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918B1 -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918B1
KR102006918B1 KR1020170176747A KR20170176747A KR102006918B1 KR 102006918 B1 KR102006918 B1 KR 102006918B1 KR 1020170176747 A KR1020170176747 A KR 1020170176747A KR 20170176747 A KR20170176747 A KR 20170176747A KR 102006918 B1 KR102006918 B1 KR 10200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soft contact
weight
parts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281A (ko
Inventor
최형준
엄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씨 싸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씨 싸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씨 싸이언스
Priority to KR102017017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9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34Curing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30/04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30/08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을, 콘텍트렌즈 성형용 몰드에 주입하는 혼합물주입단계와; 상기 몰드내 혼합물에, 열 또는 자외선을 가하여 혼합물을 중합시켜 성형물을 얻는 중합단계와; 상기 중합단계를 마친 후, 몰드로부터 성형물을 취출하는 취출단계와; 취출된 성형물을 후가공하여 콘텍트렌즈를 얻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의 조성비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친수성 단량체 20 내지 400 중량부, 계면활성제 0.0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는, 소수성 실리콘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를 원료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산소투과성과 친수성이 뛰어나 각막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적절한 함수량과 충분한 탄성을 가져 착용감이 좋으며, 렌즈 투명도가 뛰어나고, 안정적인 물성 유지로 인한 사용 중 렌즈의 변형이 거의 없다.

