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658B1 -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658B1
KR102004658B1 KR1020180060927A KR20180060927A KR102004658B1 KR 102004658 B1 KR102004658 B1 KR 102004658B1 KR 1020180060927 A KR1020180060927 A KR 1020180060927A KR 20180060927 A KR20180060927 A KR 20180060927A KR 102004658 B1 KR102004658 B1 KR 102004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
indicator lamp
signal
request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민
Original Assignee
신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민 filed Critical 신동민
Priority to KR102018006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가 유턴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을 때 후방의 자동차들에게 유턴할 것임을 분명하게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착각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조작된 결과를 의사 표시 요구 신호로서 출력하는 키 조작부와, 상기 키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의사 표시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처리부와, 제어 처리부(20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좌회전 지시등, 우회전 지시등, 유턴 지시등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Apparatus for indicating U-turn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가 유턴(U-turn)으로 진행하는 것을 표시하는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면 중 좌우 쪽에 설치된 복합등(Rear combination lamp)에는 제동등, 방향지시등, 후진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차량의 좌??우회전시에는 방향지시등이 좌??우측에서 점멸되어 회전방향을 인식시키고, 비상시나 위험을 알리기 위해서는 방향지시등의 좌??우측을 동시에 점멸시켜 비상등으로 작동하며, 차량의 정차시 제동등이 자동 점등된다.
이와 같이, 후방차량에게 전방차량의 운행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해 차량의 조향핸들 및 핸들 근방의 패널 상에 설치된 등화조작레버와 비상등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조등, 방향지시등, 후진등을 점멸 작동시킨다.
한편, 차량이 도로를 주행 중에 보면 도로의 1차선에서는 좌회전만 시행되는 곳과, 좌회전 및 유턴을 동시에 시행되는 곳이 있다. 특히, 죄회전 방향지시등 만을 점멸시킨 상태에서 좌회전이나 유턴을 동시에 실시하기 때문에 후방차량은 전방차량이 좌회전이나 유턴을 시행할 것인지를 전혀 인식할 수가 없었다. 단지 전방차량이 좌회전 또는 유턴을 시행하는 것을 보고 판단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후방차량은 전방차량과의 충분한 거리를 둔 상태에서 좌회전이나 유턴을 시행해야만 전방차량과의 추동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도로에서는 신호등의 좌회전 점등시간이 그다지 길지 못한 이유로 인하여 좌회전 신호가 들어왔을 때에는 대부분의 차량은 전방차량이 좌회전을 시행할 것을 미리 짐작하여 후방차량이 좌회전을 진행하던 중 갑자기 전방차량이 유턴을 시행하기 위해 감속하고나 정지를 하게 되면 신호를 받기 위해 빠른 속도로 진행하던 후방차량은 전방차량과의 추돌사고자 자주 발생하는 등의 교통사고 위험이 매우 높았으며, 차량 흐름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36420호 (공개일자 2018.04.09.)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17662호 (공개일자 2017.02.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가 유턴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을 때 후방의 자동차들에게 유턴할 것임을 분명하게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착각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의 특징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조작된 결과를 의사 표시 요구 신호로서 출력하는 키 조작부와, 상기 키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의사 표시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처리부와, 제어 처리부(20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좌회전 지시등, 우회전 지시등, 유턴 지시등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 조작부는 "중립"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인 "좌측"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좌회전 표시 요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중립" 상태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인 "우측"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우회전 표시 요구 신호를 출력하며, "좌측"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인 "유턴"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유턴 표시 요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키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유턴 표시 요구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복수의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에 대응하여 하기 지시등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좌측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좌측 지시등을 점멸시키는 좌측지시등 구동부와, 우측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우측 지시등을 점멸시키는 우측지시등 구동부와, 유턴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턴 지시등을 점멸시키는 유턴지시등 구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턴지시등 구동부에서 생성되는 점멸신호 주기는 좌측지시등 구동부 및 우측지시등 구동부에서 생성되는 점멸신호 주기와 다른 주기를 갖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턴지시등 구동부를 통해 유턴 지시등을 점멸시킬 때, 차량 계기판에 유턴 표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계기판에 표시되는 유턴 표시는 상기 유턴지시등의 점멸신호 주기로 좌회전 표시 또는 우회전 표시에 점멸신호 주기만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는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작레버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유턴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성으로 기존의 차량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유턴 시 타 차량에 이를 효과적으로 알려줌으로서 유턴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유턴 시 후속차량은 앞차의 주행 방향을 신속,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방지는 물론 교통문화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존의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작레버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활용함은 물론, 후방의 지시등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좌회전 차량과 유턴차량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적, 법률적 틀 안에서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도 1의 키 조작부를 통해 의사 표시 요구 신호를 조작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
도 3 은 도 1에서 제어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 는 도 3에서 지시등 구동부의 점멸신호 주기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1에서 유턴 표시가 표시되는 차량 계기판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는 키 조작부(100), 제어 처리부(200), 표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키 조작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조작된 결과를 의사 표시 요구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때, 의사 표시 요구 신호는 좌회전 표시, 우회전 표시, 유턴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도 1의 키 조작부를 통해 의사 표시 요구 신호를 조작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키 조작부(100)는 "중립" 위치일 때에는 어느 방향도 표시하지 않은 상태이다. "중립" 상태에서 키 조작부(100)가 도 2의 "좌측"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좌회전 표시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중립" 상태에서 키 조작부(100)가 도 2의 "우측"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우회전 표시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중립과 좌측" 및 "중립과 우측"과의 사이에는 키 조작부(100)의 자동 복귀 구간이 된다.
