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591B1 - 트랜스미션 - Google Patents

트랜스미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591B1
KR102011591B1 KR1020177035804A KR20177035804A KR102011591B1 KR 102011591 B1 KR102011591 B1 KR 102011591B1 KR 1020177035804 A KR1020177035804 A KR 1020177035804A KR 20177035804 A KR20177035804 A KR 20177035804A KR 102011591 B1 KR102011591 B1 KR 10201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ransmission
hole
hydraulic
oi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708A (ko
Inventor
테루노부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01435A external-priority patent/JP65281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014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217412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 F16H4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16D25/063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 F16D25/0635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16D25/0638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with more than two discs, e.g.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 F16H4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 F16H2047/025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the fluid gear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pump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56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for utility vehicles, e.g. tractors or agricultural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2057/0216Intermediate shaft supports, e.g. by using a partition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46Details of fluid supply channels, e.g. within shafts, for supplying friction devices or transmission actuators with control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37/042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 F16H37/043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3Lubricant guiding means mounted or supported o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4Lubricant guiding means in the wall of or integrated with the casing, e.g. grooves, channels,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6Means for guiding lubricant into an axial channel of a shaft

Abstract

작동유에 의해 가동되는 유압 유닛(전진 클러치(321)·후진 클러치(322)·등속 클러치(341)·증속 클러치(342)·PTO 클러치(351))과 유압 유닛(321·322·341·342·351)을 수용 또는 지지하는 하우징(트랜스미션 하우징(7))을 구비하는 트랜스미션(3)으로서, 하우징(7)은 유압 유닛(321·322·341·342·351)으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구성한다. 또한, 하우징(7)은 유압 펌프(84)의 설치면(73P)에 오일 챔버(73G)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 펌프(84)에 의해 오일 챔버(73G)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트랜스미션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대표적인 작업 차량인 트랙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트랙터는 주행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트랜스미션을 구비하고 있다. 트랜스미션에는 변속 기구 이외에 전륜 구동 기구나 작업기 구동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트랜스미션은 작동유에 의해 가동되는 유압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 때문에, 트랜스미션은 유압 유닛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파이프가 접속되고 부품수가 많아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부품수를 줄임과 함께 간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트랜스미션이 요구되었다.
또한, 트랜스미션은 작동유를 압송하기 위해 유압 펌프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트랜스미션은 유압 펌프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파이프가 접속되고 부품수가 많아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부품수를 줄임과 함께 구조를 간소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트랜스미션이 요구되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363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02721호 공보
본 발명은,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트랜스미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작동유에 의해 가동되는 유압 유닛; 및
상기 유압 유닛을 수용 또는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트랜스미션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압 유닛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홈이 형성된 씰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씰 케이스를 장착하면, 상기 홈이 상기 유압 유닛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2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상기 유압 유닛으로서 전륜 구동 절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홈이 상기 작업 기계 구동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2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상기 유압 유닛으로서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홈이 상기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제2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작동유를 가이드하기 위한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씰 케이스에 상기 파이프의 접속부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제2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씰 케이스에 상기 샤프트의 지지부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제1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상기 유압 유닛에 작동유를 압송하는 유압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압 펌프의 설치면에 오일 챔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펌프에 의해 상기 오일 챔버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형태는, 제7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유압 유닛로부터 하나의 상기 오일 챔버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형태는, 제8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상기 유압 유닛으로서 전후진 절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후진 절환 장치로부터 상기 오일 챔버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는, 제8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상기 유압 유닛으로서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로부터 상기 오일 챔버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는, 제8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으로서,
오일 쿨러로부터 작동유를 안내하는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파이프로부터 상기 오일 챔버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하우징은 유압 유닛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씰 케이스의 홈이 유압 유닛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하우징의 절삭 가공 부분이 감소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씰 케이스의 홈이 전륜 구동 절환 장치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전륜 구동 절환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씰 케이스의 홈이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씰 케이스가 파이프의 접속 도구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하우징의 절삭 가공 부분이 더욱 감소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의하면, 씰 케이스가 샤프트의 지지 도구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하우징의 절삭 가공 부분이 더욱 감소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의하면, 하우징은 유압 펌프의 설치면에 오일 챔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 펌프에 의해 오일 챔버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의하면, 하우징은 복수의 유압 유닛로부터 하나의 오일 챔버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의하면, 하우징은 전후진 절환 장치로부터 오일 챔버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전후진 절환 장치로부터 오일 챔버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의하면, 하우징은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로부터 오일 챔버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로부터 오일 챔버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의하면, 하우징은 파이프로부터 오일 챔버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은 파이프로부터 오일 챔버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트랙터의 동력 전달 계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트랜스미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트랜스미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F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화살표 R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화살표 L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메인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메인 블록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1은 센터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센터 블록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3은 프론트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프론트 커버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5는 리어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리어 커버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7은 씰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씰 케이스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9는 씰 케이스에 각종 파이프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씰 케이스에 각종 샤프트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4에서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전후진 절환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전륜 구동 절환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동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전후진 절환 장치로부터 오일 챔버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로부터 오일 챔버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오일 쿨러의 파이프로부터 오일 챔버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든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대표적인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트랙터(10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트랙터(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는 트랙터(100)의 전후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내었다.
트랙터(100)는 주로 프레임(1), 엔진(2), 트랜스미션(3), 프론트 엑슬(4) 및 리어 엑슬(5)로 구성된다. 또한, 트랙터(100)는 캐빈(6)을 구비한다. 캐빈(6)은 그 내측이 조종실로 되어 있으며, 운전 좌석이나 액셀 페달, 시프트 레버 등이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은 트랙터(100)의 앞부분의 골격을 이룬다. 프레임(1)은 트랜스미션(3)이나 리어 엑슬(5)과 함께 트랙터(100)의 샤시를 구성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엔진(2)은 프레임(1)에 의해 지지된다.
