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154B1 -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 및 이러한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 및 이러한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154B1
KR102011154B1 KR1020137008747A KR20137008747A KR102011154B1 KR 102011154 B1 KR102011154 B1 KR 102011154B1 KR 1020137008747 A KR1020137008747 A KR 1020137008747A KR 20137008747 A KR20137008747 A KR 20137008747A KR 102011154 B1 KR102011154 B1 KR 10201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connector
connector
cable
conductor devi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904A (ko
Inventor
보 밀레픽
Original Assignee
록스텍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8290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1115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록스텍 아베 filed Critical 록스텍 아베
Publication of KR2013013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케이블 및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는,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연장되고 실드형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한 축방향 홈이 제공되는 압축성 보디(208)를 가지며, 상기 홈은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둘레 주위에 밀봉 끼움되도록 치수화되거나 치수화될 수 있다. 커넥터(200)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도체 장치는 압축성 보디(208)와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케이블 스크린 또는 외장 사이에 샌드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도체 장치(210)는 모듈형 커넥터(200)의 외부로 더 연장된다.

Description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 및 이러한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시스템{MODULAR CONNECTOR FOR CABLES OR PIPES AND SYSTEM COMPRISING SUCH MODULAR CONNECTOR}
본 발명은 실드, 스크린 또는 외장(armor)을 구비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의 효과적인 접지 또는 접합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모듈형 커넥터를 하나 또는 여러 개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전성 재료로 제조되는 케이블 스크린 또는 실드를 포함하는 전기적으로 차폐된 단수 또는 복수의 케이블은 여러가지 용도를 갖는다. 스크린의 목적은 차폐된 케이블을 통해서 전도되는 신호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거나, 케이블을 통해서 전도되는 신호에 의해 초래되는 전자파 장해(EMI)로부터 주위를 차단하거나 그 역으로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케이블은 또한, 케이블을 둘러싸는 금속 인클로저와 같은 외장을 구비할 수 있다. 정의가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스크린 또는 실드는 EMI가 케이블 내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그 기능을 계속 수행하는 반면에, 외장은 보통 케이블을 지면(지전위)과 접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므로 케이블 손상을 기계적으로 방지하거나 더 심한 고장을 방지하기 때문에 돌발적인 고장을 방지하는 그 목적을 수행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상기 목적은 그다지 양호하게 정의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스크린 또는 실드도 케이블 손상을 적어도 어느 정도 방지할 것이고(외장의 목적) 외장도 EMI 이동을 방지할 것이기(스크린 또는 실드의 목적) 때문이다. 이는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전기 설비에 대한 코드와 다양한 국내 및 국제 기준에 따르면, 이러한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은 구조물을 통과하거나 종단될 때 예를 들어 케이블을 주위와 접합하기 위해서 또는 무선주파수 장해(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가 벌크헤드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지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의 예로는 IEC 62305-x, EN 50164, UL 514B 및 CSA22.2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은 주로, 예를 들어 고전력 적용에서의 접지, 접합 및 등전위 접합, 피뢰와 같은, 지면 접합이 요구되거나 및/또는 잠재적으로 높은 전류가 빠져나가야 하는 적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높은 통전 용량이 요구되는 전기 설비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통상적인 케이블의 예는 금속 피복 케이블과 TECK 케이블, 또한 유선 외장 케이블(예를 들면, SWA 케이블)과 유선 편조(wired braid) 케이블(예를 들면, SWB 케이블)인 바, 즉 유해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케이싱을 갖는 고성능 케이블이다.
이 형태의 케이블에 대해 통상 두 가지 형태의 커넥터가 시판되고 있다:
1) 정규 케이블 커넥터가 사용되고 접지 기능은 커넥터의 제약을 벗어나 케이블에 연결된 접지선(grounding wire)에 의해 제공되는 기초 기술(low tech) 해결책.
이 해결책은 접지 위치가 노출되어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성능이 쉽게 인증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 장점으로부터, 즉 접지선과 접지 위치가 노출된다는 사실로부터 몇 가지 단점이 초래된다. 의도적이거나 의도적이지 않은 손상의 위험이 증가하고, 접지 케이블을 통해서 전류가 흐르는 고장이 발생할 경우 노출된 위치나 접지 케이블은 이차 손상(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장비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2) 한 쌍의 글랜드 너트(gland nut)가 서로를 향해 강요됨에 따라서 또는 유사한 기능에 의해서 접지 요소가 케이블 스크린을 향해 강요되는, 예를 들어 US 5 059 747호 또는 US-RE-38 294 E호에 따른 커넥터.
이 해결책의 한 가지 장점은 접지 위치가 커넥터 내부에서 보호된다는 것이다. 이 해결책의 한 가지 단점은 커넥터가 다양한 치수의 케이블에 대해 쉽게 조절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형태의 커넥터를 사용하는 설비는 또한 면적 효율이 좋지 않다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글랜드는 적절히 기능하기 위해 토크가 인가될 수 있도록 접근 가능해야 한다.
