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574B1 -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574B1
KR102011574B1 KR1020170139027A KR20170139027A KR102011574B1 KR 102011574 B1 KR102011574 B1 KR 102011574B1 KR 1020170139027 A KR1020170139027 A KR 1020170139027A KR 20170139027 A KR20170139027 A KR 20170139027A KR 102011574 B1 KR102011574 B1 KR 10201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urntable
unit
moving pa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152A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이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주 filed Critical 이승주
Priority to KR102017013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574B1/ko
Priority to PCT/KR2017/013538 priority patent/WO2019083081A1/ko
Publication of KR2019004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B60S13/02Turntables; Traver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원통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며 차량의 하중을 받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이동부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는 상승부; 및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구와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비틀려 구성되되 상기 돌출구를 가이드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회전라인을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받는 상기 차량의 하중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하강하고, 상기 상승부로부터 받는 힘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자중에 의한 회전으로 셀프 방향 전환이 가능한 주차용 또는 다목적용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좁은 면적에 많은 차량을 주차하여야 하는 필요 때문에 입체적으로 주차시키는 주차 장치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입체주차장치는, 승강기와 차량적재용 파렛트를 이용하여 상, 하, 좌, 우의 각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각 층에 차량을 가로 배열을 통해 여러 차량을 주차시키는 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수평 순환식 주차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차량 1 대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에 이층으로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한 주차 장치를 설치하여 2 대까지 주차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그러나, 주차장을 사용할 면적이 아주 적거나, 넓은 지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사가 어렵고 공사할 비용도 부족한 경우, 예로서 차량 1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면적을 이용하여 5대 내지 10대 정도까지 주차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즉, 수평 순환식 주차장치는 토지의 점유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토지의 점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대신에 지상의 상부 공간을 많이 이용할 수 있는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들은, 파레트의 리프팅 및 방향 전환을 통해 수직으로의 주차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입체적 주차 장치들도 수평 순환식이든 수직 순환식이든, 주차 장치로 차량이 진입하기 위해서는 주차 장치 진입로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즉, 주차 장치는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차량의 출고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차장치의 직하부에 차량 방향전환장치를 구성하여 차량이 항상 전진 입고한 후 주차장치 내에서 방향 전환하여 주차장치에서 외부로 전진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물론, 주차 장치뿐만이 아니라 막다른 길에 위치한 상점 또는 드라이브 스루(Drive Through), 승차 구매점 등과 같은 곳에서는 차량의 임시 주차 후 방향의 전환을 위해서 차량 방향전환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 방향전환장치들은, 차량의 방향 회전을 위해 유압 또는 전자, 전기 등 복잡한 역학 구조를 가지는 설계와 다수의 무거운 장치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 방향전환장치들은, 복잡한 설계와 다수의 장치들로 인해 제작 비용이 많이 들고, 무거운 기계 장치들의 오작동으로 인한 인명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에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 방향전환장치를 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중에 의한 수직 회전을 통해 차량의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저렴하고 안전한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원통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며 차량의 하중을 받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이동부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는 상승부; 및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구와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비틀려 구성되되 상기 돌출구를 가이드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회전라인을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받는 상기 차량의 하중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하강하고, 상기 상승부로부터 받는 힘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강 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의 하중에 따라 상기 상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하중이 기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상승부가 상기 이동부에 힘을 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동부의 하강 속도가 기설정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와 상기 상승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상승 시 또는 하강 시의 충격을 경감시키는 댐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가 기설정 가속도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이동부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를 경감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의해 상기 돌출구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로 완전 진입 시, 상기 스위치부에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인입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온의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돌출구를 구속 해제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 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인출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오프의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돌출구를 구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턴테이블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 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제어되는 보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승부는, 유압 장치 또는 기압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돌출구와 접촉 또는 상기 돌출구로부터 이탈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수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부재와 꼬인위치에 형성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 