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187B1 -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187B1
KR102011187B1 KR1020170010141A KR20170010141A KR102011187B1 KR 102011187 B1 KR102011187 B1 KR 102011187B1 KR 1020170010141 A KR1020170010141 A KR 1020170010141A KR 20170010141 A KR20170010141 A KR 20170010141A KR 102011187 B1 KR102011187 B1 KR 10201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deposition
artificial leather
deposition layer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568A (ko
Inventor
이영은
허유랑
송권빈
박서현
김병민
송은호
전성모
홍민기
변재현
성동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1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1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with polyvinylchloride or its copolymerisation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가죽의 표면에 금속증착층을 적층하여 금속질감을 나타냄과 아울러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부여해줄 수 있도록 하되, 인조가죽의 제조 공정 시 금속증착층을 별도로 만들고 최종적으로 인조가죽의 표면에 합지해줌으로써 금속증착층의 손상 및 박리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가죽은, 직물층(110); 상기 직물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발포층(120); 상기 발포층(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표지층(130); 상기 표지층(130)의 상부에 적층되는 금속증착층(140); 및 상기 금속증착층(140)의 상부에 적층되는 표면처리층(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가죽 제조방법은, 아래에서 위로 직물층(110), 발포층(120), 표지층(13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별도의 이형지(200) 상부에 표면처리층(150)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표면처리층(150)의 상부에 진공증착(sputtering) 공정을 통해 금속증착층(140)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금속증착층(140)을 상기 표지층(130)의 상부에 맞댄 후 합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형지(20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Sheet for synthetic lea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조가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가죽의 표면에 금속증착층을 적층하여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부여해줄 수 있는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는 제2의 주거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자동차 내부 공간에서 편안하고 쾌적한 운전을 위해 기능성 시트가 각광받고 있다.
자동차 내장재용 소재로는 천연가죽이나 PVC, PU 인조가죽이 주로 사용된다. 인조가죽은 천연가죽에 비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인조가죽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044호(공개일: 2009년09월09일)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기존의 인조가죽은 안료를 통해 색을 부여하고 있으며, 대부분 검정과 베이지 색상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안료 사용의 한계로 인조가죽에 포인트를 줄 수 있는 색이나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인조가죽에 다양한 색이나 디자인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인조가죽의 표지층 상에 증착 공정을 이용한 금속증착층을 적층하기도 하였다.
상기 금속증착층을 적층한 후에는 최종적으로 금속증착층의 표면에 표면처리제 코팅과정을 거침으로써 인조가죽의 질감을 가죽과 비슷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표면처리 과정에서 금속증착층에 적층되는 표면처리층의 밀착력이 약해 표면이 손상되어 자국이 남거나, 박리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인조가죽의 표면에 금속증착층을 적층하여 금속질감을 나타냄과 아울러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부여해줄 수 있도록 하되, 인조가죽의 제조 공정 시 금속증착층을 별도로 만들고 최종적으로 인조가죽의 표면에 합지해줌으로써 금속증착층의 손상 및 박리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가죽은, 직물층; 상기 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발포층; 상기 발포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표지층; 상기 표지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금속증착층; 및 상기 금속증착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표면처리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가죽 제조방법은, 아래에서 위로 직물층, 발포층, 표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별도의 이형지 상부에 표면처리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표면처리층의 상부에 진공증착(sputtering) 공정을 통해 금속증착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금속증착층을 상기 표지층의 상부에 맞댄 후 합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형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인조가죽의 표면에 금속증착층을 