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774B1 -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774B1
KR102006774B1 KR1020190030180A KR20190030180A KR102006774B1 KR 102006774 B1 KR102006774 B1 KR 102006774B1 KR 1020190030180 A KR1020190030180 A KR 1020190030180A KR 20190030180 A KR20190030180 A KR 20190030180A KR 102006774 B1 KR102006774 B1 KR 10200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istribution line
exterior
inner tube
clam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우
Priority to KR102019003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포설된 배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선을 포설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이 포설되는 내관,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며 내관보다 더 큰 둘레를 갖으며, 외형이 오목하고 볼록한 형상의 파형상을 갖는 외관, 상기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위치되며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양생되는 양생공간, 성가 외관에 형성되어 상기 양생공간으로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주입구, 상기 외관이 외부에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상기 외관의 오목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매설된 주변 토사를 굴토하는 굴토링을 포함하고, 상기 굴토링은 상기 외관의 오목한 부분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제1 클램프링, 상기 외관의 오목한 부분의 하부 둘레를 감사는 제2 클램프링, 상기 제1 클램프링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굴토링을 회전시키며, 매설된 위치를 가늠하는 링회전막대, 상기 외관의 주변 토사를 제거하여 지중에서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클램프링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상기 굴토링의 회전 시 주변 토사를 굴토하는 복수 개의 발톱, 및 상기 제1 클램프링과 상기 제2 클램프링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크리트층을 파손하지 않고 용이하게 절개하여 보수할 수 있으며, 굴토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Protector pipe}
본 발명은 지중에 포설된 배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발전소 또는 변전소에서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으로서, 수용가 까지 전주를 통해 포설되어 전기를 공급하지만, 전주에서 늘어진 배전선이 도시환경의 미감을 저해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지중에 매설하여 설치한다.
배전선을 지중에 매설할 때에는 지중에 보호관을 설치하고, 보호관의 내부에 배전선을 포설하는 형태로 매설되는데, 토압에 의해 보호관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25142호(2007.06.08.공고)의 "고압케이블 설치보호용 이중관 설치구조"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고압케이블 설치보호용 이중관 설치구조는 일정 깊이의 지중 위치에 고압케이블 및 이를 보호하는 가요 케이블 관을 매설함에 있어서, 상기 가요 케이블 관의 외 둘레에는 물리적인 외력에도 변위가 발생되지 않는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이 콘크리트층의 외둘레를 긴밀하게 감싸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관체와, 이 원형관체가 개구된 양측으로 각각 일정 간격으로체결공이 형성된 격자모양의 자켓을 일체로 연장하여 서로 마주 보도록 구성하며, 상기 개구된 사이로 가스켓이 게재되고 서로 마주하는 자켓간에는 자켓홈이 형성된 누수방지커버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고압케이블 설치보호용 이중관 설치구조는 콘크리트층에 의해 자연적인 현상이나,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터파기, 되메우기 및 다짐 등의 물리적인 현상으로 토사가 침하될 경우 지중에 매설한 가요성 케이블관의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고압케이블 설치보호용 이중관 설치구조는 보수시 형성된 콘크리트층을 파괴해야만 보수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설된 이중관을 보수하기 위해 굴토할 때, 이중관의 둘레에 토사의 제거가 어려워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7681호(2010.4.12.공개)의 "굴삭기를 이용한 지하매설관 상부 토사의 제거장치"가 개시되었지만, 장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영세한 업체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크리트층을 파손하지 않고 용이하게 절단하여 보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관의 주변에 토사를 용이하게 굴토하여 제거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선을 포설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이 포설되는 내관,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며 내관보다 더 큰 둘레를 갖으며, 외형이 오목하고 볼록한 형상의 파형상을 갖는 외관, 상기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위치되며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양생되는 양생공간, 성가 외관에 형성되어 상기 양생공간으로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주입구, 상기 외관이 외부에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상기 외관의 오목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매설된 주변 토사를 굴토하는 굴토링을 포함하고, 상기 굴토링은 상기 외관의 오목한 부분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제1 클램프링, 상기 외관의 오목한 부분의 하부 둘레를 감사는 제2 클램프링, 상기 제1 클램프링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굴토링을 회전시키며, 매설된 위치를 가늠하는 링회전막대, 상기 외관의 주변 토사를 제거하여 지중에서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클램프링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상기 굴토링의 회전 시 주변 토사를 굴토하는 복수 개의 발톱, 및 상기 제1 클램프링과 상기 제2 클램프링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관의 중앙에 상기 내관이 위치되도록 상기 양생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외관에서 상기 내관을 지지하는 지지격벽, 및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의 