또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온 상태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힘을 받아 상기 제1 부재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돌출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오프 상태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제1 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돌출구로와 접촉되어 상기 돌출구를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자중에 의한 수직 회전을 통해 차량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차 장치에서의 차량 방향전환장치 또는 막다른 길에서의 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한 차량 방향전환장치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설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고 그리고 별도의 제어 없이도 자동으로 차량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회전 속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를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좁은 공간에서도 차량의 방향 전환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구속부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구속부의 평면 투영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구속부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구속부의 평면 투영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하우징(10), 단차 보상부(13), 턴테이블(20), 이동부(30), 고정부(40), 상승부(50), 회전부(60), 제어부(70), 댐핑부(80) 및 구속부(9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를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0)은, 상측이 개방되되 측면(11), 하면(12)으로 구성된 원통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은, 상측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는 단차 보상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 보상부(13)는, 하우징(10)의 상측의 가장자리(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형성되되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하도록 하우징(10)과 턴테이블(20) 사이의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단차 보상부(13)는,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 시, 하우징(10)의 내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제어되는 보상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부재(131)는, 하우징(1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가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 시, 하우징(10)의 내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다. 이를 통해서 차량(C)은 외부로 진출 시, 하우징(10)의 상측 가장자리와 턴테이블(20) 간이 높이 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에 의한 진출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턴테이블(20)은, 하우징(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차량(C)의 하중(W)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턴테이블(20)은,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부(30)의 상면(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이동부(30)와 함께 하우징(10)의 내부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이동부(30)와 함께 하우징(10)의 내부를 상승 또는 하강함과 동시에 차량(C)을 회전시켜 차량(C)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즉, 도 2를 살펴보면, (a)에서 차량(C)의 방향이 (b)에서의 차량(C)의 방향과 같이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180도 회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례로 90도만 회전시킬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회전 정도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동부(30)는, 상면, 측면(31) 및 하면(32)으로 구성되는 원통으로 형성되어 턴테이블(20)의 하측에 연결되며, 턴테이블(20)을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동부(30)는, 턴테이블(20)로부터 받는 차량(C)의 하중(W)을 통해 돌출구(61)와 회전라인(62)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하강하고, 상승부(50)로부터 받는 힘을 통해 돌출구(61)와 회전라인(62)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상승한다. 즉, 이동부(30)는, 돌출구(61)와 회전라인(62)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 또는 하강으로 인해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상측에 연결 고정된 턴테이블(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부(30)는, 측면(31)의 일부분에 돌출구(61)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32)의 하측에는 댐핑부(8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이동부(30)의 측면(31)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되 이동부(30)의 상승 도는 하강을 가이드하며, 하우징(10)의 하면(12) 상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40)는, 상측(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개방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41)에 회전 라인(62)이 형성될 수 있고, 하면(부호 도시하지 않음) 상에 상승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승부(50)는, 이동부(30)의 하면(32)과 하우징(10)의 하면(12) 사이에 형성되며, 이동부(30)를 상승시킨다.
상승부(50)는, 차량(C)이 턴테이블(20)로부터 외부로 진출 시, 이동부(30)에 힘이 전달되도록 하여 이동부(30)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이동부(30)가 차량(C)이 턴테이블(20)로 진입하기 전의 위치로 재위치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승부(50)는, 일례로 유압 장치 또는 기압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탄성 재질의 스프링일 수 있다.
회전부(60)는, 이동부(30)의 측면(31)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구(61)와 고정부(40)의 측면(41)에 사선 방향으로 비틀려 구성되되 돌출구(61)를 가이드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회전 라인(62)을 포함한다.
돌출구(61)는, 회전 라인(62)과 상호작용하여 돌출구(61)가 형성된 이동부(30)가 상승과 함께 회전 또는 하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라인(62)은 고정부(40)의 측면(41)에 형성되어 돌출구(61)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상부에서 하부로의 사선 방향으로 측면(41)에 돌출구(61)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라인(62)은 하우징(10)의 측면(11) 상에도 형성되어 돌출구(61)가 하우징(10)의 측면(11)까지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이동부(30)의 하강 시 측정부(71)에 의해 측정된 차량(C)의 하중(W)에 따라 상승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측정부(71)는, 턴테이블(20)의 하측과 이동부(30)의 상측 사이에 형성되어 차량(C)의 하중(W)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71)는 턴테이블(20)에 내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측정부(71)로부터 측정되어 전달받은 차량(C)의 하중값이 기설정 값 이상이면 상승부(50)가 이동부(30)에 힘을 가하도록 제어하여 이동부(30)의 하강 속도가 기설정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차량(C)의 종류에 관계없이 회전 속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를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차량(C)이 소형차이든 대형차 또는 덤프 트럭이든 동일한 회전 속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댐핑부(80)는, 이동부(30)와 상승부(50) 사이에 형성되며, 이동부(30)의 상승 시 또는 하강 시의 충격을 경감시킨다.