적층하여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부여해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조가죽의 제조 공정 시 금속증착층을 별도로 만들고 최종적으로 인조가죽의 표면에 합지해줌으로써 금속증착층의 손상 및 박리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유기물질인 안료와 염료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친환경적인 인조가죽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7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과 종래의 인조가죽을 비교한 도면대용 실제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가죽(100)은, 아래에서 위로 직물층(110), 발포층(120), 표지층(130), 금속증착층(140), 표면처리층(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물층(110)은 직물, 니트, 함침 트리코트, 함침 부직포, 원착사,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포층(120)은 직물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발포수지 재질, 예컨대 PVC(polyvinyl chloride) 또는 PU(polyurethane) 소재로 이루어진 폼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탈포시킨 연속 기포형 시트(opened cell sheet)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층(120)을 연속 기포형 시트로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독립 기포형 시트(closed cell sheet)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된 굴곡탄성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저밀도 특성으로 인조가죽 제품의 무게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직물층(110)과 발포층(120)은 드라이 본드 라미네이트 또는 핫멜트(Hot melt) 라미네이트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드라이 본드 라미네이트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과정을 거친 후 접착물끼리 부착하는 방식이고, 핫멜트 라미네이트는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열을 가한 후 냉각되면 고화 접착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상기 직물층(110)과 발포층(120) 이외에도 인조가죽(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은 상기와 같은 접착방식을 통해 적층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지층(130)은 발포층(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PVC(polyvinyl chloride) 또는 PU(polyurethan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직물층(110), 발포층(120), 표지층(130)의 재질 및 적층구조는 기존의 일반적인 인조가죽 제조과정과 유사함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금속증착층(140)은 표지층(13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진공증착(sputtering) 공정을 통해 증착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진공증착은 진공상태의 용기 안에 헬륨 등 불활성 기체를 채워 코팅재료(타깃)에 고전압을 걸어 방전시키면 이온화된 불활성 기체가 코팅재료에 충돌하게 되고, 이때 타깃물질의 이온이 튀어나와 코팅 대상물에 달라붙어 코팅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 일종의 물리증착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금속증착층(140)은 알루미늄, 구리, 은, 백금, 주석, 크롬, 니켈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금속증착층(140)을 표지층(130)의 상부에 직접 적층하지 않고 금속증착층(140)을 별도의 이형지(200) 상부에 증착 제조한 후, 상기 표지층(130)의 상부에 최종적으로 합지하는 방식으로 제조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금속증착층(140)을 표지층(130)의 상부에 직접 증착하는 경우 표면처리 과정에서 금속증착층(140)의 상부에 적층되는 표면처리층(150)의 밀착력이 약해 표면이 손상되거나, 박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140)은, 먼저 이형지(200) 상부에 표면처리층(150)을 적층 형성하고, 표면처리층(150)의 상부에 증착 공정을 거쳐 금속증착층(140)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증착지를 제조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별도로 제조된 증착지의 금속증착층(140) 부위를 표지층(130) 상부에 맞댄 후 합지시키는 방식으로 적층해준다. 이 경우 금속증착층(140)은 표지층(130)의 상부에 프라이머 또는 열 압착을 통해 적층할 수 있다.
그런 후, 최종적으로 이형지(200)를 제거해주면 표면처리층(150)이 표면에 드러나게 되면서 도 1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가죽(100)이 완성된다.
이 경우 상기 표면처리층(150)은 아크릴(acrylic) 또는 PU(polyurethan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적층구조의 인조가죽(100)은 표면 질감의 향상을 위해 상부 표면에 통상적인 엠보싱 공정을 거쳐 소정 디자인의 엠보(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의 제조과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아래에서 위로 직물층(110), 발포층(120), 표지층(13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S1 ~ S3).
그런 다음, 별도로 준비된 이형지(200)의 상부에 표면처리층(150)을 적층한다(S4).
표면처리층(150)의 상부에 진공증착(sputtering) 공정을 통해 금속증착층(140)을 적층한다(S5).
상기 금속증착층(140)을 상기 표지층(130)의 상부에 맞댄 후 합지시킨다(S6).
그런 후, 최종적으로 이형지(200)를 제거해주면 본 발명에 따른 인조가죽(100)의 제조가 완성된다(S7).
