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166B1 - 영상 정합을 위한 방사선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정합을 위한 방사선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166B1
KR102007166B1 KR1020170134045A KR20170134045A KR102007166B1 KR 102007166 B1 KR102007166 B1 KR 102007166B1 KR 1020170134045 A KR1020170134045 A KR 1020170134045A KR 20170134045 A KR20170134045 A KR 20170134045A KR 102007166 B1 KR102007166 B1 KR 10200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ject
visible light
light image
magn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292A (ko
Inventor
이동율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1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0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피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조사된 방사선을 수광하는 센서; 상기 피사체의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될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거나,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영상 정합을 위한 방사선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A method for obtaining a radiograph for an image registration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본 명세서는 방사선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엑스선(X-ray) 촬영 장치는 엑스선을 인체에 조사하고, 인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체 내부의 이상을 검출한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촬영 대상물에 대하여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로부터 발생된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물을 일부 투과하거나 또는 투과하지 않고 도달하는 엑스선을 제너레이터와 마주보는 센서를 통해 수광한다. 다음, 수광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영상을 생성한다.
더나아가, 최근에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소비자들의 수요에 따라 의료용 이종 광원 기반 촬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 10-2013-0081980 호는 인도시아닌 그린과 같은 형광물질 및 여기광에 의하여 방출되는 근적외선 형광을 가시광 영상과 함께 재현하는 복합 영상을 구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5-0075862 호는 하나의 광학 시스템을 통해 근적외선 형광 영상, 방사선 영상 및 가시광 영상을 취득하여 이를 정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종 광원에 기반하여 촬영된 개별 영상을 보다 간단히 정합하기 위한 영상 촬영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선행문헌으로 공개된 국제출원(국제공개번호 WO2017/090994 (공개일 2017.06.01))은 삼차원 카메라를 통해 치과용 엑스선 촬영 장치를 통해 획득된 방사선 영상을 삼차원 영상과 정합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위치적으로 엑스선이 발생되는 제너레이터와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거리 차이에 따라 획득되는 이종 영상 간의 확대율을 조절하여 정합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처리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는 촬영한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별도의 소프트웨어 처리 없이 간단히 정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피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조사된 방사선을 수광하는 센서; 상기 피사체의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될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거나,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거나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방사선 영상의 촬영축의 위치의 변화량 및 각도의 변화량은 상기 가시광 영상의 촬영축의 위치의 변화량 및 각도의 변화량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영상의 촬영축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는 콜리메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콜리메이터와 움직임이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의한 가시광 영상은 상기 제너레이터에 의하여 방사선이 조사될 때 획득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영상과 상기 가시광 영상에 각각 상기 피사체의 제 1 지점과 제 2 지점이 표현되고,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상기 제 2 지점이 이격된 거리와 방향은,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상기 제 2 지점이 이격된 거리와 방향과 동일하며, 상기 제 1 지점과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사체의 서로 다른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의한 가시광 영상의 촬영 영역은 상기 센서에 의한 방사선 영상의 촬영 영역보다 작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제 1 지점의 영상 위치와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제 1 지점의 영상 위치는 동일하고,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제 2 지점의 영상 위치와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제 2 지점의 영상 위치는 동일하며, 상기 제 1 지점과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사체의 서로 다른 지점일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영상의 촬영 영역이 확대되는 경우, 상기 가시광 영상의 촬영 영역이 확대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이 유지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배율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로 상기 방사선 영상이 획득되도록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확대율 조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처리 없이 상기 가시광 영상과 상기 방사선 영상을 정합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단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제너레이터에서 피검체로 조사되는 방사선의 일부를 차폐하는 콜리메이터; 상기 콜리메이터를 통과한 방사선을 수광하는 센서; 상기 피사체의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제너레이터, 상기 콜리메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될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거나,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로 조사된 방사선을 센서로 수집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될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고, 상기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에 기초하여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가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시광 영상은 상기 방사선이 조사되는 시점의 피검체 영상일 수 있다.
