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175B1 -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175B1
KR102012175B1 KR1020180027222A KR20180027222A KR102012175B1 KR 102012175 B1 KR102012175 B1 KR 102012175B1 KR 1020180027222 A KR1020180027222 A KR 1020180027222A KR 20180027222 A KR20180027222 A KR 20180027222A KR 102012175 B1 KR102012175 B1 KR 10201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ing
component
unit
assembly
pu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민규
황인수
Original Assignee
(주)에치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치씨엘 filed Critical (주)에치씨엘
Priority to KR102018002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벌브의 클립과 같이 굽어진 형태의 부품을 조립대상물에 여러 차례 밀어 넣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푸싱유닛과 제2 푸싱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푸싱유닛은 부품 피더로부터 공급된 부품을 파지하여 조립대상물의 소켓부에 1차 삽입하는 구성이다. 제2 푸싱유닛은 제1 푸싱유닛의 파지가 해제된 부품을 소켓부에 재차 밀어넣을 수 있도록 제1 푸싱유닛의 후방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A part assembling device that pushes part several times}
본 발명은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벌브의 클립과 같이 굽어진 형태의 부품을 조립대상물에 여러 차례 밀어 넣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 또는 전후방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다양한 형태의 벌브(bulb)가 설치된다. 벌브(bulb)는 전구, 램프, 조명등으로도 불리우며, 할로겐 램프, 제논 램프, HID, LED 등 다양한 종류의 벌브가 시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벌브는 벌브하우징 내에 장착되는데, 벌브하우징에는 차량 내부(천장) 등에 장착할 때 탄성을 갖는 클립이 벌어지면서 고정구 역할을 하도록 결합된다. 클립은 벌브의 구조와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클립을 벌브하우징에 조립하기 위해,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조립하거나, 인서트 사출을 통해 벌브하우징과 일체로 사출성형하였다.
이 중, 클립을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방법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인서트 사출 방법은 클립의 개당 제작단가 상승 문제와 클립을 재활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따라, 클립의 조립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있었고, 그 일례로서, 등록특허 제10-0922205호("벌브커넥터")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벌브커넥터"는 터미널단자가 인서트사출을 통하지 않고 탄성편을 통해 벌브하우징에 고정되는 방식의 제품이다. 이에 따라 터미널단자를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터미널단자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벌브커넥터"는 문단 식별번호 <4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람이 수작업으로 탄성을 갖는 다량의 터미널단자를 일일이 끼워야 함으로 인해,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고 생산수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205호(2009년10월21일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벌브커넥터)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벌브의 클립과 같이 굽어진 형태의 부품을 조립대상물에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자동화된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는, 조립대상물(10)에 부품(20)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조립장치로서, 부품 피더(3)로부터 공급된 부품(20)을 파지하여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에 1차 삽입하는 제1 푸싱유닛(100); 및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의 파지가 해제된 부품(20)을 상기 소켓부(11)에 재차 밀어넣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 푸싱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은, 부품(20)의 양측을 집는 그리퍼(110)와, 파지된 부품(20)이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와 마주보도록 상기 그리퍼(110)의 높이를 조정하는 승강구동부(120)와, 상기 소켓부(11)에 부품(20)의 일부분이 1차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120)를 상기 조립대상물(10) 측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푸싱유닛(200)은, 상기 그리퍼(110) 사이로 전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싱지그(210)와, 상기 소켓부(11)에 1차 삽입된 부품(20)이 상기 푸싱지그(210)에 밀려 2차 삽입되도록 상기 푸싱지그(210)를 전후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은, 상기 제1 구동부(130)에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 푸싱유닛(200)의 푸싱지그(210)를 향해 하향연장되는 수직플레이트로 구분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승강구동부(120)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4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푸싱유닛(200)의 제2 구동부(220)는, 상기 고정브라켓(140)의 하측에 결합되는 기준부재(221)와, 상기 푸싱지그(210)와 상기 기준부재(221)를 사선 형태로 힌지연결하면서 평행 4절 링크 구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222)와, 상기 고정브라켓(140)의 후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222) 중 후방에 위치한 제1 링크부재의 돌출된 작용점(p)를 밀거나 당기는 실린더부(2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의 그리퍼(110)에 파지된 부품(20)은, 상기 제1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조립대상물(10)에 