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196B1 -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196B1
KR101106196B1 KR1020090131513A KR20090131513A KR101106196B1 KR 101106196 B1 KR101106196 B1 KR 101106196B1 KR 1020090131513 A KR1020090131513 A KR 1020090131513A KR 20090131513 A KR20090131513 A KR 20090131513A KR 101106196 B1 KR101106196 B1 KR 10110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partition plate
underground
pipeline protection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157A (ko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102009013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1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매설관 또는 관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골재를 타설할 때 골재의 양을 절약하여 포설할 수 있는 격벽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는 격벽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플레이트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전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접촉하여 체결되기 위하여 후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플레이트에는 일측면을 따라 지중에 매설된 지중매설관 사이의 이격거리 만큼 상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1지시줄과, 하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2지시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시줄과 상기 제2지시줄은 상기 지중매설관의 지름의 크기만큼 이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로의 터가 과다하게 파이더라도 모래나 석분의 골재의 양을 규정대로 시공하고 남는 공간을 굴착 당시의 흙인 원토를 사용하여 과다하게 굴착된 부분에 되메움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원의 낭비를 없애고 시공, 발주사의 공사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골재타설, 관로보호, 격벽장치

Description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Wall pannel for aggregate construction to protect underground pipe line}
본 발명은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매설관 또는 관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골재를 타설할 때 골재의 양을 절약하여 포설할 수 있는 격벽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기, 통신, 수도, 가스 등을 위하여 지하에 지중매설관이 매설된다. 이때 지하에 매설된 지중매설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모래나 석분 등의 골재를 포설한다. 도 6은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매설관의 시공단면도이다. 지중매설관(3)의 지름은 통상 230mm이며, 지중매설관(3)과 지중매설관(3)의 사이의 거리는 10mm이다. 지중매설관(3)을 지중에 매설시 지중의 흙에 포함된 돌이나 자갈 등에 의하여 지중매설관(3)이 찌그러지거나 찍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중매설관(3)을 감쌀 수 있도록 모래 또는 석분의 골재(5)가 포설된다. 이를 위하여 지중매설관(3)은 상하좌우로 최소한 10mm 정도가 골재(5)로 포설되어야 한다. 이때 모래 또는 석분의 골재(5)는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최소한의 양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래서 모래 또는 석분의 골재(5)가 최소한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를 사용하여 폭을 860mm 정도로 파서 모래나 석분의 골재(5)가 포설되도록 시방서에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공사시 굴삭기로 폭을 정확하기 860mm로 파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실제로는 860mm 보다 충분히 큰 크기의 폭이 파진 후 모래 또는 석분의 골재(5)가 포설된다.
종래에는 관로의 터 파기량이 과다하여 일정 치수 이상의 공간 모두가 모래나 석분의 골재로 메워진다. 그래서 골재의 필요없는 낭비가 발생하여 시공사의 공사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관로의 터가 과다하게 파이더라도 모래나 석분의 골재의 양을 규정대로 시공할 수 있는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는 격벽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플레이트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전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접촉하여 체결되기 위하여 후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플레이트에는 일측면을 따라 지중에 매설된 지중매설관 사이의 이격거리 만큼 상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1지시줄과, 하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2지시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시줄과 상기 제2지시줄은 상기 지중매설관의 지름의 크기만큼 이격된다.
또한, 상기의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체결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체결돌기에 형합하는 체결홈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플레 이트는 상부에 관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는 걸쇠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쇠는 상기 격벽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플레이트는 상단에 상기 관통공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의 수직한 위치에서 관통공표시줄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플레이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고, 일단이 타측면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한 지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의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고, 일단이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로의 터가 과다하게 파이더라도 모래나 석분의 골재의 양을 규정대로 시공하고 남는 공간을 굴착 당시의 흙인 원토를 사용하여 과다하게 굴착된 부분에 되메움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원의 낭비를 없애고 시공, 발주사의 공사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골재 포설량을 정확한 치수로 알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포설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의 일 실시예의 격벽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격벽플레이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의 일 실시예의 걸쇠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는 격벽플레이트(20)와 걸쇠(25)를 포함한다.