엔진(2)은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다. 즉, 엔진(2)은 연료를 태움에 따라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엔진(2)에는, 엔진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도시 생략). 엔진 제어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액셀 페달 등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엔진(2)의 운전 상태를 변경한다. 또한, 엔진(2)에는 배기 정화 장치(2E)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2E)는 배기에 포함되는 미립자나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등을 산화한다.
트랜스미션(3)은 엔진(2)의 회전 동력을 프론트 엑슬(4)이나 리어 엑슬(5)에 전달한다. 트랜스미션(3)에는 연결 클러치를 통하여 엔진(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트랜스미션(3)에는 변속 기구(3S)가 마련되어 있다(도 2 참조). 변속 기구(3S)는 오퍼레이터가 시프트 레버 등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트랙터(100)의 주행 속도를 변경한다. 또한, 트랜스미션(3)에는 전륜 구동 기구(3D)나 작업기 구동 기구(3P)가 마련되어 있다(도 2 참조). 전륜 구동 기구(3D)는 오퍼레이터가 셀렉트 스위치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프론트 타이어(41)의 구동 형태를 변경한다. 작업기 구동 기구(3P)는 오퍼레이터가 파워 스위치 등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작업기(도시 생략, 예를 들면 로터리 등)의 가동 형태를 변경한다.
프론트 엑슬(4)은 엔진(2)의 회전 동력을 프론트 타이어(41)에 전달한다. 프론트 엑슬(4)에는 트랜스미션(3)을 통하여 엔진(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프론트 엑슬(4)에는 조타 장치가 병설되어 있다(도시 생략). 조타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핸들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프론트 타이어(41)의 타각을 변경한다.
리어 엑슬(5)은 엔진(2)의 회전 동력을 리어 타이어(51)에 전달한다. 리어 엑슬(5)에는 트랜스미션(3)을 통하여 엔진(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리어 엑슬(5)에는 제동 기구(5B)가 구비되어 있다(도 2 참조). 제동 기구(5B)는 오퍼레이터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리어 타이어(51)의 회전 속도를 저하 또는 정지시킨다. 또한, 제동 기구(5B)는 오퍼레이터가 핸들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일방의 리어 타이어(51)의 회전 속도를 저하 또는 정지시킬 수도 있다(이러한 기능을 「오토 브레이크 기능」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트랙터(100)의 동력 전달 계통에 대해 설명한다.
트랙터(100)의 동력 전달 계통은 주로, 트랜스미션(3), 프론트 엑슬(4) 및 리어 엑슬(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트랜스미션(3)의 구조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트랙터(100)의 동력 전달 계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트랜스미션(3)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트랜스미션(3)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F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화살표 R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의 화살표 L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트랜스미션(3)은 작동유에 의해 가동되는 유압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후진 절환 장치(32)를 구성하는 전진 클러치(321)나 후진 클러치(322),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를 구성하는 등속 클러치(341)나 증속 클러치(342),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를 구성하는 PTO 클러치(351) 등이다.
메인 변속 장치(31)는 인풋 샤프트(312)와 아웃풋 샤프트(313)의 회전 속도의 비를 무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무단 변속 장치(311)는 인풋 샤프트(312) 및 아웃풋 샤프트(313)가 접속되어 있다. 인풋 샤프트(312)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플런저 블록(314)에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 블록(314)은 고압의 작동유를 송출하며 유압 펌프(31P)로서 기능한다. 아웃풋 샤프트(313)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 케이스(315)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 케이스(315)는 고압의 작동유를 받음으로써 회전하며 유압 모터(31M)로서 기능한다. 한편, 아웃풋 샤프트(313)에는, 전진 구동 기어(316) 및 후진 구동 기어(317)가 장착되어 있다. 전진 구동 기어(316) 및 후진 구동 기어(317)는 전후진 절환 장치(32)로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전후진 절환 장치(32)는 전진 클러치(321) 및 후진 클러치(322)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전진 클러치(321)는 전진 구동 기어(316)에 맞물리는 전진 종동 기어(323)를 가지고 있다. 전진 클러치(321)는 작동함으로써 아웃풋 샤프트(313)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25)에 전달한다. 후진 클러치(322)는 리버스 기어를 통하여 후진 구동 기어(317)에 맞물리는 후진 종동 기어(324)를 가지고 있다. 후진 클러치(322)는 작동함으로써 아웃풋 샤프트(313)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25)에 전달한다. 한편, 센터 샤프트(325)에는 초저속 구동 기어(326), 1속 구동 기어(327) 및 2속 구동 기어(328)가 장착되어 있다. 초저속 구동 기어(326), 1속 구동 기어(327) 및 2속 구동 기어(328)는 서브 변속 장치(33)로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서브 변속 장치(33)는 센터 샤프트(325)와 센터 샤프트(337)의 회전 속도의 비를 복수 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초저속 도그 유닛(331)은 초저속 구동 기어(326)에 맞물리는 초저속 종동 기어(334)에 인접하고 있다. 초저속 도그 유닛(331)은 작동함으로써 센터 샤프트(325)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37)에 전달한다. 1속 도그 유닛(332)은 1속 구동 기어(327)에 맞물리는 1속 종동 기어(335)에 인접하고 있다. 1속 도그 유닛(33)은 작동함으로써 센터 샤프트(325)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37)에 전달한다. 2속 도그 유닛(333)은 2속 구동 기어(328)에 맞물리는 2속 종동 기어(336)에 인접하고 있다. 2속 도그 유닛(333)은 작동함으로써 센터 샤프트(325)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37)에 전달한다. 한편, 센터 샤프트(337)에는 프론트 구동 기어(338) 및 리어 피니언 기어(339)가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구동 기어(338)는 프론트 종동 기어(33A), 등속 구동 기어(33B) 및 증속 구동 기어(33C)를 가지는 카운터 샤프트(33D)를 통하여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리어 피니언 기어(339)는 디퍼렌셜 기어 유닛(33E)을 통하여 리어 엑슬(5)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는 등속 클러치(341)와 증속 클러치(342)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등속 클러치(341)는 등속 구동 기어(33B)에 맞물리는 등속 종동 기어(343)를 가지고 있다. 