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732B1 - 승강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732B1
KR102005732B1 KR1020190041715A KR20190041715A KR102005732B1 KR 102005732 B1 KR102005732 B1 KR 102005732B1 KR 1020190041715 A KR1020190041715 A KR 1020190041715A KR 20190041715 A KR20190041715 A KR 20190041715A KR 102005732 B1 KR102005732 B1 KR 102005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r
signal
frame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이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호 filed Critical 이민호
Priority to KR102019004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쉬브(sheave); 일단부가 상기 쉬브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쉬브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전달모듈; 및 상기 전달모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쉬브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승하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기 검사장치{TEST APPARATUS OF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가 실제 설치될 건축물이 제조되지 않아도 승강기를 검사할 수 있는 승강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들의 초고층화 시대로 인해 사람이나 화물을 실어나르기 위한 승강기의 설치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승강기가 설치된 건축물에서는 사람이나 화물의 층간 이동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승강기는 매우 유용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카(car), 균형추(counter weight), 권상기 및 와이어 로프(wire rope)를 포함한다. 상기 카는 사람이나 화물의 탑승 공간을 제공하고, 균형추는 와이어 로프를 통해 카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카와 균형추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 로프의 부위는 권상기의 쉬브(sheave)에 걸려 있다. 상기 권상기가 작동하면 쉬브가 정역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카의 상승 및 균형추의 하강이 일어나거나 카의 하강 및 균형추의 상승이 일어난다.
상기 권상기는 와이어 로프를 걸고 쉬브를 회전시켜 카를 구동시켜주는 장치로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카를 권상로프에 매달아 상하운동을 하도록 감아주는 쉬브, 카의 운전 및 정지시 활차의 회전을 정지시켜주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브레이크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권상기를 구비한 승강기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어모듈의 명령에 의해 구동수단은 카의 기동, 가속, 주행, 감속, 착상 및 정지 등의 일련의 운동이 제어되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승강기는 승강기가 실제 설치될 건축물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타워를 제작한 후 이 타워에 시험 대상인 권상기를 설치하여 권상기를 시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 방법에 따르면, 타워의 제조에 많은 비용 및 오랜 기간이 필요한 문제와, 권상기가 실제 설치될 건축물의 높이 변화에 수반하여 타워의 높이가 변화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시험 방법에 따르면 시험 도중 카나 균형추의 추락이 일어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903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승강기가 실제 설치될 건축물이 제조되지 않아도 승강기를 검사할 수 있는 승강기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층수구별모듈과 승하강모듈에는 감광성 센서영역, 검출기 및 광원조사기를 포함하여 설정된 개별층수에 대한 승강기 검사를 더욱 정밀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곳에 위치한 승강기 검사장치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곳에 위치한 승강기 검사장치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승강기 검사장치를 이루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승강기 검사장치를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검사장치는,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쉬브(sheave); 일 단부가 상기 쉬브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쉬브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전달모듈; 및 상기 전달모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쉬브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승하강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이 개별 층에 대한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층수구별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층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승하강모듈을 승하강시켜 상기 층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층수구별모듈에 도착한 것을 확인 후 카(car)의 도어를 개폐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감광성 센서영역 및 상기 감광성 센서영역에서 생성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층수구별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감광성 센서영역에 감광성광선을 50°이상 80°이하 각도로 조사하는 광원조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각각의 층수구별모듈에 포함된 상기 광원조사기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층수정보에 따라 ON 또는 OFF 시키며, ON 상태인 상기 광원조사기는 상기 승하강모듈과 상기 층수구별모듈이 가까워지면 상기 감광성광선을 상기 감광성 센서영역에 입사하며, 상기 감광성 센서영역은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 영역은 상기 감광성광선을 수신 시 각각의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기는 상기 각각의 이벤트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카의 구동을 시작시키며,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카의 제동 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 상기 카의 안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신호, 상기 카의 점검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 및 상기 카의 문을 계폐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장치는 상기 카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모듈과; 상기 탐색모듈이 탐색한 정보를 이용하여 카의 부품 문제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소정 부품의 문제를 통보하는 표시모듈; 상기 카가 비정상적으로 운전되는 경우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신호 출력모듈; 및 상기 탐색모듈이 검출한 상기 카의 부품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의 비정상적으로 운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탐색모듈를 통해 상기 카의 도어가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열리기 시작한 때부터 반대측 접촉부재에 접촉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한 후, 기 저장된 기준시간을 함께 탐색하여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카의 도어가 기 저장된 기준시간 내에 열렸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기준시간 보다 5초 이상 늦어지거나 상기 카의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모듈이 이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소정 부품의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통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실제 설치될 건축물이 제조되지 않아도 승강기를 검사할 수 있어, 승강기 검사의 용이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승강 장치의 상판이 파손되어 작업자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모듈 및 층수구별모듈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수구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판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6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도 14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검사장치(10)는, 쉬브(sheave)(110), 전달모듈(120) 및 승하강모듈(130)을 포함한다.