격벽플레이트(20)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와, 지지대(21)를 구비한다. 그리고 격벽플레이트(20)에는 제1지시줄(15)과 제2지시줄(16)과 관통공(17)과 관통공표시줄(19)이 형성된다.
제1결합부는 격벽플레이트(20)의 전단부에 형성되며 체결돌기(11)로 형성된다. 제2결합부는 격벽플레이트(20)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체결돌기(11)에 형합하는 체결홈(13)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여러 개의 격벽플레이트(20)를 일렬로 배치하여 각각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촉시키면 체결돌기(11)가 체결홈(13)에 삽입되어 여러 개의 격벽플레이트(20)가 결합될 수 있다.
격벽플레이트(20)의 높이는 대략 지중에 매설된 지중매설관과 지중매설관 사이의 이격거리의 두배와 지중매설관의 지름을 합한 크기이다. 제1지시줄(15)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매설관으로부터 골재를 어느 정도의 높이로 포설해야되는지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1지시줄(15)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매설관과 지중매설관 사이의 이격거리 만큼 상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격벽플레 이트(20)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지중에 매설된 지중매설관들은 대략 10mm 정도 이격된다. 그래서 제1지시줄(15)은 상단으로부터 10m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격벽플레이트(2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제2지시줄(16)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매설관과 지중매설관 사이의 이격거리 만큼 하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격벽플레이트(20)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즉 제2지시줄(16)은 하단으로부터 10m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격벽플레이트(2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지시줄(15)과 제2지시줄(16)은 대략 지중매설관의 지름의 크기만큼 떨어져 있다. 보통의 지중매설관의 지름은 대략 230mm이므로 제1지시줄(15)과 제2지시줄(16)은 230mm 정도 떨어져 있다.
관통공(17)은 격벽플레이트(20)가 골재에 묻힌 경우 걸쇠(25)로 격벽플레이트(20)를 끌어올릴 수 격벽플레이트(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때 격벽플레이트(20)는 상하가 대칭이어서 상하로 돌려 사용할 수 있도록 관통공(17)은 격벽플레이트(20)의 하부에도 형성된다.
관통공표시줄(19)은 격벽플레이트(20)가 골재에 묻힌 경우 관통공(17)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관통공표시줄(19)은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7)의 수직한 위치의 상단에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7)의 수직한 위치의 하단에 형성된다.
지지대(21)는 격벽플레이트(20)가 설치되었을 때 격벽플레이트(2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대(21)는 신축가능하고, 격벽플레이트(20)의 타측면에 일단이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된다. 지지대(21)는 제1봉(21a) 과, 제2봉(21b)으로 구성된다. 제1봉(21a)은 일단이 회동할 수 있게 격벽플레이트(20)의 타측면에 고정된다. 제2봉(21b)은 제1봉(21a)과 나사결합하여 제1봉(21a) 내부로 들어가거나 제1봉(21a)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그래서 지지대(21)는 신축가능하다. 지지대(21)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걸쇠(25)는 골재에 매설된 격벽플레이트(20)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걸쇠(25)의 일단(26)이 관통공(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작업자가 걸쇠(25)의 일단(26)을 관통공(17)에 삽입한 후 걸쇠(25)를 잡아당기면 격벽플레이트(20)를 끌어올릴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동작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중에 지중매설관을 매설하기 위하여 굴삭기로 땅을 터파기하면 시공 도면이상으로 터파기가 행해진다.
도 4의 (a)와 같이 골재(5)를 포설할 넓이 정도로 지중매설관(3)이 매설될 양측에 격벽플레이트(20)를 설치한다. 이때 지지대(21)를 회동시킨 후 신장시켜서 격벽플레이트(20)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시킨다. 그리고 먼저 제2지시줄(16)까지 골재(5)를 포설한다. 그러면 제2지시줄(16)의 높이(31)까지 골재(5)가 포설된다. 그리고 지중매설관(3)을 설치하고 골재(5)를 격벽플레이트(20)의 높이까지 포설한다. 그러면 골재(5)는 지중매설관(3)으로부터 제1지시줄(15)의 높이(33)까지 포설된다. 즉 지중매설관(3)으로부터 대략 10mm 두께로 골재(5)가 포설된다. 격벽플레이트(20)의 외측은 원토(7)로 메운다.
원토(7)가 메워지면 걸쇠(25)를 격벽플레이트(20)의 관통공(17)에 삽입시킨 후 도 4의 (b)와 같이 끌어올린다. 이때 관통공표시줄(19)이 격벽플레이트(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공(17)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격벽플레이트(20)를 끌어올릴때에는 제2지시줄(16)까지 격벽플레이트(20)가 골재(5)에 매설되도록 끌어올린다. 그리고 지중매설관(3)을 2단으로 설치한 후 골재(5)를 격벽플레이트(20)의 높이까지 포설한다. 그러면 또한, 골재(5)는 2단의 지중매설관(3)으로부터 제1지시줄(15)의 높이(35)까지 포설된다. 따라서 골재(5)를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골재(5)가 포설되면 격벽플레이트(20)의 외측은 원토(7)로 메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를 사용하면 관로 터파기량이 과다하게 이루어지더라도 필요한 량 만큼의 골재를 사용하여 지중매설관을 지중에 매설할 수 있다. 그래서 골재의 필요 없는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골재를 눈으로 어림잡아 포설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확한 치수만큼 골재를 포설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21)가 격벽플레이트(20)의 일측면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27)는 격벽플레이트(20)에 분리되어, 일단이 격벽플레이트(2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의 일 실시예의 격벽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격벽플레이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의 일 실시예의 걸쇠의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격벽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지중매설관을 시공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매설관의 시공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3 : 지중매설관 5 : 골재
11 : 체결돌기 13 : 체결홈
15 : 제1지시줄 16 : 제2지시줄
17 : 관통공 19 : 관통공표시줄
20 : 격벽플레이트 21 : 지지대
25 : 걸쇠