등속 클러치(341)는 작동함으로써 카운터 샤프트(33D)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45)에 전달한다. 증속 클러치(342)는 증속 구동 기어(33C)에 맞물리는 증속 종동 기어(344)를 가지고 있다. 증속 클러치(342)는 작동함으로써 카운터 샤프트(33D)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45)에 전달한다. 한편, 센터 샤프트(345)에는 프로펠라 샤프트(34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로펠라 샤프트(346)에는 프론트 피니언 기어(347)가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피니언 기어(347)는 프론트 엑슬(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트랜스미션(3)은 트랙터(100)의 주행 속도(정지를 포함하는 주행 속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트랜스미션(3)은 트랙터(100)의 주행 방향(전진 또는 후진)을 변경 가능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트랜스미션(3)은 프론트 타이어(41)의 구동 형태(등속 사륜 구동 또는 증속 사륜 구동 또는 비구동)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는 PTO 클러치(351)를 통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PTO 클러치(351)는 구동 기어(318)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352)를 가지고 있다. PTO 클러치(351)는 작동함으로써 인풋 샤프트(312)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53)에 전달한다. 한편, 센터 샤프트(353)에는 1속 구동 기어(354), 2속 구동 기어(355), 3속 구동 기어(356), 4속 구동 기어(357) 및 역전 구동 기어(358)가 장착되어 있다. 1속 구동 기어(354), 2속 구동 기어(355), 3속 구동 기어(356), 4속 구동 기어(357) 및 역전 구동 기어(358)는 작업기 변속 장치(36)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작업기 변속 장치(36)는 센터 샤프트(353)와 센터 샤프트(369)의 회전 속도의 비를 복수 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도그 유닛(361)은 1속 종동 기어(364)와 2속 종동 기어(36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도그 유닛(361)은 슬리브가 일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1속 구동 기어(354)와 1속 종동 기어(364)를 통하여 센터 샤프트(353)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69)에 전달한다. 또한, 제1 도그 유닛(361)은 슬리브가 타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2속 구동 기어(355)와 2속 종동 기어(365)를 통하여 센터 샤프트(353)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69)에 전달한다. 제2 도그 유닛(362)은 3속 종동 기어(366)에 인접되어 있다. 제2 도그 유닛(362)은 슬리브가 일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3속 구동 기어(356)와 3속 종동 기어(366)를 통하여 센터 샤프트(353)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69)에 전달한다. 제3 도그 유닛(363)은 4속 종동 기어(367)과 역전 종동 기어(36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도그 유닛(363)은 슬리브가 일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4속 구동 기어(357)와 4속 종동 기어(367)를 통하여 센터 샤프트(353)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69)에 전달한다. 또한, 제3 도그 유닛(363)은 슬리브가 타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역전 구동 기어(358), 리버스 기어 및 역전 종동 기어(368)를 통하여 센터 샤프트(353)의 회전 동력을 센터 샤프트(369)에 전달한다. 한편, 센터 샤프트(369)에는 드라이브 샤프트(36A)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브 샤프트(36A)에는 PTO 구동 기어(36B)가 장착되어 있다. PTO 구동 기어(36B)는 PTO 종동 기어(36C)를 가지는 PTO 샤프트(36D)를 통하여 작업기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트랜스미션(3)은 작업기의 가동 속도(정지를 포함하는 가동 속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트랜스미션(3)은 작업기의 가동 방향(정전 또는 역전)을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트랜스미션 하우징(7)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트랜스미션 하우징(7)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는, 트랙터(10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트랜스미션 하우징(7)은 주로 메인 블록(71), 센터 블록(72), 프론트 커버(73) 및 리어 커버(74)로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메인 블록(71)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는, 트랙터(100)의 전후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은, 메인 블록(71)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0의 (A)는 메인 블록(71)의 우측면도이며, 도 10의 (B)는 메인 블록(71)의 전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의 (C)는 메인 블록(71)의 후면도이다.
메인 블록(71)은 트랜스미션 하우징(7)의 주된 구조체이다. 메인 블록(71)은 회주철(예를 들면, FC250)에 의한 주조품이다. 메인 블록(71)은 그 전면에 센터 블록(72)의 설치면(71F)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블록(71)은 그 내측에 복수의 베어링 홀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웃풋 샤프트(313)의 베어링 홀(711), 센터 샤프트(325)의 베어링 홀(712), 센터 샤프트(337)의 베어링 홀(713), 센터 샤프트(353)의 베어링 홀(714) 및 센터 샤프트(369)의 베어링 홀(71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파이프(94)(도 19 참조)의 설치부(71M) 및 제2 파이프(95)(도 19 참조)의 설치부(71N)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인 블록(71)은 그 후면에 리어 커버(74)의 설치면(71B)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블록(71)은 그 내측에 복수의 베어링 홀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브 샤프트(36A)의 베어링 홀(716) 및 PTO 샤프트(36D)의 베어링 홀(717)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메인 블록(71)은 그 우측면에 제1 전자(電磁) 밸브(81)(도 22 내지 도 25 참조)나 제2 전자 밸브(82)(도 22 내지 도 25 참조)의 설치면(71R)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어 엑슬(5)의 설치면(71A)도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센터 블록(72)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는, 트랙터(100)의 전후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12는, 센터 블록(72)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2의 (A)는 센터 블록(72)의 우측면도이며, 도 12의 (B)는 센터 블록(72)의 전면도이다. 그리고, 도 12의 (C)는 센터 블록(72)의 후면도이다.