댐핑부(80)는, 이동부(30)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가 기설정 가속도보다 커지는 경우, 이동부(30)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를 경감하도록 이동부(30)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차량(C)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충격을 경감시켜 운전자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속부(90)는, 스위치부(91)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의해 돌출구(61)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 있다.
스위치부(91)는, 차량(C)의 네 바퀴(T)가 각각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어 구속부(90)에 차량(C)이 턴테이블(20)로 완전 진입 여부를 전달하여 구속부(90)가 돌출구(61)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부(90)는, 차량(C)이 턴테이블(20)로 완전 진입 시, 스위치부(91)에 차량(C)의 네 바퀴(T)가 각각 인입되어 스위치부(91)가 온의 상태가 됨으로써 돌출구(61)를 구속 해제하고,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 시 스위치부(91)에서 차량(C)의 네 바퀴(T)가 각각 인출되어 스위치부(91)가 오프의 상태가 됨으로써 돌출구(61)를 구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구속부(90)는, 돌출구(61)와 접촉 또는 돌출구(61)로부터 이탈되는 제1 부재(901), 제1 부재(901)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부재(902), 제2 부재(902)와 수직으로 연결되되 제1 부재(901)와는 꼬인 위치에 형성되는 제3 부재(9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부재(903)는, 스위치부(91)와 접촉 또는 스위치부(91)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되며, 스위치부(91)의 온 상태의 경우 스위치부(91)와 접촉되어 스위치부(91)로부터 힘을 받아 제1 부재(901)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제1 부재(901)가 돌출구(6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스위치부(91)의 오프 상태의 경우 스위치부(91)로부터 이탈되어 스위치부(91)로부터 제1 부재(901)로 전달되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제1 부재(901)가 돌출구(61)와 접촉되어 돌출구(61)를 구속할 수 있다.
즉, 도 3을 살펴보면, 제3 부재(903)는, 스위치부(91)의 온 상태의 경우 스위치부(91)와 접촉되어 스위치부(91)로부터 B2 방향의 힘을 받아 제1 내지 제3 부재(901~903)에 토크(Torque)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토크로 인해 제1 부재(901)로 B1 방향의 힘이 발생하여 제1 부재(901)가 돌출구(61)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돌출구(61)가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제3 부재(903)는, 스위치부(91)의 오프 상태의 경우 스위치부(91)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최초 돌출구(61)의 구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구속부(90)는 스위치부(91)와 물리적인 접촉 없이도 전자적인 제어 지시를 통해서 돌출구(61)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부터 외부로 진출 시, 이동부(30)가 원위치하게 되면 돌출구(61)가 다시 구속부(90)에 구속되도록 하기 위해서 전자적 제어를 통해 제3 부재(903)가 B2 방향의 힘을 지속적으로 받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부(91)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C)의 네 바퀴(T)가 각각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지 않고 앞 바퀴(T)에만 즉, 좌측 및 우측 앞 바퀴(T)에만 설치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토대로 살펴보면, 구속부(90)는, 차량(C)이 턴테이블(20)로 완전 진입 시, 스위치부(91)에 차량(C)의 앞 두 바퀴(T)가 각각 인입되어 스위치부(91)가 온의 상태가 됨으로써 돌출구(61)를 구속 해제하고,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 시 스위치부(91)에서 차량(C)의 앞 두 바퀴(T)가 각각 인출되어 스위치부(91)가 오프의 상태가 됨으로써 돌출구(61)를 구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구속부(90)의 제1 내지 제3 부재(901~903)는, 구속 해제 후 차량(C) 이 스위치부(91)를 이탈하는 경우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나, 스프링(S)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자중에 의한 수직 회전을 통해 차량(C)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차 장치에서의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 또는 막다른 길에서의 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한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설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운전자(도시하지 않음)가 하차하지 않고 그리고 별도의 제어 없이도 자동으로 차량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차량(C)의 종류에 관계없이 회전 속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를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좁은 공간에서도 차량(C)의 방향 전환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 외에 지상의 회전 공간이 충분치 않은 경우, 차량(C)을 별도의 유압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차량(C)을 지하로 하강시킨 후, 상기와 같은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를 이용하여 차량(C)을 회전시킨 후, 다시 유압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C)을 지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물론 차량(C)을 이동시키는 위치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지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빈 여유 공간(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부 공간 등)에 위치시켜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를 이용하여 회전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회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차량 방향전환장치 10: 하우징
11: 측면 12: 하면
13: 단차 보상부 131: 보상 부재
20: 턴테이블 30: 이동부
31: 측면 32: 하면
40: 고정부 41: 측면
50: 상승부 60: 회전부
61: 돌출구 62: 회전라인
70: 제어부 71: 측정부
80: 댐핑부 90: 구속부
901: 제1 부재 902: 제2 부재
903: 제3 부재 91: 스위치부
C: 차량 T: 바퀴
W: 하중 S: 스프링

Claims (7)

  1. 원통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며 차량의 하중을 받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이동부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는 상승부; 및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구와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비틀려 구성되되 상기 돌출구를 가이드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회전라인을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받는 상기 차량의 하중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하강하고,