Description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containing soft contact lens and Soft contact lens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Composition for molding the soft contact lens}
본 발명은 소프트 콘텍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와 계면활성제를 혼합 적용하여, 콘택트렌즈 제조시 발생하는 물질간의 상분리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렌즈의 투명도가 뛰어나며, 균일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져 착용감이 양호한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구비해야 할 여러 가지 조건 중 중요한 것은, 친수성(親水性)과, 산소투과성과,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이다. 이러한 이유로, 소프트 콘택트렌즈에서의 중요한 요소인 함수율(Water content)과, 산소투과도(Oxygen transmissibility:Dk/L)를 높이거나, 그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렌즈를 만들기 위한 많은 연구와 소재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을 충족시키는 콘텍트렌즈가 제조되고 있다.
한편,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재료로는 하이드로겔을 구성하는 친수성 단량체이며, 상기 친수성 단량체 중,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HEMA), 메타아크릴산(MA), 메틸비닐아세트아미드(MVAA), 디메틸아크릴아미드(DMA), N-비닐-피롤리돈(NVP) 등이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친수성 단량체는,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이 높아 생체용 고분자의 제조에 많이 응용 되고 있다. 하지만 친수성 단량체 물질을 콘텍트렌즈의 재료로 사용하기에는 단점이 있다. 그 이유는, 친수성 단량체 물질로부터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경우 산소투과성이 낮기 때문이다. 콘텍트렌즈에 있어서 산소투과성이 불량할 경우 각막의 손상을 야기하기 쉽다.
이에 따라, 하이드로겔의 산소 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산소투과성이 좋은 실리콘 함유 단량체를 이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 함유 단량체는 콘택트렌즈의 산소 투과율을 높이는 장점을 가지기는 하지만, 그 대신 습윤성(濕潤性)이 좋지 않다는 또 다른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여러 가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친수성 단량체의 낮은 산소투과성과, 실리콘 함유 단량체의 소수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를 중합하여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만드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중합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실리콘 함유 단량체의 장점과 친수성 단량체의 장점을 가져, 산소투과성과 친수성이 모두 양호하다.
상기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마크로머(macromer)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콘택트렌즈가, 일반적인 하이드로겔 원료로 제조된 것보다 높은 산소 투과성과 높은 함수율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현실적으로 제조하기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내에 소수성 및 친수성 재료가 혼재하여 제조 공정시 상분리가 쉽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즉, 소수성인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인 하이드로겔 단량체의 균일한 혼합 상태의 유지가 어려운 것이다.
상기 친수성 및 소수성 원료가 상분리된 상태로 중합과정이 진행될 경우, 목표 했던 높은 산소 투과율과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를 얻을 수 없음은 물론이며, 콘텍트렌즈 자체의 변형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부수적 문제도 뒤따른다.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작용 원료로서, 소수성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의 혼합 상태를 균일하게 오랜 시간동안 유지하기 위한 방법의 연구가 절실한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81120호 [불소-함유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가교제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소프트 렌즈]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31181호 [연질 콘텍트렌즈용 실리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조성에 의해 제조된 연질 콘텍트렌즈] 미국 특허등록공보 US 5,965,631 [EXTENDED WEAR OPHTHALMIC LEN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제조시 원료의 상분리 현상이 억제되어, 친수성과 산소투과성이 뛰어나고, 투명성이 양호하며, 표면이 균일하고 매끄러워 착용감이 향상된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부드럽고, 산소투과성이 양호하며, 적절한 함수량 및 충분한 탄성을 가져 착용감이 뛰어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이를 위한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은,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을, 콘텍트렌즈 성형용 몰드에 주입하는 혼합물주입단계와; 상기 몰드내 혼합물에, 열 또는 자외선을 가하여 혼합물을 중합시켜 성형물을 얻는 중합단계와; 상기 중합단계를 마친 후, 몰드로부터 성형물을 취출하는 취출단계와; 취출된 성형물을 후가공하여 콘텍트렌즈를 얻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의 조성비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친수성 단량체 20 내지 400 중량부, 계면활성제 0.0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계,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도데실황산나트륨계, 사포닌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오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도데실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헥사데실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옥타데실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레일에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소프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에, 상기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가교제 0.1 내지 20 중량부, 중합개시제 0.01 내지 20 중량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프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에, 실리콘함유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20 중량부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나이트릴(AIBN),또는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DPMA)이, 중합개시제로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단량체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을, 콘텍트렌즈 성형용 몰드에 주입하는 혼합물주입단계와; 상기 몰드내 혼합물에, 열 또는 자외선을 가하여 혼합물을 중합시켜 성형물을 얻는 중합단계와; 상기 중합단계를 마친 후, 몰드로부터 성형물을 취출하는 취출단계와; 취출된 성형물을 후가공하여 콘텍트렌즈를 얻는 후처리단계를 통해 제작되고, 그 조성비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친수성 단량체 20 내지 400 중량부, 계면활성제 0.0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은,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친수성 단량체 20 내지 400 중량부, 계면활성제 0.01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는, 소수성 실리콘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를 원료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산소투과성과 친수성이 뛰어나 각막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적절한 함수량과 충분한 탄성을 가져 착용감이 좋으며, 렌즈 투명도가 뛰어나고, 안정적인 물성 유지로 인해 사용 중 렌즈의 변형이 거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콘텍트렌즈 제조방법은, 소프트렌즈 성형용 주원료인,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를 혼합할 때, 후술할 계면활성제를 투입함으로써,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의 균일한 혼합을 유도하여, 표면이 균일하고 매끈하며 습윤성이 좋고, 변형이 없으며 산소 및 광투과율이 양호한 소프트 콘텍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견해에 기초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은, 혼합단계(101), 교반단계(103), 혼합물주입단계(105), 중합단계(107), 취출단계(109), 함수단계(111), 세척단계(11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혼합단계(101)는, 준비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원료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성형용 조성물을 얻는 과정이다. 