기 가버너 로프의 신축량에 관해서는, 기억된 상기 신축량 기억치를 선형 보완함으로써 산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축량 추정부에서 추정된 상기 신장량을 미리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신축량 기억치로서 기억하는 신축량 기억부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신축량 보정부는 샘플링간의 상기 가버너 로프의 신축량에 관해서는, 기억된 상기 신축량 기억치를 선형 보완함으로써 산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축량 보정부는, 상기 목적층의 상기 착상 플레이트에 진입하기 이전에 있어서는, 상기 착상 플레이트로의 상기 진입 상태가 된 시점의 상기 신축량 기억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잔여거리를 보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축량 보정부는, 상기 목적층의 상기 착상 플레이트에 진입하기 이전에 있어서는, 상기 착상 플레이트로의 상기 진입 상태가 된 시점의 상기 신축량 기억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잔여거리를 보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량 기억부는 상기 신축량 기억치를 상기 착상 플레이트가 마련된 층상마다 기억하고,
    상기 신축량 보정부는 최하층에서부터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신축량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신축량 기억치를 읽어내어, 상기 제1 잔여거리를 보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량 추정부는 상기 신축량 보정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보정치와 상기 제1 잔여거리를 가산한 값을 제3 잔여거리로서 산출하고, 상기 제2 잔여거리로부터 상기 제3 잔여거리를 뺀 값에 대해, 미리 설정한 계수를 곱한 것을, 전회(前回) 추정한 상기 가버너 로프의 신축량에 가산함으로써, 최신의 신장량을 추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9.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량 기억부는, 외부의 대용량 기억 장치에 대해서 상기 신축량 기억치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20187015677A 2015-12-14 2015-12-14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2012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4894 WO2017103968A1 (ja) 2015-12-14 2015-12-14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417A KR20180079417A (ko) 2018-07-10
KR102012611B1 true KR102012611B1 (ko) 2019-08-20

Family

ID=5905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677A KR102012611B1 (ko) 2015-12-14 2015-12-14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29030B2 (ko)
JP (1) JP6490238B2 (ko)
KR (1) KR102012611B1 (ko)
CN (1) CN108367885B (ko)
DE (1) DE112015007184T5 (ko)
WO (1) WO2017103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0951B (zh) * 2017-10-30 2021-03-16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平层装置
WO2020070795A1 (ja) * 2018-10-02 2020-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バナシステムの特性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7140634B2 (ja) * 2018-10-30 2022-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KR102099668B1 (ko) * 2019-06-05 2020-04-10 김태하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도어 안전잠금장치
CN113023515B (zh) * 2021-04-15 2023-06-23 上海高仙自动化科技发展有限公司 运载设备的位置确定方法、装置、设备、系统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538A (ja) 1999-10-27 2001-05-0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3118946A (ja) 2001-10-16 2003-04-2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7168950A (ja) 2005-12-20 2007-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4248A (en) * 1975-04-21 1976-10-29 Hitachi Ltd Governor for elevator
JPS5299546A (en) * 1976-02-16 1977-08-20 Mitsubishi Electric Corp Speed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S5917472A (ja) * 1982-07-21 1984-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速度パタ−ン発生装置
JPS62211277A (ja) 1986-03-11 1987-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速度制御装置
JPH0755781B2 (ja) * 1988-10-12 1995-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張り車装置
JPH0912245A (ja) * 1995-06-28 1997-01-14 Hitachi Ltd エレベータ位置検出装置
DE20103158U1 (de) * 2001-02-22 2001-09-27 Mueller Wolfgang T Mehrstufiger, positionsgesteuerter, reaktionsschnell und präzise auslösender Geschwindigkeitsbegrenzer für Aufzüge
JP2005126185A (ja) 2003-10-23 2005-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着床制御装置
BRPI0417042B1 (pt) * 2004-04-20 2014-10-29 Mitsubishi Electric Corp Sistema de parada de emergência para um elevador
JP4470950B2 (ja) 2007-02-28 2010-06-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071968B2 (ja) * 2007-04-18 2012-11-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異常検出装置
JP4936386B2 (ja) * 2007-06-21 2012-05-2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ガバナテンショナ装置
US8763763B2 (en) * 2008-12-11 2014-07-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having car position detection
DE112010005384T5 (de) * 2010-03-12 2012-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Aufzugsicherheitssteuerung
US8863908B2 (en) * 2010-09-09 2014-10-21 Inventio Ag Controlling a drive motor of an elevator installation
WO2014006720A1 (ja) * 2012-07-05 2014-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9567188B2 (en) * 2014-02-06 2017-02-14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Absolute position door zone device
CN106163957B (zh) * 2014-02-19 2020-01-2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张力部件刚度估计和监测
CN203959570U (zh) * 2014-03-27 2014-11-26 贵州天义电梯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电梯限速器钢丝伸长监测器
WO2015173913A1 (ja) * 2014-05-14 2015-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6063379A1 (ja) 2014-10-22 2016-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2308394B1 (ko) 2015-06-19 2021-10-0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가버너 로프 신축량 추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538A (ja) 1999-10-27 2001-05-0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3118946A (ja) 2001-10-16 2003-04-2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7168950A (ja) 2005-12-20 2007-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29030B2 (en) 2023-04-18
WO2017103968A1 (ja) 2017-06-22
DE112015007184T5 (de) 2018-08-30
CN108367885B (zh) 2020-04-21
US20180354745A1 (en) 2018-12-13
JPWO2017103968A1 (ja) 2018-04-19
KR20180079417A (ko) 2018-07-10
CN108367885A (zh) 2018-08-03
JP6490238B2 (ja)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611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230839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가버너 로프 신축량 추정 방법
JP6271948B2 (ja) プーリ溝診断装置付きエレベータ
WO2016063379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9963321B2 (en) Elevator device
JP6683184B2 (ja) エレベータ
US202001723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KR102135192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0180026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1601390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16895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6204125A (ja) 両かごエレベーター
JP6727437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1089691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9099325A (ja) エレベーター
JP661188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ガバナロープ伸縮量推定方法
JP6306135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2333643B1 (ko) 이상 검출 장치
CN110402229B (zh) 电梯的控制装置以及曳引绳索的伸缩量估计方法
EP3896021A1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