상기 가시광 영상과 상기 방사선 영상을 정합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단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조사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과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방사선 조사 영역에 따라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조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콜리메이터를 투과하여 상기 피사체로 조사된 방사선을 센서로 수집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선 조사 시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고, 상기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될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고, 상기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앞선 영상 촬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앞선 영상 촬영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촬영 대상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시스템을 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의 이용에 의하여,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과 영상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처리 없이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간단히 정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가 수행하는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이 병합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영상 촬영 장치(100)의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를 구비한 영상 촬영 시스템(10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촬영 대상인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확대율을 달리하며 촬영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와 영상 촬영 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제너레이터(110), 센서(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너레이터(110)는 방사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너레이터(110)는 복수로 구성되어 엑스선(X-ray)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너레이터(11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따른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는 엑스선을 이용한 촬영 방법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는 CT(Computed Tomography) 또는 파노라마(Panoramic) 영상 촬영 모드일 수 있다. CT 영상을 통해 3차원 영상을 촬영하여 인체 내부의 3차원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며,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 전체 치아 상태 및 구조를 파악하고, 진단과 시술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모드는 세팔로(Cephalometric) 영상 촬영 모드일 수 있다. 즉, 제2 모드는 두부 전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피사체를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시키고 피사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센서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 두부 전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두부 및 치아 골격과 피부의 형태를 파악하고 임상적 위치점을 확인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너레이터(110)는 촬영 모드에 따라 발생되어 센서(120)로 조사되는 엑스선의 세기, 엑스선의 선량 등을 결정하며, 추가적인 콜리메이터를 통해 조사 범위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콜리메이터는 방사선의 입사 방향에 따라 방사선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또한 촬영하고자 하는 특정 피사체에 대한 초점등을 달리 하거나, 기타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른 엑스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120)는 상기 제너레이터(110)에서 발생된 엑스선을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센서(12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제너레이터(110)에서 발생되어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흡수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센서(120)는 각각의 촬영 모드에 따라 활성 영역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경우 서로 다른 제너레이터(110)에서 발생된 엑스선을 수집하되 서로 다른 활성 영역을 통해 수집된 엑스선 만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술한 촬영 조건 또는 활성 영역 등을 제어하여 촬영 모드에 따른 촬영 환경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제어부(130)는 하드웨어적인 제어로 상술한 제너레이터(110), 및 센서(120)의 물리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각각의 촬영 모드에 따른 촬영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가 수행하는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제너레이터(110)에는 발생되는 엑스선을 조절하기 위한 콜리메이터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실제 촬영을 위해서는 부가적인 2차 콜리메이터(140)를 추가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각 모드에 따른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너레이터(110)에 포함되는 콜리메이터(미도시)는 1차적으로 발생되는 엑스선의 조사 방향, 범위 등을 결정하고 추가로 2차 콜리메이터(14)를 통해 각 모드에 따른 구체적인 조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제너레이터에 카메라(15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면 실제 2차 콜리메이터에 의해 조절되는 엑스선에 의한 영상의 확대율을 고려할 수가 없으므로 카메라(150)에 의해 촬영된 가시광 영상과 센서(120)에 의해 생성된 엑스선 영상의 동일 피검체(10)에 대한 확대율 및 관심 영역의 크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엑스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정합하여 치료에 따른 변화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각 영상을 확대율에 따라 조정하여 정합하는 과정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도 3과 같이 2차 콜리메이터(140)에 대응되는 카메라(150)를 구성하여 소프트웨어적인 영상 조정 및 정합 과정을 보다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제너레이터(110)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에 의하여 획득되는 방사선 영상의 피검체 확대율과 동일한 확대율로, 카메라(150)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외부 영상을 획득한다. 피검체의 외부영상은 가시광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동일한 확대율로 획득하도록 각 구성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더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동일선상에서 촬영하도록 영상 촬영 장치(100)의 각 구성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처리 없이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간단히 정합할 수 있다.