쉬브(110)는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실제 승강기가 건물에 설치되면, 카(200)와 균형추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 로프의 부위는 권상기의 쉬브(110)에 걸려 있게 된다. 권상기가 작동하면 쉬브(110)가 정역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카(200)의 상승 및 균형추의 하강이 일어나거나 카(200)의 하강 및 균형추의 상승이 일어난다.
전달모듈(120)은 일 단부가 쉬브(110)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쉬브의 회전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달모듈(120)은 밸드 형태로 형성되어 쉬브(11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 예에 따라 쉬브(11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하강모듈(130)은 전달모듈(120)과 연결 형성되며, 쉬브(110)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승하강할 수 있다. 승하강모듈(130)은 프레임(150)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승하강모듈(130)의 속도 및 이동거리는 실제 승강기가 설치될 건물의 구조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모듈 및 층수구별모듈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수구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수구별모듈(140)은 승하강모듈(130)을 지지하는 프레임(150)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이 개별 층에 대한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할 수 있다. 승하강모듈(130)은 적어도 일 영역에는 감광성 센서영역(131) 및 감광성 센서영역(131)에서 생성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132)를 포함한다. 각각의 층수구별모듈(14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감광성 센서영역(131)에 감광성광선을 50°이상 80°이하 각도로 조사하는 광원조사기(141)를 포함한다.
제어모듈(150)은 각각의 층수구별모듈(140)에 포함된 광원조사기(141)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층수정보에 따라 ON 또는 OFF 시키며, ON 상태인 광원조사기(141)는 승하강모듈(130)과 층수구별모듈(140)이 가까워지면 감광성광선을 감광성 센서영역(131)에 입사한다.
감광성 센서영역(131)은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A, B, C, D)되어 분할된 각 영역은 상기 감광성광선을 수신하면 각각의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검출기(132)는 감광성 센서영역(131)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한 각각의 이벤트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모듈(15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모듈(105)은 이벤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카(200)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영역의 이벤트 신호는 카(200)의 제동 장치(210)를 작동시키는 신호일 수 있으며, B영역의 이벤트 신호는 카(200)의 안전 브레이크(210)를 작동시키는 신호일 수 있으며, C영역의 이벤트 신호는 카(200)의 점검장치(230)를 작동시키는 신호일 수 있으며, D영역의 이벤트 신호는 카(200)의 문을 계폐하는 신호 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 신호 및 그에 대응하는 카(20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층수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모듈(150)은 각 층수정보를 구별할 수 있으며, 승하강모듈(130)을 승하강시켜 상기 층수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설정된 층수구별모듈(140)에 도착한 것을 확인 후 카(200)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카(200)의 도어 개폐에 문제가 발생하면, 제어모듈(150)은 사용자 단말기(13)로 문제 발생 여부, 문제가 발생한 부품의 정보, 문제가 발생한 층수 정보, 문제가 발생한 시스템 상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장치(230)는 탐색모듈(231), 판단모듈(232), 표시모듈(233), 출력모듈(234) 및 저장모듈(235)을 포함할 수 있다.
탐색모듈(231)은 점검장치(230)의 카(200)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할 수 있으며, 카(200)의 적어도 하나의 탐색모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탐색모듈(231)은 적어도 하나의 진동센서, 적외선센서, 가압센서, 중량센서, 고주파센서, 터치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모듈(232)은 탐색모듈(231)이 탐색한 정보를 이용하여 카(200)의 부품 문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모듈(232)은 저장모듈(235)에 저장된 표준데이터와 탐색모듈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비교하여 각 요소들의 비정상운행을 판단할 수 있다.
표시모듈(233)은 판단모듈(232)에 의해 소정 부품의 문제를 통보할 수 있다. 표시모듈(233)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문제가 발생한 부품의 종류, 위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모듈(234)은 카(200)가 비정상적으로 운전되는 경우 이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상신호는 제어모듈(150)로 송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이상신호에 따라 제어모듈(150)은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3)로 실시간으로 전달하거나, 승강기 검사장치(10)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저장모듈(235)에 관련 데이터를 저장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저장모듈(235)은 탐색모듈(231)이 검출한 카(200)의 부품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모듈(235)은 승강기 검사장치(10)의 검사 표준데이터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기 저장할 수 있으며, 승강기 검사장치(10)의 작동에 의해 새롭게 수집되는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점검장치(230)의 동작 예를 살펴보면, 먼저 카(200)의 비정상적으로 운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어모듈(150)은 탐색모듈(231)을 통해 카(200)의 도어가 감광성 센서영역 각각이 생성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열리기 시작한 때부터 반대측 접촉부재에 접촉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한다. 판단모듈(232)은 사용자에 의해 기 저장된 기준시간을 함께 탐색하여 저장모듈(235)에 저장하고, 카(200)의 도어가 기 저장된 기준시간 내에 열렸는지를 판단한다. 판단모듈(232)에 의해 기준시간 보다 5초 이상 늦어지거나 카(200)의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 즉 카(200)의 도어가 열리지 않은 경우, 끝까지 열리지 않아 접촉부재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는 출력모듈(234)이 이상 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모듈(233)은 판단모듈(232)에 의해 소정 부품의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235)은 이 모든 과정 및 검사결과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검사장치(10)는, 다기능 승강 장치(20)를 더 포함한다.