하부를 용이하게 절개하여 상기 내관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지지격벽의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절개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생공간을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구획하는 길이격벽, 및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상기 길이격벽의 내부에 형성되는 측면절개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생공간으로 상기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주입하거나, 보수를 위해 굴토 시 상기 외관의 주변에 흙을 진동에 의해 떨어내기 위해 상기 굴토링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굴토링의 회전 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관과 외관에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양생공간이 형성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가 미양생되도록 지지격벽에 하부절개공간이 형성하고 길이격벽에 측면절개공간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층을 파괴하지 않고 용이하게 절단하여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관에 굴토링이 설치되어 굴토링에 의해 주변 토사를 굴토함으로써, 별도의 장비없이도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을 외부로 노출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굴토링과 외관의 사이에 진동발생부가 설치되어 굴토링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에 뭍은 토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굴토링이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주입구가 형성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내관(120), 외관(110)을 포함할 수 있다.
내관(120)은 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관(120)의 내부에는 배전선(200)이 포설될 수 있다.
내관(120)의 내주에는 배전선(200)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도록 배전선(2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레일부(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부(121)는 내관(120)의 내주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부(121)는 포설할 배전선(200)에 끝단에 롤러를 설치하고, 롤러가 가이드레일부(121)에 걸쳐진 상태에서 배전선(200)의 끝단을 외측에서 당기는 형태로 배전선(200)이 결합된 롤러가 가이드레일부(121)를 따라 이동하며 배전선(200)을 포설하도록 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외관(110)은 내관(120)을 감싸도록 내관(120)의 직경보다는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관(110)의 내부에 내관(120)이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내관(120)과 외관(110)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관(120)과 외관(110)은 하기에 설명될 지지격벽(131)에 의해 외관(110)의 중앙에 내관(120)이 위치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외관(110)은 외형이 직경이 작은 오목부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볼록부가 상호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마치 외형이 파형상인 관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양생공간(130), 지지격벽(131), 길이격벽(135), 및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양생공간(130)은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공간으로 내관(120)과 외관(11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양생공간(130)은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경화되는 형태로 내관(120)과 외관(110)의 사이에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외관(110)에는 양생공간(130)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관(110)에는 양생공간(130)에 콘크리트의 양생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콘크리트가 양생공간(130)으로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공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홀은 외관(110)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의 상면에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양생공간(130)에는 지지격벽(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격벽(131)의 내부에는 하부절개공간(13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격벽(131)은 외관(110)의 내주에서 내관(120)의 외면을 연결하고, 양생공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외관(110)의 중앙에 내관(120)이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격벽(131)에는 내부가 빈 하부절개공간(133)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절개공간(133)은 콘크리트가 미주입되어 콘크리트가 미양생되는 공간으로서,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의 하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하부절개공간(133)이 형성되지 않고 원주방향의 둘레에 연속하여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경우, 배전선(200)이 끊어지거나, 교체를 위한 보수를 수행할 때, 콘크리트층에 의해 내관(120)의 내부로 진입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지격벽(131)의 내부에 하부절개공간(133)을 형성하고, 이 하부절개공간(133)을 칼 또는 톱과 같은 연장에 의해 절개하여 외부에서 내관(1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여 내관(120)에 포설된 배전선(200)의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절개공간(133)은 외관(110)과 내관(1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절개공간(133)은 포설되는 하나의 배전선(200)을 인출할 수 있는 직경과 보다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생공간(130)에는 길이격벽(1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격벽(135)에는 내부가 빈 측면절개공간(137)이 형성될 수 있다.