영상 확대율 제어
먼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피검체(10)에 대한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동일한 확대율로 획득하도록 각 구성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너레이터(110),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변경하기 위하여 제너레이터(110),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카메라(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영상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150)의 렌즈 등을 사용하여 광경로를 변경하거나,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에 따라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영상 촬영 장치(100)는 피검체(10)에 대한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로 피검체(10)에 대한 가시광 영상이 촬영되도록, 제너레이터(110)와 센서(120)의 방사선 영상 확대율 설정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150)의 확대율 설정을 제어하여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너레이터(110)와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조절되어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이 변경되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100)는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이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과 동일하게 되도록 카메라(150)를 제어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제너레이터(110),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이동에 따라 방사선 영상의 촬영영역이 확대되는 경우, 가시광 영상의 촬영 영역이 확대되도록 카메라(150)의 촬영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에 따라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영상 촬영 장치(100)는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로 방사선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150)의 확대율 설정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제너레이터(110)와 센서(120)를 제어하여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제어할 수 있다.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이 동일함에 따라,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피검체의 임의의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간의 이격 거리와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임의의 피검체의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간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게 된다. 이때, 제 1 지점과 제 2 지점은 피검체의 서로 다른 지점이며, 촬영되는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며 확대율을 판단하기 위한 최소 거리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지점과 제 2지점은 피검자의 서로 다른 치아일 수 있다.
영상 촬영축 제어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과 함께 촬영축이 서로 동일하면, 상술한 임의의 2 지점의 이격 거리 외 이격 방향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촬영 축을 동일하도록 제어하면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피검체의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간의 이격 거리 및 이격 방향은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피검체의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간의 이격 거리 및 이격방향과 서로 같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영상들을 이용함으로써,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지점들을 정합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처리 없이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정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촬영축을 제어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영상 촬영축을 변경하기 위한 위치 변경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영상의 촬영축을 제어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제너레이터(110)와 2차 콜리메이터(140) 및 센서(120)에는 위치 변경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위치 변경 모듈은 액츄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 변경 모듈은 제너레이터(110)와 2차 콜리메이터(140) 및 센서(120)에 직접 결합되거나, 그들을 수용하는 수용모듈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위치 변경 모듈의 동작에 의하여 제너레이터(110)와 센서(120)의 위치가 이동되어 방사선 영상의 촬영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위치 변경 모듈은 제너레이터(110)와 센서(120)를 틸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방사선 영상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보다 단순하게 방사선 영상의 촬영축을 제어하기 위하여, 2차 콜리메이터(140)와 센서(120)에 위치 변경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위치 변경 모듈이 2차 콜리메이터(140)의 위치 또는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방사선의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제너레이터(110)의 위치변경 없이 방사선 영상의 촬영축을 변경할 수 있다.
가시광 영상의 촬영축을 제어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의 카메라에는 위치 변경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위치 변경 모듈은 액츄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 변경 모듈은 카메라(150)에 직접 결합되거나, 카메라(150)를 수용하는 수용모듈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위치 변경 모듈의 동작에 의하여 카메라의 위치가 이동되어 카메라의 촬영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위치 변경 모듈은 카메라를 틸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의 영상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방사선 영상의 촬영축과 가시광 영상의 촬영축을 보다 간단히 변경하기 위하여, 카메라(150)의 위치 변경은 2차 콜리메이터(140)의 위치 변경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카메라(140)와 2차 콜리메이터(140)가 일체로 결합된 영상 촬영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카메라(150)가 2차 콜리메이터(140)에 결합되어 영상 촬영 장치에 구비되는 경우, 카메라(150)와 2차 콜리메이터(140)의 위치와 각도가 함께 변경됨에 따라, 카메라(150)의 가시광 영상 촬영축과 2차 콜리메이터(140)의 방사선 조사축이 함께 변경되고,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촬영축이 함께 변경된다.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촬영축이 동일하게 변경됨에 따라 두 영상의 촬영축과 확대율의 변화를 일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2차 콜리메이터의 위치가 변경되어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피검체와 카메라(150)의 거리가 미세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가시광 영상에 의하여 촬영되는 피검체의 촬영영역과 확대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영상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150)를 제어하여 카메라의 촬영 영역과 확대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과 촬영축이 동일하면,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피검체의 제 1 지점의 영상 위치와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피검체의 제 1 지점의 영상 위치가 동일하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피검체의 제 2 지점의 영상 위치와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피검체의 제 2 지점의 영상 위치가 동일하게 된다.