밀어넣어져 일부분만 1차 조립되고, 파지가 해제된 부품(20)은, 상기 실린더부(223)의 신장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리퍼(110) 사이를 통과하여 전진되는 상기 푸싱지그(210)에 의해 재차 밀어넣어져 2차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 피더(3)로부터 공급되는 부품(20)은, 상기 부품 피더(3)의 공급레일(3a)를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공급레일(3a)의 단부에서 미끄러져 내려와 스탠드(5)의 마운팅부재(5a) 상에 안착되고, 상기 마운팅부재(5a)에 놓인 부품(20)을 파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의 그리퍼(110)가 부품(20)의 폭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그리퍼(110)가 부품(20)을 향해 하강한 후 부품(20)의 양측을 집고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와 마주보는 높이로 다시 상승하도록 상기 그리퍼(110) 및 상기 승강구동부(120)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푸싱유닛(200)에 의해 부품(20)의 2차 삽입이 끝난 조립대상물(10)은, 반송컨베이어(7)를 따라 측방향으로 옮겨지고, 옮겨진 조립대상물(10)에 삽입된 부품(20)을 재차 밀어넣을 수 있도록 상기 반송컨베이어(7)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푸싱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따르면, 제1 푸싱유닛의 그리퍼에 파지된 부품을 조립대상물에 일부분만 그대로 밀어 1차 조립하고, 파지가 해제된 부품을 제2 푸싱유닛으로 재차 밀어넣어 2차 조립함으로써, 클립과 같이 굽어진 형태의 부품을 조립대상물에 자동으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2 푸싱유닛의 푸싱지그가 항상 일정한 방향을 바라보며 푸쉬동작을 하도록 제2 푸싱유닛에 평행 4절 링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부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푸싱유닛에 의해 2차 조립된 부품을 제3 푸싱유닛으로 3차 조립하고 이 과정에서 부품의 조립 불량 여부를 센서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조립공정의 수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조립 과정에서 조립대상물을 가고정유닛으로 눌러 가고정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조립대상물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포함된 제1, 2 푸싱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의해 부품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 5는 도 1의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부품과 조립대상물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포함된 제1, 2 푸싱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의해 부품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며, 도 5는 도 1의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부품과 조립대상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는 차량용 벌브의 클립과 같이 굽어진 형태의 부품(20)을 조립대상물(10)에 여러 차례 밀어 넣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장치로서, 제1 푸싱유닛(100)과 제2 푸싱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부품 피더(3)의 공급레일(3a)를 따라 이송되는 부품(20)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제1 푸싱유닛(100)과 제2 푸싱유닛(200)은 공급레일(3a) 상에 일정높이로 떠있게 설치된다.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은 부품 피더(3)로부터 공급된 부품(20)을 파지하여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 도 5 참조)에 1차 삽입하는 구성으로, 도 2 또는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110), 승강구동부(120) 및 제1 구동부(130)를 구비한다.
그리퍼(110)는 부품(20)의 양측을 집어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하측에 좌우 폭 방향(도면상 깊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몸체(111)와, 상기 가이드홈에 서로 마주보게 삽입되고 액츄에이터 구동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한 쌍의 커넥팅 슈(112)와, 커넥팅 슈(112)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그립바(113)로 이루어진 선형 구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120)는 파지된 부품(20)이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와 마주보도록 그리퍼(110)의 높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구동부(120)는 공압실린더가 사용된다. 승강구동부(120)의 승강블록에는 상기 그리퍼(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121)이 결합된다.
제1 구동부(130)는 부품(20)의 일부분이 소켓부(11)에 1차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120)를 조립대상물(10) 측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구동부(130)는 부품(20)의 신속한 이송을 위해 상대적으로 넓은 이동범위와 빠른 이송속도를 갖는 제1 주구동부(131)와, 부품(20)의 안정적인 진입을 위해 상대적으로 좁은 이동범위와 느린 이송속도를 갖는 제1 종구동부(132)로 구분된다. 제1 구동부(130)는 LM가이드-볼 스크류 조합, 공압실린더, 랙-피니언 조합 등 직선구동이 가능한 모든 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에는 제1 주구동부(131)와 제1 종구동부(132)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브라켓(133)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부품을 동시에 조립할 수 있도록 제1 종구동부(132)는 다수로 구성되어 제1 주구동부(131)에 병렬로 설치되며, 제1 주구동부(131)에 각각 그리퍼(110)가 결합되는 것이 작업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면이 복잡해져 생략하였음)
도 3을 참조하면, 제1 푸싱유닛(100)에는 후술되는 제2 푸싱유닛(200)의 설치를 위해, 제1 구동부(130)에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수평플레이트에서 제2 푸싱유닛(200)의 푸싱지그(210)를 향해 하향연장되는 수직플레이트로 구분되는 고정브라켓(140)이 더 구비된다. 고정브라켓(140)의 전면에 승강구동부(120)가 결합된다.
