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565B1 -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 Google Patents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565B1
KR102006565B1 KR1020180006425A KR20180006425A KR102006565B1 KR 102006565 B1 KR102006565 B1 KR 102006565B1 KR 1020180006425 A KR1020180006425 A KR 1020180006425A KR 20180006425 A KR20180006425 A KR 20180006425A KR 102006565 B1 KR102006565 B1 KR 102006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ntainer
composition
present
powd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203A (ko
Inventor
조항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애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애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애플
Priority to KR102018000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5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토출수단을 구비하는 제1 용기, 점증제와 분산제를 함유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녹일 수 있는 용매를 포함하는 제3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에 포함된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제3 용기에 포함된 용매를 상기 제1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점성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에 물 및 추가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한 후 가볍게 흔들어 주는 것만으로 별도의 점도 및 pH 조절이 필요 없는 것은 물론,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물질이 완전하게 분산된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DIY Cosmetics Set}
본 발명은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토출수단을 구비하는 제1 용기, 점증제와 분산제를 함유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녹일 수 있는 용매를 포함하는 제3 용기를 포함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에 관한 것이다.
성별, 연령, 피부타입, 용도 등 복합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다양하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들이 화장품 시장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객들의 요구 조건이 점차 다양해지고 세분화되어 제품의 품질력은 필수조건이 되며 독특한 외관, 다중 기능(Multi-function) 및 그 시대의 트렌드에 맞는 유행 아이템 등 차별화된 제품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예를 들면 경기가 어려운 요즘의 경우 한 가지 제품으로 여러 기능을 하는 멀티 인 원 (Multi in one)타입의 제품은 종전 남성 고객뿐만 아니라 여성 고객들에게도 기능적인 면과 메이크업 시간 단축 효과 등의 부수적인 효과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팩이나 마스크와 같은 제품군에서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료품과 같은 독특한 성상을 지니거나 재미있는 사용 방법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또한 미백, 주름방지, 선스크린(Sunscreen) 등은 자연노화 뿐만 아니라 광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는 연령대를 불문하고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화장품은 의약품이 아닌 이상 즉시 효과보다는 피부에 좀 더 안전한 원료물질, 좀 더 신선한 제품, 좀 더 기능적인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는 이미 세계적인 흐름이 되고 있다. 1 ~ 2년의 유통기한, 용량에 따른 재사용의 문제로 필수적으로 함유되어있는 화학방부제의 위험성은 화장품 사용자가 겪어야 할 필연적인 문제점이며 이로 인해 많은 소비자가 피부 트러블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화학방부제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스스로 천연화장품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소비자가 매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부에 가장 안전한 물질과 그 원료물질의 성질을 이용하여 사용 시 즉석에서 화장품을 제조하여 가장 신선하게 원료물질의 효능 효과를 피부에 적용시키는 즉석 화장품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장품은 공장 안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대량 생산법에 의하여 각각 다른 기능 및 성능을 갖는 하나의 완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는 국내 화장품 법상 일정한 제조시설 및 품질관리 시설을 갖추고 당국의 허가를 받은 제조자만이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장 대량 생산법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각 공정을 모니터하기 용이하고, 엄격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지며, 화장품 소비에 따른 부작용이나 사고에 대한 제조자 추적이나 사후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장 대량생산법은 표준화, 규격화, 대량 생산화라는 특성 때문에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 맞춤형 화장품 시장을 활성화시키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직접 천연·유기농 재료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자가 직접 제조하는 화장품 관련 특허 문헌을 살펴보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57996호(발명의 명칭 : 키토산을 이용한 DIY 천연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용질로서 키토산(Chitosan) 원사 또는 분말 0.1 ~ 20 중량%; 및 용매로서 AHA(Alpha hydroxyl acids) 0.01 ~ 10 중량% 또는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 0.01 ~ 20 중량%, 및/또는 물 또는 정제수를 전체 화장품 100 중량%의 나머지 중량%로 구성된, 키토산 함유 즉석 화장품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KR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11-0009424호(고안의 명칭 : 디아이와이 화장품 용기)에서는 본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와; 상면에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혼합 및 제조된 화장품의 수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구비된 본체와;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키트가 수납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및 인입되는 서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DIY 화장품 관련 특허 문헌의 경우 상기 화장품에 포함된 다양한 기능성 물질에 의해 화장품 제형의 유변학적 변동을 야기할 수 있고, 상기 화장품에 포함된 조정제가 다양한 염이나 pH 조건 하에서 점성 조절 능력을 상실해, 정상적인 에멀젼 안정도와 점증 효과를 줄 수 없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원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에 판매하는 DIY 화장품 키트 내지는 소비자가 직접 제조하는 화장품의 경우 점도 및 pH 조절, 화장품에 포함된 기능성 물질을 완전하게 분산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완성된 화장품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장품 제조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분산제 및 점증제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물 등의 용매만 혼합할 경우 기존의 화장품과 같은 젤 상 내지는 크림 상으로 변형 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기능성 오일 등과 같은 난용성 물질을 수용화 시킬 수 있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할 경우,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에 소비자가 물 등의 용매 및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자신만의 화장품을 매우 손쉽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화장품 세트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에 판매하는 DIY 화장품 키트 내지는 소비자가 직접 제조하는 화장품의 경우 점도 및 pH 조절, 화장품에 포함된 기능성 물질을 완전하게 분산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완성된 화장품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장품 제조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분산제 및 점증제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물 등의 용매만 혼합할 경우 기존의 화장품과 같은 젤 상 내지는 크림 상으로 변형 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기능성 오일 등과 같은 난용성 물질을 수용화 시킬 수 있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할 경우,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에 소비자가 물 등의 용매 