센터 블록(72)은 메인 블록(71)의 전단면에 고정된다. 센터 블록(72)는 알루미늄 합금(예를 들면, ADC12)에 의한 주조품이다. 센터 블록(72)은 그 전면에 프론트 커버(73)의 설치면(72F)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 블록(72)은 설치면(72F)에 공간(72S)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91)(도 3 참조)로 보내지는 작동유의 통로가 되는 갤러리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 블록(72)은 그 후면에 메인 블록(71)의 설치면(72B)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 블록(72)은 그 내측에 복수의 베어링 홀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웃풋 샤프트(313)의 베어링 홀(721), 센터 샤프트(325)의 베어링 홀(722), 센터 샤프트(337)의 베어링 홀(723), 센터 샤프트(345)의 베어링 홀(724), 센터 샤프트(353)의 베어링 홀(725) 및 카운터 샤프트(33D)의 베어링 홀(726)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센터 블록(72)은 개스킷(76)을 통하여 메인 블록(71)에 고정된다(도 18 참조). 개스킷(76)에는 볼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이외에 작동유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도 13은, 프론트 커버(73)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는, 트랙터(10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14는 프론트 커버(73)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4의 (A)는 프론트 커버(73)의 우측면도이며, 도 14의 (B)는 프론트 커버(73)의 전면도이다. 그리고, 도 14의 (C)는 프론트 커버(73)의 후면도이다.
프론트 커버(73)는 센터 블록(72)의 전단면에 고정된다. 프론트 커버(73)는 알루미늄 합금(예를 들면, ADC12)에 의한 주조품이다. 프론트 커버(73)는 그 전면에 제3 전자 밸브(83)(도 22 내지 도 25 참조)의 설치면(73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73)는 그 전면에 유압 펌프(도 26 내지 도 28 참조)의 설치면(73P)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73)는 설치면(73F)이나 설치면(73P)의 주위에 복수의 베어링 홀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풋 샤프트(312)의 베어링 홀(731), 센터 샤프트(345)의 베어링 홀(732), 카운터 샤프트(33D)의 베어링 홀(733)(관통하지 않음), 센터 샤프트(353)의 베어링 홀(734) 및 펌프 기어 샤프트(371)(도 2 참조)의 베어링 홀(73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필터(91)의 설치부(73M)와 리턴 파이프(92)(도 3 참조)의 설치부(73N)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73)는 그 후면에 센터 블록(72)의 설치면(73B)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73)는 설치면(73B)에 공간(73S)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91)에 보내지는 작동유의 통로가 되는 갤러리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73)는 개스킷(77)을 통하여 센터 블록(72)에 고정된다(도 18 참조). 개스킷(77)에는 볼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외에, 작동유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도 15는, 리어 커버(74)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는 트랙터(10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16은 리어 커버(74)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6의 (A)는 리어 커버(74)의 우측면도이며, 도 16의 (B)는 리어 커버(74)의 전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의 (C)는 리어 커버(74)의 후면도이다.
리어 커버(74)는 메인 블록(71)의 후단면에 고정된다. 리어 커버(74)는 알루미늄 합금(예를 들면, ADC12)에 의한 주조품이다. 리어 커버(74)는 그 전면에 메인 블록(71)의 설치면(74F)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 커버(74)는 그 내측에 공간(74S)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변속 장치(31)로 보내지는 작동유의 통로가 되는 갤러리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어 커버(74)는 그 후면에 PTO 샤프트 케이스의 설치면(74B)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 커버(74)는 설치면(74B)의 주위에 복수의 베어링 홀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풋 샤프트(312)의 베어링 홀(741)(관통하지 않음), 드라이브 샤프트(36A)의 베어링 홀(742)(관통하지 않음) 및 PTO 샤프트(36D)의 베어링 홀(74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종 센서(도시 생략)의 설치부(74M) 및 전동 액츄에이터(도시 생략)의 수용실(74N)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리어 커버(74)는 개스킷(78)을 통하여 메인 블록(71)에 고정된다(도 8 참조). 개스킷(78)에는 볼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트랜스미션 하우징(7)은 씰 케이스(75)가 장착되어 있다. 이하, 씰 케이스(75)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씰 케이스(75)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는, 트랙터(10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18은, 씰 케이스(75)의 상세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18의 (A)는 씰 케이스(75)의 우측면도이며, 도 18의 (B)는 씰 케이스(75)의 전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의 (C)는 씰 케이스(75)의 후면도이다.
씰 케이스(75)는 센터 블록(72)의 후단면에 고정된다. 씰 케이스(75)는 알루미늄 합금(예를 들면, ADC12)에 의한 주조품이다. 씰 케이스(75)는 그 전면에 센터 블록(72)의 설치면(75F)이 형성되어 있다. 씰 케이스(75)는 설치면(75F)에 공간(75S)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91)로 보내지는 작동유의 통로가 되는 갤러리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씰 케이스(75)는 그 후면에 흡입 파이프(93)(도 19 참조)의 설치면(75B)이 형성되어 있다. 씰 케이스(75)는 설치면(75B)의 주위에 베어링 홀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터 샤프트(345)의 베어링 홀(751)(관통하지 않음) 및 센터 샤프트(369)의 베어링 홀(752)(관통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센터 샤프트(345) 및 센터 샤프트(369)를 지지하고 있다(도 20 참조). 또한, 제1 파이프(94)의 설치부(75M)와 제2 파이프(95)의 설치부(75N)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씰 케이스(75)는 개스킷(79)을 통하여 센터 블록(72)에 고정된다(도 8 참조). 개스킷(79)에는 볼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외에, 작동유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 본 트랜스미션(3)의 특징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도 14에서의 X-X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는, 트랙터(10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73)는 일부가 후방으로 움푹패이고, 그 바닥부에 베어링 홀(73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73)는 그 주위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전단부에 설치면(73P)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설치면(73P)에 유압 펌프(84)가 장착되면, 상기 유압 펌프(84)와 베어링 홀(73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본 트랜스미션(3)에서는 이러한 공간에 작동유가 흘러드는 통로를 연결하여 작동유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오일 챔버(73G)로 하였다.