제2 푸싱유닛(200)은 그립바(113)의 파지가 해제된 부품(20)을 소켓부(11)에 재차 밀어넣을 수 있도록 제1 푸싱유닛(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푸싱지그(210)와 제2 구동부(220)를 구비한다.
푸싱지그(210)는 지그몸체(211)와, 지그몸체(211)의 전방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부품(20)을 가압하는 한 쌍의 지그편(212)으로 구성된다. 푸싱지그(210)는 그리퍼(110)의 후방에서 상기 그리퍼(110)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한 쌍의 그립바(113) 사이로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한 쌍의 그립바(113) 사이를 통과하여 부품(20)을 밀게 된다.)
제2 구동부(220)는 소켓부(11)에 1차 삽입된 부품(20)이 푸싱지그(210)에 밀려 2차 삽입되도록 푸싱지그(210)를 전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구동부(220)는 기준부재(221), 한 쌍의 링크부재(222) 및 실린더부(223)로 구성되어 4절 링크 구조로 이룬다.
기준부재(221)는 고정브라켓(140)의 전면 하측에 결합되는 가로블록과, 가로블록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블록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링크부재(222)는 지그몸체(211)와 기준블록을 사선 형태로 힌지연결하면서 4절 링크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4절 링크 구조는 동일한 길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링크부재(222)의 일단부에 존재하는 제1, 2 힌지점 및 타단부에 존재하는 제3, 4 힌지점이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동일거리로 이격되어 구성됨으로써, 4절 링크의 서로 마주보는 양변이 항상 평행을 이루는 평행 4절 링크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4절 링크의 네 변 중 한 변을 구성하는 푸싱지그(210)가 링크부재(222)의 회전동작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방향을 바라보며 전후로 이동된다. 즉, 푸싱지그(210)가 부품(20)과 항상 일정하게 마주보면서 푸쉬동작을 함으로써, 부품(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실린더부(223)는 고정브라켓(140)의 후면에 힌지결합되어 한 쌍의 링크부재(222) 중 후방에 위치한 제1 링크부재의 돌출된 작용점(p)를 밀거나 당기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제2 구동부(220)를 본 실시예와 달리, 실린더와 같은 직선구동 수단으로 단독 구성하여 푸싱지그(210)를 전후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이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의 형태가 복잡해지고, 제2 구동부(220)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면서 제2 푸싱유닛(200)이 차지하는 공간이 전체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4절 회전 링크 구조가 제작·공간 절약·동작 수행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의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에 의해 부품이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피더(3)로부터 공급되는 부품(20)이 공급레일(3a)를 따라 이송되다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레일(3a)의 단부에서 스탠드(5) 상에 고정된 마운팅부재(5a)의 사면(s)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마운팅부재(5a)의 내측홈에 안착된다.
그 다음, 도 4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부재(5a)에 놓인 부품(20)을 파지하기 위해, 제1 푸싱유닛(100)의 그리퍼(110)가 부품(20)의 폭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부품(20)을 향해 하강된 후, 부품(20)의 양측을 집고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 도 5 참조)와 마주보는 높이로 다시 상승된다. 이를 위해, 그리퍼(110) 및 승강구동부(120)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가 더 포함된다.
부품(20)이 일정높이로 상승되면, 도 4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130)의 제1 주구동부(131)가 구동되면서 그리퍼(110)가 부품(20)과 함께 조립대상물(10) 측으로 접근하게 된다.
부품(20)이 조립대상물(10)에 소정거리로 접근하면, 도 4c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구동부(131)는 정지되고, 제1 종구동부(132)가 구동되면서 그리퍼(110)에 파지된 부품(20)의 일부분이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 도 5 참조)에 그대로 밀려들어가면서 부품(20)이 1차로 조립된다.
부품(20)이 소켓부(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립대상물(10)이 부품(20)의 진입마찰로 인해 타측으로 밀릴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조립대상물(10)을 눌러 가고정하는 가고정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고정유닛(400)은 조립대상물(10)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단부가 조립대상물(10)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절삭된 형태로 경사면(411)이 형성되는 지지대(410)와, 지지대(410)의 경사면(411)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구동부(420)와, 슬라이딩 구동부(4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왕복 직선운동을 하되 조립대상물(10)의 타측에 밀착되는 엔드면(431)이 조립대상물(1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고정지그(4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조립대상물(10)을 가고정유닛(400)으로 눌러 가고정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조립대상물(1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부품(20)의 1차 조립이 끝나면, 도 4c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110)의 파지가 해제되고, 실린더부(223)가 신장구동되면서 한 쌍의 링크부재(222)가 기준부재(221)를 중심으로 정회전되면서 부품(20)을 향해 전진하게 된다.
