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118B1 -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 - Google Patents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118B1
KR102004118B1 KR1020190005505A KR20190005505A KR102004118B1 KR 102004118 B1 KR102004118 B1 KR 102004118B1 KR 1020190005505 A KR1020190005505 A KR 1020190005505A KR 20190005505 A KR20190005505 A KR 20190005505A KR 102004118 B1 KR102004118 B1 KR 102004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ating
thermal paper
therma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규
Original Assignee
최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규 filed Critical 최영규
Priority to KR102019000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118B1/ko
Priority to PCT/KR2019/001754 priority patent/WO202014944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6Backcoats; Back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per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은, 종전 단편화 및 일부 공정들로만 제조하던 방식과 달리 중간 공정을 모두 포함하여 하나의 제조 공정으로 다양한 감열지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절감을 포함하여 생산 단가의 절감을 통하여 다양한 감열지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은, 고농도의 감열액만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건조 공정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아도 양질의 감열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AL PAPER AND THERMAL PAPER MANUFACTED THEREBY}
본 발명은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열지(thermal paper)는 열을 가하면 발색하는 화학물질을 함유한 감열층을 원지의 표면에 발라 열에 반응하도록 만든 특수한 종이로서, 열만 있으면 간단히 기록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와 결합시킬 수 있어서 팩시밀리와 프린터 등의 기록 재료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감열지는 열을 받으면 전자를 내놓는 성질이 있는 무색의 로이코 염료(leuco dye)와 전자를 받는 산성물질로서의 현색제를 미세 알갱이 형태로 만들어서 결합제와 함께 종이에 바른 것으로, 로이코 염료는 산성물질과 만나면 검은색 또는 짙은 푸른색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감열지에 60~150℃의 열이 닿으면 로이코 염료와 산성물질이 만나게 되어 검정색으로 색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감열지를 제조하는 방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지지체와 감열층 사이에 비화상부의 발색, 화상부의 소색을 방지하기 위한 언더층을 설계하고, 이 언더층위에 감도 상승 스틱킹(sticking) 방지, 가스 부착 저하 및 도포 강도 유지를 위하여 안료, 활제, 가교제 및 기타 보조제를 등을 배합한 감열 도포액을 도포하여 감열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감열면의 해상력 향상과 스틱킹 방지를 위한 방지를 위한 충진물, 습윤지력 향상제와 염료 등으로 구성된 오버층을 형성시켜 제조한다.
특허문헌 1은, 감열지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1)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제1용액과 하이드로옥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하기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제2용액을 혼합하는 제1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발색제 분산액 또는 현색제 분산액을 상기 제1혼합 용액에 혼합 분산시켜 제2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제2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열전달 속도 증가 및 발색염료의 흡착 및 고착에 이용되는 무기 충진제로서 다공성의 산화규소 졸과 알루미나 졸 및 탄산칼슘을 상기 제2혼합 용액에 혼합 분산하여 감열 유제를 제조하는 제3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감열 유제를 인화지 원지에 4 내지 5㎛의 두께로 도포 건조해 상기 감열 유제를 포함하는 감열 프린터의 발색층을 형성시키는 코팅 단계; (5) 상기 감열 유제가 코팅된 인화지 원지에 보호층을 1.5 내지 2㎛의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하고 건조하는 보호층 도포단계; 및 (6) 상기 감열 유제 및 보호층이 코팅된 인화지 원지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화학식 1)
X-O-(CH2CH2O)n-H