피검체의 각 부분이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영상위치가 동일함에 따라, 영상 촬영 장치는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정합을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정합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 중 하나의 영상위에 다른 하나의 영상을 오버레이 시킴으로써 두 영상을 병합할 수 있다. 두 영상이 병합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확대율이 동일하도록 촬영된 이종 영상을 투명도만 조절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치골 구조에 따른 현재 외모와 치료 및 교정 후 변화되는 치골 구조와 외모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이해를 더욱 돕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정합된 영상을 표시하되 이종 영상의 각각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부를 통해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이종 영상 중 특정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표시하거나 또는 투명도를 100% 및 0%로로 설정하여 하나의 영상 만 보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시광 영상과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은 동일하나, 촬영축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가상의 축은 서로 평행한 상태일 수 있다. 예를들어, 가시광 영상은 환자의 두부 전체에 대한 영상이나, 방사선 영상은 환자의 하악골 만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여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150)에 의한 가시광 영상의 촬영 영역은 센서(120)에 의한 방사선 영상의 촬영 영역보다 클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4의 치아 부분에 대한 영상 만을 방사선으로 촬영 하되 환자로 하여금 전체 얼굴 옆모습의 인상의 변화를 인식하기 쉽도록 확대율 및 평행한 촬영축을 갖는 영상을 이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확대율 조정은 없이 단순히 방사선 영상을 가시광 영상의 특정위치로 이동 시키는 것 만으로 정합 과정을 완료할 수 있으며, 전체 두부에 대한 방사선 영상이 불필요하므로 피폭량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의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정합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을 조사한다(S110).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제너레이터(110)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을 수집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다(S130). 영상 촬영 장치(100)는 피검체로 조사된 방사선을 센서로 수집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촬영 장치(100)는 가시광 영상을 획득한다(S150). 영상 촬영 장치(100)는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센서에 의하여 획득되는 방사선 영상과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피검체에 대한 확대율이 동일하도록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은 제어될 수 있다.
도 6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의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정합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영상 촬영 장치(100)는 피검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획득한다(S210).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50)를 이용하여 피검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조사 영역을 결정한다(S230).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피검체의 관심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더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획득된 피검체의 가시광 영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피검체에 대한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할 수 있다. 관심 영역은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 모델링된 인체의 일 지점을를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시광 영상 중 일부분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한다(S250). 일 실시 예에서, 영상 촬영 장치(100)는 가시광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의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가시광 영상에 기반하여 설정된 관심 영역을 최대 배율로 촬영 할 수 있도록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에 기초하여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높여감으로써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가시광 영상을 확인하면서, 피검자의 신체지점 중 관심 지점을를 카메라(150)로 탐색해 나갈 수 있다.