다음으로, 전후진 절환 장치(32)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전후진 절환 장치(32)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 중의 화살표는 작동유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블록(71)에는 설치면(71R)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1a)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1a)에 연결되도록 설치면(71F)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1b)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1a)은 제1 전자 밸브(81)의 하나의 포트 홀과 중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 블록(71)에는 설치면(71R)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1c)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1c)에 연결되도록 설치면(71F)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1d)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1c)은 제1 전자 밸브(81)의 다른 포트 홀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블록(72)에는 설치면(72B)으로부터 전방으로 오일 홀(72a)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2a)에 연결되도록 우측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2b)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2a)은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b)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오일 홀(72b)은 베어링 홀(722)의 둘레면에서 약간 앞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센터 블록(72)에는 설치면(72B)으로부터 전방으로 오일 홀(72c)이 마련되며, 상기 오일 홀(72c)에 연결되도록 우측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2d)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2c)은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d)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오일 홀(72d)은 베어링 홀(722)의 둘레면에서 약간 뒷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전진」으로 조작한 경우, 작동유는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a)로부터 오일 홀(71b)을 지나 센터 블록(72)으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센터 블록(72)의 오일 홀(72a)로부터 오일 홀(72b)을 지나 센터 샤프트(325)의 오일 홀(도시 생략)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작동유는 센터 샤프트(325)의 내부를 지나 전후진 절환 장치(32)를 가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전진 클러치(321)을 작동시킨다.
반대로, 오퍼레이터가 「후진」으로 조작한 경우, 작동유는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c)로부터 오일 홀(71d)을 지나 센터 블록(72)으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센터 블록(72)의 오일 홀(72c)로부터 오일 홀(72d)을 지나 센터 샤프트(325)의 오일 홀(도시 생략)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작동유는 센터 샤프트(325)의 내부를 지나 전후진 절환 장치(32)를 가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후진 클러치(322)를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 중의 화살표는 작동유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블록(71)에는 설치면(71R)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1e)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1e)과 연결되도록 설치부(71M)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1f)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1e)은 제2 전자 밸브(82)의 하나의 포트 홀과 중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 블록(71)에는 설치면(71R)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1g)이 마련되며, 상기 오일 홀(71g)에 연결되도록 설치부(71N)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1h)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1g)은 제2 전자 밸브(82)의 다른 포트 홀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 케이스(75)에는 설치부(75M)로부터 설치면(75F)까지 관통하는 오일 홀(75a)이 마련되고, 설치면(75F)에 오일 홀(75a)를 시작점으로 하는 오일 홈(75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홈(75b)의 종점에 설치면(75F)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5c)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5c)에 연결되도록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오일 홀(75d)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5a)은 제1 파이프(94)에 의해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f)과 연결되어 있다. 오일 홀(75d)은 베어링 홀(751)의 둘레면에 연결되어 있고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씰 케이스(75)에는 설치부(75N)로부터 설치면(75F)까지 관통하는 오일 홀(75e)이 마련되고, 설치면(75F)에 오일 홀(75e)을 시작점으로 하는 오일 홈(75f)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홈(75f)의 종점에 설치면(75F)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5g)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5g)에 연결되도록 우측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5h)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5e)은 제2 파이프(95)에 의해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h)과 연결되어 있다. 오일 홀(75h)은 베어링 홀(751)의 전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등속 사륜 구동」으로 조작한 경우, 작동유는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e)로부터 오일 홀(71f)을 지나 제1 파이프(94)를 통하여 씰 케이스(75)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씰 케이스(75)의 오일 홀(75a)로부터 오일 홈(75b)을 지나 오일 홀(75c)로부터 오일 홀(75d)을 지나 센터 샤프트(345)의 오일 홀(도시 생략)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작동유는 센터 샤프트(345)의 내부를 지나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를 가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등속 클러치(341)를 작동시킨다.