추가적인 배경 기술은 전기파 및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 EP-A-058 876호에 반영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공지된 단점을 해결할 뿐 아니라 하기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추가 장점을 갖는 신규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신규 기술에 의해 달성되며,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관련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압축성 보디를 갖고, 실드형(shielded) 또는 외장형(armored)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모듈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압축성 보디에는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연장되고 실드형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한 축방향 홈이 제공되며, 상기 홈은 상기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둘레 주위에 밀봉 끼움되도록 치수화되거나 치수화될 수 있다. 소망의 접지 또는 등전위화를 달성하기 위해, 모듈형 케이블 커넥터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체 장치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전도체 장치는 압축성 보디와 케이블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전도체 장치는 모듈형 커넥터의 외부로 더 연장된다. 상기 전도체 장치는 비선형 경로를 따르는 적어도 두 개의 전도체를 포함한다. 전도체 장치를 케이블(또는 파이프 또는 와이어)을 향해 강요하기 위한 푸시 수단으로서 압축성 보디(탄성적이기도 함)의 사용은 특히 유익한데, 그 이유는 전도체 장치와 케이블 사이의 접촉면이 최적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도체 장치가 전기 접촉에 적합한 조건 및 적절한 충합(abutment)을 달성하기 위해 케이블(또는 파이프 또는 와이어)의 형상에 충실하게 적응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한 가지 추가적인 이점은 전도체 장치가 압축성 보디와 케이블(또는 파이프 또는 와이어) 사이에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케이블(또는 파이프 또는 와이어)에 접근하는 공기의 양이 제한될 것이라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전도체 장치는 우수한 내식성과 높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로서,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연장되고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배치하기 위한 축방향 홈이 제공되는 압축성 보디를 포함하는 모듈형 케이블이며, 상기 홈은 상기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둘레 주위에 밀봉 끼움되도록 치수화되거나 치수화될 수 있고, 상기 모듈형 케이블 커넥터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편조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편조 와이어는 압축성 보디와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케이블 스크린 또는 외장 사이에 샌드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편조 와이어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의 외부로 더 연장되는 모듈형 커넥터가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성 보디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편조 와이어 형태의 전도체 장치가 리세스를 통과하여 모듈형 케이블 커넥터의 외부로 연장되어, 큰 치수의 편조 와이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바, 이는 예를 들어 편조 와이어가 그 사이에 샌드위치되어도 두 개의 모듈 절반부가 상기 리세스에 의해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리세스는 또한 편조 와이어를 확실하게 압축성 모듈 내에 국한시킬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압축성 보디의 외부에서 대응 리세스가 연장되며, 따라서 예를 들어 편조 와이어는 상기 리세스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리세스의 폭은 편조 와이어의 폭과 일치할 것이며, 리세스의 깊이는 편조 와이어의 총 두께 또는 그 이하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세스는 편조 와이어가 모듈형 커넥터의 밀봉 능력을 방해하지 않게 하면서 편조 와이어를 위치시킬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형 커넥터는 그 제1 단부에서 온전한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둘레 주위에 밀봉 끼움되도록 치수화된다. 대체 실시예에서는,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치수에 맞게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 축방향 홈 또는 그 축방향 섹션에 적어도 하나의 박리성(peelable) 시트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는 훨씬 높은 정도로 밀봉하기에도 적합할 것이며, 박리성 시트는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또는 파이프 또는 와이어)에 대한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가변 치수에 맞게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축방향 홈의 길이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박리성 시트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개별 섹션이 배치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자명하며, 주로 모듈형 커넥터의 증가된 적응성에 연관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전도체 장치가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충합되는 압력을 변경하기 위해 전도체 장치와 압축성 보디 사이의 홈 안에 복수의 박리성 시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박리성 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성 밀봉 모듈이 구비된 밀봉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의 제1 절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의 제1 절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의 제1 절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특히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케이블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는 코어의 도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그 제6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의 제1 절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그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도시하는, 전도체 장치의 길이의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면 또는 그 관련 실시예와 관계없이 참조부호는 첫 번째 숫자가 도면의 번호를 지칭하고 나머지 두 숫자가 부품의 형태를 지칭하도록 선택되었다. 하기 설명은 케이블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파이프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강조되어야 하는 바, 왜냐면 파이프 역시 접지 및 접합에 관한 규칙과 규제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며 케이블용으로 설계된 커넥터 또는 트랜짓(transit)에 파이프가 매우 흔하게 끼워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본 발명과 관련한 규제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 케이블 와이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은 제1 측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개의 모듈형 케이블 커넥터(102)를 포함하는 밀봉 시스템의 도시도이다. 밀봉 시스템은 압축성 모듈형 케이블 커넥터(102)가 그 내부에 배열되는 프레임(101)을 포함한다. 모듈형 케이블 커넥터(102)는 그 안에 배치되는 케이블의 외부 치수에 적응될 수 있도록 그 적어도 일 단부에 박리성 재료층(105)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넥터는 두 개의 동일한 압축성 보디 또는 커넥터 절반부를 포함하며, 이들 절반부는 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대향 관계로 배치된다. 박리성 층은 각각의 커넥터 절반부 내의 홈 안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은 반원형이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모듈형 커넥터는 둘 초과의 압축성 보디 또는 단 하나의 압축성 보디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둘 이상의 압축성 보디의 사용은 케이블에 대한 조립을 단순화시킨다는 점에서 한 가지 장점을 갖는다. 케이블은 매우 길 수도 있으며, 분할 가능한 커넥터를 갖는 것은 커넥터가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서 어느 곳에나 쉽게 배치되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배치는 또한 기존의 케이블 시스템에 대한 커넥터의 개조를 간단하게 한다.
압축성 보디는 탄성적이어야 하며, 적합한 재료는 경우에 따라 추가 충전재를 갖는 EPDM 고무와 같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일 수 있지만, 다른 대안도 가능하다. 모듈형 커넥터(110)는 본 설명의 이하 섹션에서 기술될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고무 코어(106)는 밀봉을 제공하도록, 또한 케이블이 배치되지 않으면 박리성 층(105)을 위치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듈형 케이블 커넥터(102)의 열(row) 사이에 스테이 플레이트(stay plate)(104)가 또한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 플레이트(104)는 이러한 경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모듈형 커넥터(102)를 배치하도록 및 압축 유닛(103)으로부터의 압축을 분배시키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과도하게 축소시키지 않기 위해서, 모듈형 커넥터의 압축에 이용될 수 있는 압축 수단의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추가로, 스테이 플레이트(104)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도 이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들 구성요소에 관하여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탄성적 압축성 보디의 사용은 커넥터를 통해서 연장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기타 서비스와의 부드러운 결합을 제공한다. 또한, 압축성 보디의 탄성적 속성은 진동의 감쇠로 귀결되는 바, 이 또한 유익한 특징이다. 압축성 보디는 특정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맞춤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특히 종래 기술에 비해서 면적 효율이 양호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완전성 및 안전성 또한, 본 발명의 배경 기술 섹션에 기재된 기초 기술 해결책에 따른 해결책에 비해서 크게 증가된다.
상기 및 하기 설명으로부터 자명한 특징은, 전류가 프레임으로 직접 인도되거나 스테이 플레이트(104)를 거쳐서 프레임(101)으로 인도되거나에 관계없이 또는 (도 2 내지 도 4에 관한 후속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지듯이) 전류가 먼저 인접한 커넥터의 예를 들어 편조 와이어와 같은 전도체 장치 사이로 이송되고 이후 (프레임이 사용될 경우) 프레임으로 이송되면, 프레임이 지면에 접속되는 수집 막대로서 작용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통합되는 프레임 형태의 수집 막대는 정규 수집 막대보다 접근하기 어렵고, 이는 안전 관점에서 유익할 수 있다.