사용자는 가시광 영상으로 실시간 디스플레이되는 피검체의 일부분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기를 결정한 경우, 그때 디스플레이되는 피검체의 일부분을 방사선 영상의 관심영역으로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되는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촬영 장치(100)의 사용자는 가시광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피검체의 특정 지점이 가시광 영상에서 잘 표현되도록 카메라(150)를 제어하여 가시광 영상의 촬영축과 촬영 확대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촬영 장치(100)는 가시광 영상의 촬영축과 확대율에 맞추어 방사선 영상의 촬영축과 확대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사선 조사 영역을 설정한다(S270).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제너레이터(110), 콜리메이터(140), 센서(1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결정된 관심 영역과 확대율에 따른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방사선 조사영역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영상 촬영 장치(100)는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획득한다(S290).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획득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방사선 영상과 가시광 영상의 정합시 피검체의 가시광 영상에 대한 방사선 영상의 정합도를 보다 높이기 위하여, 가시광 영상은 방사선이 조사되는 시점에 피검체에 대하여 획득되어 메모리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가시광 영상은 방사선이 조사되기 전이나, 방사선이 조사된 후에 획득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너레이터(110), 센서(120), 제어부(130), 콜리메이터(140), 카메라(150), 피검체 위치 모듈(160),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및 통신모듈(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너레이터(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X선과 같은 방사선을 발생하기 위한 광원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X선 발생기 등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콜리메이터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X선과 같은 방사선을 수집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X선 센서를 채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120)는 파노라마 또는 CT 촬영을 위한 대면적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영상 촬영 장치(100)를 제어하며, 앞서 설명한 영상 촬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제어부(130)는 센서에 의하여 획득되는 방사선 영상과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피검체의 확대율와 표현 위치가 동일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는 영상 촬영 장치가 작동되기 위해 필요한 일시적, 비일시적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메모리에는 영상의 촬영 모드에 따라 영상의 확대율과 그에 따른 제너레이터(110), 센서(120)의 위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140)는 제너레이터에서 피검체로 조사되는 방사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제너레이터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 방향을 설정한다. 카메라(150)는 피검체의 가시광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앞선 설명과 같이 콜리메이터와 카메라(150)는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피검체 위치 모듈(160)은 촬영대상을 수용하며, 이에 따라 촬영 대상의 위치가 특정되게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통상의 입력장치와 출력장치가 채택 될 수 있다. 통신 모듈(180)은 영상 촬영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통상의 유/무선 통신 모듈이 채택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와 통신 모듈(180)은 선택적 구성 요소로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를 구비한 영상 촬영 시스템(10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시스템(1000)은 도 6의 영상 촬영 장치(100)와, 데이터베이스(200) 및 제어부(300)를 구비하며, 그 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와 통신모듈(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시스템(1000)은 데이터베이스(200)를 더 구비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한 촬영 대상의 영상 데이터를 촬영 대상에 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의사는 환자에 대하여 촬영된 X선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환자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에 따라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앞선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피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조사된 방사선을 수광하는 센서;
    상기 피사체의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될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거나,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거나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방사선 영상의 촬영축의 위치의 변화량 및 각도의 변화량은 상기 가시광 영상의 촬영축의 위치의 변화량 및 각도의 변화량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영상의 촬영축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는 콜리메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콜리메이터와 움직임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한 가시광 영상은 상기 제너레이터에 의하여 방사선이 조사될 때 획득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 촬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영상과 상기 가시광 영상에 각각 상기 피사체의 제 1 지점과 제 2 지점이 표현되고,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상기 제 2 지점이 이격된 거리와 방향은,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상기 제 2 지점이 이격된 거리와 방향과 동일하며,
    상기 제 1 지점과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사체의 서로 다른 지점인 영상 촬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한 가시광 영상의 촬영 영역은 상기 센서에 의한 방사선 영상의 촬영 영역보다 작지 않은 영상 촬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제 1 지점의 영상 위치와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제 1 지점의 영상 위치는 동일하고,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제 2 지점의 영상 위치와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제 2 지점의 영상 위치는 동일하며,
    상기 제 1 지점과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사체의 서로 다른 지점인 영상 촬영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영상의 촬영영역이 확대되는 경우, 상기 가시광 영상의 촬영 영역이 확대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이 조정되는 영상 촬영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이 유지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배율이 조정되는 영상 촬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로 상기 방사선 영상이 획득되도록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영상 촬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확대율 조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처리 없이 상기 가시광 영상과 상기 방사선 영상을 정합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단일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 장치.