길이격벽(135)은 내관(120)과 외관(110)의 사이에 위치된 양생공간(130)의 길이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마다 형성되어 마치 콘크리트층이 양생공간(130)의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 개가 배열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층이 내관(120)과 외관(110)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경우, 내관(120) 또는 외관(110)의 손상 시 일부 구간을 보수를 수행할 때, 콘크리트층을 파괴해야만 보수할 수 있지만, 실시예는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길이격벽(135)이 형성되고, 길이격벽(135)의 내부에 측면절개공간(137)이 형성되어 이 측면절개공간(137)을 칼 또는 톱과 같은 연장에 의해 절단함에 따라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하여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측면절개공간(137)을 형성하는 길이격벽(135)의 사이 간격은 칼 또는 톱이 진입할 수 있는 두께라면 충분하다.
그리고, 주입구는 외관(110)에서 길이격벽(135)의 사이마다 형성되어 길이격벽(135)의 사이마다 콘크리트를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굴토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굴토링(150)은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보수를 위해 지중을 굴토할 때,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의 주변 토사를 굴토 및 교란시켜 용이하게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지중에 매설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쉽게 위치가 파악되지 않아 포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굴토하는데, 포크레인에 의해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의 일부 노출되었다 하더라도, 그 주변의 토사를 제거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일부 노출된 상태에서 주변 토사를 굴토함으로써,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을 외부에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굴토링(150)은 외관(110)의 오목한 부분에 외관(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굴토링(150)은 외관(110)의 오목한 모든 부분마다 설치되거나, 외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오목한 부분마다 복수 개가 외관(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굴토링(15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관(110)의 오목한 부분에 끼워질 수 있으며, 굴토링(150)은 외관(110)의 오목한 부분에 설치할 수 있도록 링을 상하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호 결합하는 형태로 외관(110)에 굴토링(150)을 결합할 수 있다.
굴토링(150)은 제1 클램프링(151), 제2 클램프링(152), 및 링회전막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링(151)은 외관(110)의 외면에 끼워지는 링형상을 반으로 분할한 형상으로 외관(110)의 오목한 부분의 상부를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클램프링(152)은 나머지 반의 형상으로 외관(110)의 오목한 부분의 하부를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외관(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클램프링(151)에는 굴토링(150)을 외관(110)에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막대형상의 링회전막대(160)가 제1 클램프링(151)에 세워진 형태로 상부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링회전막대(160)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매립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께 매립될 수 있으며, 링회전막대(160)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해 바닥을 굴토 시 다른 부분보다 먼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링회전막대(160)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 노출된 링회전막대(160)의 부분을 흔드는 형태로 굴토링(150)을 회전시켜 외관(110)의 주변 토사를 굴토함으로써, 외관(110)의 주변 토사를 교란시켜 외관(110)의 주변토사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형태로 외관(110)을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물론, 링회전막대(160)는 지반의 강도에 따라 포크레인과 같은 장비에 의해 링회전막대(160)의 상부를 긁어 밀거나 당기는 형태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거나, 작업자가 직접 링회전막대(160)를 흔드는 형태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발톱(155)은 굴토링(150)의 둘레에 복수 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발톱(155)은 회전링의 회전 시 외관(110)의 주변에 위치된 토사를 직접적으로 굴토하거나, 교란시킬 수 있다.