관련 모듈형 커넥터가 지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한 프레임 내의 모듈형 커넥터 전부가 본 발명의 종류일 필요는 없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류는 지면에 도달하기 위해 여러 루트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내부 저항은 낮다. 이는 고장 없이 큰 전류가 이송될 수 있는 능력을 초래하는 한 요인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밀봉 기능을 제공할 것이지만, 실제 적용에서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갖는 커넥터로서의 특성만으로도 종래 시스템에 비해 충분히 유리하기 때문에 이 밀봉 능력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할 수 있거나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시스템에 적어도 배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의 사시도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케이블 커넥터(200) 용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커넥터 절반부(208) 중 하나를 기본적으로 도시한다. 압축성 보디(208)의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연장되는 축방향 반원형 홈이 압축성 보디(208)에 어떻게 제공되는지와 상기 홈(232) 안에 박리성 재료 시트(205)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블라인드(206) 또는 고무 코어도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그 내부에 케이블이 배치되기 전에 제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라인드(206)는 커넥터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되지 않으며, 특히 편조 와이어(210) 형태의 전도체 장치가 배치되는 부분만큼 연장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블라인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절취부를 구비할 수 있다. 편조 와이어(210)의 길이는 홈의 대략 중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커넥터 절반부(208)의 둘레 주위에, 홈의 대략 중간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상기 길이의 제1 단부는 제2 단부와 대면하고 상기 편조 와이어(210)는 커넥터의 "내부"(사용 중에 접근 불가능)를 외부(사용 중에 접근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주위 장비와 접촉할 수 있음)에 연결한다. 편조 와이어(210)는 특정 사용 분야에 맞게 치수화될 수 있다. 사용 시에, 실드형 케이블(520)의 외부 재킷은 그 작은 세그먼트에서 스트리핑되며(stripped) 이는 예를 들어 케이블 스크린(또는 실드 또는 외장,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함)을 상기 세그먼트에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편조 와이어 및 이러한 전도체 장치에 대한 대안이 여러가지 존재하며, 예를 들어 얇은 구리선이 여러 용도에서 적합한 선택인 바, 그 이유는 구리선을 주석으로 코팅하면 이러한 구리선의 유익한 특성에 추가적으로 훨씬 우수한 내구성, 수명 및 강도가 제공되기 때문이다. 케이블(520)은 이후 편조 와이어(210)가 스트립 세그먼트와 접촉하여 적절한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커넥터(200) 내에 배열된다. 모듈형 케이블 커넥터(200)가 압축됨에 따라, 편조 와이어(210)는 스크린을 향해 강요될 것이며, 압축성 보디(208)와 편조 와이어(210)가 모두 가요성이기 때문에 접촉 면적은 최대화될 것이다. 금속 외장이 종종 불규칙한 표면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어 주름형 또는 파형이기 때문에, 이것은 특히 중요할 수 있다. 최대화된 접촉 면적은 전기 저항을 감소시킬 것이며, 과도한 발열이 없이 스크린(522)(도 5 및 대응 설명 참조)으로부터 편조 와이어(210)로 높은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기 결합 영역에서 공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도, 상당한 압축으로 인해 잔존 공기의 양이 감소될 것이다. 추가로, 접촉 영역은 전기 절연성 재료로 둘러싸일 것이다. 마지막 두 가지 효과는 스파크 발생 위험이 없이 높은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하거나 또는 접촉 영역이 노출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접지 케이블(예를 들면, 편조 와이어)의 타버림에 기여할 것으로 믿어진다. 스파크 발생 위험의 감소는, (다량의 가연성 연기 등으로 인해) 폭발 위험이 임박한 위치에 케이블 커넥터를 사용할 때 특히 유익하다. 스파크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과 환경 사이의 시일은 잠재적 발화의 전파를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을 것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또는 외부 재킷(522)의 제거에 의해 초래되는 케이블 직경의 감소(도 5 및 대응 설명 참조)와 조합되는 압축성 보디(208) 및 편조 와이어(210)의 탄성 특성은 타이트한 시일의 달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제3 실시예는 이 가정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 먼저, 도 3의 도면이 도 2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도 2의 설명과 조합되는 도면부호로부터 자명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반복하는 것은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도 3의 도면에서는 블라인드 또는 코어가 빠져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박리성 시트(305, 305')의 배치에 있어서의 주요 차이점에 대해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박리성 시트는 커넥터 절반부(308)의 축방향 길이 방향에 걸쳐서 분할되는 두 개의 개별 섹션(305, 305')으로 배치된다. 편조 와이어(310)는 하나의 섹션(305) 내에(또는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모듈형 커넥터(300)의 내부 치수의 변동은 압축성 보디(308) 및 편조 와이어(310)의 고유 탄성에 의해 도달 가능한 구간(interval)을 넘어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변동은 커넥터(300)의 비교적 짧은 길이에 걸쳐서 케이블(520)의 직경(또는 둘레)이 크게 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변동의 예상되는 이유는, 커넥터의 길이의 부분을 따라서 케이블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층이 제거되었기 때문이고, 이 경우에 제거될 박리성 시트의 개수는 두 섹션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홈(332)의 유효 직경이 길이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홈(432)의 유효 직경이 변경될 수 있는 세 개의 이러한 섹션(405, 405', 405")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 훨씬 더 정교하다. 도 4의 실시예에서, 편조 와이어(410)는 중간 섹션(405')에 배치되며, 이는 그 양쪽에서 주위 섹션에 의해 타이트한 시일이 얻어질 수 있게 한다. 섹션들 중 하나의 섹션(405")은 또한 개별 전도체가 노출될 경우 이들 개별 전도체[도 5의 "서브케이블(528)" 참조]의 부드러운 위치설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 고장 및 숏컷을 초래하는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이 섹션(405")은 대체 실시예에서 각각의 개별 전도체에 하나의 개구를 제공한다. 세 개의 섹션을 갖는 실시예는, 예를 들어, 외부 재킷(522)이 두꺼운 경우에[이에 따르면 외부 재킷(522)이 제거될 때 유효 직경이 크게 변경될 것임] 또는 모듈형 커넥터(400)를 통과할 때 케이블의 치수가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경우에, 케이블의 상당한 크기 변동에 대해 유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효과의 일부는 적응성이 덜한 커넥터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넥터 절반부의 축방향 홈은 상이한 유효 직경을 갖는 섹션들을 포함한다. 그 결과적인 커넥터는 이후 대단히 특정한 성질의 케이블에 대해 개별 맞춤될 것이며, 이러한 점에서 박리성 시트를 이용하는 실시예보다 적응성이 낮을 것이다. 그 길이를 따라서 상이한 유효 직경을 갖는 홈은 커넥터 절반부의 홈 안에 다양한 두께의 인레이(inlay)를 하나 이상 배치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으며, 그 일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서의 박리성 시트를 모듈의 전체 길이를 따르는 단일 인레이(여러 섹션에서 상이한 직경을 가짐) 또는 각 섹션에 대한 단일 인레이로 교체함으로써 쉽게 이해된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 따르면, 커넥터는 수밀한 시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실제 적용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이제까지 예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체 장치는 전체적으로 압축성 보디의 축방향 홈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체로 홈(또는 그 안에 배치된 박리성 재료 시트의)의 내주를 따라서 연장된다. 