도 7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과 종래의 인조가죽을 비교한 도면대용 실제사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조가죽(200)을 종래의 인조가죽과 비교하였을 때, 도 7의 (a)에 도시된 종래의 인조가죽은 금속증착층 상에 표면 처리시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반해 도 7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조가죽(100)은 금속증착층(140)의 표면에 어떠한 손상이나 박리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금속증착층(140)을 인조가죽에 적용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원단 및 소재에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인조가죽 110 : 직물층
120 : 발포층 130 : 표지층
140 : 금속증착층 150 : 표면처리층
200 : 이형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자동차 내장재용 인조가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에서부터 직물, 니트, 함침 트리코트, 함침 부직포, 원착사,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부터 선택된 직물층(110), PVC(polyvinyl chloride) 또는 PU(polyurethane) 소재의 연속 기포형 시트(opened cell sheet)인 발포층(120), PVC(polyvinyl chloride) 또는 PU(polyurethane) 소재의 표지층(13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별도의 이형지(200) 상부에 아크릴(acrylic) 또는 PU(polyurethane) 재질인 표면처리층(150)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표면처리층(150)의 상부에 진공증착(sputtering) 공정을 통해 알루미늄, 구리, 은, 백금, 주석, 크롬, 니켈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된 금속증착층(140)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금속증착층(140)을 상기 표지층(130)의 상부에 맞댄 후 열 압착을 통해 합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형지(20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인조가죽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70010141A 2017-01-23 2017-01-23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1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141A KR102011187B1 (ko) 2017-01-23 2017-01-23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141A KR102011187B1 (ko) 2017-01-23 2017-01-23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568A KR20180086568A (ko) 2018-08-01
KR102011187B1 true KR102011187B1 (ko) 2019-08-14

Family

ID=6322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141A KR102011187B1 (ko) 2017-01-23 2017-01-23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1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539A (ja) 2001-03-01 2002-09-11 Kanehara Pile Kogyo:Kk 表面貼着用シート、表面貼着物貼着シート、金属箔転写シート及び金属箔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171446A (ja) 2003-12-15 2005-06-30 Toppan Printing Co Ltd 揮発性有害物質を遮断する壁紙
JP2007224471A (ja) * 2006-02-27 2007-09-06 Dainippon Ink & Chem Inc 金属調意匠層を有する皮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3300A (ja) * 1990-08-09 1992-03-26 San Fine Chem Kk メタリック転写シート及び転写方法
JP3098799B2 (ja) * 1991-06-07 2000-10-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工程離型紙
JP3235943B2 (ja) * 1995-02-06 2001-12-04 黒田 暢夫 熱可塑性合成樹脂シート製の装飾片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539A (ja) 2001-03-01 2002-09-11 Kanehara Pile Kogyo:Kk 表面貼着用シート、表面貼着物貼着シート、金属箔転写シート及び金属箔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171446A (ja) 2003-12-15 2005-06-30 Toppan Printing Co Ltd 揮発性有害物質を遮断する壁紙
JP2007224471A (ja) * 2006-02-27 2007-09-06 Dainippon Ink & Chem Inc 金属調意匠層を有する皮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568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6726A (zh) 装饰性膜以及与其整合的制品
JP2018016059A (ja) 加飾フィルム及びそれを貼り付けた物品
KR102406902B1 (ko) 고도로 장식된 튜브, 특히 고도로 장식된 적층 튜브
CN106707387A (zh) 一种炫彩高亮热帖反光布及制造工艺
KR102011187B1 (ko)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JP5903768B2 (ja) 転写箔、および転写箔の製造方法
CN201659721U (zh) 金属基板与外饰层结合的复合板材
CN106817859A (zh) 一种外壳及其制备方法
JP2012116219A (ja) 金属調加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02220B (zh) 用于层压在图像支持物上的具有金属消光饰面的可印刷薄膜和制造方法
KR102227264B1 (ko) 고주파 융착을 이용한 입체형 엠블렘 조립체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CN206863261U (zh) 一种炫彩高亮热帖反光布
KR102517193B1 (ko) 금속패턴이 형성된 열전사 필름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
CN205310957U (zh) 一种vmpet镀铝薄膜
CN210030456U (zh) 一种盖板
KR200364153Y1 (ko) 페트필름에 종이 장식지가 합지된 건조가열 접착시트지
CN210030457U (zh) 一种盖板
KR20120048870A (ko) 인테리어용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262324B2 (ja) 遊技盤用の盤面化粧板
KR101317560B1 (ko)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TWI580576B (zh) 異材質層疊複合材料及其製品
CN205853504U (zh) 一种压纹离型膜
KR101384925B1 (ko) 인테리어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7621B1 (ko) 원단용 입체 열전사 필름
CN215473535U (zh) 一种双层淋膜的聚氨酯防水透湿包装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