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15B1 - 케이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케이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15B1
KR102008215B1 KR1020180038695A KR20180038695A KR102008215B1 KR 102008215 B1 KR102008215 B1 KR 102008215B1 KR 1020180038695 A KR1020180038695 A KR 1020180038695A KR 20180038695 A KR20180038695 A KR 20180038695A KR 102008215 B1 KR102008215 B1 KR 10200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pressing
conductiv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서남
김태식
김상훈
고대일
Original Assignee
이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남 filed Critical 이서남
Priority to KR102018003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을 관통하는 케이블; 케이블의 일단에 결합되는 터미널 부재;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케이블을 감싸는 보호 부재;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보호 부재를 감싸고, 타측은 하우징에 접촉되는 가압 부재; 및 도전성 소재이면서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압 부재를 감싸면서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접지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어셈블리{CABLE ASSEMBLY}
본 발명은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각 분야의 개별적 수요에 최적으로 설계된 다양한 케이블이 개발되고 있다. 가령 초고압 송전케이블이나 전기자동차에는 고전압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전압 케이블은 다른 전자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이 설치되는 과정이나 동작되는 과정에서 접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감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비약적으로 발전되는 자동차는 다수의 전자부품 또는 센서가 사용된다. 전류가 접지되지 않고 신호선 또는 전자장치에 전달될 경우, 전자장치가 이상 작동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20881호(2015.10.28. 등록일자, 발명의 명칭: 고무 마개 고정 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결합되는 터미널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보호 부재;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보호 부재를 감싸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접촉되는 가압 부재; 및 도전성 소재이면서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접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경이 상기 가압 부재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진 제1 탄성부; 외경이 상기 하우징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진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연결하고, 직경이 상기 가압 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 부재, 상기 가압 부재 및 상기 접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도전 부재; 및 상기 도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 부재에는 상기 터미널 부재가 출입 가능한 크기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지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가압 부재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서 상기 걸림턱과 접촉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고,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씰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에 의하면 접지 부재가 하우징과 가압 부재를 탄성지지하여 기계적인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현장에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을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케이블과 하우징의 접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설치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접지가 되지 않아,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조립이 간단하게 실시될 수 있고, 기밀 신뢰성도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블 어셈블리에서 Ⅲ-Ⅲ'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에 포함된 접지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에 포함된 가압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10), 케이블(120), 터미널 부재(130), 보호 부재(140), 가압 부재(150) 및 접지 부재(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의 외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후술할 보호 부재(140), 가압 부재(150) 및 접지 부재(16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하우징(110)은 일례로 도전 부재(111)와 커버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부재(111)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 부재(111)는 보호 부재(140), 가압 부재(150) 및 접지 부재(16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 부재(111)는 일례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부재(112)는 도전 부재(111)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112)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120)은 하우징(110)을 관통할 수 있다. 케이블(120)은 미도시하였으나 중심에서부터 중심선(미도시), 내피(120a), 쉴드층(120b) 및 외피(120c)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케이블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가 이와 같은 케이블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터미널 부재(130)는 케이블(12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터미널 부재(130)는 케이블(120)이 다른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터미널 부재(130)의 일측은 케이블(120)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별도의 전자기기의 단자 또는 타 케이블(120)에 연결될 수 있다.
터미널 부재(130)에서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부분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부재(130)는 체결용 볼트(미도시)에 의해 별도의 전자기기에 결합될 수 있다.
보호 부재(140)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보호 부재(140)는 케이블(120)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블(120)은 쉴드층(120b)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부분이 벗겨진 상태에서 다른 부재들과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쉴드층(120b) 및 내피(120a)가 기설정된 길이만큼 노출될 수 있다.
보호 부재(140)의 일부분은 케이블(120)에서 외부로 노출된 쉴드층(120b)과 내피(120a)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쉴드층(120b)과 외피(120c)를 감쌀 수 있다. 즉, 보호 부재(140)는 일부분이 접힌 상태로 케이블(12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 부재(150)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보호 부재(140) 감싸며, 타측은 하우징(110)에 접촉될 수 있다. 가압 부재(150)에서 보호 부재(140)를 감싸는 부분(150a)의 형상은 일례로 다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150)에서 하우징(110)에 접촉되는 부분은 케이블(120)을 감쌀 수 있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앞서 설명한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가 조립되는 과정은 케이블(120)에 보호 부재(140)를 설치한 상태에서 가압 부재(150)가 케이블(120)을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외력이 다각 기둥 형상의 부분(150a)에 가해짐으로써 가압 부재(150)와 케이블(120)이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 부재(150)는 보호 부재(140)가 케이블(120)을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120)과 도전 부재(1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접지가 안정적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접지 부재(160)는 도전성 소재의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 부재(160)는 가압 부재(150)를 감싸면서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다. 접지 부재(160)는 일측이 가압 부재(150)를 감쌀 수 있고, 타측은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지 부재(16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한 접지 부재(16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지 부재(160)는 일례로 제1 탄성부(M1), 제2 탄성부(M3) 및 연결부(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M1)는 내경이 가압 부재(150)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M1)는 가압 부재(150)를 둘레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탄성부(M1)는 내측의 여러 부분이 가압 부재(150)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탄성부(M1)와 가압 부재(150)와의 접촉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2 탄성부(M3)는 외경이 하우징(110)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탄성부(M3)는 하우징(11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부(M3)는 외측의 여러 부분이 하우징(110)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탄성부(M3)와 하우징(110)의 접촉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부(M1)와 제2 탄성부(M3)는 일례로 원통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연결부(M2)는 제1 탄성부(M1)와 제1 탄성부(M3)를 연결하고, 직경이 가압 부재(150)에서 하우징(110)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M2)는 일례로 원추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지 부재(160)는 가압 부재(150) 및 도전 부재(111) 각각과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120)이나 터미널 부재(130) 등에 외력이 가해지면서 케이블(120)이 하우징(110)에 대해 상대 이동되더라도 케이블(120)과 하우징(110)의 접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의 접지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전 부재(111)에는 터미널 부재(130)가 출입 가능한 크기로 관통된 관통홀(11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이탈 방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3)는 관통홀(111b)의 내측벽으로부터 케이블(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접지 부재(160)의 일단이 이탈 방지부(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 방지부(113)는 접지 부재(160)가 도전 부재(111)의 수용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씰링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씰링 부재(170)는 가압 부재(150)와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고, 케이블(120)을 감쌀 수 있다. 이를 위한 씰링 부재(170)는 일례로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탄성력을 지닌 고무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
씰링 부재(170)의 내부에는 케이블(120)이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씰링 부재(170)의 외부면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씰링 부재(170)의 외경은 도전 부재(111)의 수용공간의 내경과 유사하거나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링 부재(170)와 도전 부재(111)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112)에서 씰링 부재(170)와 마주하는 면에는 가압 돌기(112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전 부재(111)와 커버 부재(112)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 가압 돌기(112a)는 씰링 부재(170)와 가압 부재(150)가 서로 밀착되게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링 부재(170)가 결합된 케이블(120)이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커버 부재(112)에 삽입될 경우, 수분이 케이블(120)과 커버 부재(112)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전 부재(111)의 내측에서 가압 부재(15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걸림턱(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전 부재(111)에서 씰링 부재(170)가 위치되는 부분과 가압 부재(150)가 위치되는 부분의 경계가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150)에서 걸림턱(111a)과 접촉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돌기(150c)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부재(150)와 도전 부재(111)가 접촉 돌기(150c)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케이블(120)의 접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접지 부재(160)가 하우징(110)과 가압 부재(150)를 탄성지지하여 기계적인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현장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케이블(12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케이블(120)과 하우징(110)의 접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를 사용하여 설치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접지가 되지 않아,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조립이 간단하게 실시될 수 있고, 기밀 신뢰성도 우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케이블 어셈블리 110: 하우징
111: 도전 부재 111a: 걸림턱
111b: 관통홀 112: 커버 부재
113: 이탈 방지부 120: 케이블
130: 터미널 부재 140: 보호 부재
150: 가압 부재 151: 접촉 돌기
160: 접지 부재 170: 씰링 부재