전도체 장치가 축방향 홈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실시예도 실현 가능함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도체 장치는 커넥터 절반부의 일 단부 주위로 그 외측(홈을 포함하는 측에 대향하는 측)에 도달하도록 절첩될 수 있다. 이는 도 1에서 도면부호 110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편조 와이어는 이웃하는 모듈형 커넥터, 스테이 플레이트를 거쳐서 지면에 접속되거나 프레임 등을 거쳐서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조 와이어는 단부 주위로 절첩되지 않으며, 오히려 보다 직접적인 방식으로 지면에 접속된다. 이 제2 군의 실시예가 갖는 잠재적 단점은, 커넥터 내에 배치된 케이블과, 편조 와이어가 빠져나가는 커넥터 단부(도 1에서 볼 수 있는 단부) 내의 커넥터 사이에 밀봉을 달성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장점은, 테스트를 위해 편조 와이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며, 예를 들어 편조 와이어와 지면 사이의 접속이 쉽게 검증 및 테스트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실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하기 예시되는 편조 와이어 형태의 전도체 장치는, 그것이 배치되는 모듈 및/또는 인접 모듈의 밀봉 또는 적층 능력과 간섭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편조 와이어는 또한 조립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 불필요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모듈형 커넥터 또는 커넥터 절반부 밖으로 안내하는 리세스가 모듈형 커넥터 또는 커넥터 절반부(또는 더 정확히 말해서 그 압축성 보디)의 외주의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리세스는 그 안에 전도체 장치가 배치되기 때문에 도면에서 직접 볼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조립을 방해하거나 모듈형 커넥터의 시스템 또는 모듈형 커넥터의 밀봉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하나 이상의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조립될 수 있다. 실제 경우에, 리세스에 의해 초래되는 접촉면의 감소는 명백히 밀봉 능력을 저하시킬 것이지만, 밀봉 능력은 편조 와이어가 단순히 외주를 따라서 인도되는 경우에 비해서 개선될 수 있다. 리세스는 편조 와이어의 폭의 공차를 허용할 수 있도록 (커넥터의 축방향으로) 편조 와이어의 폭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다. 리세스의 깊이는 편조 와이어와 주위 구조물 사이의 전기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편조 와이어의 두께(신장된 상태에서 측정됨)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리세스의 깊이는 편조 와이어의 두께보다 약 0.05 내지 0.5mm 작고, 바람직하게는 약 0.3mm 작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약 0.1mm 작다. 이 치수는 압축성 보디의 탄성에 종속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 리세스의 깊이는 심지어 편조 와이어의 두께 이상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편조 와이어는 접착제에 의해 리세스에 부착될 수도 있다. 편조 와이어의 자유단(도 2 내지 도 4에서 홈 안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부분에 해당)에도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편조 와이어의 자유단에는 라이너를 갖는 접착제 전달 필름이 제공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홈의 유효 직경을 조절한 후 라이너를 제거하고 자유단을 홈에 부착할 수 있다.
리세스는 적당한 크기를 갖는 연마석이나 연마 벨트와 같은 연마 수단을 사용하여 가공될 수 있다. 리세스는 또한 압축성 보디의 제조 중에 성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두 개 또는 세 개와 같은 하나보다 많은 리세스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또는 각각의 리세스는 하나 초과의 전도체 장치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될 수 있다. 여러 개의 전도체 장치를 추가함으로써, 커넥터의 전류 전도 성능이 증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그 안에 축방향 홈이 구비되고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압축성 보디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성 보디에 전도체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압축성 보디 내에 리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속 단계에서 상기 리세스 내에는 전도체 장치가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세스는 축방향 홈의 하나의 측방 에지로부터, 축방향 홈에 직교하여, 압축성 보디의 둘레 주위에, 축방향 홈의 대향 측방 에지로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전도체 장치를 리세스에 접합하기 위해 리세스와 전도체 장치 사이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축방향 홈 내에 박리성 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박리성 층의 둘 이상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박리성 층을 축방향 홈의 방향에 직교하여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커넥터는 현재 가장 보편적인 형상인 평행육면체 형상(또는 벽돌 형상) 또는 원통형 형상일 수 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 다른 형상이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 특정 실시예의 유용성 또는 심지어 필요성을 알기 위해서는, 커넥터를 통해서 인도될 수 있는 통상적인 케이블(520)을 관찰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520)의 개략 측면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가 알고 있듯이, 도시된 케이블이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형태의 케이블(520)은 아니라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도 5의 케이블(520)은 PVC로 제조될 수 있는 외부 재킷(522)을 갖는다. 외부 재킷(522)은 나선형으로 권선된 인터로킹 금속 또는 연속 금속 파이프와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는 외장(524)을 보호한다. 외장(524)은 외부 재킷(522)과 같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내부 재킷(526)을 보호한다. 차폐 금속 테이프(527)는 내부 재킷(526) 내에서(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세 개의 서브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케이블(528)은 절연 실드, 추가 절연체, 전도체 실드 및 전도체(어느 것도 도 5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케이블이 이 복합체일 수 있지만 본 발명 및 그 실시예의 사용을 위해서는 이 복합체여야 할 필요가 없음에 다시 한 번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장(524)의 한 가지 목적은 내부 배선을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며, 별도의 스크린이 역시 이 목적을 위해서 추가될 수 있다고 해도[예를 들어, 상기 예에서는 "차폐 금속 테이프(527)"] 상기 외장은 또한 EMI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으로 작용할 것이다. 외장(524)의 다른 목적은 특정 종류의 전기적 장해의 경우에 안전장치로서 작용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장해가 발생할 경우 고전류를 통전시켜서 외장(524)을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기적 장해의 경우에 이들 고전류를 케이블 외장으로부터 다른 데로 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형태의 외장(524)을 갖지 않는 케이블이 존재하며, 이 경우에 실드 또는 스크린은 EMI 방지 및 접합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은 그 형태의 케이블을 위한 그 목적도 명백히 수행할 것이다. 상기 케이블은 또한 전용 EMI 스크린 없이 외장만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의 단면 형상 및 치수는 큰 공차를 가지며,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은 유익한 대안에 대한 탄력성과 적응성을 갖는다.
커넥터(-00)의 목적이 단순히 케이블(500)을 접지시키는 것인지(이 경우 케이블이 커넥터에 들어가고 나올 때 벗겨져서 그 사이의 외장이 노출될 때 외부 재킷은 케이블 상에 존재함) 아니면 그 목적이 커넥터에 진입하는 케이블이 일 단부에 외부 재킷을 갖고 다른 단부에서는 서브케이블 또는 내부 전도체가 노출되게 하며 상기 케이블을 이들 단부 사이에서 접지시키는 것인지에 따라서, 필요한 커넥터(-00)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것이다. 본 명세서를 참조하면, 첫 번째 상황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가 충분할 수 있는 반면에, 두 번째 상황에서는 특히 모듈형 커넥터의 양 단부에서의 밀봉이 요망될 경우에 제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0)가 필요할 수 있다.