반대로, 오퍼레이터가 「배속 사륜 구동」으로 조작한 경우, 작동유는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g)로부터 오일 홀(71h)을 지나 제2 파이프(95)를 통하여 씰 케이스(75)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씰 케이스(75)의 오일 홀(75e)로부터 오일 홈(75f)을 지나고 오일 홀(75g)로부터 오일 홀(75h)을 지나 센터 샤프트(345)의 오일 홀(도시 생략)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작동유는 센터 샤프트(345)의 내부를 지나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를 가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배속 클러치(342)를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 중의 화살표는 작동유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블록(71)에는 설치면(71R)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1i)이 마련되며, 상기 오일 홀(71i)에 연결되도록 설치면(71F)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1j)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1i)은 제2 전자 밸브(82)의 포트 홀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블록(72)에는, 설치면(72B)으로부터 설치면(72F)까지 관통하는 오일 홀(72e)이 마련되고, 설치면(72F)에 오일 홀(72e)를 시작점으로 하는 오일 홈(72f)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홈(72f)의 종점에 설치면(72F)으로부터 설치면(72B)까지 관통하는 오일 홀(72g)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2g)에 연결되도록 우측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2h)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오일 홀(72h)에 연결되도록 설치면(72B)으로부터 전방으로 오일 홀(72i)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2e)은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j)과 중첩되어 있다. 오일 홀(72h)은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 케이스(75)에는 설치면(75F)에 오일통(75i)이 마련되고, 설치면(75F)에 오일통(75i)을 시작점으로 하는 오일 홈(75j)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홈(75j)의 종점에도 오일통(75k)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통(75i)은 센터 블록(72)의 오일 홀(72i)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블록(72)에는 설치면(72B)으로부터 전방으로 오일 홀(72j)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2j)에 연결되도록 좌측에서 우방으로 오일 홀(72k)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홀(72k)에 연결되도록 설치면(72F)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2m)이 마련되고, 설치면(72F)에 오일 홀(72m)을 시작점으로 하는 오일 홈(72n)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오일 홈(72n)의 종점에 오일통(72p)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2j)은 씰 케이스(75)의 오일통(75k)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오일 홀(72k)은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73)에는 설치면(73B)으로부터 전방으로 오일 홀(73a)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3a)에 연결되도록 좌측에서 우방으로 오일 홀(73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홀(73b)에 연결되도록 설치면(73F)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3c)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3a)은 센터 블록(72)의 오일통(72p)과 중첩되어 있다. 오일 홀(73b)은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홀(73c)은 제3 전자 밸브(83)의 하나의 포트 홀과 중첩되어 있다. 한편, 센터 샤프트(353)의 베어링 홀(734)은 제3 전자 밸브(83)의 다른 포트 홀과 중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작동유는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i)로부터 오일 홀(71j)을 지나 센터 블록(72)으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센터 블록(72)의 오일 홀(72e)로부터 오일 홈(72f)을 지나고, 오일 홀(72g)로부터 오일 홀(72h), 오일 홀(72i)을 지나 씰 케이스(75)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씰 케이스(75)의 오일통(75i)으로부터 오일 홈(75j)을 지나고, 오일통(75k)을 지나 다시 센터 블록(72)으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센터 블록(72)의 오일 홀(72j)로부터 오일 홀(72k)을 지나고, 오일 홀(72m)로부터 오일 홈(72n), 오일통(72p)을 지나 프론트 커버(73)로 가이드된다. 그 후, 프론트 커버(73)의 오일 홀(73a)로부터 오일 홀(73b)을 지나고, 오일 홀(73c)을 지나 제3 전자 밸브(83)로 가이드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작업기 가동」으로 조작한 경우에만 작동유는 센터 샤프트(353)의 오일 홀(도시 생략)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작동유는 센터 샤프트(353)의 내부를 지나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를 가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PTO 클러치(351)를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제동 장치(52)(도 2 참조)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제동 장치(52)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 중의 화살표는 작동유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블록(71)에는 설치면(71R)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1k)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1k)에 연결되도록 설치면(71F)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1m)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1k)은 제2 전자 밸브(82)의 포트 홀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블록(72)에는 설치면(72B)으로부터 전방으로 오일 홀(72q)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2q)에 연결되도록 우측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2r)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홀(72r)에 연결되도록 설치면(72B)으로부터 전방으로 오일 홀(72s)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2q)은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m)과 중첩되어 있다. 오일 홀(72r)은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 케이스(75)에는 설치면(75F)에 오일통(75m)이 마련되고, 설치면(75F)에 오일통(75m)을 시작점으로 하는 오일 홈(75n)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홈(75n)의 종점에도 오일통(75p)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통(75m)은 센터 블록(72)의 오일 홀(72s)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블록(72)에는 설치면(72B)으로부터 전방으로 오일 홀(72t)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2t)에 연결되도록 우측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2u)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홀(72u)에 연결되도록 설치면(72B)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2v)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2t)은 씰 케이스(75)의 오일통(75p)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오일 홀(72u)은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블록(71)에는 설치면(71F)으로부터 후방으로 오일 홀(71n)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1n)에 연결되도록 좌측에서 우방으로 오일 홀(71p)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1n)은 센터 블록(72)의 오일 홀(72v)과 중첩되어 있다. 오일 홀(71p)은 파이프를 통하여 제동 장치(52)의 유압 액츄에이터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오토 브레이크 기능」을 유효하게 한 다음 핸들을 일정 각도 이상으로 조작한 경우, 작동유는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k)로부터 오일 홀(71m)을 지나 센터 블록(72)으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센터 블록(72)의 오일 홀(72q)로부터 오일 홀(72r)을 지나고, 오일 홀(72s)을 지나 씰 케이스(75)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씰 케이스(75)의 오일통(75m)으로부터 오일 홈(75n)을 지나고, 오일통(75p)을 지나 다시 센터 블록(72)으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센터 블록(72)의 오일 홀(72t)로부터 오일 홀(72u)을 지나고, 오일 홀(72v)을 지나 다시 메인 블록(71)에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메인 블록(71)의 오일 홀(71n)로부터 오일 홀(71p)을 지나 파이프를 통하여 제동 장치(52)를 가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유압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트랜스미션(3)은 트랜스미션 하우징(7)이 전후진 절환 장치(32) 등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트랜스미션(3)은 트랜스미션 하우징(7)이 전후진 절환 장치(32) 등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파이프나 커넥터 등의 부품수가 감소한다. 또한, 파이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구조가 간소화된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트랜스미션(3)은 씰 케이스(75)의 오일 홈이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 등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트랜스미션 하우징(7)의 절삭 가공 부분이 감소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트랜스미션(3)은 트랜스미션 하우징(7)을 절삭 가공하여 마련되는 파이프의 접속 지점 등이 적기 때문에, 파이프나 커넥터 등의 부품수가 감소된다. 또한, 파이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구조가 간소화된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트랜스미션(3)은 씰 케이스(75)의 오일 홈(75b·75f)이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전륜 구동 절환 장치(34)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트랜스미션(3)은 씰 케이스(75)의 오일 홈(75j)이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트랜스미션(3)은 씰 케이스(75)가 흡입 파이프(93)나 제1 파이프(94), 제2 파이프(95)의 접속 도구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트랜스미션 하우징(7)의 절삭 가공 부분이 더욱 감소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트랜스미션(3)은 씰 케이스(75)에 파이프의 어댑터 기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트랜스미션 하우징(7)의 절삭 가공 부분을 더욱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더욱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트랜스미션(3)은 씰 케이스(75)가 센터 샤프트(345)나 센터 샤프트(368)의 지지 도구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트랜스미션 하우징(7)의 절삭 가공 부분이 더욱 감소되고,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트랜스미션(3)은 씰 케이스(75)에 샤프트의 베어링 기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트랜스미션 하우징(7)의 절삭 가공 부분을 더욱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더욱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후진 절환 장치(32)로부터 오일 챔버(73G)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전후진 절환 장치(32)로부터 오일 챔버(73G)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 중의 화살표는 작동유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73)에는 설치면(73B)으로부터 전방으로 오일 홀(73d)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 홀(73d)에 연결되도록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오일 홀(73e)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3d)은 센터 샤프트(325)의 베어링 홀(722)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오일 홀(73e)은 오일 챔버(73G)의 둘레면에 연결되어 있고,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작동유는 센터 샤프트(325)의 오일 홀(도시 생략)을 지나 프론트 커버(730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베어링 홀(722)로부터 오일 홀(73d)을 지나고, 오일 홀(73e)을 지나 오일 챔버(73G)로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동유는 오일 챔버(73G) 내에서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유압 펌프(84)로 보내진다.