및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자신만의 화장품을 매우 손쉽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토출수단을 구비하는 제1 용기, 점증제와 분산제를 함유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녹일 수 있는 용매를 포함하는 제3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에 포함된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제3 용기에 포함된 용매를 상기 제1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점성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인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에 물 또는 물 및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수용성 고분자 염류(polymeric salt)’는 산과 염기의 중화에 의해서 생성되는 중성 화합물 중 수용성이고, 분자량이 1 만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증점제’특정 액체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일체의 고체 또는 액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제로 수용성 고분자 염류(polymeric salt) 100 중량부 및 상기 분산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증점제 1-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고분자 염류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고분자 염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폴리감마글루탐산염, 하이알루로네이트염, 아세틸하이알루로네이트염, 폴리아스파르테이트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폴리감마글루탐산염, 폴리아스파르테이트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염류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수용성 고분자 염류를 점증제와 함께 혼합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할 경우 별다른 pH 조절, 교반 온도 조절 내지 고성능 교반기의 사용 없이 물만 넣어 흔들어 주는 걸로 화장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젤 상의 물질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증점제는 바람직하게는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퀸스씨드검,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트라가칸검, 카제인, 젤라틴, 콜라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전분,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알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카보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점성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사용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점증제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이 잘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고분자 염류 및 증점제를 물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서 혼합 농축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농축액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추출은 건조 및 동결건조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말명에서는 상기 혼합물에서 오븐을 이용해 건조하거나 동결건조를 이용해서 혼합 농축액을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건조 및 동결건조를 이용해서 혼합 농축액을 분말화가 가능하여 미생물이 번식하지 않고 부패하지 않고 고분자 염류 및 증점제 등이 고르게 분산되어 파우더 화장품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추출 시 추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점성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점성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첨가제 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향료, 미백 조성물, 주름 개선 조성물, 항산화 조성물, 보습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토출수단을 구비하는 제1 용기, 점증제와 분산제를 함유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녹일 수 있는 용매를 포함하는 제3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에 포함된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제3 용기에 포함된 용매를 상기 제1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점성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에 물 및 추가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한 후 가볍게 흔들어 주는 것만으로 별도의 점도 및 pH 조절이 필요 없는 것은 물론,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물질이 완전하게 분산된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의 제품 사용과 관련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1)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한 도면 및 제품 사용과 관련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1)는 화장료 조성물 토출수단(11)을 구비하는 제1 용기(10), 점증제와 분산제를 함유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21)을 포함하는 제2 용기(20) 및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녹일 수 있는 용매(31)를 포함하는 제3 용기(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용기(10)로는 합성수지 및 금속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0)는 완성된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 외부로 토출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 토출수단(11)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토출수단(11)은 펌프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식의 토출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나, 진공 방식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용기(20)로는 합성수지 및 금속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기(20)에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21)이 수용된다.
제3 용기(30)로는 합성수지 및 금속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용기(30)에는 용매(31)가 수용된다.
여기서, 제1 용기(10), 제2 용기(20) 및 제3 용기(30)는 사용자가 제1 용기(10)에 제2 용기(20)에 수용된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제3 용기(30)에 수용된 용매를 적량의 기능성 첨가제와 함께 넣은 다음, 흔들어줄 경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용매의 추가적 가감 없이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제1 용기(10), 제2 용기(20) 및 제3 용기(30)의 크기는 수용된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용매 및 완성된 점성 화장료 조성물의 부피를 고려하여 제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1)는 제2 용기(20)에 포함된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1 용기(10)에 넣는 단계(제1 단계), 제3 용기(30)에 포함된 용매를 제1 용기(10)에 넣는 단계(제2 단계) 및 기능성 첨가제 및 향료를 제1 용기(10)에 넣는 단계(제2 단계)에 의해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증점제인 수용성 고분자 염류(polymeric salt)로 하이알루로네이트염 100 g 및 점증제로 구아검 5 g을 1 L 정제수와 혼합한 다음 정제수 속에 포함된 고형물이 전부 용해될 때까지 교반기로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섭씨 37도에서 회전 증발 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동결 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점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50 ml 용기에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5 g, 정제수 20 ml, 향수 0.1 ml 및 라벤더 오일 1 ml를 넣고, 용기 뚜껑을 닫은 다음, 잘 흔들어 실시예의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성 화장료 조성물은 섭씨 27도 실온에서 가볍게 1분간 흔들어 주는 것만으로 젤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험예 : 점성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테스트
실험예 1 : 항온조 보관 테스트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점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섭씨 4, 20, 38 및 50도 항온조에 1일 내지 90일간 보관하여 화장료 조성물 장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점성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섭씨 4도, 20, 38 및 50도의 항온조에서 90일이 경과하여도 안정한 결과를 얻었다.