그 여러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적절한 밀봉 특성 및 입증된 수명을 제공하는 튼실한 재료로 제조되는, 낮은 저항과 높은 내전력성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커넥터는 금속 피복 케이블, TECK 케이블, 또는 기타 외장형 케이블에 우수한 종결자(terminator)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야에 사용되는 의미에서의 종결자는 케이블의 외부 실드 또는 재킷을 종결짓기 위해, 즉 실드 재킷을 지면과 접속하고 커넥터의 다른 쪽에서 실드 또는 재킷을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로부터 자명하듯이, 그 여러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길이를 따라서 배치되는 종결자 또는 간단히 트랜스퍼 내에서라고 해도, 전류가 파이프, 케이블 스크린, 실드, 재킷 등으로부터 지면으로 인도되어야 하거나 인도될 수 있을 때는 언제나 유용하다. RFI의 전파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실시예에서는, 고전류의 이송 능력에 대한 요구조차도 없을 수 있지만, 낮은 내부 저항 및 커넥터 모듈의 편의성은 사용자에게 여전히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구비될 수 있는 코어(606)의 사시도이다. 상기 코어(606)에는 절취부(612)가 제공된다. 절취부(612)는 코어(606)의 길이를 따라서 코어 재료의 상당한 부분이 제거된 세그먼트에 해당된다. 절취부(612)의 위치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내에서의 전도체 장치의 위치에 상관된다. 코어(606)의 설계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커넥터 절반부 및 그 안에 제공되는 코어(606)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절취부(612)가 코어(612)의 중심선을 지나서 연장되면, 도 6에 도시하듯이, 절취부(612)는 커넥터 절반부 양자의 편조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절취부가 그렇게 멀리 연장되지 않아도 달성될 수 있지만, 모듈의 밀봉 능력에 국소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많은 적용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이 해결책은 하나 초과의 유익한 특징을 갖는다. 한 가지 특징은 조립체와 그 안에 배치된 코어가 편조 와이어의 (내측) 단부를 손상 및 불필요한 노출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을 조합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쉽게 이해된다. 또한, 압축성 보디의 홈 안에 박리성 재료 시트가 배치될 경우 코어(606)는 박리성 재료 시트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것이다. 코어(606)가 원 피스로 형성되는 것은 조립 측면에서도 유익하다.
개시된 여러 실시예에서, 압축성 보디(-08)는 평행육면체 외형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의 정확한 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성 보디는 원통형 외형을 가질 수도 있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두 개의 반원통형 또는 반환형 압축성 보디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일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7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모듈형 커넥터는, 커넥터 절반부가 반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 이외에, 전술한 모듈형 커넥터와 유사하다. 모듈형 커넥터(700)는 그 축방향 양 단부에 각각 이음쇠(fitting)(714, 716)를 가지며, 이들 이음쇠는 대응 압축성 보디(708)의 보어를 통해서 연장되는 나사(718)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사용 시에, 도 7에 도시된 조립체는 그 안에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배치된 상태에서 개구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나사를 조임으로써 압축성 보디(708)(각각의 반환형 압축성 보디)는 축방향으로 압축될 것이며,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주위 구조물을 향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반경방향(내측 및 외측)으로 팽창될 것이다.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없을 때, 코어(706)는 적당한 시일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편조 와이어(710)와 같은 전도체 장치는 기본적으로 이전 실시예에 대한 경우에서와 같이 압축성 보디(708)의 둘레 주위로 연장된다.
상기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편조 와이어는 다른 전기 커넥터로 교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체 전기 커넥터의 한 가지 중요한 특징은, 그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종방향 압축 또는 신장을 흡수하기에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커넥터는 둘 이상의 전도체를 포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금속 테이프 또는 스트립은 그 성능이 제한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하는 바, 그 이유는 신장이 가시적 또는 비가시적 스케일의 파열 형성을 초래할 수 있고 압축이 주름 형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것은 매우 높은 전류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테이프 또는 스트립을 코너 주위에서 절첩하는 과정도 내부 저항에 상당히 영향을 줄 것이며 이것은 또한 높은 전류를 받을 때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도 지적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합리적으로 검토해보면, 전류는 케이블로부터 테이프 또는 스트립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코너를 통과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훨씬 더 어려울 것이며, 결과적으로 코너는 이러한 시스템의 성능에 대한 제한 요인이 될 것이다. 많은 적용에서, 이것은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며, 테이프 또는 스트립을 사용하는 기존 시스템이 그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 내에 전도체를 여러 개(적어도 두 개 이상, 일반적으로 둘보다 훨씬 많은 개수) 사용하면 이 문제가 나타나지 않을 것인 바, 부분적으로 그 이유는 각각의 전도체가 작은 크기이고 보다 유연하기 때문이다. 여러 개의 전도체를 사용하는 것의 추가 장점은, 단일의 대형 전도체와 동일한 유효 단면적에 대해서 여러 개의 소형 전도체가 훨씬 큰 표면적을 나타낼 것이라는 점이다. 이 특징은 여러가지 유익한 효과를 갖는 바, 예를 들면 소위 스킨 효과로 인한 고주파의 이송에 유익하며, 다수의 전도체는 다른 상황에서도 유익하다.
편조 와이어에 대한 일부 대안은 예를 들어, 니티드(knitted) 와이어, 직조(woven) 와이어, 금망(wire cloth) 또는 와이어 메쉬일 것이며; 보다 일반적으로는 각각 비선형 경로를 따르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유효 전도체를 설치할 것이다. 일부의 또는 심지어 대부분의 니티드 와이어는 실제로 단일의 전도체만 사용하지만, 그 단일 전도체는 하나 초과의 유효 전도체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이것은 본 발명 및 그 실시예의 목적을 위한 하나의 관련 특성이다. 이러한 대체 전도체 장치의 개별 전도체가 비선형 경로를 따를 수 있어도, 전도체 장치는 확실히 일반적인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편조 와이어는 그 전도체의 비선형 경로가 전류 이동을 위한 너무 긴 경로를 초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대안에 비해서 여전히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도체 장치의 단면은 폭(W)이 높이(H)(또는 두께)를 초과하는 세장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는 높이가 폭의 50% 미만이며,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폭의 30% 미만이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폭의 약 20%이다. 훨씬 더 편평한 단면이 예견된다. 사용되는 일부 편조 와이어는 편평한 상태에서 약 1/20 내지 1/10의 높이 대 폭 비율을 갖는다.
당업자는 임의의 전도체가 흡수할 수 있는 압축 또는 신장의 정도에 제한이 있음을 알지만, 파라미터가 본 발명의 문맥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는 것도 알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편조 와이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현재 바람직한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대체 전도체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일반화가 상기 실시예에서의 편조 와이어를 대체할 수 있음이 강조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의 실제 성능은 전도체 장치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다양한 구성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교체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대체 실시예에 대한 완전한 설명은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과 청구범위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의 특징은 각각의 커넥터 절반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모듈형 커넥터는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두 개의 커넥터 절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청구된 발명의 특징은 본 명세서에 따른 하나의 커넥터 절반부와 하나의 정규 커넥터 절반부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대해서 수행될 것임을 알아야 한다. 정규라는 것은 커넥터 절반부에 편조 와이어 및 편조 와이어를 수용하는 장치가 없음을,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조립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두 개의 커넥터 절반부를 포함한다.