상기 성형용 원료에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 계면활성제, 친수성 단량체가 포함되며, 필요시 가교제 및/또는 중합개시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실리콘 함유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산소 투과율이 높은 3-[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시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약칭:TRIS)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소 투과율이 좋은 물질을 사용하는 이유는, 산소 투과율이 양호한 소프트 콘텍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 상기 TRIS에 불소를 혼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완성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젖음성(wettability) 및 수분함량 개선용 물질을 더욱 추가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메틸아크릴레이트(MA),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GMA), 글리세롤메타크릴레이트(GMMA), N-비닐피롤리돈(NVP), 메타크릴산(MA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폴리비닐알코올(PVA), 디메틸아크릴아미드(DMA), 노말-메틸-노말-바이닐아세트아마이드(MVAA),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크로린(MPC) 등과 같은 원료 중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개선용 물질은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10 내지 100 중량부 정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단량체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디메틸아크릴아미드(DMA) , 노말-메틸-노말-바이닐 아세트아마이드(MVAA),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HEMA), 메타아크릴산(MA), N-비닐-피롤리돈(NVP)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여러 물질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친수성 단량체는 광학특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이 양호하다. 하지만, 산소투과성이 불량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소 투과성은 실리콘 함유 단량체의 산소 투과성에 의해 상쇄된다.
이와 같은, 친수성 단량체는, 상기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약 20 내지 400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산소 투과성이 지나치게 저하되거나 수분 함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계,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도데실황산나트륨계, 사포닌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의 균일한 혼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에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오레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에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도데실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헥사데실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옥타데실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레일에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여러 종류의 계면활성제 중,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실리콘 함유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즉, 소수성인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의 중량비 및 각 단량체의 소수성 및 친수성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반드시 상기에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물질을 단독 혹은 두 가지 종류 혹은 그 이상 여러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의 투입량이나, 계면활성제 자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만, 상기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예를 들어 0.01 내지 20 중량부면 좋다. 이와 같은 범위를 벗어나면 조성물 혼합시 균질성이 저하되거나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가교제 이외의 다른 종류의 가교제도 조건에 맞추어 선택 사용 가능하다. 상기 가교제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예를 들어 0.1 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합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뷰티로나이트릴(AIBN), 또는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DPMA)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0.01 내지 20 중량부 정도이다.
한편, 상기 실리콘 함유 단량체, 계면활성제, 친수성 단량체 및 필요시, 가교제, 중합개시제가 포함된 성형용 조성물의 혼합단계가 완료되었다면, 교반단계(103)를 수행한다. 교반은 일반적인 교반기에서 수행되며 교반시간은 예를 들어 1시간 내지 3시간 정도이다.
상기 교반을 통해 혼합물이 균일한 상태가 되었다면, 혼합물주입단계(105)를 진행한다. 상기 혼합물주입단계(105)는, 준비된 몰드에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혼합물주입단계는, 열이나 자외선을 이용한 중합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혼합물을 몰드에 주입하는 공정이다. 상기 몰드에 주입된 혼합물은 액체상태로서, 성형할 소프트 콘텍트렌즈의 형상을 취한다.
참고로, 상기 혼합물주입단계시 사용되는 몰드는, 암몰드(female mold)와 수몰드(male mold)로 구성되며, 상기 암몰드에 혼합물을 주입후 수몰드를 끼워 넣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혼합물의 주입량은 제조할 최종 렌즈무게의 약 1.5배 내지 2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주입단계(105)에 이어지는 중합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중합시켜 성형물을 얻는 과정이다. 즉 상기 몰드내 혼합물에 열이나 자외선을 가하는 과정이다. 열을 사용할지 자외선을 사용할지의 선택은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열을 사용하는 열중합에서의 가열조건은, 원료의 함량이나 주변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50℃ 내지 90℃에서 1시간 내지 1시간 30분이다. 즉, 오븐의 온도를 50℃ 내지 90℃로 맞춘 후, 오븐 내에 상기 몰드를 세팅하고 상기 시간 동안 가열하여 원료를 중합 반응 시키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가열 과정 후 120℃로 온도를 상승시켜 2시간 정도 더 가열시킬 수도 있다.
자외선을 이용한 광중합의 경우, 상기 몰드에, 가령, UV램프를 이용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과정이다. 상기 자외선의 조사 시간은 자외선의 강도에 따라 달라지며, 가령, 60초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중합단계(107)를 마쳤다면, 취출단계(109)를 통해, 몰드로부터 성형물, 즉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를 취출한 후, 함수단계(111)를 진행한다. 상기 함수단계(111)는 성형물을, 가열된 증류수에 놓는 과정이다. 가령 80℃ 내지 90℃로 가열된 증류수에 2시간 내지 4시간 정도 담가 놓을 수 있다.
이어지는 세척단계(113)는, 함수단계가 완료된 성형물을 멸균 세척하여, 최종적으로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를 얻는 과정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7
일반적인 실리콘 함유 소프트콘택트렌즈(비교예1)와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리콘함유 소프트 콘택트렌즈(실시예 1 내지 7)를 제조하여, 계면활성제의 첨가로 인한 렌즈물성의 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원료의 종류와 첨가 비율은 하기 표와 같다.
특히, 상기 첨가원료 중 계면활성제로서, 사포닌(실시예 1), 도데실황산나트륨(SDS)(실시예 2),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tween60)(실시예 3),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 에이트(tween80)(실시예 4),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pan60)(실시예 5), 폴리에틸렌글리콜도데실에테르(Brij30)(실시예 6), 폴리에틸렌글리콜올레일에테르(Brij97)(실시예 7), 7가지를 각각 사용하였다.
성분 조성 (중량부)
TRIS 100.0
MMA 33.3
VP 50.0
MVAA 141.7
EGDMA 5.0
AIBN 3.3
계면활성제 1.7
상기 원료를 혼합 후 교반기에서 약 2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후, 혼합된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7의 렌즈원료 0.05g을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암몰드(female mold)에 주입하고 수몰드(male mold)를 덮은 후 빈공간이 없도록 가볍게 눌러 결합시켰다.
특히, 이어지는 중합단계에 앞서, 계면활성제의 상분리 억제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암몰드에 원료주입 후, 원료의 상분리 현상을 관찰해 보았다.
비교예 1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지 않은 원료를 주입한 몰드에서는 2~3분경과 시점에서 약간의 상분리 현상이 육안으로 관찰되었으며, 약 5분여 경과 시점에서 뚜렷한 상분리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7의 원료에서는 3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별다른 상분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어서, 중합을 위해, 상기 몰드 결합체를 90℃로 유지되는 오븐에서 1시간 가열 반응 후 120℃로 온도를 상승하여 2시간을 추가로 반응시켰다.
상기 가열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물을 취출하여 80℃ 증류수에서 3시간 함수시킨 후 세척공정을 통해 세척 후 현미경과 10배 확대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아래 표2와 같다.