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작업자가 승강기 검사장치(10)를 정비할 수 있도록 상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정비가 필요한 위치까지 작업자를 승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승강기 검사장치(1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영역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기능 승강 장치(20)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승강시킴으로써, 정비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기능 승강 장치(20)의 상판이 파손되어 작업자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으로 인하여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7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9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5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15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12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6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 프레임(31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31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1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하여 다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3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7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6은 도 14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7은 도 15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검사장치(10)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승강기 검사장치(1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구조물의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36510942-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승강기 검사장치
110: 쉬브
120: 전달모듈
130: 승하강모듈
140: 층수구별모듈
150: 제어모듈
200: 카(car)
310: 상판
320: 하판
400: 승강부
410: 상판 체결부
420: 구동부
430: 구동 프레임
440: 체결부
500: 탄성 지지부
510: 받침 플레이트
520: 지지 프레임
530: 지지 기둥
540: 받침 프레임

Claims (2)

  1.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쉬브(sheave);
    일 단부가 상기 쉬브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쉬브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전달모듈; 및
    상기 전달모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쉬브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승하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이 개별 층에 대한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층수구별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층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승하강모듈을 승하강시켜 상기 층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층수구별모듈에 도착한 것을 확인 후 카(car)의 도어를 개폐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감광성 센서영역 및 상기 감광성 센서영역에서 생성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층수구별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감광성 센서영역에 감광성광선을 50°이상 80°이하 각도로 조사하는 광원조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각각의 층수구별모듈에 포함된 상기 광원조사기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층수정보에 따라 ON 또는 OFF 시키며, ON 상태인 상기 광원조사기는 상기 승하강모듈과 상기 층수구별모듈이 가까워지면 상기 감광성광선을 상기 감광성 센서영역에 입사하며, 상기 감광성 센서영역은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 영역은 상기 감광성광선을 수신 시 각각의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기는 상기 각각의 이벤트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카의 구동을 시작시키며,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카의 제동 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 상기 카의 안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신호, 상기 카의 점검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 및 상기 카의 문을 계폐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장치는 상기 카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모듈과; 상기 탐색모듈이 탐색한 정보를 이용하여 카의 부품 문제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소정 부품의 문제를 통보하는 표시모듈; 상기 카가 비정상적으로 운전되는 경우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신호 출력모듈; 및 상기 탐색모듈이 검출한 상기 카의 부품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의 비정상적으로 운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탐색모듈를 통해 상기 카의 도어가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열리기 시작한 때부터 반대측 접촉부재에 접촉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한 후, 기 저장된 기준시간을 함께 탐색하여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카의 도어가 기 저장된 기준시간 내에 열렸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기준시간 보다 5초 이상 늦어지거나 상기 카의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모듈이 이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소정 부품의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통보하는, 승강기 검사장치.
  2. 삭제
KR1020190041715A 2019-04-10 2019-04-10 승강기 검사장치 KR10200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15A KR102005732B1 (ko) 2019-04-10 2019-04-10 승강기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15A KR102005732B1 (ko) 2019-04-10 2019-04-10 승강기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732B1 true KR102005732B1 (ko) 2019-07-31

Family

ID=6747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715A KR102005732B1 (ko) 2019-04-10 2019-04-10 승강기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7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5101A (zh) * 2010-09-17 2011-01-26 昆山京都电梯有限公司 电梯曳引机测试装置
KR101049031B1 (ko) 2011-04-19 2011-07-13 한국기계연구원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5101A (zh) * 2010-09-17 2011-01-26 昆山京都电梯有限公司 电梯曳引机测试装置
KR101049031B1 (ko) 2011-04-19 2011-07-13 한국기계연구원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5844B (zh) 一种打磨机器人及其工作方法
US10988346B2 (en) False car device
CN1578750A (zh) 电梯系统
KR102016162B1 (ko) 절곡장치
JP4683703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CN203269263U (zh) 电梯防坠自动保护装置
CN103339052A (zh) 电梯配置和方法
JP2010116229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KR102005732B1 (ko) 승강기 검사장치
AU2017232232A1 (e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EP1828506B1 (en) Elevator platform for motor vehicles and materials, and operating installation
CN101128382A (zh) 管制运行装置以及具备该管制运行装置的电梯
KR102015989B1 (ko) 절곡장치
EP1454867B1 (en) Elevator speed governor
CN102874664A (zh) 曳引能力试验装置
KR102003032B1 (ko) 철거 작업용 비계
KR102020776B1 (ko)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CN208008238U (zh) 一种基于建筑电气施工用升降装置
KR102018028B1 (ko) 다목적 크레인 차량
KR102021297B1 (ko) 천장프레임 시스템
CN1491180A (zh) 升降机主绳索伸长补偿装置
CN218787064U (zh) 站台升降式安全门装置
CN112661049A (zh) 一种轨道车提升机构
CN103935869A (zh) 双层电梯
EP3670416A1 (en) Safety brake for a counterweight activated by a tens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