(여기서 X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특수 용지인 감열지를 제조함에 있어,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다양한 층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각각의 공정에 요구되는 설비가 매우 고가이므로, 기존에는 단일 공정 수행으로 인한 반제품 형태의 제조 방식을 사용하여, 작업 및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에너지 낭비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공정으로 감열지를 생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감열지를 생산할 수 있고, 에너지 낭비를 예방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감열지 제조방법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190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것으로, 하나의 공정으로 감열지를 생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감열지를 생산할 수 있고, 에너지 낭비를 예방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감열지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하나의 공정으로 감열지를 생산할 수 있는 감열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권출된 종이 원자재 일면에 액상 감열액을 도포하는 코팅 단계(S100); 상기 코팅된 종이 원자재 일면의 반대면을 코팅하는 백코팅 단계(S200); 및 상기 백코팅된 종이 원자재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상기 종이 원자재 표면의 광택과 평활도를 높여주는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감열액은 10% 내지 50%의 농도를 가지며, 상기 코팅 단계는 100m/min 내지 500m/min의 속도, 3g/㎡ 내지 20g/㎡의 도공량 및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OD)값이 두께 45㎛ 내지 300㎛당 1.0msec 내지 3.0msec의 코팅 조건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 단계(S100) 전에 개별 또는 연동되어 종이 원자재 롤을 풀어주는 언와인더 단계(S4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감열지 제조방법(1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와인더 단계(S400)는 제 1 언와인더 공정 및 제 2 언와인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이후에 상기 종이 원자재를 제조자가 원하는 형틀에 통과시켜 제본한 후 권취시키는 슬리터 단계(S5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및 슬리터 단계(S500) 사이에 속도를 완충시켜주는 버퍼 단계(S6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코팅 단계(S200) 및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사이에 상기 종이 원자재 인쇄 단계(S7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리터 단계(S500) 이후에 상기 종이 원자재를 롤에 권취하는 리와인더 단계(S8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 단계(S100), 백코팅 단계(S200) 및 인쇄 단계(S700)는 열풍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 단계(S100) 또는 백코팅 단계(S200) 이후에 블레이드(blade) 또는 바(bar)로 상기 코팅된 액상 감열액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하는 균일화 단계(S9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감열지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감열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은, 종전 단편화 및 일부 공정들로만 제조하던 방식과 달리 중간 공정을 모두 포함하여 하나의 제조 공정으로 다양한 감열지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절감을 포함하여 생산 단가의 절감을 통하여 다양한 감열지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은, 고농도의 감열액만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건조 공정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아도 양질의 감열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상기 감열지 제조방법의 범위가 하기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감열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10)은, 권출된 종이 원자재 표면에 액상 감열액을 도포하는 코팅 단계(S100), 상기 코팅된 종이 원자재 일면의 반대면을 코팅하는 백코팅 단계(S200); 및 상기 코팅된 종이 원자재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상기 종이 원자재 표면의 광택과 평활도를 높여주는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 원자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감열지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종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포지, 합성섬유지, 합성수지 필름, 아트지 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표면이 코로나 처리된 백색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량(㎡당 무게)이 55~300g/㎡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출된 종이 원자재 표면에 액상 감열액을 도포하는 코팅 단계(S100)에서 사용되는 코터의 경우에는 상기 액상 감열액을 종이 원자재 표면에 도포 또는 도공하여 주는 장치로서, 여러 개의 스틸롤과 합성 고무롤을 구동하여 상기 액상 감열액을 균일하고 미세하게 전달 및 종이 원자재 표면에 도포하여 주는 장치이다.
