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862B1 -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862B1
KR101752862B1 KR1020150142047A KR20150142047A KR101752862B1 KR 101752862 B1 KR101752862 B1 KR 101752862B1 KR 1020150142047 A KR1020150142047 A KR 1020150142047A KR 20150142047 A KR20150142047 A KR 20150142047A KR 101752862 B1 KR101752862 B1 KR 10175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composition
copolymer
photochromic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886A (ko
Inventor
박재연
박용주
Original Assignee
(주)메디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오스 filed Critical (주)메디오스
Priority to KR102015014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862B1/ko
Priority to BR112018007305-9A priority patent/BR112018007305B1/pt
Priority to EP16855600.9A priority patent/EP3363862B1/en
Priority to PCT/KR2016/006716 priority patent/WO2017065382A1/ko
Priority to JP2018538508A priority patent/JP6850494B2/ja
Publication of KR2017004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L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2Photochromic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yeglass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불소에스테르화합물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이용하면 야간 및 실내에서는 무색투명한 상태의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태양광하에서는 칼라를 띄면서 광투과율이 저하되어 자외선 및 일사광을 차단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photochromic soft contact lens producing method }
본 발명은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야간 및 실내에서는 무색투명한 상태이고, 태양광하에서는 칼라를 띄면서 광투과율을 저하시켜 자외선 및 일사광을 차단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광변색염료는 스피로피란화합물, 스피로옥사진화합물, 티오인디고화합물, 트리아릴메탄화합물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들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분자구조가 변화되어 칼라를 띄게 되는 물질로서 디자인적인 부분이나 광학적인 부분에서 근래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중에서도 광학적인 부분으로 적용되는 사례는 건축물 유리나 자동차 유리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평소에는 투명한 유리이나 햇빛을 받으면 그레이 또는 브라운 계열의 짙은 칼라를 띄게되어 시야를 차단하거나, 자외선이나 일사광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안경렌즈 분야에서도 활용사례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소프트콘택트렌즈 분야에서는 상기의 효과를 획득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 이유는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구성하는 물질들, 예로 들자면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산 등은 친수성이 강한 물질이고,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된 렌즈를 안구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습윤공정을 거쳐서 렌즈에 물을 머금게 되는데, 광변색염료를 함유하고 있는 폴리머가 친수성인 물질 또는 물과 만나게 되면 뿌옇게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서 적용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또한, 상업적으로 실용적이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태양광에 의해 칼라를 띈 렌즈가 실내 또는 그늘에 위치하면 칼라가 빨리 소멸되어 렌즈가 투명한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칼라가 소멸되는 시간이 짧지 못하면 실효성이 매우 떨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일반적인 통상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에 광변색 염료를 첨가하여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활용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일반적으로, 광변색성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광변색염료라는 특수한 염료를 아크릴, 에폭시,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바인더수지에 혼합한 후 경화하여 사용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113467호에서는 연질 콘텍트렌즈용 실리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조성에 의해 제조된 연질 콘텍트렌즈를 기술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태양광에서 생성된 칼라가 그늘에서 보다 빠르게 소멸될 수 있는 보다 원활한 광변색 효과를 가지는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에 불소에스테르화합물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병용 첨가함으로써 태양광에 의해 칼라를 띈 렌즈가 태양광이 없는 상황에서 빠르게 무색투명하게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구에 착용가능하게 습윤된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백화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원활한 광변색 효과를 발휘하고, 태양광에 의해 칼라를 띈 렌즈가 태양광이 없는 상황에서 빠르게 무색투명하게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불소에스테르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의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5098051913-pat00001
Figure 112015098051913-pat00002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불소에스테르화합물과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합성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 및 친수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배합된 조성물에 광변색염료를 용해하는 단계;
(S4)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에 상기 단계 (S3)에서 용해된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조성물이 주입된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를 열처리하는 단계;
(S6)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S7) 상기 콘택트렌즈를 습윤 및 소독하는 단계; 및
(S8) 상기 콘택트렌즈를 포장 및 멸균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백화가 없으며, 태양광에 의해 칼라를 띄도록 빠르게 변색되고, 태양광이 제거되었을 때 빠르게 무색투명하게 원상복원되는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은 일반적인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에 있어서, 불소에스테르화합물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산 등과 같은 친수성 단량체들로 구성된 조성물에 상기 화학식 1의 불소에스테르화합물을 병용하여 사용하면 콘택트렌즈를 습윤한 후에도 백화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구조식2의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콘택트렌즈 조성물에 병용하면 이 화합물이 콘택트렌즈 내에서 스페이서로 작용하여, 태양광에 의해 칼라를 띄도록 변색되는 속도가 빠르게 되고, 변색되어 칼라를 띄었던 콘택트렌즈가 일광이 제거되었을 때 빠르게 무색투명하게 원상복원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은 (S1) 불소에스테르화합물과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합성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 및 친수성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배합된 조성물에 광변색염료를 용해하는 단계; (S4)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에 상기 단계 (S3)에서 용해된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조성물이 주입된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를 열처리하는 단계; (S6)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S7) 상기 콘택트렌즈를 습윤 및 소독하는 단계; 및 (S8) 상기 콘택트렌즈를 포장 및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불소에스테르화합물은 화학식 1로 대표되며, 상기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은 화학식 2로 대표된다.