1일 2일 5일 7일 15일 30일 60일 90일
항온조
보관
섭씨 4도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2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38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험예 2 : Cycling test(4-50)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점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섭씨 4도 항온조 및 50도 항온조에 1일 단위로 교차 보관하여 화장료 조성물 장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점성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4일이 경과하여도 안정한 결과를 얻었다.
1일 2일 5일 7일 14일 30일 60일 90일
Cycling test(4~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 - -
실험예 3 : 저온(-10) 테스트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점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장기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섭씨 -10도 조건에서 저온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하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섭씨 -10도에서 7일이 경과하여도 안정한 결과를 얻었다.
1일 2일 5일 7일 15일 30일 60일 90일
저온 (-1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 - - -
실험예 4 :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상분리 시험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1.5 mL 튜브에 각 제조액을 1 mL씩 충전 및 밀봉하여 각각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각각의 샘플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각각의 RPM(3000, 5000, 7000 및 9000) 및 시간에 따른 상분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인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점성 화장료 조성물은 5000 RPM에서 5분이 경과하자 상분리가 관찰되었다.
화장품 세트 1 제1 용기 10
화장료 조성물 토출수단 11 제2 용기 20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21 제3 용기 30
용매 31

Claims (10)

  1. 화장료 조성물 토출수단을 구비하는 제1 용기,
    점증제와 분산제를 함유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을 녹일 수 있는 용매를 포함하는 제3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에 포함된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제3 용기에 포함된 용매를 상기 제1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며,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제로 수용성 고분자 염류(polymeric salt)인 하이알루로네이트염 100 중량부 및 상기 분산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증점제인 구아검 1-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향료, 미백 조성물, 주름 개선 조성물, 항산화 조성물, 보습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성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고분자 염류인 하이알루로네이트염 및 증점제인 구아검을 물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서 혼합 농축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농축액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건조 및 동결건조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시 추출 온도는 섭씨 -70도 내지 -2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는 향료, 미백 조성물, 주름 개선 조성물, 항산화 조성물, 보습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성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상기 점성 화장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KR1020180006425A 2018-01-18 2018-01-18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KR10200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25A KR102006565B1 (ko) 2018-01-18 2018-01-18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25A KR102006565B1 (ko) 2018-01-18 2018-01-18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03A KR20190088203A (ko) 2019-07-26
KR102006565B1 true KR102006565B1 (ko) 2019-08-01

Family

ID=6746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425A KR102006565B1 (ko) 2018-01-18 2018-01-18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14A (ko) 2019-09-26 2021-04-05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999Y1 (ko) * 2001-03-02 2001-09-26 강성일 혼합식 화장품 용기
JP6162919B2 (ja) * 2002-09-17 2017-07-12 センシエント・コスメティック・テクノロジーズ クリームのテキスチャーを有する化粧品組成物の即座調製のための方法及び前記方法を行うための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54Y1 (ko) * 2011-05-2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999Y1 (ko) * 2001-03-02 2001-09-26 강성일 혼합식 화장품 용기
JP6162919B2 (ja) * 2002-09-17 2017-07-12 センシエント・コスメティック・テクノロジーズ クリームのテキスチャーを有する化粧品組成物の即座調製のための方法及び前記方法を行うための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14A (ko) 2019-09-26 2021-04-05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03A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6751B1 (en)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powder,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s
JP4945556B2 (ja) 細胞賦活用皮膚外用剤組成物
KR102006565B1 (ko)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CN109966184A (zh) 一种悬浮油珠卸妆水及其制备方法
CN101677926B (zh) 保形性优异的脂质组合物及产品
KR101655407B1 (ko)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692979A1 (en) Dahlia pinnata composition, dahlia pinnata composition powder, cosmetic composition, and producing method therefor
KR101632172B1 (ko) 고삼추출물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0897919B (zh) 一种抗氧化乳化组合物及其应用与含该组合物的护唇膏
JP2002332224A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およ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80086676A (ko) 히비스커스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138027A (ja) 皮膚外用剤
JP2010150173A (ja) 美白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用皮膚外用剤
KR101999973B1 (ko)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3746260B2 (ja) 皮膚外用剤
KR20100059428A (ko) 한약재를 함유하는 입술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9363993A (zh) 一种一步均质乳化冷却成型方法及其应用
JPH05269187A (ja) 消臭用組成物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食品および化粧品
CN105533518A (zh) 一种红球藻环糊精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制剂
JP2006273815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H0478269B2 (ko)
KR100779819B1 (ko) 피부노화억제에 효과적인 키네틴의 리포좀기술을 이용한안정화 기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제조방법
JP2002193820A (ja) 皮膚外用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WO2019193186A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e fibres de coque de graines de tournesol
JPS6371160A (ja) 薬用人参エキス粉末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