상기 코터의 경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구체적인 부품, 즉 팬(fan), Immersion roll, Micro mold Applicator roll, Rubber press roll 및 Doctor Bla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코터의 경우, 다음과 같이 코팅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팅 공정은 상기 팬(Fan)에 공급된 액상 감열액이 하단의 Immersion roll에 전이되고, 상기 Immersion roll 상단에 위치한 Micro mold Applicator roll과, 상기 Micro mold Applicator roll 상단에 위치한 Rubber press roll의 사이를 종이 원자재가 통과할 경우, 1차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액상 감열액의 도포량을 조절하며, 상기 도포된 액상 감열액에 대하여, 추가로 구비된 Doctor Blade가 Blade 각도를 제어하면서, 상기 액상 감열액의 도포량 조절과 동시에 종이 원자재에 코팅된 표면을 평활하게 조절하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코팅 단계(S100)는 팬(Fan)에 공급된 폴리 비닐 알콜 또는 전분류액이 하단의 Immersion roll에 전이되고, 상기 Immersion roll 상단에 위치한 Applicator roll과, 상기 Applicator roll 상단에 위치한 Rubber press roll의 사이를 종이 원자재가 통과할 경우, 1차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1단계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단계(S100) 또는 백코팅 단계(S200) 이후에 블레이드(blade) 또는 바(bar)로 상기 코팅된 액상 감열액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하는 균일화 단계(S9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Micro mold Applicator roll의 Micro mold(5um-400um)값은 코팅액의 농도와 속도에 따라 교체하여 제어 및 조절할 수 있으며, 위와 동일한 조건에서 제품의 용도에 따라 공정을 최소 1단 내지 최대 4단까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Micro mold Applicator roll과, 상기 Micro mold Applicator roll 상단에 위치한 Rubber press roll의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 5㎛ 내지 400㎛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액상 감열액은 10% 내지 50%, 20% 내지 50% 또는 30% 내지 50%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상 감열액의 농도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액상 감열액 도포 이후 별도의 건조 공정을 추가로 거쳐야 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생산 효율을 기대할 수 없고, 상기 액상 감열액의 농도가 50% 초과인 경우, 생산 단가가 높아져 생산비 절감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액상 감열액은, 기본적으로 안료 및 수지를 용해시킨 다음 추가적인 첨가제 등을 투입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아조(azo)안료, 퀴나트리돈 안료, 디옥사진 안료, 축합 아조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안료들의 필요한 입도(0.05㎛ 내지 0.1㎛)를 실현하기 위하여, 반드시 45% 이상을 4poil 이상에서 분산을 하여야만 한다.
상기 수지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 비닐 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를 100℃ 이상에서 30분 이상 가열하면서 용해함으로써, 상기 수지 또는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액상 감열액의 농도를 30%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용해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첨가제(수지)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 농도도 마찬가지로 30% 이상 유지하고, 입도를 0.05㎛ 내지 0.1㎛ 내에서 조절하여 수행함으로써, 상기 혼합 과정을 통하여, 최종 액상 감열액의 농도를 30% 내지 60% 범위의 고농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10)은 상기 액상 감열액의 농도를 전술한 범위 내에서 조절함으로써, 종이 원자재에 감열액을 도포한 이후, 별도의 건조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다른 공정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단계(S100)는 코터 헤드(coater head)에 고속으로 코팅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100m/min 내지 500m/min, 200m/min 내지 500m/min 또는 300m/min 내지 500m/min의 속도를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단계(S100)에서는 도포되는 양, 즉 도공량이 약 3g/㎡ 내지 20g/㎡, 5g/㎡ 내지 15g/㎡ 또는 7g/㎡ 내지 10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단계(S100)에서의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OD)값이 두께 45㎛ 내지 300㎛ 당 1.0msec 내지 3.0msec일 수 있으며, 상기 두께는 50㎛ 내지 150㎛, 75㎛ 내지 125㎛ 보다 바람직하게 100㎛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코팅 단계(S200)는, 상기 코팅된 종이 원자재 일면의 반대면을 코팅하는 과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이 원자재 일면에 도포된 액상 감열액으로 인하여 구불어지는 현상(curl 현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반대면을 재코팅하여 복원하는 공정이다.