Figure 112015098051913-pat00003
Figure 112015098051913-pat00004

상기 불소에스테르화합물은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예로 들 수 있으며,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와 미리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불소에스테르화합물은 소수성이 강하고,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는 친수성이 강하므로, 단순하게 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친수성물질 및 소수성물질끼리 각각 응집체를 형성하여 콘렉렌즈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의 합성은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불소에스테르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소정의 배합비율로 혼합하고, 아크릴레이트 열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가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열중합하여 화학구조식4로 나타내어지는 공중합체를 합성한다.
Figure 112015098051913-pat00005
Figure 112015098051913-pat00006
이때, 불소에스테르화합물의 배합비율은 10 내지 30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0몰% 미만의 경우에는 불소에스테르화합물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30몰%를 초과하면 공중합체의 소수성이 너무 강해진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전체 조성물중에서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중량% 미만에서는 콘택트렌즈 습윤시에 백화문제를 방지할 수 없으며, 50중량%를 초과하면 소수성이 너무 강해져서 콘택트렌즈를 습윤한 후에도 렌즈가 뻣뻣하여 안구에 착용시 불편함을 초래한다.
상기 공중합체를 합성시에 사용되는 열중합개시제는 벤조일페록사이드, 큐밀페록사이드, 부틸페록사이드, 부틸페록시벤조에이트 등과 같은 과산화물, 또는 2,2'-아조비스(2,4-디메틸펜탄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뷰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발레로니트릴 등과 같은 니트릴화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되어지며, 그 함량은 전체 아크릴레이트 조성물 중량에 대해 0.1 내지 2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공중합체의 합성이 용이하지 않고, 2중량%를 초과하면 열중합시에 굳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공중합체를 합성할 때 가열하는 온도는 90 내지 120℃가 바람직하며, 열중합시에 굳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기용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용제 또는, 사이클로헥사논, 메틸이소부틸케톤과 같은 케톤계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유기용제는 콘택트렌즈 성형시에 미중합 문제 및 인체유해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콘택트렌즈 성형용 조성물을 배합시에 별도의 공정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의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에서 5 내지 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중량% 미만에서는 칼라게 진하게 변색되는 변색속도 및 변색된 칼라가 소멸되는 속도가 빠르지 않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콘택트렌즈 성형시에 가교밀도가 낮아져서 물리적인 강성이 저하되고, 몰드에서 콘택트렌즈를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산 등과 같은 친수성 단량체 중에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아릴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과 같이 2관능 이상의 탄소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중에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에서 0.5 내지 2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중량% 미만에서는 가교결합이 불충분하여 콘택트렌즈의 물리적인 강성 및 탄성이 저하되고, 2중량%를 초과하면 콘택트렌즈를 습윤시에 함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벤조일페록사이드, 큐밀페록사이드, 부틸페록사이드, 부틸페록시벤조에이트 등과 같은 과산화물, 또는 2,2'-아조비스(2,4-디메틸펜탄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뷰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발레로니트릴 등과 같은 니트릴화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에서 0.05 내지 0.3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5중량% 미만에서는 콘택트렌즈가 미중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0.3중량%를 초과하면 콘택트렌즈의 탄성이 저하되어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분리할 때 크랙이 발생할 소지가 높다.