한편, 도 2의 "유턴" 위치에 키 조작부(100)를 이동시키면, 유턴 표시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유턴" 위치에 위치되는 키 조작부(100)는 유턴 완료 후 "중립" 위치로 자동 복귀 된다.
상기 제어 처리부(200)는 키 조작부(100)에서 출력되는 의사 표시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제어 처리부(20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좌회전 지시등(310), 우회전 지시등(320), 유턴 지시등(330)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도 3 은 도 1에서 제어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어 처리부(200)는 키 조작부(100)에서 출력되는 유턴 표시 요구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복수의 스위칭부(SW1~SW3)와, 스위칭부(SW1~SW3)의 상태에 대응하여 지시등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10)와, 좌측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4L)에 대응되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좌측 지시등(310)을 점멸시키는 좌측지시등 구동부(220)와, 우측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4R)에 대응되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우측 지시등(320)을 점멸시키는 우측지시등 구동부(230)와, 유턴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4U)에 대응되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유턴 지시등(330)을 점멸시키는 유턴지시등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유턴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4U)에 하이 레벨을 갖는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유턴스위치(SW3)가 개방(Open)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제어부(210)에 기준레벨(예를 들면, 0V)을 갖는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유턴스위치(SW3)가 단락(Short)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유턴을 해야 할 경우 운전자가 유턴 스위치(SW3)를 단락시키면, 입력신호는 전류제한 소자인 제 3 저항(R3)을 경유하여 기저전압원(GND)로 흐르게 되므로, 제어부(210)에서는 유턴스위치(SW3)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유턴지시등 구동부(24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유턴지시등 구동부(240)는 유턴 지시등(330)을 점멸시키게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2 저항(R1 내지 R2)은 제 1 저항(R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저항값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좌회전 지시등(310), 우회전 지시등(320)의 구동방법도 상기 유턴 지시등(240)의 구동방법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좌회전과 유턴시 좌회전 지시 등을 함께 사용하는(즉, 유턴지시등의 분리 표시되지 않는)구조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유턴 지시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좌회전 지시등과 유턴 지시등이 분리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4단으로 구성된 스위칭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가운데를 중립(Neutral)이라고 하면, 스위칭부(SW1 내지 SW3)를 중립의 상측으로 이동하면 우회전 스위치(SW2)가 온 된다. 반면에, 중립의 하측으로 이동하면 좌회전 스위치(SW1)가 온 되며, 한 단계 하측으로 이동하면 유턴 스위치(SW3)가 온 된다. 즉, 좌회전 스위치(SW1)의 하부에 유턴 스위치(SW3)를 배치하여 좌회전 지시등(310)과 유턴 지시등(330)이 분리ㅇ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는 도 3에서 지시등 구동부의 점멸신호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유턴지시등 구동부(240)에서 생성되는 점멸신호 주기는 좌측지시등 구동부(220) 및 우측지시등 구동부(230)에서 생성되는 점멸신호 주기와 다른 주기를 갖도록 생성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지시등이 한번 점등될 동안 유턴지시등의 점멸신호는 두 번 점등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유턴지시등의 점멸신호 주기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지시등의 점멸신호 주기와 다르게 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유턴지시등의 점멸신호 주기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지시등의 점멸신호 주기와 다르게 함으로써, 차량의 유턴 또는 좌회전시 이를 후방의 지시등의 점멸신호 주기를 다르게 표시하여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차량의 상태를 좌회전과 유턴을 정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300)는 좌회전 지시등(310) 및 우회전 지시등(320)만을 구성하고, 유턴지시등 구동부(240)에서 생성되는 점멸신호는 좌회전 지시등(310) 및 우회전 지시등(320)을 통해 점멸신호 주기만 다르게 하여 점멸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작레버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활용함은 물론, 후방의 지시등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좌회전 차량과 유턴차량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시스템의 변형 없이 적용 가능함에 따라 기계적, 법률적 틀 안에서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차량 계기판에는 기존의 RPM 계기판(1), 속도계기판(2), 연료계기판(3), 좌회전 표시(4), 우회전 표시(5) 외에 유턴(U-turn) 표시(6)가 적용되어 차량의 유턴 시 운전자에게도 시각적으로 안정운행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때, 유턴(U-turn)표시(6)는 유턴지시등 구동부(240)를 통해 유턴 지시등(330)을 점멸시킬 때, 함께 점멸되게 된다.