발톱(155)은 제1 클램프링(151)과 제2 클램프링(152)을 결합하여 굴토링(15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제1 클램프링(151)과 제2 클램프링(152)의 양측에 각각 하나의 발톱(155)이 양분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된 발톱(155)이 제1 클램프링(151)과 제2 클램프링(152)의 플랜지의 기능을 하도록 분할된 발톱(155)을 서로 겹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53)에 의해 체결하는 형태로 제1 클램프링(151)과 제2 클램프링(152)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진동발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진동발생부(170)는 굴토링(150)의 회전 시 진동을 발생하여 양생공간(130)에 콘크리트를 주입할 때, 진동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없이 콘크리트를 체우거나, 굴토 시 외관(110)의 주변에 묻은 토사를 진동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진동발생부(170)는 굴토링(150)이 결합되는 외관(110)의 오목한 부분의 외면에 복수 개의 진동돌기(173)가 형성되고, 굴토링(150)의 내주에는 진동돌기(173)에 걸쳐지는 걸림돌기(171)가 형성되어 굴토링(150)을 회전시 걸림돌기(171)가 진동돌기(173)를 넘나드는 충격에 의해 외관(110)에 진동을 발생하는 형태로 콘크리트의 주입에 도움을 주거나, 외관(110)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떨어낼 수 있다.
이하, 각 구성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외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며, 내관(120)과 외관(110)의 사이에는 양생공간(130)이 형성되고, 외관(110)에는 양생공간(130)과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내관(120)의 내주에는 포설할 배전선(200)을 용이하게 내관(120)의 내부로 반입하기 위한 가이드레일부(121)가 내주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생공간(130)에는 외관(110)에서 내관(120)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지격벽(131)이 형성되며, 지지격벽(131)에는 하부절개공간(133)이 형성된다.
이 하부절개공간(133)은 콘크리트가 미양생되는 공간으로 외부에서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이다.
그리고, 양생공간(130)에는 길이방향으로 구획하는 길이격벽(135)이 형성되며, 길이격벽(135)의 내부에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측면절개공간(13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양측에 위치되는 길이격벽(135)의 사이에는 외관(110)과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관(110)의 상부 외면에는 공기홀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관(110)에는 복수 개의 굴토링(150)이 외면의 오목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굴토링(150)은 제1 클램프링(151)이 외관(110)의 상면에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2 클램프링(152)이 외관(110)의 하면에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53)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굴토링(150)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발톱(155)이 형성되고, 제1 클램프링(151)의 상부에는 링회전막대(160)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체결부재(153)는 제1 클램프링(151)과 제2 클램프링(152)의 서로 겹쳐지는 양측 부분에 발톱(155)을 형성하고, 양측 부분에 형성되는 발톱(155)을 제1 클램프링(151)에 일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일부를 제2 클램프링(152)에 나머지를 형성하여 상호 겹쳐진 발톱(155)을 체결부재(153)에 의해 체결하는 형태로 제1 클램프링(151)과 제2 클램프링(152)을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굴토링(150)의 내주에는 걸림돌기(171)가 형성되고, 굴토링(150)의 오목한 부분에는 걸림돌기(171)가 걸쳐지는 진동돌기(173)가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굴토링(150)의 회전시 외관(110)에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17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외관(110)이 외면에 굴토링(150)을 설치한 상태에서 배전선(200)을 포설할 지반을 굴토한다.
지반이 굴토되면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을 매설할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시킨 상태에서 주입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양생공간(130)으로 주입한다.
콘크리트를 주입할 때, 외관(110)에 형성된 링회전막대(160)를 외관(110)의 둘레에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면 굴토링(150)의 내주에 형성된 걸림돌기(171)가 외관(110)에 형성된 진동돌기(173)를 넘나들며, 외관(110)에 진동을 발생시켜 콘크리트가 양생공간(130)에 용이하게 퍼짐과 동시에 기공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한편, 양생공간(13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이전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을 토사를 덮어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을 매설한다.
이때, 외관(110)에 설치된 모든 굴토링(150)은 링회전막대(160)가 상부를 향해 세워진 상태에서 토사에 의해 매설될 수 있으며,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토사에 매설된 후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매설된 형상을 유지한다.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지중에 매설되면,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의 일단에서 매설된 배전선(200)의 끝단에 롤러를 결합하고, 롤러를 내관(120)의 가이드레일부(121)에 결합한 상태에서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의 타단에서 와이어를 통해 배전선(200)을 끌어 당기는 형태로 내관(120)의 내부에 배전선(200)을 포설한다.