한 쌍의 링크부재(222)의 회전과 동시에 푸싱지그(210)가 전진되고, 푸싱지그(210)가 부품(20)에 닿으면, 소켓부(11)에 1차 삽입된 부품(20)이 푸싱지그(210)에 밀려 재차 밀어넣어 지면서 부품(20)이 2차로 조립된다.
만약,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와 같이 좁은 틈에 클립과 같이 굽어진 형태의 탄성을 갖는 부품(20)을 한번에 밀어넣어 조립하면, 부품의 가공오차, 조립 위치 오차, 조립장치의 구동오차 등으로 인해 조립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조립 반력에 의해 부품(20)이 휘어지거나 조립대상물(10)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푸싱유닛(100)의 그리퍼(110)에 파지된 부품(20)을 조립대상물(10)에 일부분만 그대로 밀어 1차 조립하고, 파지가 해제된 부품(20)을 제2 푸싱유닛(200)으로 재차 밀어넣어 2차 조립하는 다단 조립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클립과 같이 굽어진 형태의 부품(10)을 조립대상물(20)에 자동으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푸싱유닛(200)에 의해 부품(20)의 2차 삽입이 끝난 조립대상물(10)은 반송컨베이어(7)를 따라 전후방향과 교차되는 좌우 측방향으로 옮겨진다.(이때, 가고정유닛(400)의 가고정은 해제된 상태이고, 제1 푸싱유닛(100)과 제2 푸싱유닛(200)은 다음 부품의 조립을 위해 부품 피더(3) 측으로 원위치된 상태이다.)
부품(10)의 2차 조립이 완료됐더라도 조립 불량의 여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옮겨진 조립대상물(10)에 삽입된 부품(20)을 재차 밀어넣을 수 있도록 반송컨베이어(7)의 일측에 제3 푸싱유닛(50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제3 푸싱유닛(500)은 가압지그(510), 제3 구동부(520) 및 감지센서(530)를 구비한다.
가압지그(510)는 반송컨베이어(7)의 일측에서 부품(20)을 향해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후술되는 제3 구동부(520)의 가이드블록 선단에 결합된다.
제3 구동부(520)는 2차 삽입된 부품(20)이 가압지그(510)에 밀려 3차 삽입되도록 가압지그(510)를 전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제3 구동부(520)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LM가이드-볼 스크류 조합의 구동방식이 적용된다.
감지센서(530)는 통상의 근접센서로서, 가압지그(510)의 상방돌기편에 결합되어 부품(20)까지의 거리값을 측정·비교하여 부품(2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푸싱유닛(200)에 의해 2차 조립된 부품을 제3 푸싱유닛(500)으로 3차 조립하고 이 과정에서 부품(20)의 조립 불량 여부를 센서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조립공정의 수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제3 푸싱유닛(500)에 의한 3차 조립과정에서도, 조립대상물(10)이 조립반력에 의해 밀릴 수 있으므로, 제3 푸싱유닛(500)의 맞은편에 가고정유닛(400')을 추가로 설치하여 조립대상물(10)을 가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3 : 부품 피더
10 : 조립대상물
11 : 소켓부
20 : 부품
100 : 제1 푸싱유닛
200 : 제2 푸싱유닛

Claims (5)

  1. 조립대상물(10)에 부품(20)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조립장치로서,
    부품 피더(3)로부터 공급된 부품(20)을 파지하여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에 1차 삽입하는 제1 푸싱유닛(100); 및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의 파지가 해제된 부품(20)을 상기 소켓부(11)에 재차 밀어넣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 푸싱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은, 부품(20)의 양측을 집는 그리퍼(110)와, 파지된 부품(20)이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와 마주보도록 상기 그리퍼(110)의 높이를 조정하는 승강구동부(120)와, 상기 소켓부(11)에 부품(20)의 일부분이 1차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120)를 상기 조립대상물(10) 측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푸싱유닛(200)은, 상기 그리퍼(110) 사이로 전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싱지그(210)와, 상기 소켓부(11)에 1차 삽입된 부품(20)이 상기 푸싱지그(210)에 밀려 2차 삽입되도록 상기 푸싱지그(210)를 전후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은, 상기 제1 구동부(130)에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 푸싱유닛(200)의 푸싱지그(210)를 향해 하향연장되는 수직플레이트로 구분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승강구동부(120)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4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푸싱유닛(200)의 제2 구동부(220)는, 상기 고정브라켓(140)의 하측에 결합되는 기준부재(221)와, 상기 푸싱지그(210)와 상기 기준부재(221)를 사선 형태로 힌지연결하면서 평행 4절 링크 구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222)와, 상기 고정브라켓(140)의 후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222) 중 후방에 위치한 제1 링크부재의 돌출된 작용점(p)를 밀거나 당기는 실린더부(2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의 그리퍼(110)에 파지된 부품(20)은, 상기 제1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조립대상물(10)에 밀어넣어져 일부분만 1차 조립되고,