한편, 도 5에서는 차량 계기판에 유턴(U-turn) 표시(6)가 별도로 표시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유턴지시등의 점멸신호 주기로 좌회전 표시(4) 또는 우회전 표시(5)에 점멸신호 주기만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차량 계기판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좌회전, 우회전 및 유턴을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조작된 결과를 의사 표시 요구 신호로서 출력하는 키 조작부와,
    상기 키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의사 표시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처리부와,
    제어 처리부(20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좌회전 지시등, 우회전 지시등, 유턴 지시등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키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유턴 표시 요구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복수의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에 대응하여 하기 지시등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좌측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좌회전 지시등을 점멸시키는 좌측지시등 구동부와,
    우측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우회전 지시등을 점멸시키는 우측지시등 구동부와,
    유턴 표시 요구 신호의 스위칭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턴 지시등을 점멸시키는 유턴지시등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턴지시등 구동부에서 생성되는 점멸신호 주기는 좌측지시등 구동부 및 우측지시등 구동부에서 생성되는 점멸신호 주기와 다른 주기를 갖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턴지시등 구동부를 통해 유턴 지시등을 점멸시킬 때, 차량 계기판에 유턴 표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차량 계기판에 표시되는 유턴 표시는 상기 유턴지시등의 점멸신호 주기로 좌회전 표시 또는 우회전 표시에 점멸신호 주기만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작부는
    "중립"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인 "좌측"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좌회전 표시 요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중립" 상태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인 "우측"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우회전 표시 요구 신호를 출력하며, "좌측"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인 "유턴"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유턴 표시 요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60927A 2018-05-29 2018-05-29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 KR102004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27A KR102004658B1 (ko) 2018-05-29 2018-05-29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27A KR102004658B1 (ko) 2018-05-29 2018-05-29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658B1 true KR102004658B1 (ko) 2019-07-26

Family

ID=6746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927A KR102004658B1 (ko) 2018-05-29 2018-05-29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6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719A (ja) * 1997-10-24 1999-07-27 Zengo Kin 自動車の方向転換指示及びユーターン指示の区別装置
KR20020008546A (ko) * 2000-07-21 2002-01-31 조영석 후진등과 방향 지시등을 이용한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KR200423427Y1 (ko) * 2006-05-17 2006-08-07 조욱연 차량 방향지시등 등화장치
KR20170017662A (ko) 2015-08-07 2017-02-15 김진국 차량용 유턴표시등
KR20180036420A (ko) 2016-09-30 2018-04-09 장해식 유턴과 하차 신호를 구비한 방향지시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719A (ja) * 1997-10-24 1999-07-27 Zengo Kin 自動車の方向転換指示及びユーターン指示の区別装置
KR20020008546A (ko) * 2000-07-21 2002-01-31 조영석 후진등과 방향 지시등을 이용한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KR200423427Y1 (ko) * 2006-05-17 2006-08-07 조욱연 차량 방향지시등 등화장치
KR20170017662A (ko) 2015-08-07 2017-02-15 김진국 차량용 유턴표시등
KR20180036420A (ko) 2016-09-30 2018-04-09 장해식 유턴과 하차 신호를 구비한 방향지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533B1 (en) Signal U-turn
KR20160037983A (ko) 차량을 자율 운전하기 위한 운전자 보조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및 차량
KR20050063726A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 장치
KR101823937B1 (ko) 차량 운행 안전성 확보 장치
CN109131053B (zh) 车灯控制方法及汽车
KR20180124696A (ko) 위험표시 방향 지시등
KR20210078092A (ko) 스마트 램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4658B1 (ko) 자동차 유턴 표시 장치
KR20140012364A (ko) 차량의 주행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4495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KR100831345B1 (ko) 차량용 방향지시장치
KR20160111147A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자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68237A (ko)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KR20190063673A (ko) 교통상황에 따라 방향지시등을 가변 점등하는 방법
KR200423427Y1 (ko) 차량 방향지시등 등화장치
KR102560759B1 (ko) 차량 사고 예방 유턴 표시시스템
KR2014014492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KR0126095Y1 (ko) 자동차의 조향에 따른 턴시그날램프 작동제어장치
JP6962021B2 (ja) 方向指示器の点滅制御装置及び該点滅制御装置を備えた車両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0134868Y1 (ko) 후방차량 속도 감지장치
KR100667057B1 (ko) 자동차 전조등 자동 조절장치
KR20230076990A (ko) 차량용 좌우회전 및 유턴 방향표시등 장치
KR200215223Y1 (ko) 자동차의 방향전환표시장치
KR100727350B1 (ko) 자동차의 비상등/방향지시등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