한편, 배전선(200)이 단선되어 배전선(200)의 복구를 필요로 하거나, 지중배전선(200)로 보호관이 손상되어 보수를 필요로 하거나,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매설된 부분을 굴토하여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지반을 굴토하여 링회전막대(160)가 일부 노출되면, 포크레인 또는 작업자가 링회전막대(160)를 흔들어 외관(110)의 주변에 토사를 굴토한다.
링회전막대(160)를 흔들면, 외관(110)에서 굴토링(150)이 회전하고, 굴토링(150)의 둘레에 형성된 발톱(155)이 외관(110)의 주변에 토사를 긁어 굴토하거나, 교란하기 때문에 주변에 토사를 제거하면 매설된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쉽게 노출된다.
한편, 매설된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외부에 노출되면, 링회전막대(160)를 흔들면 진동발생부(170)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외관(110)에 묻은 토사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손상되어 일부분의 교체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교체할 부분에 위치된 굴토링(150)을 제거하고, 교체할 부분과 대응되는 외관(110)의 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격벽(131)이 형성된 부분과 교체할 부분과 대응되는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되는 길이격벽(135)의 부분을 톱 또는 칼과 같은 연장으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절단되면, 내관(120)에 포설된 배전선(200)이 지지격벽(131)에 절단된 부분으로 빠져나오도록 절단된 부분을 상부로 들어올려 절단된 부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절단된 부분을 교체하기 위해 절단된 부분과 동일한 크기로 절단된 새로운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의 지지격벽(131)의 하단을 절개한 상태에서 배전선(200)을 내관(120)의 내부로 삽입하고, 절단된 양측을 관이음부재로 서로 연결한다.
관이음부재로 기존의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과 새로운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이 연결되면, 절단된 하부를 실리콘, 발포우레탄 또는 기밀패드를 부착하는 형태로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의 주입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다시 토사에 의해 매립하는 형태로 보수를 할 수 있다.
물론, 배전선(200)의 단선을 연결할 때에는 지지격벽(131)의 하단만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통해 단선된 배전선(200)을 일부 꺼낸 상태에서 단선된 부분을 재연결한 후, 다시 절개된 부분으로 배전선(200)을 내관(120)의 내부로 넣은 뒤 절개된 부분을 실리콘, 발포우레탄 또는 기밀패드를 부착하는 형태로 보수하고, 지중에 다사 매립하는 형태로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100)은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강성을 향상시킬수 있음과 동시에 지지격벽(131)에 형성된 하부절개공간(133) 및 길이 격벽에 형성된 측면절개공간(137)에 용이하게 절단하여 콘크리트층의 파손 없이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굴토링(150)이 회전에 따라 주변에 토사를 굴토하여 복개 시 주변의 토사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토사를 제거할 때, 외관(11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굴토링(150)과 외관(110)의 사이에 진동발생부(170)가 설치되어 굴토링(150)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토사를 용이하게 떨어내거나,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주입하고 콘크리트의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110: 외관
120: 내관 121: 가이드레일부
130: 양생공간 131: 지지격벽
133: 하부절개공간 135: 길이격벽
137: 측면절개공간 150: 굴토링
151: 제1 클램프링 152: 제2 클램프링
153: 체결부재 155: 발톱
160: 링회전막대 170: 진동발생부
171: 걸림돌기 173: 진동돌기
200: 배전선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선을 포설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이 포설되는 내관,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며 내관보다 더 큰 둘레를 갖으며, 외형이 오목하고 볼록한 형상의 파형상을 갖는 외관,
    상기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위치되며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양생되는 양생공간,
    성가 외관에 형성되어 상기 양생공간으로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주입구,
    상기 외관이 외부에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상기 외관의 오목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매설된 주변 토사를 굴토하는 굴토링을 포함하고,
    상기 굴토링은
    상기 외관의 오목한 부분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제1 클램프링,
    상기 외관의 오목한 부분의 하부 둘레를 감사는 제2 클램프링,
    상기 제1 클램프링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굴토링을 회전시키며, 매설된 위치를 가늠하는 링회전막대,