    상기 상승부로부터 받는 힘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강 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의 하중에 따라 상기 상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하중이 기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상승부가 상기 이동부에 힘을 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동부의 하강 속도가 기설정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상승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상승 시 또는 하강 시의 충격을 경감시키는 댐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가 기설정 가속도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이동부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를 경감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의해 상기 돌출구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로 완전 진입 시, 상기 스위치부에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인입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온의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돌출구를 구속 해제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 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인출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오프의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돌출구를 구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턴테이블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 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제어되는 보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는,
    유압 장치 또는 기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돌출구와 접촉 또는 상기 돌출구로부터 이탈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 또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온 상태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힘을 받아 상기 제1 부재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돌출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오프 상태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제1 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돌출구와 접촉되어 상기 돌출구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KR1020170139027A 2017-10-25 2017-10-25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KR10201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27A KR102011574B1 (ko) 2017-10-25 2017-10-25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PCT/KR2017/013538 WO2019083081A1 (ko) 2017-10-25 2017-11-24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27A KR102011574B1 (ko) 2017-10-25 2017-10-25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152A KR20190047152A (ko) 2019-05-08
KR102011574B1 true KR102011574B1 (ko) 2019-08-19

Family

ID=6624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027A KR102011574B1 (ko) 2017-10-25 2017-10-25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1574B1 (ko)
WO (1) WO2019083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3936B (zh) * 2022-04-23 2023-07-25 山东国通智云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安全往复式洗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46B1 (ko) 2007-12-03 2008-01-21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 회전장치
US20110053136A1 (en) 2008-02-22 2011-03-03 B.B.I.P. Szellemi Tulajdonjog-Hasznosito Es Vagyon Turntable for support of loaded surfa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6968B2 (ja) * 1991-03-11 2001-12-10 日成ビルド工業株式会社 立体駐車設備のエレベータ用のキャリッジ装置
KR19990073695A (ko) * 1998-03-02 1999-10-05 이종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장치
KR100974248B1 (ko) * 2010-04-14 2010-08-05 김지수 대차 도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46B1 (ko) 2007-12-03 2008-01-21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 회전장치
US20110053136A1 (en) 2008-02-22 2011-03-03 B.B.I.P. Szellemi Tulajdonjog-Hasznosito Es Vagyon Turntable for support of loaded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152A (ko) 2019-05-08
WO2019083081A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5815A (en) Mechanical car-parking tower
CN108016629A (zh) 无人机起降平台
CN108016608A (zh) 无人机起落架及无人机
CN108756365B (zh) 一种跷跷板式双层双向泊车装置
KR102011574B1 (ko)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CN113479539B (zh) 一种可用于叉车平稳行驶的可调节四向车铺地轨道
KR101883219B1 (ko) 향상된 제진성능을 가지는 항만 컨테이너 크레인
JP6536966B2 (ja) 昇降式駐車装置
JP6468092B2 (ja) 機械式駐輪設備及び方法
JPH05214833A (ja) 立体駐車装置の車両旋回装置
CN207499539U (zh) 双层立体车库
JP6170423B2 (ja) 機械式駐車設備
CN118498804A (zh) 一种简易立体升降停车设备
US11781335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multi-level parking
CN221053725U (zh) 一种公路施工安全支护装置
JP3833203B2 (ja) 機械式駐車装置
CN203922627U (zh) 侧面叉车的行车限位装置
CN210396293U (zh) 一种用于升降横移停车库自动导向系统
CN212984776U (zh) 配合agv全方位存取车用的举升装置及立体停车设备
CN218886726U (zh) 一种具有防护与隔振效果的光学平台
JP3833204B2 (ja) 機械式駐車装置
EP3450247B1 (en) Platform for a commercial vehicle
JP6216424B2 (ja) 駐車装置
CN207988622U (zh) 一种具有防撞功能的智能停车库
CN108343302A (zh) 一种具有防撞功能的智能停车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