상기 백코팅 단계에서 사용되는 코팅액의 경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 비닐 알콜(농도 5% 내지 50%) 또는 전분류(농도 5% 내지 50%)의 코팅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포량은 약 0.1g/m2 내지 10g/m2내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10)은, 상기 코팅 단계(S100) 전에 개별 또는 연동되어 종이 원자재 롤을 풀어주는 언와인더 단계(S4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와인더 단계(S400)는 제 1 언와인더 공정 및 제 2 언와인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언와인더 단계(S400)에서는 2개의 롤이 arm type으로 개별 또는 연동으로 종이 원자재를 풀어주는 장치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스틸롤 및 스틸롤 또는 탄성롤 및 탄성롤의 선상 접촉면, 즉 닙(nip) 사이로 종이 표면을 통과시켜 압력과 상기 롤 표면에 열을 가해 종이 표면의 광택과 평활도를 높이는 장치이며, 코팅된 두 면의 종이를 접착시켜 주는 역할도 함께 병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은, 상기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이후에 상기 종이 원자재를 제조자가 원하는 형틀에 통과시켜 제본한 후 권취시키는 슬리터 단계(S5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터 단계(S500)를 수행함에 있어서, 먼저 수행된 코팅 단계(S100) 과정 및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인쇄 작업을 수행한 종이 또는 필름을 원하는 형틀 모양에 통과시키고 제본하여 다양한 롤 형태로 권취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은, 상기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및 슬리터 단계(S500) 사이에 속도를 완충시켜주는 버퍼 단계(S6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단계(S600)는, 앞 공정 및 후 공정의 속도비를 완충시켜주기 위한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팅 단계(S100) 및 후술하는 종이 원자재 인쇄 단계(S700)를 개별로 수행하거나,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은, 상기 백코팅 단계(S200) 및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사이에 상기 종이 원자재 인쇄 단계(S7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이 원자재 인쇄 단계(S700)는 감열 코팅된 종이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인쇄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쇄 방식 또는 코팅 방식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레이 코팅, 그라비아 코팅, 슬롯다이 코팅, 딥 코팅, 바 코팅,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등의 여러 인쇄 방식 또는 코팅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은, 상기 슬리터 단계(S500) 이후에 상기 종이 원자재를 롤에 권취하는 리와인더 단계(S8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와인더 단계(S800)는 코팅 단계, 글라스 캘린더 단계 및 인쇄 단계 등을 각각 별도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요에 따라 후 가공 공정을 제외하고 점보롤을 권취하여 되감아 주는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은, 상기 코팅 단계(S100) 또는 백코팅 단계(S200) 이후에 균일화 단계(S9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일화 단계(S900)는 코팅 단계(S100) 및 백코팅 단계(S200)에서 각각 사용되는 액상 감열액 및 코팅액을 도포된 후 블레이드(blade) 또는 바(bar)를 사용하여 상기 액상 감열액 및 코팅액이 종이 원자재 일면 또는 그 반대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blade) 또는 바(bar)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액상 감열액 및 코팅액을 도포하여 주는 장치, 즉 코터(coater)에 부착되거나 이와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감열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감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열지는 전술한 감열지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되어, 보다 제조에 필요한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음에도, 내구성 또는 취급이 용이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감열지 제조방법
S100: 권출된 종이 원자재 일면에 액상 감열액을 도포하는 코팅 단계
S200: 코팅된 종이 원자재 일면의 반대면을 코팅하는 백코팅 단계
S300: 백코팅된 종이 원자재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종이 원자재 표면의 광택과 평활도를 높여주는 글라스 캘린더 단계
S400: 개별 또는 연동되어 종이 원자재 롤을 풀어주는 언와인더 단계
S500: 종이 원자재를 제조자가 원하는 형틀에 통과시켜 제본한 후 권취시키는 슬리터 단계
S600: 속도를 완충시켜주는 버퍼 단계
S700: 종이 원자재 인쇄 단계
S800: 종이 원자재를 롤에 권취하는 리와인더 단계
S900: 코팅된 액상 감열액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하는 균일화 단계

Claims (10)

  1. 권출된 종이 원자재 일면에 액상 감열액을 도포하는 코팅 단계(S100);
    상기 코팅된 종이 원자재 일면의 반대면을 코팅하는 백코팅 단계(S200); 및
    상기 백코팅된 종이 원자재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상기 종이 원자재 표면의 광택과 평활도를 높여주는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감열액은 30% 내지 50%의 농도를 가지며,
    상기 코팅 단계는 300m/min 내지 500m/min의 속도, 7g/㎡ 내지 10g/㎡의 도공량 및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OD)값이 두께 45㎛ 내지 300㎛당 1.0msec 내지 3.0msec의 코팅 조건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S100) 전에 개별 또는 연동되어 종이 원자재 롤을 풀어주는 언와인더 단계(S4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와인더 단계(S400)는 제 1 언와인더 공정 및 제 2 언와인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이후에 상기 종이 원자재를 제조자가 원하는 형틀에 통과시켜 제본한 후 권취시키는 슬리터 단계(S5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및 슬리터 단계(S500) 사이에 속도를 완충시켜주는 버퍼 단계(S6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코팅 단계(S200) 및 글라스 캘린더 단계(S300) 사이에 종이 원자재 인쇄 단계(S7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터 단계(S500) 이후에 상기 종이 원자재를 롤에 권취하는 리와인더 단계(S8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S100), 백코팅 단계(S200) 및 인쇄 단계(S700)는 열풍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S100) 또는 백코팅 단계(S200) 이후에 블레이드(blade) 또는 바(bar)로 상기 코팅된 액상 감열액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하는 균일화 단계(S9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지 제조방법(1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열지 제조방법(10)으로부터 제조된 감열지.