Claims (6)

  1.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결합되는 터미널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보호 부재;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보호 부재를 감싸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접촉되는 가압 부재; 및
    도전성 소재이면서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접지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고,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씰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 부재, 상기 가압 부재 및 상기 접 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도전 부재; 및
    상기 도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씰링 부재와 마주하는 면에 가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도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체결시 상기 씰링 부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접지 부재는,
    내경이 상기 가압 부재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진 제1 탄성부;
    외경이 상기 하우징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진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탄성부를 연결하고, 직경이 상기 가압 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에는 상기 터미널 부재가 출입 가능한 크기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지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가압 부재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서 상기 걸림턱과 접촉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6. 삭제
KR1020180038695A 2018-04-03 2018-04-03 케이블 어셈블리 KR10200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95A KR102008215B1 (ko) 2018-04-03 2018-04-03 케이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95A KR102008215B1 (ko) 2018-04-03 2018-04-03 케이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15B1 true KR102008215B1 (ko) 2019-08-07

Family

ID=6762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695A KR102008215B1 (ko) 2018-04-03 2018-04-03 케이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996A (ja) * 1996-07-02 1998-01-23 Smk Corp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KR20110060797A (ko) * 2009-11-30 2011-06-08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KR20140107773A (ko) * 2013-02-28 2014-09-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JP2016178023A (ja) * 2015-03-20 2016-10-06 アンリツ株式会社 グランド導通治具およびグランド導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996A (ja) * 1996-07-02 1998-01-23 Smk Corp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KR20110060797A (ko) * 2009-11-30 2011-06-08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KR20140107773A (ko) * 2013-02-28 2014-09-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JP2016178023A (ja) * 2015-03-20 2016-10-06 アンリツ株式会社 グランド導通治具およびグランド導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723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7494348B1 (en) Cabl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556649B2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 cable at a housing feed-through
EP2667458B1 (en) Connector
RU2639317C2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зарядный штекер
JP7032419B2 (ja) 遮蔽されたケーブル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装置
KR20160092941A (ko) 케이블을 갖는 단자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
WO2014010740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0800790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KR20080036800A (ko)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WO2014181841A1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CA2831823C (en)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an electrical cable
KR102008215B1 (ko) 케이블 어셈블리
CN109273939B (zh) 连接器装置
CN109038112B (zh) 屏蔽连接器和连接器连接结构
KR20110022561A (ko) 케이블 터미널 접속부
JP6002592B2 (ja) 電線の端子接続構造
KR100803437B1 (ko) 실드 커넥터
US20140335713A1 (en) Connector
JP6250102B1 (ja) 接地金具及びケーブル端末部
JPH0864306A (ja) 機器直付用シールド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US11955751B2 (en) Connector
CN112952690A (zh) 电接线盒及制造方法
JP7072406B2 (ja) シール部材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H10241792A (ja) 電磁シール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