상기 광변색염료는 나프토피란화합물, 스피로피란화합물, 스피로옥사진화합물, 티오인디고화합물, 트리아릴메탄화합물 등이며, 구체적으로는 1,3-디히드로-1,3,3-트리메틸스피로[2H-인돌-2,3`-[3H]나프토[2,1-b][1,4]옥사진], 1,3-디히드로-1,3,3-트리메틸스피로[2H-인돌-2,3`-[3H]페난토[9,10-b][1,4]옥사진], 1`,3`-디히드로-1`,3`,3`-트리메틸-6-니트로스피로[2H-1-벤조피란-2,2`-(2H)-인돌], 1,3,3,5-테트라메틸스피로[인돌이노-2,3`-나프토[2,1-b][1,4]옥사진], 5-메톡시-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이노-2,3`-나프토[2,1-b][1,4]옥사진], 5-클로로-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이노-2,3`-나프토[2,1-b][1,4]옥사진]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광변색염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에서 0.5 내지 2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중량% 미만에서는 실효성이 있을 만큼의 칼라농도가 구현되지 않으며,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칼라농도가 포화상태에 이르며 광변색염료가 매우 고가이므로 경제적이지 않다. 상기 광변색염료는 아크릴레이트 조성물에 첨가후 상온 내지 40℃에서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0℃ 이상의 온도에서는 아크릴레이트의 개시반응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배합된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성형용 아크릴레이트 조성물은 별도로 제작된 몰드에 주입된다. 몰드의 재질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성형된 콘택트렌즈의 분리 용이성 측면에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몰드가 선호된다. 조성물이 주입된 몰드는 60 내지 120℃의 온도에서 4 내지 12시간동안 열처리가 실시되어 몰드 내의 조성물이 가교결합되어 콘택트렌즈로 성형된다. 이후 상기의 공정으로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몰드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습윤액에 침지하여 팽윤 및 함수처리를 실시한다. 습윤액은 염화나트륨 0.9중량% 생리식염수 또는 별도로 조제하여 사용가능하다. 습윤처리는 1 내지 2시간동안 상온에서 침지되어 실시되고, 이후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동안 열처리하는 공정으로 진행되며, 열처리하는 동안 콘택트렌즈에 잔존하고 있던 미반응 단량체가 콘택트렌즈로부터 습윤액으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통상, 소독공정이라고 명칭하고 있다. 이후 상기의 공정으로 처리된 렌즈를 염화나트륨 0.9중량% 생리식염수가 채워진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된 용기에 포장한 후, 1기압 이상의 압력을 가진 포화증기로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고압증기멸균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트렌즈의 제조를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백화가 없으며, 태양광에 의해 칼라를 띄도록 빠르게 변색되고, 태양광이 제거되었을 때 빠르게 무색투명하게 원상복원되는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제조예 1> 공중합체의 합성
교반 및 가열이 가능한 반응용기에 톨루엔 137.73g을 투입한 후, 120℃까지 가열을 실시하고 지속적으로 교반한다. 이와는 별도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4.11g(0.8몰)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3.62g(0.2몰), 열중합개시제로 벤조일페록사이드 0.69g(0.5중량%)을 미리 균일하게 배합해 놓은 혼합물을 준비한후, 이 혼합물을 상기의 120로 톨루엔이 가열되어 있는 반응용기에 2시간에 걸쳐서 적하 투입을 실시한 후, 추가로 120℃에서 2시간동안 유지하여 공중합체를 합성한다.
<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합성한 공중합체 60g 및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7.85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감압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온도 60℃, 압력 150torr의 조건으로 감압증류를 실시하여 공중합체 내에 함유되어 있는 톨루엔을 모두 제거한 후, 화학구조식2에서 n=0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10g,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g, 2,2'-아조비스이소뷰티로니트릴 0.15g, 광변색염료 1g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여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 및 광변색염료를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때에 사용된 광변색염료는 태양광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검은색 계열로 칼라가 변하는 물질이며, volcanic gray라는 상품명으로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원료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조성물을 자사에서 성형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몰드에 주입한 후, 60℃에서 8시간, 120℃에서 4시간동안 열처리를 실시하여 조성물의 가교결합을 완료하고, 몰드에서 분리한 후 염화나트륨 0.9중량% 생리식염수에 1시간동안 침지하여 콘택트렌즈가 팽윤되게 한 후, 80℃의 온도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여 소독공정을 완료한 후, 염화나트륨 0.9중량% 생리식염수가 채워진 유리용기에 포장한 후, 온도 120℃, 압력 200kPa의 조건으로 20분동안 멸균처리를 실시하였다.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로써 n=0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대신하여, n=6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콘택트렌즈의 제조를 실시하였다.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콘택트렌즈용 조성물을 준비함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동량의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콘택트렌즈의 제조를 실시하였다.
< 비교예 2>
교반이 가능한 용기에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80.53g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7.32g, 화학구조식2에서 n=0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10g,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g, 2,2'-아조비스이소뷰티로니트릴 0.15g, 광변색염료 1g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여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 및 광변색염료를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때에 사용된 광변색염료는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조성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정을 진행하여 콘택트렌즈의 제조를 실시하였다.