  12.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제너레이터에서 피검체로 조사되는 방사선의 일부를 차폐하는 콜리메이터;
    상기 콜리메이터를 통과한 방사선을 수광하는 센서;
    상기 피사체의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제너레이터, 상기 콜리메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될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거나,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
  13.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로 조사된 방사선을 센서로 수집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될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고,
    상기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에 기초하여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영상 촬영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영상 촬영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영상은 상기 방사선이 조사되는 시점의 피사체 영상인 영상 촬영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영상과 상기 방사선 영상을 정합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단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방법.
  18.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조사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영상의 확대율과 상기 가시광 영상의 확대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방사선 조사 영역에 따라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조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콜리메이터를 투과하여 상기 피사체로 조사된 방사선을 센서로 수집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선 조사 시 상기 피사체에 대한 가시광 영상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고,
    상기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될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고,
    상기 가시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시광 영상에서 표현되는 상기 피사체의 확대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0. 영상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항의 영상 촬영 장치; 및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피사체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촬영 시스템.
KR1020170134045A 2017-10-16 2017-10-16 영상 정합을 위한 방사선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200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45A KR102007166B1 (ko) 2017-10-16 2017-10-16 영상 정합을 위한 방사선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45A KR102007166B1 (ko) 2017-10-16 2017-10-16 영상 정합을 위한 방사선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292A KR20190042292A (ko) 2019-04-24
KR102007166B1 true KR102007166B1 (ko) 2019-08-05

Family

ID=6628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045A KR102007166B1 (ko) 2017-10-16 2017-10-16 영상 정합을 위한 방사선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1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043A (ja) 2005-01-19 2006-08-03 Toshiba Corp 医用画像診断システム、患者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患者情報管理方法
JP2014513824A (ja) * 2011-02-22 2014-06-05 モルフェウ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顔面補正イメージ提供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16034300A (ja) 2014-08-01 2016-03-17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画像診断装置及び撮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4001B2 (ja) * 1996-08-23 2005-04-2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シート状記録媒体診断画像保存システム及び保存方法
KR101062196B1 (ko) * 2009-07-15 2011-09-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세팔로-광학사진 합성영상 획득장치 및 3차원 세팔로 영상 획득장치
KR20130059489A (ko) * 2011-11-29 2013-06-07 (주)코메드메디칼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콜리메이터
KR101373006B1 (ko) * 2011-12-27 201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레이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043A (ja) 2005-01-19 2006-08-03 Toshiba Corp 医用画像診断システム、患者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患者情報管理方法
JP2014513824A (ja) * 2011-02-22 2014-06-05 モルフェウ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顔面補正イメージ提供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16034300A (ja) 2014-08-01 2016-03-17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画像診断装置及び撮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292A (ko)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8009B2 (ja) 医用装置、医用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24759B2 (en) Method of reducing the x-ray dose in an x-ray system
KR101431781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66943B1 (ko) 대상체의 관심 영역(roi)에 대한 x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JP4740779B2 (ja) 放射線撮影装置
KR20190074977A (ko) 의용 장치, 및 의용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15992A (ko) X-선 촬영에서 자동화된 선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446348B2 (ja) 放射線断層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50238138A1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20220054862A1 (en)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medical device, and treatment system
JP4943221B2 (ja) 放射線撮像装置及び断層像生成方法
JP6853376B2 (ja) 複数のx線画像から2d画像を再構築する方法
EP3370616B1 (en) Device for imaging an object
KR102007166B1 (ko) 영상 정합을 위한 방사선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2043357B1 (ko) 영상 확대율 변경 방법 및 장치
KR101748348B1 (ko)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388282B1 (ko) 씨암용 영상 처리 장치
KR102240184B1 (ko) 해부학적 구조의 모델 생성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도구 가이드 시스템
JP7264389B2 (ja) 医用装置、医用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25703B2 (ja) 医用装置、医用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98016B2 (ja) X線診断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KR101913185B1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방법
JPH05208009A (ja) 多視点放射線パノラマ撮影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