그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의 조립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연장되고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배치하기 위한 축방향 홈이 제공되는 압축성 보디를 포함하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홈은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둘레 주위에 밀봉 끼움되도록 치수화되거나 치수화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형 커넥터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체 장치(-10)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축방향 홈 안에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배치하고, 상기 전도체 장치의 일부를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축방향 홈 사이에 효과적으로 샌드위치시키는 단계.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 홈 안에 배치되기 전에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전기 절연성 외층을 제거하는 단계,
- 축방향 홈 안에 배치된 박리성 재료 층을 제거함으로써 축방향 홈의 유효 직경을 조절하는 단계,
- 홈의 표면을 따라서 전도체 장치의 자유단을 배치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는
- 상이한 개수의 층을 제거하거나 추가함으로써 또는 축방향 홈의 길이를 따라서 가변적인 두께의 층을 하나 이상 삽입함으로써 축방향 홈의 유효 직경을 축방향 홈의 길이를 따라서 상이한 양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용은 적절한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명백히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따라서 "적절한") 밀봉 정도가 존재하며, 모듈형 커넥터는 유체, 가스, 불, 설치류, 흰개미, 먼지, 습기 등에 대해 밀봉할 수 있으며, 전기, 통신, 컴퓨터 등의 용도의 케이블 또는 와이어, 물, 압축 공기, 유압 유체 및 조리용 가스와 같은 다양한 기체 또는 액체용 파이프, 또는 하중 유지를 위한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편조 와이어 또는 사용되는 대체 전도체 장치의 자유단은 홈 안에서 만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편조 와이어와 케이블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한다. 편조 와이어 또는 본 명세서에서 한정되는 임의의 다른 대체 전도체 장치의 자유단이 홈의 에지를 지나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편조 와이어의 길이와 일치할 경우, 자유 에지의 총 길이는 홈의 내주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이 반원통형인 경우, 이는 대응 원의 원주의 절반 또는 π*D*0.5에 해당되며, 여기에서 D는 홈의 직경이다. 홈의 치수가 가변적인 실시예에서, 자유단의 총 길이는 최대 홈에 대해 수행되는 상기 요건에 해당한다. 최소 홈 치수가 사용되는 경우, 전도체 장치는 다듬질(trim)된다. 자유단은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된 상태에서 자유단 사이의 거리는 많은 실시예에서 허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전도체 장치의 자유단의 총 길이는 홈의 내주의 약 50 내지 1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7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90 내지 100%일 수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234는 제1 자유단의 길이를 도시하는 쌍두형 화살표를 나타내며, 동일한 방식으로 정의되는 대향 자유단의 길이의 추가는 자유단의 총 길이로 귀결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커넥터 모듈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추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도성 재료 섹션을 포함함으로써, 커넥터 모듈(800)은 무선주파수장해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도성 재료는, 도 8에서 전도성 섹션(830)이 보이도록 그 리세스(811)로부터 절첩되어 있는 편조 와이어(810)와 전기 접촉되어야 한다. 전도성 재료의 섹션은 실제 섹션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바, 즉 전도성 층(830)은 축방향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축성 모듈(800) 내에 샌드위치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섹션은 두 개의 박리성 재료 적층체로 효과적으로 분할되는 박리성 재료 층(805')을 통해서 돌출한다(이러한 층이 배치될 경우). 실제로 이것은 각각의 압축성 보디의 홈이 정렬되는 전도성 재료 섹션의 양쪽에 압축성 보디(808)를 배치하는 것에 해당되며, 박리성 재료의 층(805')은 경우에 따라서 각각의 홈에 배치된다. 리세스(811)와 편조 와이어(810)를 전도성 섹션(830)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전도성 섹션과 편조 와이어 사이의 전기 접촉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실시예에서, 전도성 섹션(830)은 장방형 형상을 갖고 홈 안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그 안에 배치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대한 전기 접촉을 보장한다. 전도성 재료가 홈 안으로 연장되는 양은 간단히 재료의 그 부분을 찢어내거나 절취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도성 섹션은 예를 들어 압축성 보디(805')의 전체 체적 내에 전도성 입자를 혼합시킴으로써 및 홈 안에 배치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압축성 보디(805') 사이에 임의의 박리성 재료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후자의 해결책은 일반적으로 전자에 비해 비용이 더 들며, 이는 적어도 현재의 상황에서 덜 유익하다. 이들 실시예는 EMI(전자파 장해) 또는 RFI(무선주파수 장해)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며, 따라서 커넥터 모듈은 전체적으로 많은 전기적 장해(번개, 단락 등)와 공기중(airborne) 장해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것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며 그 교시 내용이 예를 들어 도 2, 도 3 및 도 5의 실시예뿐 아니라 그 조합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해야 한다.
이상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스크린 또는 재킷을 갖는 케이블이 예로서 사용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현 시점에서 명확한 용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전기 전도성 재질의)뿐 아니라 모선(busbar) 및 정규 배선과 같은 다른 전도체도 본 발명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박리성 시트는 압축성 보디의 재료와 유사한 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충전재를 갖는 EPDM 고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듈형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단일 프레임 내에 여러 개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단일 케이블의 융통성있는 배치도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설명에 따른 프레임 및 압축 유닛이 제공될 수 있지만, 복수의 압축 유닛 및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 출원인에 의한 이전 특허 출원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을 수 있을 것이며, 제품 정보는 본 출원인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이며,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연장되고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배치하기 위한 축방향 홈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성 보디를 갖고,
    상기 홈은 상기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둘레 주위에 밀봉 끼움되도록 치수화되거나 치수화될 수 있고,
    상기 모듈형 커넥터는 2개의 커넥터 절반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절반부는, 적어도 두 개의 전도체를 구비하는 가요성의 전도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도체는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비선형 경로를 따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도체 장치는 또한 압축성 보디와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케이블 스크린 또는 외장 사이에 샌드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도체 장치는 상기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의 외부로 더 연장되고,
    비선형 경로를 따르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전도체를 갖는 상기 전도체 장치는 편조 와이어, 니티드 와이어, 직조 와이어, 와이어 메쉬 및 금망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모듈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장치의 길이 방향은 상기 축방향 홈에 평행한 모듈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장치의 길이 방향은 상기 축방향 홈에 직교하는 모듈형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보디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 장치는 리세스를 통과하여 모듈형 커넥터의 외부로 연장되는 모듈형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압축성 보디의 외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모듈형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커넥터는 그 제1 단부에서, 온전한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둘레 주위에 밀봉 끼움되도록 치수화되는 모듈형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치수에 맞게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축방향 홈 안에 적어도 하나의 박리성 재료 시트가 배치되는 모듈형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실드형 또는 외장형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가변적 치수에 맞게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 축방향 홈의 길이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박리성 시트의 적어도 두 개의 개별 섹션이 배치되는 모듈형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장치와 압축성 보디 사이에서 축방향 홈 안에 적어도 하나의 박리성 재료 시트가 배치되는 모듈형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커넥터의 축방향 연장부를 따르는 둘 이상의 섹션에 적어도 하나의 박리성 시트가 배치되며, 인접하는 섹션들은 상호 분리되어 있는 모듈형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보디는 둘 이상의 리세스를 포함하며, 각각의 리세스를 통해서 단수 또는 복수의 전도체 장치가 연장될 수 있는 모듈형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홈의 유효 직경은, 압축성 보디 내의 홈의 유효 직경의 변경 및 홈 안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인레이의 사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단에 의해, 상기 모듈형 커넥터의 길이를 따라서 변경되는 모듈형 커넥터.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장치의 자유단의 전체 길이는 홈의 내주의 50 내지 100%인 모듈형 커넥터.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장치의 단면은 세장형이며, 높이가 폭의 50% 미만인 모듈형 커넥터.