< 비교예 3>
교반이 가능한 용기에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97.85g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g, 2,2'-아조비스이소뷰티로니트릴 0.15g, 광변색염료 1g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여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 및 광변색염료를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때에 사용된 광변색염료는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조성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정을 진행하여 콘택트렌즈의 제조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하기 시험예의 방법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1에 정리하였다.
< 시험예 1> 외관 관찰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및 3을 통해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얼룩이나 백화 등의 발생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시험예 2> 변색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및 3을 통해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태양광에 노출되었을 때 칼라를 띄면서 진하게 변색되는 속도를 시간에 따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빠름 : 태양광 노출후 10초 이내에 진하게 변색됨
보통 : 태양광 노출후 10 내지 20초에 진하게 변색됨
느림 : 태양광 노출후 20초 이후에 진하게 변색됨
< 시험예 3> 소멸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및 3을 통해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태양광에 노출되어 진하게 변색된 상태에서 태양광 노출을 차단한 후 원래의 무색투명한 상태로 복원되기까지의 시간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빠름 : 태양광 차단 후 30초 이내에 무색투명하게 복원됨
보통 : 태양광 차단 후 30초 내지 1분에 무색투명하게 복원됨
느림 : 태양광 차단 후 1분 이후에 무색투명하게 복원됨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외 관 좋음 좋음 좋음 얼룩 백화
변색속도 빠름 빠름 보통 빠름 느림
소멸속도 빠름 빠름 느림 빠름 느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콘택트렌즈는 외관이 좋고, 변색속도 및 소멸속도가 빨라서 상업적으로 유용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콘택트렌즈, 즉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콘택트렌즈는 변색되는 속도가 느리고, 무색투명하게 복원되는 속도도 느림을 알 수 있고,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콘택트렌즈, 즉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와 불소에스테르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사용하지 않고, 단순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렌즈가 균일하지 않고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비교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콘택트렌즈, 즉 상기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와 불소에스테르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콘택트렌즈에 백화가 발생하고, 변색속도 및 소멸속도가 느림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백화가 없으며, 태양광에 의해 칼라를 띄도록 빠르게 변색되고, 태양광이 제거되었을 때 빠르게 무색투명하게 원상복원되는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S1) 불소에스테르화합물과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합성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 및 친수성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배합된 조성물에 광변색염료를 용해하는 단계;
    (S4)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에 상기 단계 (S3)에서 용해된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조성물이 주입된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를 열처리하는 단계;
    (S6)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S7) 상기 콘택트렌즈를 습윤 및 소독하는 단계; 및
    (S8) 상기 콘택트렌즈를 포장 및 멸균하는 단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에스테르화합물이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상기 공중합체 내에서 10 내지 30몰%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전체 조성물중에서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이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전체 조성물 중에서 5 내지 20중량%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량체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아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진 2관능 이상의 탄소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중에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되고, 전체 조성물 중에서 0.5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벤조일페록사이드, 큐밀페록사이드, 부틸페록사이드, 부틸페록시벤조에이트, 2,2'-아조비스(2,4-디메틸펜탄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뷰티로니트릴, 또는 2,2'-아조비스발레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고, 전체 조성물 중에서 0.05 내지 0.3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염료는 1,3-디히드로-1,3,3-트리메틸스피로[2H-인돌-2,3`-[3H]나프토[2,1-b][1,4]옥사진], 1,3-디히드로-1,3,3-트리메틸스피로[2H-인돌-2,3`-[3H]페난토[9,10-b][1,4]옥사진], 1`,3`-디히드로-1`,3`,3`-트리메틸-6-니트로스피로[2H-1-벤조피란-2,2`-(2H)-인돌], 1,3,3,5-테트라메틸스피로[인돌이노-2,3`-나프토[2,1-b][1,4]옥사진], 5-메톡시-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이노-2,3`-나프토[2,1-b][1,4]옥사진] 및 5-클로로-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이노-2,3`-나프토[2,1-b][1,4]옥사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전체 조성물 중에서 0.5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50142047A 2015-10-12 2015-10-12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KR10175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47A KR101752862B1 (ko) 2015-10-12 2015-10-12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BR112018007305-9A BR112018007305B1 (pt) 2015-10-12 2016-06-23 Composição de lente de contato gelatinosa fotocromática e método para preparação da mesma