류구분
렌즈물성

상분리 억제효과

광투과도

렌즈의 변형

렌즈표면의 개선
비교예 1 ×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 좋음 △: 보통 X: 나쁨
확대경 관찰결과, 비교예 1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지 않은 렌즈의 경우 일부의 렌즈가 뿌옇게 보였으며, 또한 미세한 변형이 관찰되었다.
이에 비해,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렌즈의 경우, 실시예 3,4,6,7의 5가지 렌즈는 투명한 상태를 하였으며, 렌즈의 변형도 별견되지 않아 정상적인 렌즈 물성을 보였다. 한편,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렌즈 중 사포닌이 첨가된 실시예 1의 렌즈가 미세하게 불투명한 상태를 보였으며, 실시예 2의 렌즈는 약간 갈색으로 변색되었다. 그러나 2가지 종류 모두에서 렌즈의 변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아울러,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렌즈와,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렌즈의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렌즈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관찰되었으나, 실시예 5 내지 7의 경우 표면요철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완성된 렌즈를 눈에 착용한 후 착용감을 테스트한 결과, 비교예1에서 얻어진 렌즈는 약간의 걸림 현상이 있었으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7의 렌즈에서는 착용감에 별다른 이상이 없이 편안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 따른 렌즈는 착용했을 때나 취급 시 약간의 뻣뻣함이 있었으나, 실시예 5, 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 따른 렌즈는 비교예 1에 따른 렌즈에 비해 더 부드러운 느낌을 주었다.
이상의 비교예1,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실리콘 함유 소프트콘택트렌즈 제조 시 원료물질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원료간 혼합성을 개선하여 제조된 렌즈의 물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1:혼합단계 103:교반단계
105:혼합물주입단계 107:중합단계
109:취출단계 111:함수단계
113:세척단계

Claims (6)

  1.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을, 콘텍트렌즈 성형용 몰드에 주입하는 혼합물주입단계와;
    상기 몰드내 혼합물에, 열 또는 자외선을 가하여 혼합물을 중합시켜 성형물을 얻는 중합단계와;
    상기 중합단계를 마친 후, 몰드로부터 성형물을 취출하는 취출단계와;
    취출된 성형물을 후가공하여 콘텍트렌즈를 얻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의 조성비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친수성 단량체 20 내지 400 중량부, 계면활성제 0.01 내지 20 중량부이며,
    상기 계면활성제가 사포닌, 도데실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 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도데실에테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올레일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에, 상기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가교제 0.1 내지 20 중량부, 중합개시제 0.01 내지 20 중량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에, 실리콘 함유 단량체 100중량부 당 0.01 내지 20 중량부의,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또는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이, 중합개시제로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70176747A 2017-12-21 2017-12-21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 KR10200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47A KR102006918B1 (ko) 2017-12-21 2017-12-21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47A KR102006918B1 (ko) 2017-12-21 2017-12-21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281A KR20190075281A (ko) 2019-07-01
KR102006918B1 true KR102006918B1 (ko) 2019-08-02