    파지가 해제된 부품(20)은, 상기 실린더부(223)의 신장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리퍼(110) 사이를 통과하여 전진되는 상기 푸싱지그(210)에 의해 재차 밀어넣어져 2차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피더(3)로부터 공급되는 부품(20)은, 상기 부품 피더(3)의 공급레일(3a)를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공급레일(3a)의 단부에서 미끄러져 내려와 스탠드(5)의 마운팅부재(5a) 상에 안착되고,
    상기 마운팅부재(5a)에 놓인 부품(20)을 파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푸싱유닛(100)의 그리퍼(110)가 부품(20)의 폭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그리퍼(110)가 부품(20)을 향해 하강한 후 부품(20)의 양측을 집고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와 마주보는 높이로 다시 상승하도록 상기 그리퍼(110) 및 상기 승강구동부(120)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푸싱유닛(200)에 의해 부품(20)의 2차 삽입이 끝난 조립대상물(10)은, 반송컨베이어(7)를 따라 측방향으로 옮겨지고,
    옮겨진 조립대상물(10)에 삽입된 부품(20)을 재차 밀어넣을 수 있도록 상기 반송컨베이어(7)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푸싱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KR1020180027222A 2018-03-08 2018-03-08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KR10201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22A KR102012175B1 (ko) 2018-03-08 2018-03-08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22A KR102012175B1 (ko) 2018-03-08 2018-03-08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175B1 true KR102012175B1 (ko) 2019-08-20

Family

ID=6780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222A KR102012175B1 (ko) 2018-03-08 2018-03-08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1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05B1 (ko) 2007-10-18 2009-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커넥터
KR20150015452A (ko) * 2012-06-06 2015-02-10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부품 삽입 조립 장치
KR101502405B1 (ko) * 2015-01-13 2016-02-15 남동희 커넥터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05B1 (ko) 2007-10-18 2009-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커넥터
KR20150015452A (ko) * 2012-06-06 2015-02-10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부품 삽입 조립 장치
KR101502405B1 (ko) * 2015-01-13 2016-02-15 남동희 커넥터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15885B (zh) Led灯头自动组装系统
JP2021074873A (ja) 電動車コントローラ搬送装置及び電動車コントローラサークリップ押圧システム
US9138972B2 (en) Assembling machine and method
CN108838644B (zh) 灯具自动装配装置
CN109227111B (zh) 一种led光电模组零配件自动化插接装配的设备
WO2015177854A1 (ja) リード部品装着機およびリード部品装着方法
EP1447617A3 (en) Vehicular headlamp
CN111069895A (zh) 灯头组装方法
KR102012175B1 (ko) 다단 푸쉬형 부품 조립장치
CN1185082C (zh) 表面安装器用的抓手装置
KR101986171B1 (ko) 일측 선가압식 부품 조립장치
CN111215886B (zh) 灯头安装装置
JP6288466B2 (ja) 環状部品に軸状部品を挿入する組み立て装置
KR19980073072A (ko) 청소기용 모터의 너트 체결 장치
KR101378909B1 (ko) 확산렌즈가 장착된 led 조명장치
CN116512518A (zh) 数据线端部注塑上下料装置
CN107377423B (zh) 行李箱车灯装配设备
CN108723788B (zh) 一种一体化支架灯的自动化生产线
CN1181994C (zh) 车辆用灯具的组装装置
CN212918328U (zh) 一种自动化装配机内用的撑开装管装置
KR101443828B1 (ko) Led형광등 제조장치
CN111085847B (zh) 一种汽车空调出风口组装线
KR200412985Y1 (ko) 인서트부재 정렬장치
JP4043228B2 (ja) 灯具組立装置
CN210059619U (zh) 端子折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