  15. 삭제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립체이며,
    홈 안에 배치되는 코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홈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도체 장치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절취부를 갖는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기본적으로 반원통형이며, 상기 코어의 반경방향으로 코어의 절반보다 많이 연장되는 조립체.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이며,
    상기 커넥터의 압축성 보디의 외측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압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은 축방향 홈으로 전달되어 그 반경방향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형 커넥터의 제조 방법이며,
    그 안에 축방향 홈이 구비되고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압축성 보디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성 보디에 대해 그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축방향 홈으로부터 모듈형 커넥터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도체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보디 내에 리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후속 단계에서 상기 리세스 내에 전도체 장치가 배치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축방향 홈의 하나의 측방 에지로부터, 축방향 홈에 직교하여, 압축성 보디의 둘레 주위에, 축방향 홈의 대향 측방 에지로 연장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전도체 장치를 리세스에 접합하기 위해 리세스와 전도체 장치 사이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삭제
KR1020137008747A 2010-09-17 2011-09-13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 및 이러한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1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050971 2010-09-17
SE1050971-9 2010-09-17
SE1100176-5 2011-03-11
SE1100176 2011-03-11
PCT/EP2011/065803 WO2012034988A1 (en) 2010-09-17 2011-09-13 Modular connector for cables or pipes and system comprising such modular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904A KR20130139904A (ko) 2013-12-23
KR102011154B1 true KR102011154B1 (ko) 2019-08-14

Family

ID=4582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747A KR102011154B1 (ko) 2010-09-17 2011-09-13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 및 이러한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8814596B2 (ko)
EP (2) EP3651293A1 (ko)
JP (1) JP5932795B2 (ko)
KR (1) KR102011154B1 (ko)
CN (3) CN102544879A (ko)
AR (1) AR082997A1 (ko)
AU (1) AU2011303943B2 (ko)
BR (1) BR112013006314B1 (ko)
CA (1) CA2811329C (ko)
CL (1) CL2013000706A1 (ko)
DK (1) DK2617112T3 (ko)
ES (1) ES2779424T3 (ko)
MX (1) MX2013002847A (ko)
MY (1) MY159695A (ko)
PL (1) PL2617112T3 (ko)
RU (1) RU2585011C2 (ko)
SA (1) SA111320754B1 (ko)
SG (1) SG189004A1 (ko)
TW (1) TWI565171B (ko)
WO (1) WO20120349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2886B1 (en) 2022-07-12 2023-06-20 Genwire LLC Foldable electrical cable cla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303943B2 (en) * 2010-09-17 2014-08-28 Roxtec Ab Modular connector for cables or pipes and system comprising such modular connector
DE102014100796A1 (de) 2014-01-24 2015-07-30 cover it GmbH & Co. KG Kabelaufnahmeeinrichtungswandung und Kabelaufnahmeeinrichtung
JP5862710B2 (ja) * 2014-06-26 2016-02-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部材
SE1451192A1 (sv) * 2014-10-07 2016-03-08 Mct Brattberg Ab Insert block half
CN104901062B (zh) * 2015-04-29 2018-01-1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尾部附件及使用该尾部附件的连接器
CN105071321A (zh) * 2015-08-19 2015-11-18 江苏五信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多径电缆密封装置电磁屏蔽效能的方法
EP3182542B1 (en) * 2015-12-18 2018-01-31 Axis AB Cable trans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cable transit
SE539578C2 (en) * 2016-04-05 2017-10-17 Mct Brattberg Ab Insert half, and insert block comprising two of said insert halves
CN106764094A (zh) * 2016-11-18 2017-05-31 伊斯特密封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模块式电缆、管道贯穿密封装置
US10090659B2 (en) * 2017-02-16 2018-10-02 Bridgeport Fittings, Inc. Raintight fitting for jacketed metal clad cables
IT201700044246A1 (it) * 2017-04-21 2018-10-21 Wallmax S R L Modulo passacavi.
US11211779B2 (en) 2017-10-17 2021-12-28 Framatome Cable lead-through assembly, electrical assembly, an electrical cabinet and associated method
US10182507B1 (en) * 2018-01-12 2019-01-15 Axcen Photonics Corp. 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
DE102018109331A1 (de) * 2018-04-19 2019-10-24 Bimed Teknik Aletler Sanayi Ve Ticaret A.S. Strangdurchführungsvorrichtung
CN109103831B (zh) * 2018-07-26 2021-04-13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线槽穿墙构件
CN109217209A (zh) * 2018-07-28 2019-01-15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密封接线箱
RU187239U1 (ru) * 2018-11-06 2019-02-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стема ввода кабеля" (ООО "СВК") Пластина ограничительная
SE543123C2 (en) 2019-02-06 2020-10-13 Roxtec Ab Transition for an optical fiber cable
SE543754C2 (en) * 2019-11-26 2021-07-13 Roxtec Ab Seal with different compressions
SE543838C2 (en) * 2019-12-19 2021-08-10 Roxtec Ab Transit for passing at least one cable and/or at least one metallic pipe
BE1029279B1 (nl) 2021-04-07 2022-11-17 1Enclose Bv Kabeldoorvoer voor water- en stofdichte doorvoer van een kabel, behuizing met kabeldoorvoer, en werkwijze voor voeren van een kabel doorheen een kabeldoorvoer
CN113328285A (zh) * 2021-06-01 2021-08-31 云南农业大学 一种弱电线缆连接器
SE545523C2 (en) * 2021-06-30 2023-10-10 Roxtec Ab A sealing module for a cable or pipe and transit systems comprising such a sealing module
SE545999C2 (en) 2021-06-30 2024-04-09 Roxtec Ab A sealing module for cables or pipes, a transit system comprising such a sealing modu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ling module
CN113437712B (zh) * 2021-08-05 2022-02-18 上海交通大学 基于压力补偿的模块化多线缆过孔绝缘密封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8876A2 (de) 1981-02-13 1982-09-01 System- und Verfahrenstechnik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orrichtung zur Abschirmung elektrischer und elektromagnetischer Wellen bei dichten Durchführungen für Leitungsbündel durch eine Wand
EP1479958A1 (de) 2003-05-22 2004-11-24 GK-System GmbH Vorrichtung zur Abdichtung von eingesetzten Leitungen und/oder Kabel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8430A (en) 1967-01-23 1969-06-03 Thomas & Betts Corp Ground connector
US4273405A (en) 1979-08-13 1981-06-16 Thomas & Betts Corporation Jacketed metal clad cable connector
US4490576A (en) 1981-08-10 1984-12-25 Appleton Electric Co. Connector for use with jacketed metal clad cable
SE441795B (sv) 1984-03-23 1985-11-04 Lyckeaborgs Bruk Ab Skyddsanordning for att dempa pulsformad hogfrekvent, elektromagnetisk stralnings passage genom en brandskyddande genomforing
JP2613293B2 (ja) 1989-04-25 1997-05-21 北川工業 株式会社 クランプ
FR2652207B1 (fr) * 1989-09-21 1991-10-31 Framatome Sa Dispositif de mise a la masse de cables electriques.