Family

ID=6725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747A KR102006918B1 (ko) 2017-12-21 2017-12-21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308A (ko) * 2020-07-03 2022-01-11 (주)아이렌 생체적합성 콘택트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15B1 (ko) * 2021-01-06 2021-09-02 (주)티엠비 생체적합성 및 친수성이 우수한 실리콘 함유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의 방사선 중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3822A (ja) * 2009-12-14 2013-04-22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水ベースのレンズ調製物からシリコーンハイドロゲルレンズ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4161A (en) * 1991-09-05 1993-11-23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using surfactants as contact lens processing aids
KR100481120B1 (ko) 2001-08-27 2005-04-07 (주) 베스콘 불소-함유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가교제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소프트 렌즈
US8231218B2 (en) * 2006-06-15 2012-07-3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Wett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EP2126614B1 (en) * 2007-03-22 2019-04-24 Novartis AG Silicone-containing prepolymers with hydrophilic polymeric chains
KR101231181B1 (ko) 2007-06-25 2013-02-07 남택인 연질 콘텍트렌즈용 실리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조성에의해 제조된 연질 콘텍트렌즈
JP5863125B2 (ja) * 2010-07-30 2016-02-16 クーパーヴィ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ホウル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眼用レンズ型、その中で成型された眼用レンズ、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9140825B2 (en) * 2011-12-23 2015-09-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onic silicone hydrogels
JP5927014B2 (ja) * 2012-04-18 2016-05-25 Hoya株式会社 湿潤性表面を有するシリコーンハイドロゲル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JP5452756B1 (ja) * 2013-07-02 2014-03-26 Hoya株式会社 親水性表面を有するシリコーン含有共重合体成形品を作製する方法及び親水性表面を有するシリコーンハイ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
KR20170050475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아이씨케이 콘택트렌즈용 실리콘 히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3822A (ja) * 2009-12-14 2013-04-22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水ベースのレンズ調製物からシリコーンハイドロゲルレンズ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6 대한시과학회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308A (ko) * 2020-07-03 2022-01-11 (주)아이렌 생체적합성 콘택트렌즈
KR102392515B1 (ko) 2020-07-03 2022-04-29 (주)아이렌 생체적합성 콘택트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281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1234B2 (en) Silicone hydrogel soft contact lens having wettable surface
JP4235204B2 (ja) 安全性の高いシリコーン含有眼用レンズ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85537B2 (ja) 表面処理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EP2453292B1 (en) Soft hybrid contact len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hydration method
US7799248B2 (en) Demolding aids for silicone hydrogels and related methods
NO833340L (no) Silikonholdig materiale for harde kontaktlinser med oeket oksygenpermeabilitet
EP2969497B1 (en)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CA2945666A1 (en) Contact lens material
KR102006918B1 (ko)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
JP4772939B2 (ja) 重合性単量体組成物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
JP6907845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モノマー組成物、コンタクトレンズ用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352170A (zh) 可水提取的眼用装置
KR101752862B1 (ko)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CN112375187A (zh) 一种有机硅水凝胶配方及有机硅水凝胶隐形眼镜的制备方法
KR101860832B1 (ko) 산소투과성 및 습윤성이 우수한 신규한 실리콘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JP2959997B2 (ja) 2−ヒドロキシエチルメタクリレート系の重合体、ハイドロゲル及び含水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KR20080089420A (ko) 하이드로겔 안과용 렌즈로부터 미반응 성분들을 제거하는방법
JP3620613B2 (ja) 含水性眼用レンズ材料
CN115894796B (zh) 一种高透氧、高透光含硅氟水凝胶及含硅氟水凝胶角膜接触镜
JPH08334732A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US20230089707A1 (en) Ophthalmic devices
KR100475659B1 (ko)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계하이드로겔및함수소프트콘텍트렌즈의제조방법
TWM606434U (zh) 硬式透氧隱形眼鏡高分子材料結構
TW202342646A (zh) 高透氧矽水膠組成物、使用高透氧矽水膠組成物製作的隱形眼鏡及其製作方法
TW202208465A (zh) 硬式透氧隱形眼鏡高分子材料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