KR1020190005505A 2019-01-16 2019-01-16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 KR102004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05A KR102004118B1 (ko) 2019-01-16 2019-01-16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
PCT/KR2019/001754 WO2020149442A1 (ko) 2019-01-16 2019-02-13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05A KR102004118B1 (ko) 2019-01-16 2019-01-16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118B1 true KR102004118B1 (ko) 2019-07-25

Family

ID=6746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505A KR102004118B1 (ko) 2019-01-16 2019-01-16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4118B1 (ko)
WO (1) WO202014944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045A (ko) * 2002-10-30 2004-05-10 김용환 감열기록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과 상기 감열기록용지를이용한 감열인쇄지 및 그의 인쇄방법
JP2008246949A (ja) * 2007-03-30 2008-10-16 Fujifilm Corp 感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041901B1 (ko) 2008-09-09 2011-06-17 김찬래 감열지 제조방법
KR101239106B1 (ko) * 2009-03-24 2013-03-06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감열 기록체
KR101518355B1 (ko) * 2009-10-14 2015-05-08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감열 기록 재료
KR20170129257A (ko) * 2015-03-23 2017-11-24 파피에르패브릭 어거스트 쾰러 에스이 감열성 기록물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045A (ko) * 2002-10-30 2004-05-10 김용환 감열기록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과 상기 감열기록용지를이용한 감열인쇄지 및 그의 인쇄방법
JP2008246949A (ja) * 2007-03-30 2008-10-16 Fujifilm Corp 感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041901B1 (ko) 2008-09-09 2011-06-17 김찬래 감열지 제조방법
KR101239106B1 (ko) * 2009-03-24 2013-03-06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감열 기록체
KR101518355B1 (ko) * 2009-10-14 2015-05-08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감열 기록 재료
KR20170129257A (ko) * 2015-03-23 2017-11-24 파피에르패브릭 어거스트 쾰러 에스이 감열성 기록물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442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2316B1 (en) Recording medium, production process of the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ing process using the recording medium
US10857824B2 (en) Solvent resistant glossy printable substrate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10906342B2 (en) Printable media
JP298394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9826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793057B (zh) 具有包含表面活性剂的接收器外涂层的导电热成像接收层
EP2632732B1 (en) Photo media
FI116799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substraatin päällystyksessä ja painettu tuote
KR102004118B1 (ko) 감열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감열지
CN102093660B (zh) 接受物层形成组合物和热转印接受片材
CN105517809A (zh) 可印刷记录介质
JP301780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3768017B2 (ja)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方法
JP5910053B2 (ja) 昇華転写受像シート及び昇華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方法
CN107206824B (zh) 具有包括表面活性剂的接收器外涂层的导电热成像接收层
JPS61141585A (ja) インクジエツト記録方法
KR100834199B1 (ko) 그라비아 또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디지털 포토프린트이색 펄용지 및 그 제조방법
US6572953B1 (en) Transfer material with heat activatable adhesive layer
JPH082092A (ja) ラベル用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457866B (zh) 具有包含表面活性剂的接收器外涂层的导电热成像接收层
JP2000335119A (ja) 熱転写記録用受容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受容シート
CN114206626A (zh) 转印纸和结合丝网印刷与数码印刷的印刷方法
JPH06191145A (ja) ラベル用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362521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0049853A (ja) 記録媒体及び記録媒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