US5059747A (en) 1989-12-08 1991-10-22 Thomas & Betts Corporation Connector for use with metal clad cable
US5083929A (en) 1990-04-17 1992-01-28 Hewlett-Packard Company Grounding bulkhead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DE4305071A1 (de) 1992-09-29 1994-08-25 Klein Guenther Industriebedarf Packsystem für die Durchführung von Kabeln durch Schirmwände
CN1163017A (zh) * 1994-07-11 1997-10-22 雷伊化学有限公司 电连接件
US5804770A (en) * 1995-09-19 1998-09-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ver equippe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a cover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2710767B2 (ja) * 1995-10-11 1998-02-10 北川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器
SE508755C2 (sv) 1997-03-27 1998-11-02 Roxtec Ab Ledningsgenomföring
US6034325A (en) 1997-09-16 2000-03-07 Thomas & Betts Corporation Connector for armored electrical cable
US5951327A (en) 1997-09-29 1999-09-1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nnector for use with multiple sizes of cables
NL1008638C2 (nl) * 1998-03-06 1999-09-07 Beele Eng Bv Doorvoerinrichting.
NL1008787C2 (nl) * 1998-04-02 1999-10-05 R & H Systems B V Methode voor het doorvoeren van elektrische kabels.
US6422900B1 (en) 1999-09-15 2002-07-23 Hh Tower Group Coaxial cable coupling device
DE10119736A1 (de) 2000-05-16 2001-11-29 Heidelberger Druckmasch Ag Kabelstütze für einen Schaltschrank
SE523975E (sv) * 2002-10-10 2008-11-05 Roxtec Ab Ram
SE526574C2 (sv) * 2003-06-17 2005-10-11 Roxtec Ab Modul och ram för kabelgenomföringar eller liknande
SE528691C2 (sv) * 2004-12-08 2007-01-23 Roxtec Ab Ram för att ta emot en eller flera elastiska moduler samt komprimeringsförfarande för en eller flera elastiska moduler som bildar kabelgenomföringar, rörgenomföringar eller liknande
SE528689C2 (sv) * 2005-05-30 2007-01-23 Roxtec Ab Ram med avskärmning vid kabel- och/eller rörgenomföringar i en vägg eller annan skiljedel
SE530482C2 (sv) * 2007-05-16 2008-06-17 Roxtec Ab Tätning med brandskydd
US7513795B1 (en) * 2007-12-17 2009-04-07 Ds Engineering, Llc Compression type coaxial cable F-connectors
SE532027C2 (sv) * 2008-02-15 2009-10-06 Roxtec Ab Genomföringsram med integrerad kompressionsenhet
EP2101384B1 (de) * 2008-03-12 2010-05-12 Hauff-Technik GmbH & Co. KG Leitungsdurchführungssystem durch eine Wandöffnung
SE533744C2 (sv) 2009-02-04 2010-12-21 Roxtec Ab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med modulariserade moduler
AU2011303943B2 (en) * 2010-09-17 2014-08-28 Roxtec Ab Modular connector for cables or pipes and system comprising such modular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8876A2 (de) 1981-02-13 1982-09-01 System- und Verfahrenstechnik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orrichtung zur Abschirmung elektrischer und elektromagnetischer Wellen bei dichten Durchführungen für Leitungsbündel durch eine Wand
EP1479958A1 (de) 2003-05-22 2004-11-24 GK-System GmbH Vorrichtung zur Abdichtung von eingesetzten Leitungen und/oder Kabel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2886B1 (en) 2022-07-12 2023-06-20 Genwire LLC Foldable electrical cable clamp
US11936171B2 (en) 2022-07-12 2024-03-19 Genwire LLC Foldable electrical cable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2702A (ja) 2013-11-21
MY159695A (en) 2017-01-13
SG189004A1 (en) 2013-05-31
AU2011303943A1 (en) 2013-04-11
CN110098511A (zh) 2019-08-06
PL2617112T3 (pl) 2020-06-15
BR112013006314B1 (pt) 2020-03-24
DK2617112T3 (da) 2020-03-30
SA111320754B1 (ar) 2015-02-22
CL2013000706A1 (es) 2013-08-23
EP2617112B1 (en) 2020-01-01
AR082997A1 (es) 2013-01-23
US20120071029A1 (en) 2012-03-22
ES2779424T3 (es) 2020-08-17
US9407031B2 (en) 2016-08-02
EP3651293A1 (en) 2020-05-13
CN102544879A (zh) 2012-07-04
CN202503150U (zh) 2012-10-24
AU2011303943B2 (en) 2014-08-28
RU2013115648A (ru) 2014-10-27
JP5932795B2 (ja) 2016-06-08
RU2585011C2 (ru) 2016-05-27
MX2013002847A (es) 2013-06-18
TW201230572A (en) 2012-07-16
CA2811329C (en) 2020-08-18
CA2811329A1 (en) 2012-03-22
EP2617112A1 (en) 2013-07-24
US8814596B2 (en) 2014-08-26
US20140308834A1 (en) 2014-10-16
BR112013006314A2 (pt) 2016-06-07
TWI565171B (zh) 2017-01-01
KR20130139904A (ko) 2013-12-23
WO2012034988A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154B1 (ko)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형 커넥터 및 이러한 모듈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US8598472B2 (en) EMC protected compression unit and a sealing system comprising such compression unit
EP1886390A1 (en) Shielded frame
US11310948B2 (en) Bendable shielded bus bar
SE545999C2 (en) A sealing module for cables or pipes, a transit system comprising such a sealing modu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ling module
SE2150846A1 (en) A sealing module for a cable or pipe and transit systems comprising such a seal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