또한,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로부터 오일 챔버(73G)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로부터 오일 챔버(73G)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 중의 화살표는, 작동유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73)에는 센터 샤프트(353)의 베어링 홀(734)에 연결되도록 우측으로부터 좌방으로 오일 홀(73f)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3f)은 오일 챔버(73G)의 둘레면에 연결되어 있고, 기단이 플러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작동유는 센터 샤프트(353)의 오일 홀(도시 생략)을 지나 프론트 커버(73)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베어링 홀(734)로부터 오일 홀(73f)을 지나 오일 챔버(73G)로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동유는 오일 챔버(73G) 내에서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유압 펌프(84)로 보내진다.
또한, 본 트랜스미션(3)은 오일 쿨러(96)와 접속되어 있다. 이하, 오일 쿨러(96)의 파이프(97)로부터 오일 챔버(73G)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오일 쿨러(96)의 파이프(97)로부터 오일 챔버(73G)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 중의 화살표는 작동유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73)에는 파이프(97)의 설치부(73R)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커버(73)에는 설치부(73R)로부터 우방으로 오일 홀(73g)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홀(73g)은 오일 챔버(73G)의 둘레면에 연결되어 있고, 기단에 커넥터를 통하여 파이프(97)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작동유는 오일 쿨러(96)의 파이프(97)를 지나 프론트 커버(73)로 가이드된다. 그 후, 작동유는 오일 홀(73g)을 지나 오일 챔버(73G)로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동유는 오일 챔버(73G) 내에서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유압 펌프(84)로 보내진다.
이상과 같이, 본 트랜스미션(3)은 유압 펌프(84)의 설치면(73P)에 오일 챔버(73G)가 형성되어 있고, 유압 펌프(84)에 의해 오일 챔버(73G)이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트랜스미션(3)은 유압 펌프(84)의 설치면(73P)에 오일 챔버(73G)가 형성되어 있고, 유압 펌프(84)에 의해 오일 챔버(73G)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오일 챔버 및 작동유를 안내하는 파이프 등이 필요하지 않아 부품수가 감소된다. 또한, 파이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구조가 간소화된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트랜스미션(3)은 전후진 절환 장치(32) 등으로부터 하나의 오일 챔버(73G)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트랜스미션(3)은 전후진 절환 장치(32) 등으로부터 하나의 오일 챔버(73G)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오일 챔버 및 작동유를 안내하는 파이프 등이 필요하지 않아 부품수가 감소된다. 또한, 파이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구조가 간소화된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트랜스미션(3)은 전후진 절환 장치(32)로부터 오일 챔버(73G)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전후진 절환 장치(32)로부터 오일 챔버(73G)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트랜스미션(3)은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로부터 오일 챔버(73G)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35)로부터 오일 챔버(73G)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트랜스미션(3)은, 파이프(97)로부터 오일 챔버(73G)로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랜스미션(3)은 파이프(97)로부터 오일 챔버(73G)에 작동유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에 관하여, 부품수가 감소됨과 함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의 기술에 이용 가능하다.