Claims (6)

  1. 전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접촉하여 체결되기 위하여 후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구비하며,
    일측면을 따라 지중에 매설된 지중매설관 사이의 이격거리 만큼 상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1지시줄과, 하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2지시줄이 형성되고, 상기 지중매설관의 지름의 크기만큼 상기 제1지시줄과 상기 제2지시줄이 이격된 격벽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체결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체결돌기에 형합하는 체결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플레이트는 상부에 관통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격벽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는 걸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플레이트는 상단에 상기 관통공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의 수직한 위치에서 관통공표시줄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플레이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고, 일단이 타측면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한 지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고, 일단이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KR1020090131513A 2009-12-28 2009-12-28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KR101106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513A KR101106196B1 (ko) 2009-12-28 2009-12-28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513A KR101106196B1 (ko) 2009-12-28 2009-12-28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157A KR20110075157A (ko) 2011-07-06
KR101106196B1 true KR101106196B1 (ko) 2012-01-30

Family

ID=4491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513A KR101106196B1 (ko) 2009-12-28 2009-12-28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1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982Y1 (ko) 2001-04-24 2001-10-12 송종승 맨홀뚜껑 개폐용 고리
KR20020038982A (ko) * 2000-11-20 2002-05-25 구자홍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KR20030027018A (ko) * 2000-08-11 2003-04-03 오세미 인코포레이티드 금속 황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KR200327018Y1 (ko) 2003-06-16 2003-09-19 정재부 수목지지대용 다각도 지지구
KR20040046787A (ko) * 2002-11-28 2004-06-0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피니언 하우징과 실린더 튜브의 구속구조
KR100633186B1 (ko) 2005-05-25 2006-10-11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의료장비의 고정장치
KR200446787Y1 (ko) 2007-11-30 2009-12-03 최진용 흙 막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018A (ko) * 2000-08-11 2003-04-03 오세미 인코포레이티드 금속 황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KR20020038982A (ko) * 2000-11-20 2002-05-25 구자홍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KR200238982Y1 (ko) 2001-04-24 2001-10-12 송종승 맨홀뚜껑 개폐용 고리
KR20040046787A (ko) * 2002-11-28 2004-06-0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피니언 하우징과 실린더 튜브의 구속구조
KR200327018Y1 (ko) 2003-06-16 2003-09-19 정재부 수목지지대용 다각도 지지구
KR100633186B1 (ko) 2005-05-25 2006-10-11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의료장비의 고정장치
KR200446787Y1 (ko) 2007-11-30 2009-12-03 최진용 흙 막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157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258B1 (ko)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RU88713U1 (ru) Колодец кабельной канализации
KR100604083B1 (ko)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KR102217329B1 (ko) 케이싱의 연속 굴착용 가이드장치
RU86635U1 (ru) Колодец кабельной канализации
KR101582094B1 (ko) 송전용 선로덕트
KR101569868B1 (ko) 토압으로부터 지중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CN105544620B (zh) 带泄压装置和防震板的减震沟及其施工方法
KR101106196B1 (ko)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JP5283721B2 (ja) 防護板姿勢保持具及び地中埋設物保護構造
KR101326860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의 보호 구조물
KR101682541B1 (ko) 암거 횡단 관로 매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매설방법
CN212129220U (zh) 多专业管道同槽开挖施工结构
KR100876150B1 (ko) 침하방지대가 구비된 송배전용 전력맨홀
KR100827009B1 (ko) 상하수도관 매설용 토류판
KR100776778B1 (ko) 송·배전용 파형관의 보호 및 고정을 위한 간격재
KR100807825B1 (ko) 매설위치확인이 용이한 전선관
KR100753970B1 (ko) 강선을 이용한 하중 분산형 연약지반용 지중 하수도 박스지지장치
JP4630215B2 (ja) 埋設物の移設工法
KR20090111192A (ko) 맨홀과 맨홀 사이 전선관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과맨홀 사이 전선관 시공방법
KR20110105100A (ko)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KR100767747B1 (ko) 배전분야 특고압 케이블 설치구조물
KR101019265B1 (ko) 도로용 콘크리트 옹벽 블록
JP2009060710A (ja) 地中ケーブルの移設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