    상기 외관의 주변 토사를 제거하여 지중에서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클램프링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상기 굴토링의 회전 시 주변 토사를 굴토하는 복수 개의 발톱, 및
    상기 제1 클램프링과 상기 제2 클램프링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의 중앙에 상기 내관이 위치되도록 상기 양생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외관에서 상기 내관을 지지하는 지지격벽, 및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의 하부를 용이하게 절개하여 상기 내관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지지격벽의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절개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공간을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구획하는 길이격벽, 및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상기 길이격벽의 내부에 형성되는 측면절개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공간으로 상기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주입하거나, 보수를 위해 굴토 시 상기 외관의 주변에 흙을 진동에 의해 떨어내기 위해 상기 굴토링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굴토링의 회전 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20190030180A 2019-03-15 2019-03-15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200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80A KR102006774B1 (ko) 2019-03-15 2019-03-15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80A KR102006774B1 (ko) 2019-03-15 2019-03-15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774B1 true KR102006774B1 (ko) 2019-08-02

Family

ID=6761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180A KR102006774B1 (ko) 2019-03-15 2019-03-15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682B1 (ko) * 2023-04-14 2024-03-11 주식회사 이룸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20B1 (ko) * 2008-12-23 2009-10-28 (주)경동기술공사 터널과 철도 및 건축물 단지내를 횡단하는 고압케이블 설치구조와 고압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
KR101344750B1 (ko) * 2013-11-06 2013-12-24 주식회사 파스텍 케이블 보호용 관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20B1 (ko) * 2008-12-23 2009-10-28 (주)경동기술공사 터널과 철도 및 건축물 단지내를 횡단하는 고압케이블 설치구조와 고압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
KR101344750B1 (ko) * 2013-11-06 2013-12-24 주식회사 파스텍 케이블 보호용 관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682B1 (ko) * 2023-04-14 2024-03-11 주식회사 이룸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083B1 (ko)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KR100748258B1 (ko)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KR102006774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JP5148742B2 (ja) 地下構造体へのシールド機通過方法
KR100924794B1 (ko) 개착식 구조물과 지중터널 구조물의 연결부 유입수 처리방법
JP3298848B2 (ja) トンネル防水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7177488A (ja) 浸透管の埋設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施工装置
JPH08209686A (ja) 場所打杭の杭頭処理具及び杭頭処理工法
JP2022135845A (ja) 地中杭周掘削並びに破砕地中杭引き抜き機構および該機構を用いた破砕地中杭引き抜き工法
KR100680157B1 (ko) 전기통신 맨홀 누수방지시설
EP2166391B1 (en) Splice box and marking device
JP6909607B2 (ja) 場所打ち杭および基礎の構築方法
KR101685114B1 (ko) 매입철물과 커플러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및 그 시공방법
JP4535480B2 (ja) 地下埋設構造物の撤去方法
JP4323075B2 (ja) 立坑の開口部構造
KR200240012Y1 (ko) 형강 보호구
JP2632776B2 (ja) 竪坑用土留め材
JP7432433B2 (ja) 埋設物防護具および設置構造
JP6837364B2 (ja) 暗渠排水管合流排水マスの修復方法
JP3080840B2 (ja) 地中埋設管の撤去方法
JP6832496B2 (ja) 取放水口構造の施工方法
KR20240071649A (ko) 워터젯을 이용한 차수벽 치환 및 채움 보강방법
KR101106196B1 (ko)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JP3178357B2 (ja) 大断面トンネルの構築工法
NL1002255C2 (nl) Werkwijze voor het plaatsen van een leidingstel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