100: 트랙터 3: 트랜스미션
31: 메인 변속 장치 32: 전후진 절환 장치
321: 전진 클러치(유압 유닛) 322: 후진 클러치(유압 유닛)
33: 서브 변속 장치 34: 전륜 구동 절환 장치
341: 등속 클러치(유압 유닛) 342: 증속 클러치(유압 유닛)
35: 작업기 구동 절환 장치 351: PTO 클러치(유압 유닛)
36: 작업기 변속 장치 7: 트랜스미션 하우징(하우징)
71: 메인 블록 72: 센터 블록
73: 프론트 커버 73P: 설치면
73G: 오일 챔버 74: 리어 커버
75: 씰 케이스 75b: 오일 홈(홈)
75f: 오일 홈(홈) 75j: 오일 홈(홈)
75n: 오일 홈(홈) 84: 유압 펌프
93: 흡입 파이프(파이프) 94: 제1 파이프(파이프)
95: 제2 파이프(파이프) 96: 오일 쿨러
97: 파이프 345: 센터 샤프트(샤프트)
368: 센터 샤프트(샤프트)

Claims (11)

  1. 작동유에 의해 가동되는 유압 유닛과,
    상기 유압 유닛을 수용 또는 지지하는 트랜스미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은, 메인 블록과, 상기 메인 블록에 장착되는 센터 블록과, 상기 센터 블록에 장착되는 프론트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에는, 상기 유압 유닛에 작동유를 안내하는 통로인 오일 홀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센터 블록에는, 시일 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시일 케이스에는, 작동유를 가이드하는 파이프의 접속부와, 회전 이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시일 케이스에는, 상기 유압 유닛에 작동유를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오일 홈이 형성되고,
    작동유는, 상기 메인 블록의 오일 홀을 통과하고,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시일 케이스에 가이드되고, 상기 시일 케이스의 오일 홈을 통과하고, 상기 샤프트의 오일 홀에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트랜스미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유닛으로서, 트랙터의 전후진 전환 장치와, 전륜 구동 전환 장치와, 작업기 구동 전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시일 케이스의 오일 홈이 상기 전후진 전환 장치와, 상기 전륜 구동 전환 장치와, 상기 작업기 구동 전환 장치에 작동유를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트랜스미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7035804A 2015-05-18 2016-03-24 트랜스미션 KR102011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1435A JP6528174B2 (ja) 2015-05-18 2015-05-18 トラク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JP-P-2015-101436 2015-05-18
JP2015101436A JP2016217412A (ja) 2015-05-18 2015-05-18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JP-P-2015-101435 2015-05-18
PCT/JP2016/059510 WO2016185796A1 (ja) 2015-05-18 2016-03-24 トランスミッショ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708A KR20180005708A (ko) 2018-01-16
KR102011591B1 true KR102011591B1 (ko) 2019-08-16

Family

ID=5731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804A KR102011591B1 (ko) 2015-05-18 2016-03-24 트랜스미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74917B2 (ko)
EP (1) EP3299669B1 (ko)
KR (1) KR102011591B1 (ko)
WO (1) WO2016185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7705A1 (en) * 2020-01-06 2021-07-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grated oil capture and gasket system
DE102020207779A1 (de) * 2020-06-23 2021-12-23 Deere & Company Getriebebaugruppe, Kupplungsmodul und 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712A (ja) * 2007-02-21 2008-09-04 Yanmar Co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5830A (en) * 1976-10-01 1978-04-2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tractor or other
JPS5545049U (ko) * 1978-09-18 1980-03-24
US4856368A (en) 1987-06-26 1989-08-1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HST (hydrostatic transmission) containing axle drive apparatus
JPH0250549A (ja) * 1988-08-11 1990-02-20 Toyo Commun Equip Co Ltd データ受信機の消費電力節減方法
JPH0260549U (ko) 1988-10-27 1990-05-02
JP2517464Y2 (ja) 1990-05-28 1996-11-20 株式会社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両用のトランスミツシヨン装置
JPH083744Y2 (ja) 1990-08-08 1996-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の潤滑装置
JPH05176601A (ja) * 1992-01-06 1993-07-20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農用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機構
JP3445391B2 (ja) * 1994-11-11 2003-09-08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トラクタ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装置
US5913950A (en) * 1996-01-08 1999-06-22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for a working vehicle
US5979270A (en) * 1997-07-09 1999-11-09 Unipat Ag Hydrostatic transaxle
US6176086B1 (en) * 1998-12-10 2001-01-23 Sauer Inc. Hydrostatic transmission in one housing
JP2000179658A (ja) * 1998-12-11 2000-06-27 Kubota Corp 作業車の油圧配管構造
EP1884394A1 (en) * 2001-03-26 2008-02-06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Power transmission arrangement of a working vehicle and transmission for the working vehicle
US6997284B1 (en) * 2001-06-26 2006-02-14 Spicer Technology, Inc. Lubricant cool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xle
JP2003166619A (ja) * 2001-11-30 2003-06-13 Honda Motor Co Ltd トルクコンバータ付き内燃機関
KR20050048044A (ko) * 2003-11-18 2005-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컨버터 하우징
US7350439B2 (en) 2004-04-27 2008-04-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case cover with radial inflow channel
EP1808324B1 (en) * 2006-01-16 2010-03-17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Hydrostatic transaxle
JP2008202721A (ja) 2007-02-21 2008-09-04 Yanmar Co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10076748A (ja) * 2008-08-29 2010-04-08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車輌の走行系伝動構造
DE112010003517T5 (de) * 2009-09-25 2012-12-20 Aisin Aw Co., Ltd. Antriebsvorrichtung
JP5576956B2 (ja) 2013-03-21 2014-08-20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712A (ja) * 2007-02-21 2008-09-04 Yanmar Co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2780A1 (en) 2018-05-24
EP3299669B1 (en) 2023-02-01
KR20180005708A (ko) 2018-01-16
WO2016185796A1 (ja) 2016-11-24
EP3299669A4 (en) 2018-06-27
US10774917B2 (en) 2020-09-15
EP3299669A1 (en)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31576A1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2015054578A (ja) 作業車両の走行伝動装置
KR102011591B1 (ko) 트랜스미션
JP5331569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KR101900271B1 (ko) 농 작업차의 셔틀 변속장치
JP6528174B2 (ja) トラク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101990729B1 (ko) 트랜스미션
JP2016217412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3291673A (ja) 走行車両
JP6439212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6536800B2 (ja) トラクタ
JP6528176B2 (ja) トラク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US10731674B2 (en) Method for forming hydraulic actuator hydraulic oil passage
US1156817A (en) Hydraulic transmission mechanism.
KR20160145224A (ko) 트랙터 차동 잠금장치
JP2016121713A (ja) 作業車両
WO2003082620A1 (fr) Vehicule roulant
JP2016215918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730055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CN102865349A (zh) 采用液压离合器的轮式拖拉机前动力输出变速箱
JP6528175B2 (ja) トラク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17040293A5 (ko)
JP4213647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動装置
JP5331570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KR20140145005A (ko) 토크컨버터를 장착한 농용 작업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