EP16855600.9A EP3363862B1 (en) 2015-10-12 2016-06-23 Photochromic soft contact lens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PCT/KR2016/006716 WO2017065382A1 (ko) 2015-10-12 2016-06-23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8538508A JP6850494B2 (ja) 2015-10-12 2016-06-23 光変色性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47A KR101752862B1 (ko) 2015-10-12 2015-10-12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886A KR20170042886A (ko) 2017-04-20
KR101752862B1 true KR101752862B1 (ko) 2017-06-30

Family

ID=5851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047A KR101752862B1 (ko) 2015-10-12 2015-10-12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363862B1 (ko)
JP (1) JP6850494B2 (ko)
KR (1) KR101752862B1 (ko)
BR (1) BR112018007305B1 (ko)
WO (1) WO20170653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16B1 (ko) 2019-12-04 2021-06-09 주식회사 아이코디 광변색 컬러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65321A (ja) * 2018-07-13 2021-10-14 Agc株式会社 含フッ素重合体、膜及び医療用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4562A (ja) * 1999-10-22 2003-11-18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滅菌した光互変性親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
JP5589202B2 (ja) * 2007-07-27 2014-09-17 株式会社メニコン 光学性材料及びそれからなる眼用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40941B2 (en) * 1989-07-31 1993-09-09 Hoya Corporation Contact lens
JP2793363B2 (ja) * 1989-07-31 1998-09-03 ホーヤ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
ES2090286T3 (es) * 1990-12-20 1996-10-16 Ciba Geigy Ag Hidrogeles de copolimero de bloques de poli(oxido de alquileno) que contienen fluor y/o silicona y lentes de contacto de los mismos.
US6649722B2 (en) * 1999-12-10 2003-11-18 Novartis Ag Contact lens
US7368072B2 (en) * 2001-12-10 2008-05-06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contact lens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EP1589367B1 (en) * 2003-01-27 2019-03-13 Menicon Co., Ltd. Photochromic contact lens excelling in decoloring characteristic
WO2011053633A1 (en) * 2009-10-27 2011-05-05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Fast-response photochromic nanostructured contact lenses
EP3121643B1 (en) * 2014-03-19 2020-07-22 Menicon Co., Ltd. Ophthalmic lens
CN105175640B (zh) * 2015-10-28 2021-03-23 梅迪奥斯株式会社 光变色性软性隐形眼镜组合物及制造其的方法
KR20170105452A (ko) * 2017-08-28 2017-09-19 (주)메디오스 청광차단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4562A (ja) * 1999-10-22 2003-11-18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滅菌した光互変性親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
JP5589202B2 (ja) * 2007-07-27 2014-09-17 株式会社メニコン 光学性材料及びそれからなる眼用レン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16B1 (ko) 2019-12-04 2021-06-09 주식회사 아이코디 광변색 컬러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886A (ko) 2017-04-20
JP2018537729A (ja) 2018-12-20
BR112018007305B1 (pt) 2021-11-30
EP3363862A1 (en) 2018-08-22
JP6850494B2 (ja) 2021-03-31
EP3363862B1 (en) 2020-11-11
WO2017065382A1 (ko) 2017-04-20
EP3363862A4 (en) 2019-05-22
BR112018007305A2 (pt)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302B1 (ko) 청광차단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US6689480B2 (en) Surface-treated plastic article and method of surface treatment
US4576766A (en) Photochromic compounds and their use in photoreactive lenses
US6140438A (en) Soft intraocular lens material
KR101918645B1 (ko) 습윤성 표면을 가지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프트 콘택트 렌즈
JP3625097B2 (ja)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法
KR20030060964A (ko) 광변색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52862B1 (ko) 광변색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WO1989007952A1 (en) Process for producing intraocular lens for correcting cyanopia
CN105175640B (zh) 光变色性软性隐形眼镜组合物及制造其的方法
EP2232304B1 (en) Method for mak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KR20170105452A (ko) 청광차단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KR102259281B1 (ko) 청색광 차단용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6918B1 (ko)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
KR102199118B1 (ko) 청색광 차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색광 차단 콘텍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2003144538A (ja) 軟質眼内レンズ用材料
JPS5994731A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KR102600599B1 (ko) 반응성 폴리페놀을 이용한 활성산소제거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102452916B1 (ko) 안내렌즈용 재료
TW202342646A (zh) 高透氧矽水膠組成物、使用高透氧矽水膠組成物製作的隱形眼鏡及其製作方法
JP3269819B2 (ja) 眼用装着物
CN116997846A (zh) 隐形眼镜用单体组合物、其聚合物、隐形眼镜及其制造方法
CN117897636A (zh) 眼科装置
JPH04293010A (ja) 着色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JPS6417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